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6675B1 -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675B1
KR101266675B1 KR1020090136006A KR20090136006A KR101266675B1 KR 101266675 B1 KR101266675 B1 KR 101266675B1 KR 1020090136006 A KR1020090136006 A KR 1020090136006A KR 20090136006 A KR20090136006 A KR 20090136006A KR 101266675 B1 KR101266675 B1 KR 10126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water
flow
heat exchanger
flow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052A (ko
Inventor
송재선
우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675B1/ko
Priority to US12/729,535 priority patent/US8800313B2/en
Priority to EP10250863.7A priority patent/EP2354721B1/en
Priority to CN2010101905949A priority patent/CN102135346A/zh
Publication of KR2011007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심축을 가지고 직경이 서로 다른 3개의 관으로, 3개의 독립적인 유로가 형성되는 삼중관 형상의 중간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열교환기를 통하여 3개의 유체가 동시에 열교환 가능하고, 상기 중간열교환기의 열교환 용량을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은,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1 냉매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는 제 2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2 냉매순환부; 실내의 냉난방 및 급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물이 유동하는 물순환부;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을 위하여, 동심축을 가지고 서로 직경이 다른 3개의 관으로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중간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 및 물이 열교환 되도록 상기 제 1 냉매와 상기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2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냉매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냉매사이클, 중간열교환기, 삼중관

Description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본 발명은 냉매사이클과 연동하여 온수 공급 및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의 냉난방은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온수 공급은 별도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보일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 냉매가 팽창되는 감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작용하여, 상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감압장치, 실내열교환기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는 오일, 가스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를 공급하거나 바닥난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동시에 열교환 가능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열교환 용량이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실시예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1 냉매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는 제 2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2 냉매순환부; 실내의 냉난방 및 급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물이 유동하는 물순환부;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을 위하여, 동심축을 가지고 서로 직경이 다른 3개의 관으로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중간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 및 물이 열교환 되도록 상기 제 1 냉매와 상기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2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냉매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에 의하면, 중간열교환기에는,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 가능한 3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중간열교환기는 동심축을 가지고 직경이 서로 다른 3개의 관으로 상기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삼중관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동시에 열교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로를 유동하는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유체는 서로 대향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열교환기는, 제 1 냉매배관, 제 2 냉매배관 및 수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 중 상기 제 1 냉매배관, 제 2 냉매배관 및 수배관에 연결되는 것의 개수를 달리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 중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유동하는 것의 개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중간열교환기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은,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하는 제 1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1 냉매순환부와,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는 제 2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2 냉매순환부와, 실내의 냉난방 및 급탕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물이 유동하는 물순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매사이클은, 상기 냉매가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은, 상기 제 1 냉매 및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열교환기(13)가 설치되는 실외기(1)와, 상기 실외기(1)를 상기 물순환부와 중계하고, 상기 제 2 냉매 및 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열교환기(23)를 포함하는 중계기(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냉매순환부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와, 상기 제 1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기(11)와, 상기 제 1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팽창부(14)와, 상기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 1 유동전환부(12)와,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중간열교환기(25)와, 상기 제 1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냉매배관(1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압축기(11), 상기 실외열교환기(13) 및 중간열교환기(25) 중 어느 하나, 상기 제 1 팽창부(14), 상기 실외열교환기(13) 및 중간열교환기(25) 중 나머지 하나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면서 냉매사이클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동전환부(12)에 의하여, 상기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이 상기 중간열교환기(25)로부터 상기 제 1 팽창부(14)를 통과한 후 상기 실외열교환기(13)로 유입되는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순환부는, 상기 중간열교환기(25)와, 상기 제 2 냉매를 압축하는 제 2 압축기(21)와, 상기 제 2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2 팽창부(24)와, 상기 제 2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제 2 유동전환부(22)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와, 상기 제 2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냉매배관(26)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압축기(21), 상기 중간열교환기(25) 및 수냉매열교환기(23) 중 어느 하나, 상기 제 2 팽창부(24), 상기 중간열교환기(25) 및 수냉매열교환기(23) 중 나머지 하나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면서 냉매사이클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동전환부(22)에 의하여, 상기 제 2 냉매의 유동 방향이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로부터 상기 제 2 팽창부(24)를 통과한 후 상기 중간열교환기(25)로 유입되는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열교환기(25)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동시에 통과하는 것으로서, 한편으로는 상기 제 1 냉매순환부에 포함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냉매순환부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열교환기(25)에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기 위한 3개의 유로(251,252,2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열교환기(25)에서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동시에 열교환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열교환기(25)는 기능적인 의미에서는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열교환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중간열교환기(25)는 제 1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 1 수냉매열교환기이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는 제 2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 2 수냉매열교환기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3), 제 1 압축기(11), 제 1 팽창부(14), 제 1 유동전환부(12)는 상기 실외기(1)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1)가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3)가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열교환기(25), 수냉매열교환기(23), 제 2 압축기(21), 제 2 유동전환부(22)는 상기 중계기(2)에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중계기(2)에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의 출구측에 연장되는 수배관(61)에 장착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 스위치(32)(flow switch)와, 상기 플로우 스위치(32)로부터 물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된 어느 지점에서 분지되는 팽창 탱크(33)(expansion tank)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수배관(61)의 단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보조 히터(35)가 제공되는 집수 탱크(34)와, 상기 집수 탱크(34)의 출구측 수배관(61)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펌프(36)(water pump)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는 상기 냉매 사이클 폐회로를 따라 흐르는 냉매와 상기 수배관(6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열교환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판형열교환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와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유로(231,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팽창 탱크(33)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의 부피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팽창될 때 이를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집수 탱크(34)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한 물이 집수되는 용기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4) 내부에는 보조 히터(35)가 장착되어, 제상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등과 같이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량이 요구되는 열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4)의 상측에는 에어 벤트(343)(air vent)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 탱크(34) 내에 존재하는 과열 상태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4)의 어느 일측에는 압력 게이지(341)와 릴리프 밸브(342)가 제공되어, 상기 집수 탱크(34) 내부의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게이지(341)를 통해서 표시되는 상기 집수 탱크(34) 내부 수압이 과도하게 높을 때에는, 상기 릴리프 밸브(342)가 개방되도록 하여 탱크 내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펌프(36)는, 상기 집수 탱크(34)의 출구측에서 연장되는 수배관(61)을 통해서 토출되는 물을 펌핑하여, 급탕부(4)와 냉난방부(5)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물순환부는, 온수 공급 즉, 급탕을 위한 물이 유동하는 급탕부(4)와,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물이 유동하는 냉난방부(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급탕부(4)는, 사용자가 세면 또는 설거지 등과 같은 작업에 필요한 물을 데워서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으로 이격된 어느 지점에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삼방 밸브(71)(three-way valve)가 제공된다. 상기 삼방 밸브(71)는, 상기 워터 펌프(36) 에 의하여 펌핑된 물이 상기 급탕부(4) 또는 상기 냉난방부(5)로 흐르도록 하는 방향 전환 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삼방 밸브(71)의 출구측에는 급탕부(4)로 연장되는 급탕 배관(62)과, 상기 냉난방부(5)로 연장되는 냉난방 배관(63)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펌프(36)에 의하여 펌핑되는 물은 상기 삼방 밸브(7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배관(62) 또는 냉난방 배관(63)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급탕부(4)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데워지도록 하는 급탕 탱크(41)와, 상기 급탕 탱크(41)의 내부에 제공되는 보조 히터(4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급탕부(4)의 일측면에는 냉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수부(411)와, 가열된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41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삼방 밸브(71)로부터 연장되는 급탕 배관(62)의 일부는 상기 급탕 탱크(41)로 인입되어, 상기 급탕 탱크(4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즉, 상기 급탕 배관(62)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고온의 물로부터 상기 급탕 탱크(41)에 저장된 물로 열이 전달된다. 그리고, 특정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히터(35)와 상기 보조 열원이 동작하여 추가적인 열을 더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욕을 하기 위하여 온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와 같이, 단시간에 물이 데워져야 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수부(412)에는 샤워기와 같은 온수 토출 장치 또는 가습기와 같은 가전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난방부(5)에는, 상기 냉난방 배관(63)의 일부가 실내 바닥에 매설되어 형성되는 바닥 냉난방부(51)와, 상기 냉난방 배관(63)의 어느 지점으로부 터 분지되어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와 병렬 연결되는 공기 냉난방부(5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 냉난방부(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에 미앤더 라인(meander line) 형태로 매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부(52)는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또는 라디에이터(Radiator)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부(52)에는 상기 냉난방 배관(63)으로부터 분지되는 공기 냉난방 배관(54) 일부가 열교환 수단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이 분지되는 지점에는 삼방 밸브(71)와 같은 유로 전환 밸브(56)가 설치되어, 상기 냉난방 배관(63)을 따라 흐르는 냉매가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와 공기 냉난방부(52)로 나뉘어 흐르거나 어느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방 밸브(71)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급탕 배관(62)의 단부는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의 출구단으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합지된다. 따라서, 급탕 모드에서는 상기 급탕 배관(62)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냉난방 배관(63)으로 다시 합쳐진 후에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급탕 배관(62)이 상기 냉난방 배관(63)과 합쳐지는 지점과 같이, 역류 차단을 필요로 하는 지점에는 역지 밸브(V)가 설치되어,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상기 유로 전환 밸브(56)가 설치되는 방법 외에,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의 출구단과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의 출구단에 역지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수배관(61)은, 상기 급탕 및 실내의 냉난방 중 어느 하나를 수행 하기 위한 물의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수배관(61)은,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급탕부(4)로 안내하는 급탕 배관(62)과,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기 냉난방부(5)로 안내하는 냉난방 배관(63)과, 상기 수냉매열교환기 및 워터 펌프를 연결하는 메인 배관(302)과,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물을 상기 중간열교환기(25)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배관(302)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배관(303)을 포함한다. 상기 분지 배관(303)의 일단은 상기 급탕 배관(62) 및 냉난방 배관(63)이 합지된 지점과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배관(302)의 일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분지 배관(303)의 타단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배관(303)의 타지점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은,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향한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 유동조절부(304)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향한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 유동조절부(3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동조절부(304)는 상기 중간열교환기의 유입측에 해당하는 상기 분지 배관(303)의 일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동조절부(306)는 상기 분지 배관(303)이 분지되는 지점보다 하류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배관(302)의 일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유동조절부(304) 및 제 2 유동조절부(306)는 각각,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를 통과한 물 중 상기 중간열교환기(25) 및 수냉매열교환기(23)를 향한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냉매 유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1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2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1단 및 2단 혼용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난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은, 1단 압축 운전, 2단 운전 압축, 혼용 운전으로써 3개의 운전 상태로 난방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단 압축 운전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 1 냉매에 의하여 가열되는 운전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2단 압축 운전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 2 냉매에 의하여 가열되는 운전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혼용 운전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부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에 의하여 동시에 가열되는 운전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1단 압축 운전 시에는 상기 물이 상기 제 1 냉매로 수행되는 단일의 냉매사이클에 의하여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2단 압축 운전 시에는, 상기 제 2 냉매가 상기 제 1 냉매로 수행되는 제 1 냉매사이클에 의하여 가열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2 냉매로 수행되는 제 2 냉매사이클에 의하여 가열된다. 또한, 상기 혼용 운전 시에는, 상기 물이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로 수행되는 2개의 냉매사이클에 의하여 동시에 가열된다.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상기 1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매순환부에서, 상기 제 1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중간열교환기(25), 상기 제 1 팽창부(14), 상기 실외열교환기(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매사이클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 1 유동전환부(12)는, 상기 제 1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중간열교환기(25)로 안내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순환부에서는, 냉매의 유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제 2 압축기(21)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물순환부에서,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다.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물은, 상기 분지 배관(303)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유동조절부(306)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향한 물의 유동은 차단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유동조절부(304) 및 제 3 유동조절부(30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분지 배관(303)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한다. 상기 물이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은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게 된다.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한 물은 상기 집수탱크(34)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펌프(36)로 다시 유입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상기 2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매순환부에서 상기 제 1 냉매의 유동은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상기 1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매순환부에서는, 상기 제 2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제 2 냉매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로 유입된다.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로 유입된 제 2 냉매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물을 향하여 열을 방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한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팽창부(24)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상기 중간열교환기(25)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상기 제 2 압축기(21)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유동전환부는 상기 제 2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제 2 냉매를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로 안내하고,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제 2 압축기(21)로 안내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물순환부에서,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다.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물은, 상기 메인 배관(302)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동조절부(304)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향한 물의 유동은 차단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동조절부(306)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관(302)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한다. 상기 물이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은 상기 제 2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게 된다.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한 물은 상기 집수탱크(34)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펌프(36)로 다시 유입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상기 혼용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매순환부 및 제 2 냉매순환부에서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의 유동은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상기 2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물순환부에서,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다.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물은, 상기 메인 배관(302) 및 분지 배관(303)으로 동시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동조절부(304) 및 제 2 유동조절부(306)는 모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메인 배관(302) 및 분지 배관(303)으로 유입된 물은 각각,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 및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한다. 상기 물은 상기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게 된다. 즉, 상 기 물은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에 의하여 동시에 가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23) 및 중간열교환기(25)를 통과한 물은, 상기 집수탱크(34)를 통과하여 상기 워터 펌프(36)로 다시 유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S)이 냉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냉매순환부 및 제 2 냉매순환부에서 상기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는 상기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역순으로 유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중간열교환기의 모습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중간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중간열교환기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열교환기(85)는, 동심축을 가지고 서로 직경이 다른 3개의 관으로 3개의 독립적인 유로(851,852,853)가 형성되는 삼중관(85)이다.
상세히, 상기 중간열교환기(85)는, 상기 동심축을 기준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되는 제 1 유로(851)와, 상기 제 1 유로(851)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유로(852)와, 상기 제 2 유로(85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3 유로(8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로(851)는 제 2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냉매배관(26)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유로(852)는 제 1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냉매배관(15)과 연통되고, 상기 제 3 유로(853)는 물이 유동하는 수배관(303)와 연통된다. 즉,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 하여 상기 제 2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상기 제 1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상기 물이 유동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중간열교환기(85)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각각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 각각은, 상기 3개의 관(891,892,893)을 포함한다. 상기 3개의 관(891,892,893)은, 상기 3개의 관(891,892,893)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관(891)과, 상기 제 1 관(891)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관(892)과, 상기 제 2 관(89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3 관(89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관(891)은 상기 제 2 관(892)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관(891) 및 제 2 관(892)은 상기 제 3 관(893)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891)의 내부가 상기 제 1 유로(851)에 해당하고, 상기 제 1 관(891) 및 제 2 관(892)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상기 제 2 유로(852)에 해당하고, 상기 제 2 관(892) 및 제 3 관(893)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상기 제 3 유로(853)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각각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26) 및 수배관(30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26) 및 수배관(303)에는,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는, 상기 제 1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제 1 냉매 유입부(881) 및 토출부(882)와, 상기 제 2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제 2 냉매 유입부(883) 및 토출부(884)와, 상기 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물 유입부(885) 및 토출부(88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복수개의 유동차단부(85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유동차단부(857)는,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를 통한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나선형으로 감겨 올라가는 튜브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양단부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일단부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4회 절곡되어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감겨 올라가는 형상이다.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일단부(894,896,898)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5)의 제 1 냉매 유입부(881,883,885)(881), 상기 제 2 냉매배관(15)의 제 2 냉매 토출부(882,884,886)(884) 및 상기 수배관(303)의 물 토출부(882,884,886)(886)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타단부(895,897,899)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5)의 제 1 냉매 토출부(882,884,886)(882), 상기 제 2 냉매배관(15)의 제 2 냉매 유입부(881,883,885)(883) 및 상기 수배관(303)의 물 유입부(881,883,885)(885) 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닛(86,87)에서, 상기 제 2 관(892)의 양단부(896,897)는 상기 제 3 관(893)의 양단부(898,899)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관(891)의 양단부(894,895)는 상기 제 2 관(892)의 양단부(896,897)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관(891), 제 2 관(892) 및 제 3 관(893)의 양단부(894,895,896,897,898,899)는 모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관(891)의 일단부(894)는 상기 제 2 냉매 토출부(882,884,886)(884)에 연결되고, 타단부(895)는 상기 제 2 냉매 유입부(881,883,885)(88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관(892)의 일단부(896)는 상기 제 1 냉매 유입부(881,883,885)(881)에 연결되고, 타단부(897)는 상기 제 1 냉매 토출부(882,884,886)(88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제 3 관(893)의 일단부(898)는 상기 물 유입부(881,883,885)(885)에 연결되고, 타단부(899)는 상기 물 토출부(882,884,886)(886)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은 각각,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상기 열교환유닛(86,87)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측 배관(151,261,308)과,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상기 열교환유닛(86,87)으로부터 토출되기 위한 토출측 배관(152,262,309)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 각각의 유입측 배관(151,261,308) 및 토출측 배관(152,262,309)은,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 배관(15) 및 수배관(303)의 유입측 배관(151,261,308) 및 토출측 배관(152,262,309)이 배치되는 순서는, 상기 제 1 관(891), 제 2 관(892) 및 제 3 관(893)의 양단부(894,895,896,897,898,899)가 노출되는 위치에 대응된다.
즉, 상기 제 1 관(891), 제 2 관(892) 및 제 3 관(893)의 양단부(94,895,896,897,898,899)가, 상기 제 1 관(891)의 일단부(894), 제 2 관(892)의 일단부(896), 제 3 관(893)의 일단부(898), 제 3 관(893)의 타단부(895), 제 2 관(892)의 타단부(897), 제 1 관(891)의 타단부(899) 순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의 유입측 배관(151,261,308) 및 토출측 배관(152,262,309)은, 상기 제 2 냉매배관(15)의 토출측 배관(262), 제 1 냉매배관(15)의 유입측 배관(151), 수배관(303)의 토출측 배관(309), 수배관(303)의 유입측 배관(308), 제 1 냉매배관(15)의 토출측 배관(152), 제 2 냉매배관(15)의 유입측 배관(261) 순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 배관(151,261,308) 및 토출측 배관(152,262,309) 각각에는,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유입부(881) 및 토출부(884,886)는,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유입부(883,885) 및 토출부(882)에 비하여,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높이 차이 만큼 낮게 위치된다.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유입부(881) 및 토출부(884,886)는,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유입부(883,885) 및 토출부(882)와 어긋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용량은,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에 연결되는 상기 열교환유닛(86,87)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유동차단부(857)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을 향한 냉매의 유동이 선택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유닛(86,87)은, 필요에 따라 연결되는 개수를 달리하여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닛(86,87)이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차단부(857)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유닛(86,87)을 향한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유닛(86,87) 중 실질적으로 열교환에 사용되는 것의 개수가 가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전체적인 열교환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를 유동하는 형태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진다. 즉, 상기 제 1 냉매가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 매, 제 2 냉매 및 물은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를 6가지 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6가지 형태 중 하나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6가지 형태 중 둘째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가지 형태 중 셋째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6가지 형태 중 넷째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가지 형태 중 다섯째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6가지 형태 중 여섯째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853)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852)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1 유로(851)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유로(851,852,853)를 유동하는 유체 중 서로 인접하는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때, 상기 유체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유로(851)를 유동하는 제 1 유체와, 상기 제 3 유로(853)를 유동하는 제 3 유체는, 상기 제 2 유로(852)를 유동하는 제 2 유체의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유체, 제 2 유체 및 제 3 유체는,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중 서로 인접하여 유동하는 2개는 상기 중간열교환기(85) 내부에서 서로 대향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사용 중에 상황에 따라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2가지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에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 중 서로 연결되는 것의 개수에 따라,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매배관(15), 제 2 냉매배관(15) 및 수배관(303)에 연결되는 상기 열교환 유닛의 개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중간열교환 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중간열교환기(85)에 결합된 열교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유동차단부(857)를 모두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열교환 유닛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열교환 유닛을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부(881,883,885) 및 토출부(882,884,886)의 유동차단부(857)를 개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 상기 복수개의 유동차단부(857)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86,87)을 향한 냉매의 유동이 선택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중간열교환기(85)에 결합된 열교환 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유동차단부(857)를 폐쇄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중간열교환기(85)에 결합된 열교환 유닛 중 유동이 차단된 열교환 유닛에 대응되는 유동차단부(857)를 개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동시에 열교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중 2개 간의 열교환이 선택적으로 이루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중간열교환기(85)의 열교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1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2단 압축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1단 및 2단 혼용 운전되는 경우의 냉매 유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중간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서 중간열교환기의 모습을 보인 도면.

Claims (17)

  1.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 1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1 냉매순환부;
    상기 제 1 냉매와 열교환하는 제 2 냉매가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하는 제 2 냉매순환부;
    실내의 냉난방 및 급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물이 유동하는 물순환부;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 간의 열교환을 위하여, 동심축을 가지고 서로 직경이 다른 3개의 관으로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3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중간열교환기; 및
    상기 제 1 냉매 및 물이 열교환 되도록 상기 제 1 냉매와 상기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2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냉매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유로는,
    상기 동심축을 기준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되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2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 3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는 상기 제 3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 2 냉매는 상기 제 2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물은 상기 제 1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 중 서로 인접하는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 중 서로 연결되는 것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열교환 기의 열교환 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 제 2 냉매 및 물이 각각 유동하기 위한 제 1 냉매배관, 제 2 냉매배관 및 수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냉매배관, 제 2 냉매배관 및 수배관에는,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유입부 및 토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 및 토출부는,
    상기 제 1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제 1 냉매 유입부 및 토출부;
    상기 제 2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제 2 냉매 유입부 및 토출부; 및
    상기 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물 유입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 및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유입부 및 토출부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유동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동차단부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유닛을 향한 냉매의 유동이 선택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탱크에서 토출되는 물을 펌핑하는 워터 펌프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메인 배관; 및
    실내의 냉난방 및 급탕이 수행된 물을 상기 중간열교환기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분지 배관을 더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배관에는,
    상기 중간열교환기를 향하는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 유동조절부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배관에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향하는 물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 유동조절부가 배치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시스템.
KR1020090136006A 2009-12-31 2009-12-31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26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06A KR101266675B1 (ko) 2009-12-31 2009-12-31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US12/729,535 US8800313B2 (en) 2009-12-31 2010-03-23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EP10250863.7A EP2354721B1 (en) 2009-12-31 2010-04-30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CN2010101905949A CN102135346A (zh) 2009-12-31 2010-05-27 制冷剂循环联动水循环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06A KR101266675B1 (ko) 2009-12-31 2009-12-31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052A KR20110079052A (ko) 2011-07-07
KR101266675B1 true KR101266675B1 (ko) 2013-05-28

Family

ID=4379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0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6675B1 (ko) 2009-12-31 2009-12-31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0313B2 (ko)
EP (1) EP2354721B1 (ko)
KR (1) KR101266675B1 (ko)
CN (1) CN1021353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09B1 (ko) * 2008-08-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연동 온수 순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130305757A1 (en) * 2010-06-02 2013-11-21 City Holdings (Aus) Pty Ltd Integrated Cascading Plant
US20140144166A1 (en) * 2010-06-02 2014-05-29 City Holdings (Aus) Pty Ltd Cascading Plant
CN102371869B (zh) * 2010-08-09 2015-06-2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热管理系统
US9920648B2 (en) * 2011-09-07 2018-03-20 Eric William Newcomb Concentric three chamber heat exchanger
EP2581691A1 (en) * 2011-10-12 2013-04-17 Thermocold Costruzioni SrL Heat pump optimized for execution of cascade refrigeration cycles and for summer operation
US9915450B2 (en) * 2012-03-15 2018-03-13 Pas, Inc. Multi-split heat pump for heating, cooling, and water heating
US9127851B2 (en) * 2012-06-28 2015-09-08 Yixin Yang Heating and cooling system including a heat pump and a heat storage tank
JP6168973B2 (ja) * 2013-11-26 2017-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器
CN104975937A (zh) * 2014-04-05 2015-10-14 泰安鼎鑫冷却器有限公司 一种水空热交换式中冷器
WO2016059536A1 (en) * 2014-10-13 2016-04-21 Giamblanco Vincenzo A heat pump apparatus with energy recovery
WO2017008192A1 (zh) * 2015-07-10 2017-01-19 吴鹏 中央空调的散热方法及系统
FR3040477B1 (fr) * 2015-08-26 2019-12-20 Pera-Pellenc Sa Echangeur thermique, unite de refrigeration et installation utilisant l'echangeur thermique.
JP2017161164A (ja) * 2016-03-09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給湯システム
CN113775488B (zh) * 2020-06-09 2024-04-19 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冷却系统及风力发电机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090A (ja) * 2005-12-28 2007-07-12 Sharp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08157558A (ja) * 2006-12-25 2008-07-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8330A (en) * 1925-09-18 1931-03-31 Leek Albert Edward Heat-exchange apparatus
US3774678A (en) * 1971-04-07 1973-11-27 F Glorisi Cooling system with selectively replaceable radiator sections
NL7204070A (ko) * 1972-03-27 1973-10-01
JPS5638874B2 (ko) * 1974-05-10 1981-09-09
DE3318722A1 (de) 1983-05-21 1984-11-22 K.H. Michael Dipl.-Ing. Schunk (FH), 7441 Wolfschlugen Waermetauscher
JPS63156992A (ja) 1986-12-19 1988-06-30 Sanueebu Kogyo Kk 熱交換機並びにこれを用いた給湯装置
DE3725881A1 (de) 1987-08-05 1989-02-16 Sueddeutsche Kuehler Behr Einrichtung zur veraenderung der temperatur des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zugefuehrten kraftstoffs
US6119479A (en) * 1998-12-09 2000-09-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cycle for gas liquefaction
DE10138255B4 (de) * 2001-08-03 2012-06-06 Gea Grasso Gmbh Anordnung für Kaskadenkälteanlage
DE10240767B3 (de) 2002-08-30 2004-10-21 KKW Kulmbacher Klimageräte-Werk GmbH Wärmepumpenanlage
CN2570706Y (zh) * 2002-09-13 2003-09-03 阎首弟 复叠式超高温水源热泵装置
US6792766B2 (en) * 2002-10-04 2004-09-21 Cascade Manufacturing, L.P. Zone demand controlled dual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er therefor
ATE500887T1 (de) * 2003-09-19 2011-03-15 Urea Casale Sa Karbamatkondensationsverfahren
JP4599910B2 (ja) * 2004-07-01 2010-12-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給湯装置
JP2007232282A (ja) 2006-03-01 2007-09-13 Sharp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1198457B1 (ko) * 2006-09-01 2012-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CN201050953Y (zh) 2007-05-15 2008-04-23 谢育生 穿透逆向热交换器
US8161765B2 (en) * 2007-10-31 2012-04-24 Thermodynamique Solutions Inc. Heat exchange system with two single closed loops
CN201138100Y (zh) * 2007-12-19 2008-10-22 浙江台州双博能源技术有限公司 集地暖、制取热水于一体的中央空调
GB2461029B (en) * 2008-06-16 2011-10-26 Greenfield Energy Ltd Thermal energ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8312734B2 (en) * 2008-09-26 2012-11-20 Lewis Donald C Cascading air-source heat pump
KR101093305B1 (ko) * 2009-03-30 201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연동 온수 순환 시스템
KR101608538B1 (ko) * 2009-12-31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US8490606B2 (en) * 2011-03-03 2013-07-23 New Vision Fuel Technology, Inc. Passive re-indu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irculating exhaust gas in gasoline and diesel engines
FR2985805B1 (fr) * 2012-01-12 2016-12-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mmande d'un dispositif de compression d'un fluide caloporteur d'une machine frigorif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090A (ja) * 2005-12-28 2007-07-12 Sharp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08157558A (ja) * 2006-12-25 2008-07-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052A (ko) 2011-07-07
US8800313B2 (en) 2014-08-12
EP2354721A3 (en) 2012-12-26
EP2354721B1 (en) 2019-08-21
CN102135346A (zh) 2011-07-27
EP2354721A2 (en) 2011-08-10
US20110155356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675B1 (ko)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US8549870B2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US7716941B2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with defrosting device
US8794538B2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CN102770725B (zh) 空气调节热水供给系统
KR101201131B1 (ko) 복합 냉난방 온수 장치
EP2541169A1 (en) Air conditioner and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ing system
KR20110066781A (ko) 냉매 시스템 연동 물 순환 시스템
EP1437556B1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EP2541170A1 (en)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 system
JP2022528063A (ja) 空気調整装置
EP2623872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CN102109246B (zh) 制冷循环设备、热泵式热水供应空调及其室外单元
KR100877056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KR101610383B1 (ko)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
CN218599856U (zh) 一种空调热水机
KR100533006B1 (ko) 가정용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KR20080009848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 조화기
KR200400682Y1 (ko) 보일러의 순환수를 이용한 냉방장치
KR102042218B1 (ko) 히트 펌프
KR20140089796A (ko) 급탕 겸용 공기조화기
KR101610958B1 (ko)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6056009U (zh) 一种空调热水器循环系统
CN219913296U (zh) 空调系统
US20250020342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