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079B1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5079B1 KR101265079B1 KR1020110134070A KR20110134070A KR101265079B1 KR 101265079 B1 KR101265079 B1 KR 101265079B1 KR 1020110134070 A KR1020110134070 A KR 1020110134070A KR 20110134070 A KR20110134070 A KR 20110134070A KR 101265079 B1 KR101265079 B1 KR 101265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retaining wall
- pile
- support
- prefabric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세그먼트 구조체에 있어서, 조립 시 옹벽의 수직 벽체를 형성하되, 수직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파일이 수직 벽체와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파일 관통홀 및 조립 시 이웃하는 옹벽의 벽체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벽체부; 및 벽체부의 하측 일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2 지지파일이 수직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파일 관통홀이 형성된 벽체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가 제안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가 조립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들의 제1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지지파일과 제2 파일 관통홀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지지파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구조물이 제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segment structure to be assembled to form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vertical wall of the retaining wall during assembly, so that the first support pile for supporting the vertical wall penetr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wall A wall portion having a first pil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both sides to engage with a wall structure of a neighboring retaining wall during assembly; And a wall support part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wall part and having a second pile through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second support fil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comprising a is proposed.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plurality of 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s are assembled;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pile through holes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pile through hol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re is propose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옹벽 축조 시 지지파일에 의해 지지되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supported by a support pile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옹벽은 토목 및 건축 분야에서 사면 보강을 위해 많이 축조되고 있다. Retaining walls are much constructed for slope reinforcement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종래의 옹벽 시공은 사면을 터파기하고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위에 "L"자형의 철근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고 후면 공간에 토사를 되메우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왔다.Convention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has proceeded by digging the slope and placing the bottom concrete, and then installed the "L" shaped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reon and backfilling the soil in the rear space.
이러한 방식은 사면이 급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 옹벽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때에는 옹벽의 지지를 위해 "L"자 구조의 받침부의 길이가 높이에 비례하여 길어져야만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retaining wall is inevitably high when the slope is steeply inclined, an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L" shaped structure in order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height so as to have sufficient supporting force.
그러나 현장의 여건에 따라 "L"자 구조의 옹벽 구조물의 받침부의 길이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기게 되고, 또한, 옹벽 구조물이 높아질수록 시공 비용 또한 급속하게 증대되게 된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nd the construction cost also increases rapidly as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ncreases.
한편, 종래의 조립식 옹벽은 세그멘트 구조체를 단순 조립하여 돌기와 홈을 연결하도록 하여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옹벽은 충분한 지지력을 갖기 어려웠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forms a retaining wall structure by simply assembling the segment structure to connect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but such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has difficulty in having sufficient supporting force.
이러한 조립식 옹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어스앵커를 추가 시공하여 왔으나, 조립식 옹벽의 전체 벽면에 걸쳐 시공을 해야하므로, 시공 비용이 증대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 plurality of earth anchors have been ad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construction must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 축조 시 옹벽 구조물의 하부 지반까지 지지파일에 의해 수직 관통되어 지지됨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갖고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by having a sufficient support force and easy construction by supporting vertically through the support pile to the lower groun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do.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세그먼트 구조체에 있어서, 조립 시 옹벽의 수직 벽체를 형성하되, 수직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파일이 수직 벽체와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1 파일 관통홀 및 조립 시 이웃하는 옹벽의 벽체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벽체부; 및 벽체부의 하측 중앙에서 막대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옹벽의 시공시 되메움재에 삽입된 형상으로 지지되되, 제2 지지파일이 수직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파일 관통홀이 형성된 벽체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가 제안된다.
이때, 결합부의 일측은 조립 시 이웃하는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의 결합부의 타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결합부는 이웃하는 타 결합부와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 연결 세그먼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gment structure that is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e retaining wall, forming a vertical wall of the retaining wall during assembly, but for supporting the vertical wall A wall portion having a first pile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ile so as to penetr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wall,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both sides to engage with a wall structure of a neighboring retaining wall during assembly; And a wall support having a second pile through-hol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bar shape at a lower center of the wall and inserted into the backfill during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wherein the second pile is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second support pil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comprising a is propos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neighbor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during assembly, or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segment coupled betwee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ortions. have.
또한, 하나의 예에 있어서, 벽체 지지부는 벽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lso, in one example, the wall suppo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ll portion.
삭제delete
또한, 다른 하나의 예에 있어서, 벽체부는 제1 파일 관통홀이 지나는 하측 중앙에 삽입홈을 구비하고, 벽체 지지부는 벽체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이 삽입홈에 삽입되고 삽입되는 부위에 제1 파일 관통홀과 연통되며 제1 지지파일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3 파일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another example, the wall portion has an insertion groove in the lower center through which the first pile through hole passes, and the wall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wall portion,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may include a third pile through hole communicated with the pile through hole and formed so that the first support pile may pass therethrough.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들의 제1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지지파일과 제2 파일 관통홀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지지파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구조물이 제안된다.
Next,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is form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pile through holes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pile through hol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re is propose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벽체부의 양측 결합부와 맞물리게 결합하는 중간 연결 세그먼트의 전면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의 벽체부보다 후퇴되며 요철구조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nother example,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segment that engages with both side engaging portions of the wall portion may retreat from the wall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form a wall surface of the uneven structure.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각층 마다 다수의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가 적층되며 다층 계단 구조를 형성하되,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는 제1 지지파일은 직하부의 계단 구조 층의 제2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며,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지지파일과 직하부 계단 구조층의 제2 지지파일이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s are stacked in each layer to form a multi-layered staircase structure, wherein the first support p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ile through-holes of the upper staircase structure layer is a stepped structure layer directly below. Through the second pile through holes of the first supporting pile of the upper staircase structure layer and the second supporting pile of the lower step structure layer may be made of one pi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옹벽 축조 시 옹벽 구조물의 하부 지반까지 지지파일에 의해 수직 관통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고, 또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간단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retaining wall is vertically penetrated by the support pile to the lower groun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o have sufficient supporting force, and also simple in a narrow work spac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retaining walls.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제작된 세그먼트 구조체를 이용하여 옹벽 축조를 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옹벽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a prefabricated segment structure, a simple and economica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various effects not directly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chematically show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on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위에', '하부에', '아래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가 뒤집어지거나 그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As used herein, unless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 in connection, combination, or placement with other ele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not only are there forms of being 'directly connected, They may also be present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bonded or disposed. In addition, the same is true when terms including 'contact' such as 'up', 'up', 'lower', 'below' are included. Directional terms may be construed to encompass corresponding relative directional concepts as the reference element is inverted or its direction is changed.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a singular expression i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used as a concept representing the entire plurality of constitutions unless it is contrary to, or obviously different from, or inconsistent with the inventive concep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of 'comprising', 'having', 'comprising', 'comprising', etc.,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 4 및 5가 참조될 수도 있다.First,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case, reference numerals not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reference numerals in other drawings showing the same configuration. 4 and 5 may also be referred to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chematically show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on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본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a and / or 3b.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는 다수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옹벽을 형성한다. 이때,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는 벽체부(10, 110, 210) 및 벽체 지지부(30, 130, 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체부(10, 110, 210) 및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철근 또는 무근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1, 2, 3A and / or 3B,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retaining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벽체부(10, 110, 2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벽체부(10, 110, 210)는 조립 시에 옹벽의 수직 벽체를 형성한다. 벽체부(10, 110, 210)가 좌우 방향으로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벽체부(10, 110, 210) 또는 이웃하는 옹벽의 벽체 구조물, 예컨대 도 3a 및 3b에 도시된 중간 연결 세그먼트(50)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됨에 따라 옹벽 벽체가 형성된다. The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벽체부(10, 110, 210)는 제1 파일 관통홀(11) 및 결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제1 파일 관통홀(11)은 수직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파일(2a)이 수직 벽체와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벽체부(10, 110, 2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옹벽 조립 시 적층된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들의 제1 파일 관통홀들(11)이 연통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1 지지파일(2a)이 옹벽 하부 지반에 파일링되어 고정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한다.1, 2, 3a and / or 3b, the
한편, 결합부(13)는 벽체부(10, 110, 2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조립 시 이웃하는 옹벽의 벽체 구조물과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벽체부(10)의 결합부(13)와 맞물리도록 결합하거나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옹벽 벽체 구조물인 중간 연결 세그먼트(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3)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 110)의 일측은 홈(13a) 형상으로, 타측은 돌기(13b)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결합부(1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3b와 반대로, 도 1 및 2의 도면부호 13b와 같은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13)의 일측은 조립 시 이웃하는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결합부(13)의 타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가 벽체 지지부(3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지지부(130)가 벽체부(110)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1 and / or 2, in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engaging
또한, 도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르면,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는 벽체부(210)의 양측 결합부(13)가 중간 연결 세그먼트(50)의 결합부(51)와 맞물리도록 결합하며 조립되어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3b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체 지지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3A and / or 3B,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prefabricated retaining
계속하여,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벽체부(10, 110, 210)의 하측 중앙에서 막대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벽체 지지부(30)는 옹벽의 시공시 되메움재, 예컨대 골재(3) 또는/및 토사(4)에 삽입된 형상으로 지지된다. 즉, 옹벽 시공하고 옹벽 후방 공간을 되메움재로 메꾸게 되면,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되메움재에 삽입된 앵커와 같이 옹벽을 지지할 수 있다.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와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벽체 지지부(30, 130, 230)의 폭은 벽체부(10, 110, 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벽체부(10, 110, 210)의 후면에서 벽체 지지부(30, 130, 230) 사이로 골재(3)나 토사(4) 등이 쉽게 되메워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지지부(130)가 벽체부(110)와 분리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경우 벽체 지지부(130)는 벽체부(110)의 하측 중앙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2, 3a and / or 3b, the
또한, 벽체 지지부(30, 130, 230)에는 제2 파일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파일 관통홀(31)은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파일(2b)이 수직 관통된다. 이때, 옹벽 조립 시 제2 지지파일(2b)은 제1 지지파일(2a)과 나란하게 제2 파일 관통홀(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옹벽 시공하고 옹벽 후방 공간을 되메움재로 메꾸게 되면, 제2 지지파일(2b)은 하부지반에 삽입되어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되메움재에 삽입된 벽체 지지부(30)와 함께 되메움재에 속에 삽입되어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되메움재에 삽입된 수평 앵커와 같은 지지체 역할을 하고 동시에 하부지반에 고정되는 제2 지지파일(2b)에 의해 지지되며 옹벽 구조물의 안정성이 한층더 확보될 수 있다.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제2 파일 관통홀(31)은 벽체 지지부(30, 130, 230)의 돌출부 말단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파일 관통홀(31)이 제1 파일 관통홀(11)로부터 떨어질수록 제1 및 제2 파일 관통홀(11, 31)에 삽입된 지지파일(도 4 및 5의 도면부호 2 참조)에 의해 옹벽 구조물이 보다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pile through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컨대, 벽체 지지부(30, 130, 230)는 돌출부 말단부분에 또는 다른 위치에 상측으로 벽체부(10, 110, 210)의 높이까지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지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옹벽 조립 시 상측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벽체 지지부(30, 130, 230)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the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 있어서, 벽체 지지부(30)는 벽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in one example, the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벽체 지지부(30)가 벽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벽체 지지부(30)는 벽체부(10)의 하측 중앙에서 막대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1, in another example, when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벽체 지지부(130)는 벽체부(110)와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체부(110)는 제1 파일 관통홀(11)이 지나는 하측 중앙에 삽입홈(15)을 구비한다. 벽체부(110)의 삽입홈(15)은 벽체부(110)의 후면에서 전면까지 관통되도록 벽체부(11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벽체부(110)의 후면에서 전면이 관통되지 않도록 후면과 하부면의 일부만 파인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관통되거나 또는 관통되지 않도록 삽입홈(15)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벽체 지지부(130)는 일측이 삽입홈(15)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벽체부(110)의 삽입홈(15)에 삽입되는 벽체 지지부(130)의 일측 부위에는 벽체부(110)의 제1 파일 관통홀(11)과 연통되며 제1 지지파일(2a)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3 파일 관통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벽체 지지부(130)가 삽입홈(15)에 삽입되면 벽체 지지부(130)의 제3 파일 관통홀(32)이 벽체부(110)의 제1 파일 관통홀(11)과 연통되어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때, 연통된 관통공을 제1 지지파일(2a)이 관통하며 조립된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도 4 및 5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1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도 1 내지 3이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Next,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4 and 5 as well as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s and FIGS. 1 to 3 may be referred to, and overlapping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또는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수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및 다수의 제1 및 제2 지지파일(2a, 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는 다수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한다.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들 및/또는 도 1, 2,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도록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Looking a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 or 5, the plurality of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s include a prefabricated retaining
도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좌우 및 상하로 적층 조립된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후면에는 골재(3) 및/또는 토사(4)로 되메워진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직후방에는 골재(3)로 되메워지고, 나머지 공간은 토사(4)로 되메워질 수 있다.4 and / or 5, the back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에는, 예컨대 세그먼트 구조체(1)의 벽체부(10, 110, 210)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결합부(13)의 일측은 이웃하는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의 결합부(13)의 타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1, in one example, one side of the
또한, 도 3a 및/또는 3b를 참조하여 다른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조립식 옹벽 구조물은 다수의 중간 연결 세그먼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4 및 5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a 및 3b에 도시된 중간 연결 세그먼트(50)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벽체부(210) 사이에 맞물리게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 연결 세그먼트(50)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벽체부(210)의 양측 결합부(13)와 결합하며 조립되어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와 함께 옹벽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 or 3B,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ng
이때, 도 3a 및/또는 3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중간 연결 세그먼트(50)의 전면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 1')의 벽체부(210)보다 후퇴되도록 형성되어 요철구조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옹벽 벽체가 요철구조에 의해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다.
3A and / or 3B, in another example,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계속하여, 도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제1 지지파일(2a)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들의 제1 파일 관통홀들(11)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한다. 또한, 제2 지지파일(2b)은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들의 제2 파일 관통홀(31)을 관통하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지지파일(2a, 2b)은 H빔일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파일(2a)은 제1 파일 관통홀들(11)만을 관통하고, 제2 지지파일(2b)은 제2 파일 관통홀(31)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파일(2a, 2b)은 옹벽 구조물의 하부 지반까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파일(2a)이 삽입된 제1 파일 관통홀들(11)의 빈 공간은 시멘트 몰탈 등의 재료로 그라우팅될 수 있다. 제2 지지파일(2b)이 관통하는 제2 파일 관통홀들(31)의 빈 공간들도 몰탈 등의 재료로 그라우팅될 수 있다.
4 and / or 5, the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각층 마다 다수의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1)가 적층되며 다층 계단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파일 관통홀들(11)을 관통하는 제1 지지파일(2a)은 직하부의 계단 구조 층의 제2 파일 관통홀들(31)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지지파일(2a)과 직하부 계단 구조층의 제2 지지파일(2b)이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도, 지지파일(2)이 삽입된 제1 및 제2 파일 관통홀(11, 31)의 빈 공간은 시멘트 몰탈 등의 재료로 그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다층 계단 구조의 적어도 최하층에서의 제1 및 제2 지지파일(2a, 2b)은 옹벽 구조물의 하부 지반까지 파일링되어 고정된다. 나아가,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층 계단 구조 전체의 제1 및 제2 지지파일(2a, 2b)이 하부 지반까지 파일링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5, in one example,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retaining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1' :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2a : 제1 지지파일 2b : 제2 지지파일
10, 110, 210 : 벽체부 11 : 제1 파일 관통홀
13 : 결합부 15 : 삽입홈
30, 130, 230 : 벽체 지지부 31 : 제2 파일 관통홀
32 : 제3 파일 관통홀 50 : 중간 연결 세그먼트
51 : 세그먼트 결합부1, 1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2a: first supporting
10, 110, 210: wall portion 11: the first pile through hole
13 coupling portion 15: insertion groove
30, 130, 230: wall support portion 31: the second pile through hole
32: third pile through hole 50: intermediate connection segment
51: segment joint
Claims (11)
조립 시 상기 옹벽의 수직 벽체를 형성하되, 상기 수직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파일이 상기 수직 벽체와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형성된 제1 파일 관통홀 및 조립 시 이웃하는 상기 옹벽의 벽체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의 하측 중앙에서 막대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옹벽의 시공시 되메움재에 삽입된 형상으로 지지되되, 제2 지지파일이 수직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파일 관통홀이 형성된 벽체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립 시 이웃하는 다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의 결합부와 맞물리거나 이웃하는 타 결합부와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 연결 세그먼트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In the segment structure that is assembled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form the retaining wall,
A first pile through-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vertical wall of the retaining wall, the first support pile for supporting the vertical wall penetr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wall, and the wall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djacent to the assembly wall. A wall portion having coupling parts formed at both sides to engage with the wall; And
A wall support having a second pile through-hole formed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bar shape at a lower center of the wall to be inserted into a backfill material during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having a second support pile vertic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 ≪ / RTI >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neighboring other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when the assembly o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segment coupled between the other coupling portion adjacent.
상기 벽체 지지부는 상기 벽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support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ll portio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상기 벽체부는 상기 제1 파일 관통홀이 지나는 하측 중앙에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 지지부는 상기 벽체부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되는 부위에 상기 제1 파일 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1 지지파일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3 파일 관통홀을 포함하는,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portion has an insertion groove in the lower center through which the first pile through hole passes,
The wall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wall porti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third pile through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ile through hole and the first support pile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Includ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다수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어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청구항 1, 2,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상기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들의 제1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며 상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지지파일과 상기 제2 파일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지지파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 구조물.
In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he plurality of which are assembl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form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pile through holes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il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pile through holes and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벽체부의 양측 결합부와 맞물리게 결합하는 중간 연결 세그먼트의 전면은 상기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의 벽체부보다 후퇴되며 요철구조의 벽면을 형성하는,
조립식 옹벽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7,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segment engaging with both sides of the wall engaging portion is retracted from the wall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 and forms a wall surface of the uneven structur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각층 마다 다수의 상기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가 적층되며 다층 계단 구조를 형성하되,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는 제1 지지파일은 직하부의 계단 구조 층의 제2 파일 관통홀들을 관통하며,
상기 상층 계단 구조 층의 제1 지지파일과 상기 직하부 계단 구조층의 제2 지지파일이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진,
조립식 옹벽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egment structures are stacked in each layer to form a multi-layered staircase structure,
The first support p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ile through holes of the upper staircase structure layer passes through the second pile through holes of the step structure layer directly below,
The first support pile of the upper staircase structure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pile of the immediately lower staircase structure layer consists of one fil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070A KR101265079B1 (en) | 2011-12-13 | 2011-12-13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070A KR101265079B1 (en) | 2011-12-13 | 2011-12-13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5079B1 true KR101265079B1 (en) | 2013-05-20 |
Family
ID=4866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40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5079B1 (en) | 2011-12-13 | 2011-12-13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507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6584B1 (en) * | 2014-07-17 | 2015-05-04 | 이동석 | Assemblable block for cultivating plants |
KR102176194B1 (en) * | 2020-03-30 | 2020-11-09 | 박미정 |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using fixing plate for vegetation bag |
KR102182855B1 (en) * | 2020-03-30 | 2020-11-25 | 박미정 | drainage fixing plate assembly for constructing vegetation block bag |
CN115217145A (en) * | 2022-07-12 | 2022-10-21 | 福州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assembled stacked beam type support system with mortise and ten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00104A (en) | 1978-01-25 | 1979-08-07 | Akamine Yuuko | Method of building readyymade breast wall like reinforced concrete buttress |
JPS58176141U (en) * | 1982-05-20 | 1983-11-25 | 株式会社三友クリエ−ト工芸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
-
2011
- 2011-12-13 KR KR1020110134070A patent/KR1012650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00104A (en) | 1978-01-25 | 1979-08-07 | Akamine Yuuko | Method of building readyymade breast wall like reinforced concrete buttress |
JPS58176141U (en) * | 1982-05-20 | 1983-11-25 | 株式会社三友クリエ−ト工芸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6584B1 (en) * | 2014-07-17 | 2015-05-04 | 이동석 | Assemblable block for cultivating plants |
KR102176194B1 (en) * | 2020-03-30 | 2020-11-09 | 박미정 |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using fixing plate for vegetation bag |
KR102182855B1 (en) * | 2020-03-30 | 2020-11-25 | 박미정 | drainage fixing plate assembly for constructing vegetation block bag |
CN115217145A (en) * | 2022-07-12 | 2022-10-21 | 福州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assembled stacked beam type support system with mortise and ten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4513B1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110314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74827B1 (en) | Underwater concrete wall using precast wall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KR20200124949A (en) |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265079B1 (en)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
KR101149895B1 (en) | Reinforcement block for pillar of tunnel | |
KR101136240B1 (en) |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 |
KR100633796B1 (en) | Central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Temporary Construction | |
KR100583939B1 (en) | Building foundation | |
KR20080007483A (en) | Underground wal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8270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 |
JP2011089361A (en) | Slope reinforcing method | |
KR101716895B1 (en) | Precasted retaining-wall segment structure and precasted retaining-wall structure | |
KR101599931B1 (en) |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20120060491A (en) | Reinforcement steel structure and c.i.p. method using the same | |
JP5430912B2 (en) | Concrete block stacking wall | |
KR20060026098A (en) |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 |
KR100673475B1 (en) | PC girder member for base frame frame, assembly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328027B1 (en) | Cutting the ground area breast wall and slant safe-guard structure | |
JP2018059318A (en) | Foundation beam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undation beam | |
KR200448481Y1 (en) | Plantable cut slope retaining wall structure | |
JP4749858B2 (en) | Method for enhancing bearing capacity in extension or reconstruction of superstructures of existing buildings | |
KR102426192B1 (en) | File f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file | |
KR102755450B1 (en)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1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