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8839B1 -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839B1
KR101268839B1 KR1020110055108A KR20110055108A KR101268839B1 KR 101268839 B1 KR101268839 B1 KR 101268839B1 KR 1020110055108 A KR1020110055108 A KR 1020110055108A KR 20110055108 A KR20110055108 A KR 20110055108A KR 101268839 B1 KR101268839 B1 KR 10126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tank
water
poison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096A (ko
Inventor
황백만
Original Assignee
황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백만 filed Critical 황백만
Priority to KR102011005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8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8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조의 상,하부에 커버 및 받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물분리수단이 더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는 간수가 받침부에 장착되는 수거조에 낙하토록 하는 구성으로 소금의 저장은 물론 다중 여과되는 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a device for capture the salt water using salt pot}
본 발명은 저장조의 상,하부에 커버 및 받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물분리수단이 더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는 간수가 받침부에 장착되는 수거조에 낙하토록 하는 구성으로 소금의 저장은 물론 다중 여과되는 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잘 녹는 특성이 있어서 마대 등에 담아 운반, 저장하는 경우에는 습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소금이 잘 녹는 경향이 있고, 소금이 녹은 물은 마대의 외피를 축축하게 적시기 때문에 외부의 흙, 먼지 등의 오물이 소금 포장 마대 외부에 쉽게 달라붙게 되어 위생상 불결한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소금을 비닐 포대에 소금을 저장, 보관하는 경우에는, 일단 한번 개봉을 하게 되면 그 개봉구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침투하여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봉구를 완전 밀봉시키는 수단을 강구하여야 했다.
또한, 비닐 포대에 소금을 봉입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해도 이를 장기 저장하게 되면 소금 자체의 수분이 포대 내에서 자연 탈수되면서 포대 내의 하부로 몰리고 이로 인해 소금이 덩어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60253호에 소금저장 용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판(22)과 상기 배수판(22)을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배수판 받침대(24)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22)과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 사이에는 간수 집수부(16)가 형성되며, 뚜껑(30)의 횡단면 형상이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요홈부(33)의 내경은 소금 저장용기의 바닥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금저장용기는, 집수부(16)의 배출시 배수판(22)을 통하여 오염물이 유입될 염려가 있으며, 소금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해되는 간수와 함께 집수부(16)에 그대로 낙하되어 간수를 다시 한번 여과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물질이 여과되는 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및 상부를 통한 오염물이나 냄새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여과장치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금의 보관이 간편하면서 청결 유지가 가능토록 하며, 소금독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장조의 상,하부에 커버 및 받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조는 이물분리수단이 더 연결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는 간수가 받침부에 장착되는 수거조에 낙하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물분리수단은, 복수의 걸림턱을 구비하면서 가장자리에 필터가 구비되는 중력침강조로서 이루어 진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이물분리수단은, 저장조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크린에 밀착고정되면서 둘레에 배출구를 갖는 중력침강조와 상기 중력침강조의 내측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토록 하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력체는 복수의 간수유출공이 구비되면서 저면에 요철부가 구비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저장조는, 코팅된 금속이나 플라스틱, 황토나 세라믹등의 천연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면서 저면에 스크린이 형성되고, 복수의 리브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받침부는, 일측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수거조가 수납토록 설치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이 여과되는 간수를 얻고, 하부를 통한 오염물을 유입을 방지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여과장치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소금의 보관이 간편하면서 청결 유지가 가능하며, 소금독의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금저장 용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소금독(100)은, 저장조(110)와 커버(130) 및 받침부(1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10)는, 상부에 커버(130)가 밀착고정되고, 하부에 받침부(15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50)는, 일측에 장착홀(155)이 형성되어 수거조(157)가 수납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저장조(110)는, 이물분리수단(200)이 저면에 더 연결되는 구성이면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간수가 받침부(150)에 장착되는 수거조(157)에 낙하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110)는, 코팅된 금속이나 플라스틱, 황토나 세라믹등의 소성으로 이루어진 천연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면서 저면에 스크린(113)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최 하측에 위치토록 돌출되는 저부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복수의 리브(115)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저장조(110)는, 스크린(113)의 둘레에 스크린과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홀(117)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복수의 걸림턱(211)을 구비하면서 가장자리에 필터(213)가 구비되는 중력침강조(210)로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저장조(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크린(113)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되어 밀착고정되면서 둘레에 배출구(215)를 갖는 중력침강조(210)와 상기 중력침강조(210)의 내측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토록 하는 부력체(2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력체(230)는, 간수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면서 저면에 요철부(235)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소금독(100)은, 저장조(110)와 받침부(150)를 피스로서 상호 조립한 후 상기 저장조(110)의 상부에 커버(130)를 장착하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면서 외부의 냄새가 저장조(110) 내측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금독(100)은 저장조(110)의 내측에 천일염을 충진한 후 보관하면 주변의 환경조건에 따라 간수(W)가 하부에 낙하되면서 받침부(150)에 삽입되는 수거조(157)에 모이도록 되어 간수의 활용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간수(S1)가 낙하되는 수거조(157)는 투명의 표시부가 구비되어 충진되는 간수의 충진량 확인이 가능토록 하여도 좋다.
더하여, 상기 저장조(110)의 상부가 커버(130)에 의해 밀착될 때 상기 저장조(110)의 하부는 스크린(113)이 구비되어 외부의 냄새등이 유입토록 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분리수단(200)을 통하여 저장조(110) 내측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토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 낙하되는 간수는 이물질분리수단(200)에 의해 간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자연 침강토록 되어 수거조(157)에 낙하되는 간수한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 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110)는, 코팅된 금속이나 플라스틱, 황토나 세라믹등의 천연재로서 일체로 성형되면서 저면에 스크린(113)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최 하측에 위치토록 돌출되는 저부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복수의 리브(115)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친환경재로서 소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조(110)는 천연의 독과 같이 황토등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
더하여, 상기 저장조(110)는, 스크린(113)의 둘레에 스크린과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홀(117)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저장조(110)의 저면에 모이는 간수가 이송홀(117)을 따라 스크린(113)에 용이하게 이송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복수의 걸림턱(211)을 구비하면서 가장자리에 필터(213)가 구비되는 중력침강조(210)로서 이루어 져 스크린을 통하여 저장조에서 낙하되는 간수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침강될 때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순수한 간수만이 중력침강조를 넘쳐 수거조에 낙하토록 된다.
한편,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저장조(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크린(113)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되어 밀착고정되면서 둘레에 배출구(215)를 갖는 중력침강조(210)와 상기 중력침강조(210)의 내측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토록 하는 부력체(23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스크린에서 낙하되는 간수의 부력에 의해 부력체가 상승하면서 중력침강조의 표면에 위치한 간수만이 넘쳐 수거조에 낙하토록 됨으로써 냄새의 유입은 방지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간수의 포집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중력침강조(210)에는 필터(213)가 구비되어 중력침강조 자체에서 중력침강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때 중력침강되지 못하고 부유되는 이물질 까지도 제거토록 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230)는, 상승시 배출구에 대응되어 간수(W)가 유출토록 저면에 요철부(235)가 구비되어 부력체의 상승시 간수가 중력침강조의 배출구를 통하여 자유롭게 넘쳐나도록 되는 것이다.
100...소금독 110...저장조
113...스크린 115...리브
130...커버 150...받침부
157...수거조 210...중력침강조
213...필터 230...부력체

Claims (5)

  1. 소금독(100)이 저장조(110)와 커버(130) 및 받침부(15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며,
    상기 받침부(150)는, 일측에 장착홀(155)이 형성되어 낙하되는 간수를 포집토록 수거조(157)가 수납되고,
    상기 저장조(110)는, 코팅된 금속이나 플라스틱, 황토나 세라믹의 소성체중에서 선택되는 구성으로 일체로 성형되면서 저면에 스크린(113)이 구비되며, 저면에 이물분리수단(200)이 더 구비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는 간수가 받침부(150)에 장착되는 수거조(157)에 낙하토록 설치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110)는, 중앙부가 최 하측에 위치토록 돌출하면서 전체에 동일지지면을 갖는 복수의 리브(115)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스크린과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홀(11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복수의 걸림턱(211)을 구비하면서 가장자리에 필터(213)가 구비되는 중력침강조(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리수단(200)은, 저장조(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크린(113)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되어 밀착고정되면서 둘레에 배출구(215)를 갖는 중력침강조(210)와 상기 중력침강조(210)의 내측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토록 하는 부력체(2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체(230)는, 배출구에 대응토록 요철부(2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KR1020110055108A 2011-06-08 2011-06-08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08A KR101268839B1 (ko) 2011-06-08 2011-06-08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08A KR101268839B1 (ko) 2011-06-08 2011-06-08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96A KR20120136096A (ko) 2012-12-18
KR101268839B1 true KR101268839B1 (ko) 2013-05-29

Family

ID=4790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839B1 (ko) 2011-06-08 2011-06-08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332B (zh) * 2018-12-11 2023-09-29 河南理工大学 一种家用调控盐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54B1 (ko) 2009-08-14 2009-12-01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54B1 (ko) 2009-08-14 2009-12-01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96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CN101065544B (zh) 流下雨水过滤装置以及使用该过滤装置的雨水贮留装置
CN104968406B (zh) 用于脂肪、油性物、油脂的废物移除系统
KR101268839B1 (ko)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100739875B1 (ko) 공공배수로의 퇴적물 제거형 하수구조
JP5137037B2 (ja) 雨水貯水タンク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170139258A (ko) 투시창이 구비된 맨홀
US8157106B2 (en) Garbage container with protected drain
JP2010048030A (ja) 排水トラップ
CN203066195U (zh) 一种用于地漏的垃圾桶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JP2013249716A (ja) 枯葉避け具及び樋集水器の排水構造
JP2014058804A (ja) 集水桝の土砂、ゴミ除去装置
JP2009108511A (ja) 雨水取り出し装置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JP6343734B2 (ja) 蚊の発生防止のためのタンク付き傘立
KR200180003Y1 (ko)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200460809Y1 (ko) 교량용 집수구
ES2643018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residuos y de lixivi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2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