[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8908B1 -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08B1
KR101268908B1 KR1020100077649A KR20100077649A KR101268908B1 KR 101268908 B1 KR101268908 B1 KR 101268908B1 KR 1020100077649 A KR1020100077649 A KR 1020100077649A KR 20100077649 A KR20100077649 A KR 20100077649A KR 101268908 B1 KR101268908 B1 KR 10126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dye
dyes
color
dye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035A (ko
Inventor
고탁
정문화
최근하
Original Assignee
최근하
한국실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하, 한국실크연구원 filed Critical 최근하
Priority to KR102010007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mordant dyes ; using metallisabl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은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별 염제와 매염제를 설정하고 배합 및 배색에 필요한 조제의 첨가시에 온도, 시간 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고려하여 천연염료를 준비하는 염료준비단계;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천연염료, 매염제 및 호료를 혼합하여 직물/편물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을 날염판상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날염과 동시에 천연염료의 농도에 따라 천연염료를 고착하는 염료고착단계; 및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 천연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에 소정의 온도와 기압조건에서 일정시간 열을 가하는 세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NATURAL DYEING METHOD USING PRE-TREATMENT PROCESS OF NATURAL DYE}
본 발명은 천연염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날염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천연염료를 고착하는 천연염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학 염색공정이나 조제취급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 할 뿐 아니라 염색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 등 최종제품의 유해성과 관계없이 그 과정에서의 환경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염료 폐액은 수질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아조계 염료는 발암성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렇듯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 문제는 이미 생활의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합성염료보다 환경친화적인 천연염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생활전반에서 불어오는 Eco-friendly 성향은 수요자들의 핵심 요구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산업 전범위에서 활발하게 녹색(Green)기술이 핵심 기술로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염료는 색상별, 화학구조별, 염재 유래(동물, 식물, 광물)별, 매염효과 등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매염제 효과에 따른 분류의 경우 색상 변화에 따라 단색성 염료와 다색성 염료로 분류되기도 한다. 단색성(homogenetic dyes) 염료는 색소의 화학구조가 매염제와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매염효과가 크지 않으며 매염에 의한 색상변화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단일계통의 색으로만 염색되는 천연염료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황벽, 치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다색성 염료(polygenetic dyes)는 색소의 화학구조가 매염제와 결합하기 쉬운 구조로서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염료의 크기가 커지면서 물에 대한 용해성이 감소하거나, 매염제가 섬유와 염료의 결합력을 크게 함으로써 염료의 염착성이 증가하고, 또한 매염제와 염료의 배위결합에 의해 염료내 전자밀도 등의 변화가 생겨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는 천연염료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꼭두서니, 소목, 오배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한편, 지금까지 천연염색은 공예염색가들에 의한 침염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천연염료의 분말화 공정이 날염기술에 응용되기 시작하면서 제품의 다양화가 시도되고 있다. 천연염료는 대체로 식물성 염료이며 색소의 추출은 열탕에 의한 방법과 유기용매를 이용한 방법이 있지만, 기계화 및 대량화에 어려움이 많아 상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열탕 추출된 색소의 분말화 과정에서 투입되는 첨가제의 영향으로 순도 및 색소의 함량이 다소 떨어지고, 유기용매에 의한 색소 추출은 농축공정과 추출 과정에서 염재가 지니고 있는 리그닌 등의 방해유지 성분 등에 의하여 공정효율이 떨어진다. 염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물과의 혼합이 어려우며, 유기용매를 이용한 염액 농축과정에서 알코올 및 유지에 의한 색소가 불용성이 되어 염착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농축액 또는 분말 염료로 날염을 할 경우 염착성 저하와 매염시점의 결정이 어려움으로 도안의 예리한 선 또는 첨예한 경계선의 유지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연염료 날염기술은, 전처리 후 반드시 침염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실효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색성 염료를 통한 염색 후 색상별 상이한 견뢰성능으로 인한 색차발생은 광폭이 필요한 복지용 소재로의 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처리 공정에서 호료와 매염제, 염료의 상용성과 날염조건, 고착조건 및 수세조건을 개발하여 인날과 동시에 고착공정 및 다색컬러와 첨예한 경계선을 유지하는 천연염색 날염 제품의 개발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편물에 매염제 및 호료, 천염염료를 혼합하여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고 그 후 날염판상에서 날염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한 고착공정을 통하여 염료를 고착함으로써 기존보다 색상 및 견뢰도가 월등히 향상되고, 날염형의 다양한 문양 및 디자인 요소가 첨가되어 환경 친화적인 효과와 웰빙 트랜드에 부합되는 맞춤형 제품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은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별 염제와 매염제를 설정하고 배합 및 배색에 필요한 조제의 첨가시에 온도, 시간 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고려하여 천연염료를 준비하는 염료준비단계;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천연염료, 매염제 및 호료를 혼합하여 직물/편물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을 날염판상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날염과 동시에 천연염료의 농도에 따라 천연염료를 고착하는 염료고착단계; 및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 천연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에 소정의 온도와 기압조건에서 일정시간 열을 가하는 세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연염색 방법은, 별도의 기계설치 없이 기존의 스크린 날염공정을 활용하여 날염공정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천연염료를 고착함으로써 공정을 단축하고 색상 및 견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날염판 위에서의 1차적인 고착공정을 구현하므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샘플작업을 수행하여 제품화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색상 및 견뢰도의 샘플을 선정하고, 이렇게 선정된 샘플을 통해 천연염색의 표준화와 재현성을 확립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3의 샘플 71-144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3의 샘플 71-144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4의 샘플 151-139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4의 샘플 151-139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5의 샘플 139-51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5의 샘플 139-51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은 염료준비단계(S110), 전처리단계(S120), 염료고착단계(S130) 및 세팅단계(S140)을 포함한다.
염료준비단계(S110)에서는,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별 염제와 매염제를 설정하고 배합 및 배색에 필요한 조제의 첨가시에 온도, 시간 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고려하여 천연염료를 준비한다.
상기 시료는 날염용 직물로서 시판중인 견직물 CDC(Crape de chine)를 구입하여 전처리로 한번 세척하여 준비된다.
상기 염재로서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락, 소목, 코치닐, 치차, 아나토, 석류, 치자, 가죽나무, 쭉, 신나무, 밤나무 등이 이용된다.
상기 락은 홍색 계열 염료이고, 상기 소목은 건조된 소목이 사용되며, 상기 코치닐은 동물성 천연염료로서 건조코치닐이 사용된다.
상기 치자는 남해산 치차로서 분쇄되어 사용되고, 상기 아나토는 열대식물 열매로서 건조 아나토가 사용되며, 상기 석류는 분말석류가 사용된다.
상기 치자는 치자추출 청색분말이 사용되고, 상기 가죽나무는 지리산 일대에서 서식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쪽은 분말 쪽 염료가 사용된다.
상기 신나무는 지리산 일대에서 서식되는 것을 사용하며, 잎과 줄기를 분류하여 이용되고, 상기 밤나무는 지리산 일대에 서식되는 것을 잎과 줄기를 분류하여 사용된다.
상기 매염제는 3가지의 대표적인 매염제기 사용되고, 모두 1급(Duksan pure chemical Co., Ltd)이 사용된다. 호료로는 인달카(Cesalpinia chemicals. Italy) , 매인프로금(Cesalpinia chemicals. Italy), 알긴산 소다(Cesalpinia chemicals. Italy)가 각각 또는 혼합되어 사용되며, 발효 후 액상으로 감식초 제조하여 발색, 갈변, 고착용도로 사용된다.
각각의 매염제는 계열별로 선정된 염제를 바탕으로 홍색과 핑크 황색계의 색상을 내기 위하여 알리미늄(AlK(SO4)212H2O)을 목적 색상에 맞도록 준비된 염료대비 1g/ℓ의 농도의 매염제를 50% 첨가하여 사용된다. 동일한 농도로 브라운계, 블랙계열의 색상용으로 Ferrous sulfate가 사용되고, 핑크, 블루, 그린계열용으로 Copper(Ⅱ) sulfate을 사용하여 배합한다. 발색 및 갈변, 고착을 제어하기 위하여 감식초를 첨가하고, 색상계열간 호제와 염제 매염제의 배색은 인달카, 메인프로금의 호제를 복합 사용하며 알긴산 호료는 치자블루, 가죽, 쪽, 백목의 염재의 경우는 단독 사용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사용된 매염제의 화학명 및 구조
Mordanting agent Chemical name Chemical formulation
Al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4)212H2O
Cu Copper(Ⅱ) sulfate CuSO45H2O
Fe Ferrous sulfate FeSO47H2O
염료준비단계(S110)에서는, 천연염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별도의 방법으로 색소를 추출한다. 빨강(red)계열의 락은 알칼리수에 용해(안료화)후 사용되고, 소목과 코치닐은 감식초와 아세트산(acetic acid)을 첨가하여 pH 4.5로 조정후 중탕으로 추출되며, 노랑(Yellow)계열의 치자는 효소 첨가후 6개월 이상 발효 후 중탕으로 추출된다.
상기 아나토 및 석류는 알칼리수 용해후 안료화하여 사용되고, 파랑(blue), 초록(green)계열의 치자블루(blue) 및 쪽은 알칼리수 용해후 중탕으로 농도조절 후 사용되며, 갈색(Brown), 검정(black)계열의 미로보란은 알칼리수 용해(안료화)후 사용되고, 신나무 및 밤나무는 7일간 침지 후 알칼리수에 중탕으로 추출된다.
염재의 종류 및 분류
색상계열 염재 염료추출 조건 조색조건
Red 알칼리수에 용해후 추출 인달카 호료에 염제 복합사용 pH 3~4.5
소목 감식초로 pH로 조정후 중탕추출
코치닐 감식초로 pH로 조정후 중탕추출
Yellow 치자 효소제 펌가후 6개월이상 발효후 중탕추출 메임프로금호료에 염제복합사용 pH 3~4.5
아나토 알칼리수에 용해후 추출(안료화)
석류 알칼리수에 용해후 추출(안료화)
Blue,Green 치자블루 알칼리수에 용해후 추출(안료화) 알긴산 호료에 염제복합사용 pH 7~10
가죽 감식초로 pH로 조정후 중탕추출
발효 후 중탕으로 농도조절 후 추출
Brown,Black 미로보란 알칼리수에 용해후 추출(안료화) 알긴산 호료에 염제복합사용 pH 7~10
신나무 7일간 증류수에 침지후 알칼리수에 중탕추출
밤나무 7일간 증류수에 침지후 알칼리수에 중탕추출

이때, 적어도 3도 이상의 천연염료가 전처리단계(S120)에서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때, 겹쳐지는 부분의 색상변화가 없도록 염료준비단계(S110)에서 천연염료의 조건별 염색성 특징에 따라 천연염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염료의 조건별 염색성 특징 및 샘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전처리단계(S120)에서는, 상기 염료준비단계(S110)에서 준비된 천연염료, 매염제 및 호료를 혼합하여 직물/편물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한다.
홍계열의 천연염료의 경우에는, 인달카 및 메인프로금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pH 3~4.5에서 안료화 되어 있는 색소를 첨가후 제조되고, 브라운, 블랙계열의 천연염료의 경우에는, 메인프로금 호료를 pH 3~4.5에서 안료화 되어 있는 색소를 첨가후 제조되며, 그린(green), 청색(blue)계열의 경우에는 알긴산 호료를 pH 7~10에서 안료화 되어 있는 색소를 첨가후 제조된다.
전처리단계(S120)에서의 배색조건은 목적하는 제품의 선택된 색상계열간의 조색조건에 따라 색소를 혼합 배색하여 천연염료가 준비되며, 치자블루, 가죽, 쪽, 백목 등 청색계열의 식물성 염료는 알긴산 호제를 단독 사용하여 배색된다.
염료고착단계(S130)에서는, 전처리단계(S120)에서 형성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을 날염판상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날염과 동시에 천연염료의 농도에 따라 천연염료를 고착한다.
이때, 상기 날염판상에서의 열풍공정은 직물/편물의 표면에 손상이 가지 않는 범위에서 고온의 열풍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염료의 날염에서의 효율성 및 첨예성이 향상되도록 디자인 및 제도한 후 배합/배색조건의 천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한다. 특히 중첩효과의 관찰을 위하여 무늬를 넓게 겹쳐지도록 날염형을 만들어서 사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날염 공정에서 날염판상의 고착공정 대신에 열풍을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천연염료의 고착을 진행한다.
특히,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는,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인날후 바로 천연염료를 고착하거나 인날과 동시에 고착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날후 70% 건조가 이루어지면 천연염료를 고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염재별로 날염 공정중 인날 후 감식초와 발효액을 투여한 후 1차 페이딩공정을 부여함으로 안정적인 색상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열, 습도공급 공정을 별도의 염재별로 차별을 두고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페이딩 공정은 목적 색상별 조제를 일정하게 날염판에 도포한 후 일정한 압력으로 조제를 긁어서 밀어주는 방식의 공정을 의미한다.
세팅단계(S140)에서는, 상기 염료고착단계(S130)에서 완료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에 소정의 온도와 기압조건에서 일정시간 열을 가한다.
특히, 증열 장치를 통하여 70~100℃의 온도와 0.5~1kgf/cm2의 기압조건에서 30분 내지 1시간동안 세팅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상기 세팅단계(S140)가 완료되면, 해당 직물/편무을 세척하는 워싱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워싱단계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따른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 색상의 측정에 따른 염착량은 컴퓨터 색상 매칭 시스템(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Gretag Macbath 7000-A USA))을 사용하여 각 파장의 반사율이 측정되고 최대 흡수파장의 표면 반사율로부터 다음의 Kubelka-Munk식에 따라 계산된다.
Figure 112012107737136-pat00032

여기서, R은 최대흡수파장에서의 표면반사율(0< R < 1)이며, K는 흡광계수, S는 산란계수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 색상 매칭 시스템(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을 사용하여 CIE Lab색차식에 의하여 L*,a*b* 값을 측정하고, 색상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색상계열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에서, 일광견뢰도의 측정은 염색된 섬유제품을 실제로 사용할 때 햇볕에 바래지는 정도를 확인하는 시험으로서 KS K ISO 105-B02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되었다.
또한, 세탁견뢰도는 염색물의 세탁에 대한 염료의 저항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KS K ISO 105-C01법에 따라 시험되었고, 땀견뢰도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이 염색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KS K ISO 105-D01법으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에서 최적 컬러의 선정을 위하여 수많은 염재컬러별 별도의 방법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우수한 색감의 다양한 색상데이터 칩이 확보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각 조건별 염색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컴퓨터 색상 매칭(Computer Color Matching:CCM)을 통하여 K/S값을 획득하고, 많은 샘플작업을 수행하여 제품화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색상 및 견뢰도의 샘플을 선정하였다.
다음의 표 3 내지 표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을 통해 선정된 칼라 칩(color chip)을 나타낸 것이며, 도 2 내지 7은 상기 표 3 내지 표5에 따른 샘플의 색상환 및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3의 샘플 71-144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3의 샘플 71-144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4의 샘플 151-139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4의 샘플 151-139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5의 샘플 139-51의 K/S 파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염색 방법에 의해 제작된 표 5의 샘플 139-51의 색상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최종 선정된 샘플 1 (CCM을 통한 color chip 제작 1)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1

No. 71 치자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2

No. 127 백목, 치자블루,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3

No. 99 코치닐, 락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4

No. 137 락,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5

No. 100-1 코치닐,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6

No. 132 코치닐, 치자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7

No. 152 치자블루, 코치닐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8

No. 144 소목, 락
최종 선정된 샘플 2 (CCM을 통한 color chip 제작 2)
Figure 112010051820540-pat00009

No. 151-1 치자, 백목, 아나토, 치자블루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0

No. 145 치자,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1

No. 136 락, 아나토, 치자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2

No. 97 아선약, 석류, 소목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3

No. 123 소목, 코치닐, 락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4

No. 148-1 1/2 락, 치자, 아나토, 미로보란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5

No. 144 소목, 락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6

No. 139 코치닐, 아나토, 치자블루
최종 선정된 샘플 3 (CCM을 통한 color chip 제작 3)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7

No. 139-1 코치닐, 치자블루,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8

No. 143 소목, 미로보란
Figure 112010051820540-pat00019

No. 143 1/4 소목 미로보란
Figure 112010051820540-pat00020

No. 138 코치닐, 치자블루,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21

No. 150 코치닐, 치자
Figure 112010051820540-pat00022

No. 146 소목, 락, 코치닐, 아나토
Figure 112010051820540-pat00023

No. 144 1/2 소목, 락
Figure 112010051820540-pat00024

No. 51 코치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결과, 하기의 표 6 및 7과 같이, 고착공정에 의한 천연염료의 염색견뢰도의 증진이 확연히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고착공정을 거친 A와 동일한 날염조건에서 고착공정을 거치지 않은 B의 대조군으로 비교실험이 이루어졌다.
삭제
견뢰도 결과 1
sample 일광 세탁
산성 알칼리성
condition no 변퇴 오염 변퇴 오염 변퇴 오염
A 51 2 1 4 4 2-3 4 4 2 4 4
144 1/2 2 1 4 4 2-3 4 4 2 2-3 3
146 2 1 4 4 2 2 2 2 2 2
150 2 2 4 4 2 3 2 1 2 2
138 2 2 3-4 3-4 3 3 2-3 3 2-3 2-3
143 1/4 2 1 4 4 2 4 4 3 4 4
143 2 1 3-4 4-5 2-3 4-5 4 2 3 3
139-1 3 1 2-3 3 1 2-3 1 2 2-3 1
139 3 2 4 4 2 3-4 1-2 1 2 1
155 3 1 4 4 2 3-4 1 2 2 1
148 1/2 3 2 4 3-4 2-3 4 4 2-3 4 4
123 2 1 4 4 2 4 1 2 3 2
97 2 1 4-5 4 2-3 4 4 1-2 3-4 4
136 2 1 4 3-4 3-4 4 4 3 4-5 4
145 2 2 4 1 3-4 2-3 2 3-4 3 3
151-1 2 2 4 4 3 3 4 3 3 4
144 2 1 4 4 3-4 2-3 2-3 3 1-2 2
152 2 2 4 4 3 3 1 3 3 1-2
132 2 1 2 2 2 2-3 2 2 2 2
100-1 3 1 4 4 2 4 4 2 4 4
137 2 1 3 3 2 3 2 2 3 2-3
99 3 2 2 3-4 1-2 2 2 1-2 2-3 2-3
127 3 3 4 4 3 4 4 3 4 4
71 3 3 4 4 3 4 4 3 4 3-4

견뢰도 결과 2
sample 일광 세탁
산성 알칼리성
condition no 변퇴 오염 변퇴 오염 변퇴 오염
B 51 2 1 4 4-5 3 4 4-5 2-3 4 4-5
144 1/2 1 1 4-5 4 2 2-3 2-3 1-2 2 2
146 1 1 4 4 2-3 1-2 1 2 1-2 1-2
150 3 1 4 4 2 2 1 2 2 2
138 3 2 4 4 3 1-2 1-2 2-3 1-2 2
143 1/4 2 1 4 4 3 3-4 4 2-3 3-4 3-4
143 2 1 4 4 2 3-4 2 1-2 3 2-3
139-1 2 1 3-4 3 1-2 2-3 1 1-2 2 1-2
139 2 1-2 3 3 1-2 2-3 1 1 2 1-2
155 3 2 3 3 1-2 2 1 1-2 1-2 1-2
148 1/2 3 1-2 4 4 1 4 3-4 1 4 3-4
123 2 1-2 3-4 4 1 2 1 1 2 1-2
97 2 1 3-4 3-4 2-3 4 4 2-3 3-4 3
136 2 1 4 4 2 4 2-3 2 3 3-4
145 2 2 3 1 3 2 2 3-4 3 3-4
151-1 3 2 4 4-5 2-3 3 3 3 2-3 3-4
144 2 1 3-4 4 2 3 1-2 2 2-3 1-2
152 2 1-2 3-4 4 2-3 2 1-2 2-3 2 2
132 3 1 3-4 4 1-2 2-3 1 2 2 2
100 3 1 4 4 2 4 4 2 4 4
137 2 1 4 4 3 3-4 3-4 3 4 4
99 3 2-3 4 4 2 3-4 1-2 2-3 4 2
127 3 2-3 4 4 3 3-4 4 3 4 4
71 2 2-3 4 4 3 3-4 4 3 3-4 4
삭제

Claims (9)

  1.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별 염제와 매염제를 설정하고 배합 및 배색에 필요한 조제의 첨가시에 온도, 시간 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고려하여 천연염료를 준비하는 염료준비단계;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천연염료, 매염제 및 호료를 혼합하여 직물/편물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을 날염판상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날염과 동시에 천연염료의 농도에 따라 천연염료를 고착하는 염료고착단계; 및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 천연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소정의 무늬를 갖는 직물/편물에 소정의 온도와 기압조건에서 일정시간 열을 가하는 세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는,
    천연염료의 특성에 따라, 빨강 계열의 락은 알칼리수에 용해하여 색소가 추출되고, 소목과 코치닐은 감식초와 아세트산(acetic acid)을 첨가하여 4.5pH(수소이온농도)로 조정후 중탕으로 추출되며, 노랑계열의 치자는 효소 첨가후 6개월 이상 발효 후 중탕추출되고, 아나토 및 석류는 알칼리수 용해후 안료화 하여 사용되며, 파랑, 초록계열의 치자블루(blue) 및 쪽은 알칼리수 용해 후 중탕으로 농도조절 후 사용되고, 갈색, 블랙계열의 미로보란은 알칼리수 용해후 사용되며, 신나무 및 밤나무는 7일간 침지 후 알칼리수에 중탕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는,
    천연염료의 특성에 따라, 빨강계열의 경우에는, 인달카 및 메인프로금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3-4.5pH(수소이온농도)에서 안료화되는 색소를 첨가하여 제조하고, 브라운, 블랙계열의 경우에는 메인프로금 호료를 3-4.5pH(수소이온농도)에서 안료화되는 색소를 첨가후 제조하며, 초록파랑계열의 경우에는, 알긴산 호료를 7-10pH(수소이온농도)에서 안료화되는 색소를 첨가후 제조하는 조색조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는,
    선택된 색상계열간 조색조건의 방법으로 색소를 혼합 배색하여 염료를 준비하고, 치자블루, 가죽, 쪽, 백목 등 청색계열의 식물성 염료는 알긴산 호제를 단독 사용하여 배색하는 배색조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는,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천연염료의 종류에 따라 인날후 바로 천연염료를 고착하거나 인날과 동시에 고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고착단계에서는 인날후 70% 건조가 이루어지면 천연염료를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단계에서는, 70-100℃의 온도와 0.5-1kgf/cm2의 기압조건에서 30분내지 1시간동안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때 겹쳐지는 부분의 색상변화가 없도록 적어도 3도 이상의 천연염료가 상기 염료준비단계에서 천연염료의 조건별 염색성 특징에 따라 천연염료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염색 방법.
KR1020100077649A 2010-08-12 2010-08-12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49A KR101268908B1 (ko) 2010-08-12 2010-08-12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49A KR101268908B1 (ko) 2010-08-12 2010-08-12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35A KR20120062035A (ko) 2012-06-14
KR101268908B1 true KR101268908B1 (ko) 2013-05-28

Family

ID=4668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908B1 (ko) 2010-08-12 2010-08-12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1436B2 (en) 2021-07-07 2025-04-22 Target Brands, Inc. Sustainable fabric preparation process for dyeing with botanical (plant) dy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6399B (zh) * 2012-12-17 2014-05-21 常州大学 一种天然染料转移印花色浆及其制备方法和印花方法
KR101462484B1 (ko) * 2013-11-15 2014-11-18 주식회사 금영교역 결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날염용 호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1436B2 (en) 2021-07-07 2025-04-22 Target Brands, Inc. Sustainable fabric preparation process for dyeing with botanical (plant) dy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35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ürses et al. Dyes and pigments
Hamdy et al. Various natural dyes from different sources
CN103603212A (zh) 一种天然植物染料配色染棉织物的方法
CN106436373A (zh) 一种棉麻纤维织物的涂料印花工艺
Yıldırım et al. Printing with sustainable natural dyes and pigments
CN101899785A (zh) 使用漆和天然染料的染色方法及其产品
CN106049115A (zh) 一种喷墨拔染印花织物的制备方法
KR101268908B1 (ko) 천연염료의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CN106752076B (zh) 一种蓝色活性染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9537314B (zh) 一种真丝织物的天然黑色染料的染色方法
CN109736104B (zh) 一种全棉织物的靛蓝浆染色工艺
Mongkholrattanasit et al. Screen printing on silk fabric using natural indigo
CN1314855C (zh) 真丝绸涂料拔染印花拔染浆及其涂料拔活性的拔染印花工艺
Panda et al. Natural dyes—A way forward
KR101748005B1 (ko) 율피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10080020A (zh) 蜡染染料、植鞣革蜡染制品及植鞣革蜡染方法
KR101149578B1 (ko) 갈천을 이용한 염색 방법
Karolia et al. Ajarkh, the resist printed fabric of Gujarat
CN109252416A (zh) 彩色纸的制备方法
KR20110126955A (ko) 날염용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날염용 천연염료 그리고 날염용 천연염료를 이용한 날염방법
Takahashi et al. Color fastness of sappanwood-dyed silk and insights into the clothing life of the heian period
KR101840441B1 (ko) 면/폴리에스터 혼방섬유 1단 날염용 염료 조성물
CN108642912A (zh) 一种蚕丝的染色方法
Hamdy et al. Journal of Textiles, Coloration and Polymer Science
Smith et al. Some traditional colourants of Maori and other cul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5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