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585B1 - Assembly of cable tray - Google Patents
Assembly of cable t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6585B1 KR101266585B1 KR1020120025970A KR20120025970A KR101266585B1 KR 101266585 B1 KR101266585 B1 KR 101266585B1 KR 1020120025970 A KR1020120025970 A KR 1020120025970A KR 20120025970 A KR20120025970 A KR 20120025970A KR 101266585 B1 KR101266585 B1 KR 101266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tray
- assembly
- fixing member
- insertion piece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TWDJIKFUVRYBJF-UHFFFAOYSA-N Cyanthoate Chemical compound CCOP(=O)(OCC)SCC(=O)NC(C)(C)C#N TWDJIKFUVRYBJ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3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hook and slot or keyhole-type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 몸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고, 충격이 완충되며, 온도변화에도 대응이 가능함과 아울러 미세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간단하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작업속도를 최소하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시 발생될 수 있는 조립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로 이루어진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탄력삽입편를 형성하되, 상기 탄력삽입편는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상기 슬롯이 형성된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하부의 절곡부를 감싸는 삽입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절곡부는 중앙을 절결시켜 접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of a cable tray, the object of which is to correspond to the torsion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o the cable tray body connected due to earthquakes, etc., shock is cushioned, and also possible to cope with temperature chang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ine angle and to easily and easily assemble th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cable tray body to minimize the working speed and also the assembly An assembly of a cable tray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ifficulty. It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the left and right, and a cable tray made up of a plurality of hangers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air of side fram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both ends, and the side to continuously arrange the cable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frames,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forms a respective resilient insertion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has a slot formed in either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ixed through the slots are coup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ots are formed, and a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foldabl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sertion bend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bends, and the insertion bend is formed at the center. It is to be cut off so that the ground is conn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 몸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고, 충격이 완충되며, 온도변화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미세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간단하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체결시 발생될 수 있는 조립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ble tray body connected by an earthquake or the like can correspond to the twist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he shock is buffer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emperature changes , It is possible to adjust at a fine angl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assemble th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cable tray body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and the difficulty of assembly that may occur during tightening An assembly of a cable tray to minimize it.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In general, cables of large and small diameters are arranged along ceilings, floors, or walls for power supply or fluid supply in factories,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Such cables are not inconvenient for aesthetics and passengers. In order not to use it, the cable tray is used to fix it in a well-organized state.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트레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cable trays that support and fix various cables as described above have a generally large length and a pair of side frames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hangers coup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ide frames (bar type, plate type). Consists of
또한,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게 되므로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케이블트레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 tray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arrange it on the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cable trays are connected and used as a connecting member.
도 1은 종래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트레이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1a-1)이 형성되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1a)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1b)로 이루어진 케이블트레이(1)와, 상기 케이블트레이(1)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a)의 관통공(1a-1)에 대응되는 체결공(2a)이 각각 형성되어 인접되는 측면프레임(1a)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와, 상기 케이블트레이(1)의 관통공(1a-1)과 상기 연결부재(2)의 체결공(2a)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와, 상기 연결부재(2)의 양측면의 측면프레임(1a) 상에 형성된 점퍼 결합공(2a)에 고정되는 그라운드 본딩 점퍼(ground bonding jumper)(4)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cable tray is a plurality of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1a)의 외측에 연결부재(2)가 결합되는데, 상기 측면프레임(1a)과 연결부재(2)는 상,하부에 각각 절곡부(b)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a)의 절곡부(b1)를 연결부재(2)의 절곡부(b2)가 감싸듯이 결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인접되는 케이블트레이(1)와 연결부재(2)를 고정부재(3)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측면프레임(1a)의 상,하부에 형성된 절곡부(b1)를 연결부재(2)의 절곡부(b2)로 감싸도록 결합한 후 측면프레임(1a)과 연결부재(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a-1)과 체결공(2a)을 고정부재(3)로 관통시켜 고정하게 된다.In the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cable tr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djacent cable tray (1) and the connecting member (2)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3), the ben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ide frame (1a) (b1) is combined to surround the bent portion (b2) of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a)에 형성된 점퍼 결합공(1a-2)에 고정되는 그라운드 본딩 점퍼(4)에 의해 케이블트레이(1)의 측면프레임(1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누전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여 케이블을 보호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frame (1a) of the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부재(2)로 체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1)와 또 다른 케이블트레이(1)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는 경우 결합력이 약해지고, 나아가 충격이 완충되지 않으며, 온도변화에 대해서도 변형가능성 있고, 설치시 미세한 설치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cable tray, when the twist occurs in the cable tray 1 and another
또한, 종래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측면프레임(1a)과 연결부재(2)에 복수의 볼트를 체결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cable tray,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work time by fastening a plurality of bolts to the side frame (1a) and the connecting member (2).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 몸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고, 충격이 완충되며, 온도변화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미세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간단하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체결시 발생될 수 있는 조립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of which is to correspond to the twist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o the cable tray body connected by the earthquake, etc., the shock is buffered, and the temperature chan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at a fine angle, and to easily and easily assemble th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cable tray body. An assembly of a cable tray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ifficul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of a cable tray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able tray, and to minimize the play between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able tray and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로 이루어진 케이블트레이와,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탄력삽입편를 형성하되, 상기 탄력삽입편는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상기 슬롯이 형성된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hangers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a pair of side fram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the lef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Comprising a cable tray and a connect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side frame in order to continuously arrange the cable tr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each forming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has a slot formed in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llow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ixed through the slot to be coup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t is formed. Wrinkles are formed.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탄력삽입편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1삽입홈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절곡된 손잡이 형성하여 제2삽입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other end is to be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by forming a bent handle.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하부의 절곡부를 감싸는 삽입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절곡부는 중앙을 절결시켜 접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ng member to form an insertion bend surrounding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side frame, the insertion bent portion is to cut the center so that the ground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에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롯이 형성된 탄력삽입편를 삽입하고, 이에 고정부재를 연결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 몸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고, 충격이 완충되며, 온도변화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미세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 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간단하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작업속도를 최소하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시 발생될 수 있는 조립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 resilient insert having a slot form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frame to a connect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side frames in order to continuously ar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s the fixing member thereto.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to form a foldable stre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ble tray body connected by the earthquake, etc. can cope with the torsion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he shock is buffer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emperature changes The assembly can be adjusted at a fine angle and the assembly can be easily and easily assembled to the connection member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cable tray body to minimize the work speed and to be assembled during the fastening. Can minimize the difficul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측면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에 탄력삽입편을 형성하고, 탄력삽입편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케이블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silient insertion piece in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ide fram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upling the fixing member to the slot formed by the protrusion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tray, and minimize the play of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able tray and the connection member.
도 1은 종래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접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측면프레임의 절곡부가 연결부재의 삽입절곡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제1실시예의 연결구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평면로서, 주름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고정부재가 슬롯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고정부재가 슬롯에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로서, 고정부재가 각각의 측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의 양측에 접촉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평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is couple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frame is coupled to the insertion b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7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is adjusted by the pleats.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lot;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fixing member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t;
Figure 13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each side frame.
Figure 14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fix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cable tray to be connected.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접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측면프레임의 절곡부가 연결부재의 삽입절곡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제1실시예의 연결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평면로서, 주름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round is coupled,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ent portion of the side frame is connected thereto.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insertion bent portion of the member,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angle was adjusted by the wrinkle part as a plane.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케이블트레이(10), 연결부재(20) 및 고정부재(30)로 구성되어진다.3 to 8,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 케이블트레이(10)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11a)이 형성되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11)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12)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11)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11a)에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탄력삽입편(21)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노칭 밴딩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탄력삽입편(21)의 돌출에 의해 슬롯(21a)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2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상기 주름부(22)는,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단면형상이 원호나 삼각 등 여러 형태의 주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에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기능이 있고, 고온이나 저온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철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대응할 수 있으며, 주름부(22)에 힘을 가해 각도를 변형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연결부재(20)의 상,하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상,하부의 절곡부(11b)를 감싸는 삽입절곡부(23)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절곡부(23)는 중앙을 절결시켜 접지(4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접지(40)는 동판으로 형성되어지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측면프레임(11)의 절곡부(11b)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절곡부(11b)는 마스킹 등으로 코팅 등이 되지 않아 전기의 전도가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고정부재(30)는, 환봉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롯(21a)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슬롯(21a)이 형성된 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즉, 상기 슬롯(21a)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고정부재(30)을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키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고정부재(30)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일측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0)의 탄력삽입편(21)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1삽입홈(24)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절곡된 손잡이(31) 형성하여 제2삽입홈(25)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주름부(22)에 힘을 가해 각도를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고정부재를 주름부를 중심으로 분리해서 각각 고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by applying a force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케이블트레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1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인접되는 케이블트레이(10)의 측면프레임(11)의 내측에서 연결부재(20)를 결합하게 되는데, 측면프레임(1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a)에 연결부재의 탄력삽입편(21)를 삽입하게 되고, 상기 탄력삽입편(21)에 형성된 슬롯(21a)을 고정부재(30)을 삽입하게 된다.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f 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일측단부는 연결부재(20)에 형성된 제1삽입홈(24)에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31)는 제2삽입홈(25)에 결합하도록 하여 고정부재(30)이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xing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상,하부의 절곡부(11b)를 연결부재(20)의 삽입절곡부(23)가 감싸도록 하고, 상기 삽입절곡부(23)는 중앙을 절결시켜 접지(40)를 측면프레임(11)에 고정하도록 하여 간단하게 접지(40)를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11b) of the
그리고, 연결부재(20)에 형성된 주름부(22)에 의해 지진 등으로 인해 케이블트레이(1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완충기능이 있고, 고온이나 저온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철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대응할 수 있으며, 주름부(22)에 힘을 가해 각도를 변형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고정부재가 슬롯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고정부재가 슬롯에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로서, 고정부재가 각각의 측면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로서,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의 양측에 접촉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ing member is horizontally coupled to a slot, and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ember is coupled to each side frame, and FIG. 14 is a front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cable tray to be connected; .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케이블트레이(10), 연결부재(20) 및 고정부재(30)로 구성되어진다.9 to 14,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케이블트레이(10)는, 좌,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11a)이 형성되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11)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12)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관통공(11a)에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탄력삽입편(21)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노칭 밴딩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탄력삽입편(21)은, 상기 연결부재(20)의 본체에 일단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타탄부는 분리되어 자유단이 되도록 하며, 상기 탄력삽입편(21)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슬롯(21a)에 고정부재(30)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necting
즉, 상기 탄력삽입편(21)이 관통공(11a)에 결합될 때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자유단에는 엠보싱(21b)이 형성되도록 하여 프레스 성형시 발생되는 버어가 케이블트레이(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엠보싱(21b)은 탄력삽입편(21)의 자유단에서 설치할 수도 있고, 이에 대응하는 측면프레임(11)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엠보싱(21b)에 대응하는 면에 요홈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또한, 연결부재(2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2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상기 주름부(22)는,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단면형상이 원호나 삼각 등 여러 형태의 주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지진 등으로 인해 연결되어진 케이블트레이에 진동이 발생되면 완충기능이 있고, 고온이나 저온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철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대응할 수 있으며, 주름부(22)에 힘을 가해 각도를 변형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고정부재(30)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슬롯(21a)에 수평으로 결합된 후 직각으로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하여 탄력삽입편(21)이 케이블트레이(10)의 측면프레임(11)에 견고히 고정되어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30)의 직사각형 단면의 모서리부에는 라운딩처리하여 회전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3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30)가 직각으로 회전될 때 상기 탄력삽입편(21)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방향 양측면에 요홈(32)을 형성하도록 하여 요홈(32)이 탄력삽입편(21)의 내측에서 회전되고, 요홈(32)에 의해 형성된 단턱이 탄력삽입편(21)에 걸려서 고정부재(3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Further, when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의 고정부재(30)는 구리재질로 형성하고,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10)의 양측에 접촉되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별도의 접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부재(30) 만으로 접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도 14참고)
On the other hand, if the fixing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측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의 제3실시예 평단면도이다.(설명에 앞서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의 혼잡을 방지한다.)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ssembly of a cab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prevent confusion in the description. )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재(30)는 직사각형 단면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판상에 탄력편(33)을 노칭 밴딩하여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슬롯(21a)에 진입시에는 탄력편(33)이 눌려지고,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복귀되도록 하여 고정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의 형상에 의해 탄력삽입편(21)의 형상도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이 형성시킬 수 있다.15 to 18, 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30)의 직사각형 단면의 모서리부에는 라운딩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round the corners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3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fixing
그리고, 도 18도의 좌측면에서는 고정부재(30)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면은 결합된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And, the left side of Figure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는, 케이블트레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1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인접되는 케이블트레이(10)의 측면프레임(11)의 내측에서 연결부재(20)를 결합하게 되는데, 측면프레임(1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1a)에 연결부재의 탄력삽입편(21)을 삽입하게 된다.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f the
상기 탄력삽입편(21)은 연결부재(20)의 본체에 일단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타탄부는 분리되어 자유단이 이루어져 상기 측면프레임(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탄력삽입편(21)이 상기 측면프레임(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된 후에는 측면프레임(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탄력삽입편(21)의 돌출에 형성된 슬롯(21a)에 고정부재(30)를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상기 고정부재(30)는 손잡이(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롯(21a)에 결합시키게 되면 요홈(32)이 탄력삽입편(21)의 폭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30)를 직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요홈(32)이 탄력삽입편(21) 내부에서 회전되고, 요홈(32)에 의해 형성된 단턱에 의해 고정부재(30)는 진동 등에 의해서도 탄력삽입편(21)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fixing
또한, 직사각형 단면의 판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30)는 수평방향으로 탄력삽입편(21)의 슬롯(21a)에 삽입시키게 되면 판상에 형성된 노칭 밴딩된 탄력편(33)이 슬롯(21a)에 진입될 때에는 눌려져 판상에 밀착되고,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복귀되어 탄력삽입편(21)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xing
한편, 고정부재(30)를 구리재질로 형성하여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10)의 양측에 접촉되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별도의 접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부재 만으로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xing
그리고, 연결부재(20)에 형성된 주름부(22)에 의해 지진 등으로 인해 케이블트레이(1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완충기능이 있고, 고온이나 저온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철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대응할 수 있으며, 주름부(22)에 힘을 가해 각도를 변형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케이블트레이 11: 측면프레임
11a: 관통공 11b: 절곡부
12: 행거 20: 연결부재
21: 탄력삽입편 21a: 슬롯
21b: 엠보싱 22: 주름부
23: 삽입절곡부 24: 제1삽입홈
25: 제2삽입홈 30: 고정부재
31: 손잡이 32: 요홈
33: 탄력편 40: 접지10: cable tray 11: side frame
11a: through
12: hanger 20: connecting member
21:
21b: embossing 22: wrinkles
23: insertion bent portion 24: the first insertion groove
25: second insertion groove 30: fixing member
31: handle 32: groove
33: elastic piece 40: ground
Claims (10)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11)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관통공(11a)에 삽입되어지는 각각의 탄력삽입편(21)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노칭 밴딩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탄력삽입편(21)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슬롯(21a)에 고정부재(30)를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2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부(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20)의 상,하부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상,하부의 절곡부(11b)를 감싸는 삽입절곡부(23)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절곡부(23)는 중앙을 절결시켜 접지(4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A cable tray 10 formed of a plurality of hangers 1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1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a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20 for interconnecting the side frame 11 in order to continuously arrange the cable tra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20 is formed to protrude by notching bending each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a) in either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To couple the fixing member 30 to the slot (21a) formed by the protrusion of),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formed a foldable portion 22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ertion member 23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member 20 to surround the bent portion 11b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frame 11, and the insertion bent portion 23 cuts the center thereof.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40) to be coupled.
상기 고정부재(30)는 환봉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0)의 탄력삽입편(21)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1삽입홈(24)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절곡된 손잡이(31)를 형성하여 제2삽입홈(25)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30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one sid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elastic insertion piece 21 of the connecting member 20, the other end is bent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andle (31) to be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5).
상기 탄력삽입편(21)은, 상기 연결부재(20)의 본체에 일단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타탄부는 분리되어 자유단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one end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member 20, the tartan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is made to be a free end.
상기 고정부재(30)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슬롯(21a)에 수평으로 결합된 후 직각으로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30) is mad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ixed by rotating at a right angle after being horizontally coupled to the slot (21a)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상기 고정부재(30)는 직사각형 단면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판상에 탄력편(33)을 노칭 밴딩하여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슬롯(21a)에 진입시에는 탄력편(33)이 눌려지고,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복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30 is made of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elastic piece 33 is pressed when entering the slot 21a of the elastic insertion piece 21 by notching bending the elastic piece 33 on the plate.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returned after the entry is completed.
상기 고정부재(30)의 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3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for bending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30) to form a handle (31).
상기 고정부재(30)는 직각으로 회전될 때 상기 탄력삽입편(21)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방향 양측면에 요홈(3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member 30 is an assembly of a cable tray to form grooves 32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when rotated at right angles.
상기 고정부재(30)를 구리재질로 형성하고, 연결되는 케이블트레이(10)의 양측에 접촉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30 is formed of a copper material and fix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cable tray (10) to be connected.
상기 탄력삽입편(21)의 자유단에는 엠보싱(21b)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5. The method of claim 4,
Assembly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21b)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resilient insertion piece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970A KR101266585B1 (en) | 2012-03-14 | 2012-03-14 | Assembly of cable tr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970A KR101266585B1 (en) | 2012-03-14 | 2012-03-14 | Assembly of cable tr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6585B1 true KR101266585B1 (en) | 2013-05-22 |
Family
ID=4866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5970A KR101266585B1 (en) | 2012-03-14 | 2012-03-14 | Assembly of cable tr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6585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140B1 (en) | 2013-07-03 | 2014-01-24 | 주식회사 폴리시스 | Joint device for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
KR101879158B1 (en) * | 2018-04-11 | 2018-07-17 |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 Seismic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cable tray |
KR101899855B1 (en) * | 2017-01-20 | 2018-11-05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Earthquake resistant type cable tray |
KR20190001615A (en) * | 2017-06-26 | 2019-01-07 |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 Cable tray connector |
KR101937374B1 (en) * | 2018-02-26 | 2019-01-11 | 이종훈 | Assembly of cable tray |
KR101952427B1 (en) | 2018-03-30 | 2019-02-26 | 광동지엘씨(주) | Cable tray structure with a reinforced earthquake-proof function |
KR101993454B1 (en) | 2019-02-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 Prefabricated cable tray to prevent sagging and increase scalability |
KR101995847B1 (en) * | 2018-06-19 | 2019-07-09 | 에스지주식회사 | Seismic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cable tray |
US10367340B2 (en) | 2013-07-02 | 2019-07-30 | Polisys Co., Ltd. | Assembly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and joint device thereof |
KR102015855B1 (en) | 2019-02-19 | 2019-08-29 | (주)하나종합테크 |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
KR102020266B1 (en) | 2019-06-21 | 2019-09-10 | 이경미 |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
KR102180561B1 (en) * | 2020-03-18 | 2020-11-18 | (주)석영엔터프라이즈 |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having improved earthquake resistance ability |
KR102298383B1 (en) * | 2020-10-27 | 2021-09-07 | 주식회사 서한공업 |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ble tray |
KR20220168352A (en) | 2021-06-16 | 2022-12-23 | 주식회사 픽센 | Cable tray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wiring workd |
KR102671766B1 (en) | 2023-03-22 | 2024-06-24 | 수전기 주식회사 | Integrated electrical construction facility installa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366Y1 (en) | 2002-10-26 | 2003-02-06 | 김병길 | Connecting structure for cable tray |
KR200442126Y1 (en) | 2007-12-06 | 2008-10-10 | 아인텍(주) | Cable Tray Connection Structure |
KR100993138B1 (en) * | 2010-05-26 | 2010-11-09 | 육홍수 |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
KR101128007B1 (en) * | 2010-11-02 | 2012-03-29 | 아인텍(주) | Cable tray with expansion or reduction connection department |
-
2012
- 2012-03-14 KR KR1020120025970A patent/KR1012665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366Y1 (en) | 2002-10-26 | 2003-02-06 | 김병길 | Connecting structure for cable tray |
KR200442126Y1 (en) | 2007-12-06 | 2008-10-10 | 아인텍(주) | Cable Tray Connection Structure |
KR100993138B1 (en) * | 2010-05-26 | 2010-11-09 | 육홍수 |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
KR101128007B1 (en) * | 2010-11-02 | 2012-03-29 | 아인텍(주) | Cable tray with expansion or reduction connection department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67340B2 (en) | 2013-07-02 | 2019-07-30 | Polisys Co., Ltd. | Assembly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and joint device thereof |
KR101356140B1 (en) | 2013-07-03 | 2014-01-24 | 주식회사 폴리시스 | Joint device for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
KR101899855B1 (en) * | 2017-01-20 | 2018-11-05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Earthquake resistant type cable tray |
KR20190001615A (en) * | 2017-06-26 | 2019-01-07 |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 Cable tray connector |
KR101973573B1 (en) | 2017-06-26 | 2019-05-02 | 조충식 | Cable tray connector |
WO2019164104A1 (en) * | 2018-02-26 | 2019-08-29 | 이종훈 | Cable tray assembly |
KR101937374B1 (en) * | 2018-02-26 | 2019-01-11 | 이종훈 | Assembly of cable tray |
AU2018374069B2 (en) * | 2018-02-26 | 2020-05-07 | Lee Jong Hun | Assembly of cable trays |
KR101952427B1 (en) | 2018-03-30 | 2019-02-26 | 광동지엘씨(주) | Cable tray structure with a reinforced earthquake-proof function |
KR101879158B1 (en) * | 2018-04-11 | 2018-07-17 |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 Seismic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cable tray |
KR101995847B1 (en) * | 2018-06-19 | 2019-07-09 | 에스지주식회사 | Seismic connector device for coupling cable tray |
KR102015855B1 (en) | 2019-02-19 | 2019-08-29 | (주)하나종합테크 |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
KR101993454B1 (en) | 2019-02-26 | 2019-06-26 |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 Prefabricated cable tray to prevent sagging and increase scalability |
KR102020266B1 (en) | 2019-06-21 | 2019-09-10 | 이경미 |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
KR102180561B1 (en) * | 2020-03-18 | 2020-11-18 | (주)석영엔터프라이즈 |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having improved earthquake resistance ability |
KR102298383B1 (en) * | 2020-10-27 | 2021-09-07 | 주식회사 서한공업 |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ble tray |
KR20220168352A (en) | 2021-06-16 | 2022-12-23 | 주식회사 픽센 | Cable tray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wiring workd |
KR102671766B1 (en) | 2023-03-22 | 2024-06-24 | 수전기 주식회사 | Integrated electrical construction facility install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6585B1 (en) | Assembly of cable tray | |
KR200442126Y1 (en) | Cable Tray Connection Structure | |
KR101128007B1 (en) | Cable tray with expansion or reduction connection department | |
KR101075156B1 (en) | cable tray | |
KR101223458B1 (en) | Coupling structure of partions | |
KR101266615B1 (en) | Assembly of cable tray | |
KR101422617B1 (en) | Cable tray connector | |
KR101349269B1 (en) | Cable tray connector | |
KR101954359B1 (en) | Cable tray | |
JP2011505783A (en) | Covering tool for wiring mall connecting part | |
KR102087383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able Tray | |
KR100979167B1 (en) | hanger | |
US9315996B2 (en) | Part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10110410A (en) | Joint kit for booth duct | |
KR20150128359A (en) | Structure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tray | |
KR101908432B1 (en) | Cable tray | |
KR101834949B1 (en) | Cable tray assebled by connecting cable tray unit | |
KR20170025729A (en) | Cable Tray | |
KR101144666B1 (en) | Cable tray | |
KR101289665B1 (en) | Dovetail type cable holder | |
WO2009145367A1 (en) |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 |
KR102038688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Lung of Cable Tray | |
KR101325668B1 (en) | Fixing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 |
JP5826312B2 (en) | Housing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tool used therefor | |
JP7075266B2 (en) | Wire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