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6545B1 -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545B1
KR101266545B1 KR1020100118604A KR20100118604A KR101266545B1 KR 101266545 B1 KR101266545 B1 KR 101266545B1 KR 1020100118604 A KR1020100118604 A KR 1020100118604A KR 20100118604 A KR20100118604 A KR 20100118604A KR 101266545 B1 KR101266545 B1 KR 10126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ng
film
diffusing film
light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048A (ko
Inventor
조진희
김성국
이진우
김철호
이성은
박선홍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545B1/ko
Priority to US13/300,747 priority patent/US20120133862A1/en
Priority to CN2011103706874A priority patent/CN102563530A/zh
Priority to TW100143226A priority patent/TWI451137B/zh
Publication of KR2012005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5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투명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며, 상기 엠보패턴은 Ra가 1.5 ㎛이하, Rpc 가 100 개/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 필름은 DBEF-D의 외곽층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표면 거칠기를 제어함으로서, 최종 패널에서 부분적으로 반짝이는 현상인 Sparkling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LIGHT DIFFUS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표면 거칠기를 제어하여 최종 패널에서 부분적으로 반짝이는 현상인 Sparkling 문제가 개선된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저소비전력이어서 전지로도 수 시간 동안 구동이 가능하며, 부피가 작아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또한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점 등의 이유로 텔레비전,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데스크탑 컴퓨터 모니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확산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은 백라이트 유닛 내에서 빛을 보내거나 확산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1),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광판(3)의 하부에는 상기 도광판(3)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다시 상기 도광판(3)측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이 구비된다. 상기 도광판(3)의 상부에는 상기 도광판(3)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광학 시트가 구비되는데, 상기 광학 시트는 확산 시트(4)외에 프리즘 시트(미도시), 보호 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시트(4) 상에는 휘도 상승 필름((BEF)(5), DBEF(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DBEF(6)는 광원(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입사되는 광 중에서 반사되어 손실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유닛(8)쪽으로 되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DBEF(6)는 광이 손실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DBEF 필름의 최소한 일면에는 엠보패턴이 형성되거나 상기 DBEF 필름의 일면에 엠보패턴이 형성된 보호필름이 적층된다. 기존 DBEF 필름에 사용되는 엠보 패턴은 화소와 유사한 크기의 피치(pitch)를 가져 집광에 의한 Sparkling 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 LED BLU TV가 상용화되면서 휘도 향상을 위해 투과도를 상승시키면서 그 간 문제시되지 않았던 Sparkling 현상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엠보필름을 비드(Bead)를 포함하는 확산필름으로 대체 적용하는 방법이 제기되었으나, 이와 같이 비드를 포함하는 방법은 휘도를 감소시키는 역효과를 초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비드는 공정중 깨질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품가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LED BLU TV에서도 Sparkling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비드를 첨가하지 않는 광확산 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표면 거칠기를 제어하여 최종 패널에서 부분적으로 반짝이는 현상인 Sparkling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드를 첨가하지 않아 휘도 감소가 없고 공정에 번거로움이 없는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BLU TV의 DBEF 필름의 보호필름으로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이용하여 휘도저하없이 Sparkling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확산 필름은 투명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며, 상기 엠보패턴은 Ra가 1.5 ㎛이하, Rpc 가 100 개/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필름은 Ra가 0.80~1.5 ㎛, Rpc가 100~300 개/c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확산필름은 Rt가 7 내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확산 필름은 모놀리틱(monolithic) 구조를 갖는다. 상기 광확산필름은 비드 혹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폴라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방향족 비닐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클로 올레핀계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술폰계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2 이상의 블렌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필름은 두께가 15 내지 45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확산 필름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필름의 엠보패턴은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3), 및 상기 도광판(3)의 상부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 표면 거칠기를 제어하여 최종 패널에서 부분적으로 반짝이는 현상인 Sparkling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비드를 첨가하지 않아 휘도 감소가 없고 공정에 번거로움이 없고, LED BLU TV의 DBEF 필름의 보호필름으로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광확산 필름 및 상기 광확산 필름을 이용하여 휘도의 저하없이 Sparkling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a)는 종래 광확산 필름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광확산 필름이 이중 휘도 향상 필름에 적층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투명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며, 상기 엠보패턴은 Ra가 1.5 ㎛이하, Rpc 가 100 개/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a(roughness average)는 평균 거칠기 값으로 하기 수식에 위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77471742-pat00001

Figure 112010077471742-pat00002
도 2(a)는 종래 광확산 필름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동일한 Ra 값을 가지지만 동일한 거칠기를 갖는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거칠기를 Ra 만으로 평가할 경우, peak나 valley 간 차별이 없어 Ra 값만으로 본 발명의 거칠기를 구현하거나 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Ra 값과 함께 평균 선에서부터 밴드 너비를 초과하는 피크의 개수를 측정하여 Rpc (peak count)를 도입하여 거칠기를 평가한다.
Figure 112010077471742-pat00003
본 발명의 엠보패턴은 Ra가 1.5 ㎛이하, Rpc 가 100 개/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Ra가 0.8~1.5 ㎛, Rpc가 100~300 개/cm 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Sparkling 방지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확산필름의 Rt가 7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Sparkling 방지 및 휘도저하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Rt는 Rp(Highest Peak)에서부터Rv(Lowest Valley)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Figure 112010077471742-pat00004
한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엠보패턴은 균일한 패턴일 수 있다.
다른 구체에에서는 본 발명의 엠보패턴은 불균일한 패턴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광확산 필름은 모놀리틱(monolithic)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모놀리틱(monolithic)"은 광확산 필름이 입자나 비드 같은 이질적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필름은 비드 혹은 입자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 공정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휘도 저하 없이 Sparkling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폴라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방향족 비닐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클로 올레핀계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술폰계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2 이상의 블렌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폴라카보네이트계 수지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단일층일 수 있으며, 2 이상의 층이 적층된 복수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광확산 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45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이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확산 필름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광확산 필름(17a, 17b)이 이중 휘도 향상 필름(16)에 적층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17a, 17b)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 16)의 양면에 적층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확산 필름(17a, 17b)중 어느 하나만 이중 휘도 향상 필름(16)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이중 휘도 향상 필름(16)에 광확산 필름(17a, 17b)을 적층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며,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적층될 수도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확산 필름은 그 자체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광확산 필름의 엠보패턴은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압출시 롤간 압력을 조절하여 엠보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냉각롤의 조도를 조절하여 엠보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펠렛을 압출기(10)를 거쳐 용융시킨 후, 용융된 수지는 T 다이(11)를 거쳐 토출되어 필름(100) 형태로 된다. 상기 필름(100)은 냉각롤(12, 13, 14, 15)을 통해 순차적으로 외접하여 냉각된다. 상기 냉각롤(12, 13, 14, 1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인접해 있으며,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냉각롤의 갯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통상 2 내지 5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T 다이(11)와 냉각롤(12, 13, 14, 15)간의 거리와 냉각롤(13, 14, 15)의 회전 속도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설정 및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 및 T 다이는 히팅 수단이 구비되어 구역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냉각롤(13)은 엠보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각롤의 엠보페턴은 본 발명의 필름의 엠보패턴과 반대형상을 갖도록 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냉각롤(12)이 엠보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냉각롤(14)이 엠보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광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확산필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휘도향상필름(BEF)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이중 휘도향상필름(DBEF)의 상부, 하부 혹은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6
도 4와 같은 장치를 설치한 성형기에 의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T 다이(11)는 폭 600mm, 제1, 제2 및 제3냉각롤은 각각 고무 롤(12), 엠보 롤(13) 및 무처리 스틸 롤(14)을 사용하였다. 제일모직에서 제조된 PC SC1190 grade(Mw = 21,000)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290℃로 설정한 T 다이로부터 토출량 23.4kg/시간으로 압출하였다. 이때 제1냉각롤, 제2냉각롤 및 제3냉각롤의 온도는 각각 90℃, 110℃, 130℃로 설정하였다. 엠보 롤(13)의 조도를 조절하여 표 1과 같이 Ra값 RPc값 및 Rt값을 갖도록 PC 확산 필름을 제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6
Ra값, RPc 및 Rt값을 하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7~8
비교실시예 7은 20㎛ PMMA Bead 를 3 중량% 포함하는 PC(Cheil SC1190) 확산필름이며, 비교실시예 8은 10㎛ PMMA Bead 를 5 중량% 포함하는 PPC(Cheil SC1190) 확산필름이다.
Ra(㎛) RPc
(Peak No./cm)
Rt(㎛) Sparkling 휘도(nit)
실시예 1 1.15 120 8.9 양호 19600
2 1.20 140 9.2 양호 19550
3 1.13 160 8.5 양호 19550
4 0.87 180 7.8 양호 19600
5 1.05 200 8.2 양호 19620
6 1.23 120 15.7 양호 19200
비교예 1 1.92 50 16.3 불량 18900
2 1.74 60 17.5 불량 19000
3 1.79 70 18.2 불량 19120
4 1.81 80 18.1 불량 19100
5 0.74 80 6.2 불량 18400
6 1.76 120 18.5 불량 18600
7 PC substrate + 20㎛ Bead 6.4 양호 18940
8 PC substrate + 10㎛ Bead 5.9 양호 19050
평가방법:
(1) 표면 조도(Ra, RPc, Rt) : Mitutoyo社의 표면 조도계 SJ-2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스파클링(Sparkling ) 현상 : TV 화면 상부에 필름 위치 후 육안 관찰하였다.
(3) 휘도 : ELDIM社의 EZ Contrast X88R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낮은 Ra 및 높은 RPc를 갖는 실시예 1~6의 경우 스파클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높은 휘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높은 Ra 및 낮은 RPc 값을 갖는 비교예 1~4의 경우 스파클링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낮은 Ra 및 낮은 RPc를 갖는 비교예 5와 높은 Ra 및 높은 RPc를 갖는 비교예 6 역시 스파클링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휘도 저하 현상도 관측되었다. 한편 비드를 포함한 비교예 7~8은 스파클링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휘도가 현저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 광원 2: 반사판
3 : 도광판 4 : 확산판
5 : BEF 6, 16 : DBEF
7, 17 : 광확산필름 8 : 디스플레이 유닛
10 : 압츨기 11: T 다이
12, 13, 14, 15: 냉각롤

Claims (10)

  1. 투명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한 면에 엠보패턴을 가지며, 상기 엠보패턴은 Ra가 1.5 ㎛이하, Rpc 가 100~300 개/cm 인 광확산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필름은 Ra가 0.8~1.5㎛인 광확산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필름은 Rt가 7 내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은 모놀리틱(monolithic)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필름은 비드 혹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열가소성 수지는 폴라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방향족 비닐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클로 올레핀계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술폰계수지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블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은 두께가 15 내지 4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광확산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필름의 엠보패턴은 압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의 광확산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00118604A 2010-11-26 2010-11-26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Active KR10126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04A KR101266545B1 (ko) 2010-11-26 2010-11-26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US13/300,747 US20120133862A1 (en) 2010-11-26 2011-11-21 Light diffuser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N2011103706874A CN102563530A (zh) 2010-11-26 2011-11-21 光扩散膜和包括该光扩散膜的背光单元
TW100143226A TWI451137B (zh) 2010-11-26 2011-11-25 光擴散膜以及包含該光擴散膜的背光單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04A KR101266545B1 (ko) 2010-11-26 2010-11-26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48A KR20120057048A (ko) 2012-06-05
KR101266545B1 true KR101266545B1 (ko) 2013-05-24

Family

ID=4612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04A Active KR101266545B1 (ko) 2010-11-26 2010-11-26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33862A1 (ko)
KR (1) KR101266545B1 (ko)
CN (1) CN102563530A (ko)
TW (1) TWI4511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8562A1 (en) * 2014-06-12 2017-05-18 Westland Joaus Technologies, Llc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illumination including solid-state light emitting devices
CA2965803C (en) 2014-10-28 2023-04-25 Spectrum Brands, Inc. Lock with water-resistant touch keypad
CN106125170B (zh) * 2016-06-27 2018-11-09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扩散膜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955A (ja) 2002-11-15 2004-06-10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粘着テープ
JP2009123685A (ja) 2007-10-26 2009-06-04 Teijin Ltd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972B2 (ja) * 2001-02-08 2010-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光拡散フィルム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3960542B2 (ja) * 2002-09-13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90463C (zh) * 2005-03-11 2010-02-17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补偿片、偏振片和液晶显示装置
JP5340592B2 (ja) * 2005-03-30 2013-1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光学積層体
CN101310213B (zh) * 2005-11-15 2011-02-23 旭化成电子材料株式会社 液晶显示器用光扩散板
KR20070100003A (ko) * 2006-04-06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산판,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421757B1 (ko) * 2006-08-18 2014-07-2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NL1034727C2 (nl) * 2006-11-24 2010-11-30 Sumitomo Chemical Co Lichtdiffusieplaat, oppervlakemissie lichtbroninrichting in vloeibaar kristal weergave inrichting.
KR100912262B1 (ko) * 2007-08-28 2009-08-17 제일모직주식회사 균일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09096261A1 (ja) * 2008-02-01 2009-08-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光拡散性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112203B1 (en) * 2008-04-24 2011-09-0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xtrudabl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for diffusive lighting with textured matte surface
EP2133202A1 (de) * 2008-06-11 2009-12-16 Bayer MaterialScience AG Mehrschichtige optische Folienaufbaut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und deren Verwendung
JP5371635B2 (ja) * 2009-08-27 2013-12-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用意匠面構成部材および灯具用意匠面構成部材の製造方法
CN102483544B (zh) * 2009-09-11 2015-08-12 杜比实验室特许公司 具有并入了反射层的背光的显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955A (ja) 2002-11-15 2004-06-10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粘着テープ
JP2009123685A (ja) 2007-10-26 2009-06-04 Teijin Ltd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2056A (en) 2012-08-01
US20120133862A1 (en) 2012-05-31
CN102563530A (zh) 2012-07-11
TWI451137B (zh) 2014-09-01
KR20120057048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7829B2 (en) Backlight unit with patterned light guide panel
US8279370B2 (en) Optical laminate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7850698B (zh) 层叠片、液晶显示模块、背光单元及层叠片的制造方法
US20240295678A9 (en) Light 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diffusion sheet
KR102698488B1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66545B1 (ko)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184447B1 (ko) 프리즘 필름의 압출 성형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리즘 필름
KR101087187B1 (ko) 광학부재
US20240162204A1 (en) Backlight and Display System
KR101147108B1 (ko) 세레이션 필름을 포함하는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988764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2698461B1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36357B1 (ko) 광보정 부재
TWI861581B (zh) 複合光擴散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以及資訊機器
KR20140002223A (ko) 집광형 광학시트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98463B1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85836B1 (ko) 광학 시트
KR101187552B1 (ko) 광확산성을 갖는 플레이트
KR20100076376A (ko) 광학 복합 부재
KR101998366B1 (ko) 휘도 증강용 광학 복합 시트
KR101182080B1 (ko) 광확산 부재
KR101155277B1 (ko) 광학 복합 부재
JP2012144033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373293A (zh) 光扩散积层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