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918B1 -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918B1 KR101264918B1 KR1020100044997A KR20100044997A KR101264918B1 KR 101264918 B1 KR101264918 B1 KR 101264918B1 KR 1020100044997 A KR1020100044997 A KR 1020100044997A KR 20100044997 A KR20100044997 A KR 20100044997A KR 101264918 B1 KR101264918 B1 KR 101264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ormwork
- concrete
- insertion hole
- b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파일 제조장치는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상기 거푸집의 일단에 위치하는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푸집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삽입홀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막음판이 보강판의 구멍들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이 막음판과 거푸집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인장부재의 인장시 보강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isclosed is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formwork for forming a concrete pile; A reinforcing plate located at one end of the formwork; And a blocking plate position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ormwork with the reinforcing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blocking plate is fixed to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ement plate of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late not only prevents leakage of concrete through the holes of the reinforcing plate, but also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formwork, there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plate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원심성형하여 제조하는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pile produced by centrifugal molding.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을 세우는 경우, 지반의 조건이나 건물 또는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 공사를 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erecting a building or structure, in ord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or the load of the building or structure, the foundation construction to reinforce the ground.
이에 따라, 구조물의 하중이나 지반의 조건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얕은 기초나 깊은 기초가 행해지는데, 근입폭비가 1 이하의 경우를 얕은 기초라 하고, 근입폭비가 1 이상인 경우를 깊은 기초로 정의하고 있다.As a result, a shallow foundation or a deep found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load of the structure and the ground conditions. The case where the root width ratio is 1 or less is called the shallow foundation, and the case where the root width ratio is 1 or more is defined as the deep foundation. .
상기 얕은 기초의 경우에는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물을 지반에 직접 지지시키고, 구조물 아래의 지반이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없을 경우에 파일을 사용하여 지지력을 보강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shallow foundation, the structure is directly supported on the ground without using the pile, and the pile is used to reinforce the bearing force when the ground under the structure cannot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파일은 재질에 따라 강관 파일, 콘크리트 파일, 합성 파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iles can be classified into steel pipe piles, concrete piles, composite piles, etc., depending on the material.
최근에는 콘크리트 파일 중 원심력 및 오토 클레이브 양생에 의해 제조되는 PHC파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PHC파일은 프리텐션 방식의 고강도 말뚝으로써,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이 대단히 커서 큰 축하중에 견딜 수 있고, 콘크리트 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타격 내력에 우수하고 인장응력에 우수하다. Recently, PHC piles manufactured by centrifugal force and autoclave curing are widely used among concrete piles. The PHC pile is a high-strength pile with a pretensioning method. The allowable compressive stress of the concrete is so large that it can withstand a great celebratio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to provide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excellent tensile stress.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PHC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PHC파일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3)의 하단에 보강밴드가 일체로 된 하부슈판(2)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슈판(2)의 인장홀(2a)에 PC강선(3)을 고정한 후 PC강선(3)을 인장하여 콘크리트 기둥(3)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도록 형성된다. 1 is a diagram showing such a conventional PHC file.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PHC pile, a
이와 같이 형성된 PHC파일의 선단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일 선단에 파일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보강판(4)을 상기 보강판에 설치된 볼트구멍(4a) 및 상기 하부슈판에 설치된 볼트구멍(2b)에 볼트(5)를 삽입하거나, 용접을 하여 상기 하부슈판에 상기 보강판을 설치하고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tip bearing capacity of the PHC pile formed as described above, a reinforcing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PHC파일에 있어서, 상기 하부슈판은 하중을 부담하는 구조부재가 아니므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PC강선을 강한 인장력으로 인장시에 부재에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HC p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lower shoe plate is not a structural member that bears a load, it is generally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so that the PC steel wire is deformed to the member when being tensioned with a strong tensile force. There was a prone problem.
또한, 종래의 PHC파일에 있어서는,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하중을 부담하는 구조부재로서 보강판을 PHC파일의 콘크리트 양생 후 현장이나 공장에서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공수가 많이 들고 번거로우며, 중량인 큰 보강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HC pile, the reinforcement plate as a structural member that bears a load in order to reinforce the tip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has to b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field or factory after curing the concrete of the PHC pi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a large reinforcing plate was not eas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파일의 하부 구조를 간략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선단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tip bearing capacity, despite the simplified lower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돌출된 삽입홀 막음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며, 상기 삽입홀 막음 돌기의 외측으로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s protruding on one surface is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s Provided is a blocking plate for producing a concrete pile.
상기 삽입홀 막음 돌기의 내측에는 콘크리트파일 중공 막음용 돌부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o further protrude a concrete pile hollow blocking protrus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보강판 결합용 홀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며,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의 외측으로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s are arranged in one circumferenti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A blocking plate for producing a concrete pil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범주에 따르면,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상기 거푸집의 일단에 위치하는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푸집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삽입홀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mwork for forming a concrete pile; A reinforcing plate located at one end of the formwork; And a blocking plate position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ormwork with the reinforcing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blocking plate is fixed to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The surface of th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with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삽입홀 막음부는,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홀 막음 돌기를 포함한다.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hole b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contacting with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삽입홀 막음부는, 상기 막음판의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보강판 결합용 홀과,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 및 상기 삽입홀에 체결되는 삽입홀 막음 볼트를 포함한다.The insertion hole blocking part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ing plate, and the insertion hole blocking bolt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hole.
상기 보강판은, 상기 거푸집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plate, the locking step is formed that can be caugh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rm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범주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장부재를 조립하여 철근 조립체를 준비하고, 상기 철근조립체를 하부 거푸집에 끼워넣는 단계; 상기 하부 거푸집의 일끝단에 보강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인장용 홀에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의 상기 하부 거푸집을 바라보는 반대면에 설치되는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을 인장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상기 하부거푸집에 상부거푸집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하는 단계;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원심성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 및 양생 후, 상기 막음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catego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reinforcing bar assembly by assembling the tension member,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into the lower formwork; Disposing a reinforcing plate at one end of the lower formwork; Fixing the tension member to a tension hol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late; Installing a blocking plate installed on an opposite side facing the lower formwork of the reinforcing plate;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to a tension device; Injecting concrete into the lower formwork and fastening the upper formwork to the lower formwork; Driving the tension device to tension the tension member; Curing after the centrifugal molding in the tensioned state of the tension member; And after curing, the step of removing the blocking plate;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integrated reinforcement plate comprising a.
상기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막음판을 상기 보강판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talling of the blocking plate may be performed by bolting the blocking plate to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보강판에 상기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에는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보강판 결합용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 및 상기 삽입홀을 삽입홀 막음 볼트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and a thread i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It is preferable to fasten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hole with an insertion hole blocking bolt.
상기 막음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installing of the block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fixing to the lower formwork.
상기 하부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막음판을 상기 거푸집 결합홀을 통해서 상기 하부 거푸집에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xing of the lower formwork,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is bolted to the lower formwork through the formwork coupling ho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반드시 아래의 효과가 모두 발휘되어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종래에는 하부슈판에 인장부재을 고정한 후, 인장부재의 인장시에 하부슈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하부슈판을 다시 고정용 지지판에 고정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다시 고정용 지지판을 탈형하고, 보강판을 재차 하부슈판에 고정하는 등 시공공정이 많고 절차가 번거로웠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슈판 및 고정용 지지판이 필요없이, 인장부재를 직접 보강판에 고정설치함으로써 성형 및 거푸집의 탈형과 동시에 보강블록이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구성부품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ly, after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shoe plate, the lower shoe plate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for fixing in order to fix the lower shoe plate when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and after curing the poured concrete, demoulding the fixing support plate again, and reinforcing plate Although the construction process was complicated and the procedure was cumbersome, such as fixing to the lower shoe plate a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the lower shoe plate and the fixing support plate. Simultaneous with the demoulding, since the reinforcing block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pil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component parts can be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막음판이 보강판의 구멍들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이 막음판과 거푸집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인장부재의 인장시 보강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not only prevents the concrete from leaking through the holes of the reinforcing plate, but also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formwork, there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plate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tension member is tensioned.
특히, 막음판이 삽입홀 막음볼트를 이용하여 보강판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막음판과 보강판이 하중에 대해서 합성부재로 거동됨으로써, 하중 지지능력(인장부재의 인장력에 대해서 변형되지 않고 버티는 능력)이 훨씬 증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locking plate is firmly fix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by using the insertion hole blocking bolt, so that the block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behaves as a composite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ad, so that the load supporting ability (the ability to hold the tension member without being deformed against the tensile force) is It can be much increased.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서, 보강판을 인장시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such an eff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ckness from being thicker than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ccurring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tensioned.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PHC파일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보강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막음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3의 보강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막음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도 3의 보강판과 하부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PHC fi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V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ing plate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locking plate of 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lower formwork of Figure 3 coupl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보강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막음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utting line V-V of Figure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ing plate of FIG. 3,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 of FIG. 6.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는, 콘크리트 파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60a, 60b)과, 상기 거푸집(60a, 60b)의 일단에 위치하는 보강판(100)과, 상기 보강판(1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푸집(60a, 60b)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거푸집(60a, 60b)에 고정되는 막음판(200)과, 일단이 상기 보강판에 고정되는 인장부재(20)를 포함하는 철근 조립체(20, 21)와,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상부슈판(30) 및 상부슈판(30)을 인장하여 인장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장치(61~63)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60a, 60b) for forming the concrete pile, the
거푸집(60a, 60b)은 하부 거푸집(60a) 및 하부거푸집(60a)과 상하로 결합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모양을 형성하는 상부 거푸집(60b)을 포함한다. 하부 거푸집(60a)은 반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플랜지(65)가 돌출된다. 플랜지(65)에는 결합용 볼트공(6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플랜지(65)에는 보강판의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66)가 형성된다. 즉, 도 13과 같이, 다수의 지지돌기 형상의 지지부(66)가 보강판(100)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보강판(100)을 정확한 위치에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상부 거푸집(60b)과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 거푸집(60b)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67)이 다수 형성된다. 상부 거푸집(60b)은 하부 거푸집(60a)과 모양이 대칭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보강판(1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110)이 형성되며, 거푸집(60a, 60b)을 향하는 면에는 거푸집의 플랜지(65)와 접하는 거푸집 접촉면(120)과, 콘크리트 파일의 콘크리트와 접하는 콘크리트 접촉면(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접촉면(120)과 콘크리트 접촉면(130) 사이에는 상기 거푸집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The
걸림턱(121)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4와 같이, 거푸집 접촉면(1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121)을 형성함으로써, 원심 회전시, 거푸집과 보강판(100)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질의 보강판이 부착된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locking
또한 도 8과 같이, 콘크리트 접촉면(130)과 거푸집 접촉면(120) 경계선에 링(1121)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링(1121)을 형성하는 방법은 링형상의 스트립을 보강판(100)의 상면에 용접하는 방법이 있다. 도 9는 콘크리트 접촉면(130)과 거푸집 접촉면(120) 경계선에 다수의 볼트공(1221)을 형성한 후, 볼트(1222)를 체결하여 콘크리트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도 8과 도 9와 같은 방법은 보강판(100)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접촉면(130)에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와 보강판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보강밴드(1321)를 콘크리트 접촉면(130)과 거푸집 접촉면(120)에 미리 용접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 또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측단면을 보강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ring 1121 at a boundary between the
또한, 보강판의 콘크리트 접촉면에는 인장부재(20)의 헤드부가 관통할 수 있는 삽입홀(140)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삽입홀(140)과 연통되어 형성되며 직경이 인장부재(20)의 헤드부 보다 작게 형성된 인장홀(150)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형성된다. 인장홀(150)의 막음판(200)을 향하는 부위에는 막음판을 향해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장부재(20)의 헤드부(21)를 삽입홀(140)을 통해서 삽입시킨 후, 인장홀(150)로 이동시켜 인장홀(150)의 경사면(151)에 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contac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막음판(200)은 상기 막음판(200)의 상기 보강판(100)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홀(140)에 끼워지는 삽입홀 막음부(210)를 포함하며, 거푸집(60a, 60b)과 고정을 위해, 상기 삽입홀 막음부(210)의 외측으로 거푸집 결합홀(22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홀 막음부(210)의 내측에는 보강판의 중공을 밀폐하는 중공 막음용 돌부(230)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blocking
상기 삽입홀 막음부(210)는, 상기 막음판(100)의 상기 삽입홀(140)과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보강판 결합용 홀(211)과, 상기 보강강판 결합용 홀(211) 및 상기 삽입홀(140)에 체결되는 삽입홀 막음 볼트(212)를 포함한다.The insertion
한편, 삽입홀 막음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홀 막음 돌기(1212)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sertion
중공 막음용 돌부(210)는 보강판에 형성된 중공(110)을 밀폐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보강판의 중공(110)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공 막음용 돌부(210)의 보강판 반대면에는 중량 저감부(231)가 형성됨으로써, 중량을 줄여 줄 수 있다. 중량 저감부(231)는 보강판 반대면을 요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거푸집 결합홀(220)은 거푸집의 결합용 볼트공(64)과 맞대어져, 결합용 볼트(250)로 체결된다. The
인장장치는 인장용 지지판(61)에 고정되며 인장부재(21)가 고정되는 인장판(62)과, 상기 하부거푸집의 타끝단에 맞닿는 마구리판(63)과, 상기 마구리판(63)의 중앙에 연결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판(61) 및 인장판(62)에 고정된 인장축(63a)과, 상기 인장축에 연결되어 상기 인장축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용 잭(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The tension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여기서 인장부재(20)는 통상 PC 강선이 사용되며, 양끝단에 형성된 헤드부(20a)는 뭉퉁하게 형성되어, 그 직경이 삽입용 홀(140)의 직경보다는 작으나, 인장용 홀(15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그 결과, 삽입용 홀(140)을 통해서 헤드부(20a)를 삽입한 후, 인장부재(20)를 인장용 홀(150)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인장하는 경우, 헤드부(20a)가 경사면(151)에 걸리게 된다.Wherein the
인장부재를 인장하는 인장장치를 구동시켜 인장부재(20)를 인장한다. 이때, 인장력은, 인장용 잭→ 인장축 → 마구리판 → 인장판 → 인장용 지지판 → 인장용 지지판의 고정볼트 → 상부슈판 → 인장부재 → 보강판의 경로로 인장력이 전달된다.The tensioning
인장용 지지판(61)과 상부슈(30)는 도 2와 같이 볼트 체결되거나, 인장용 지지판에 인장부재(20)의 헤드부(20a)가 결합됨으로써(인장부재와 보강판의 결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장축(63a)의 인장력이 인장부재(20)에 전달되도록 한다.The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인장을 한 후, 인장축(63)과 마구리판(63)의 상대적인 위치를 너트로 고정한다.After tensioning using the tensioning devi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철근조립체(20, 21)는 직선 선재로 원주 상에 다수 배치된 인장부재(20)와, 다수의 인장부재(21)를 연결하도록 감싸는 나선형태의 보강 와이어(21)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이하에서는, 전술한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using the above-described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방법은, 인장부재를 조립하여 철근 조립체를 준비하고, 상기 철근조립체를 하부 거푸집에 끼워넣는 단계(S1)와, 상기 하부 거푸집의 일끝단에 보강판을 배치하는 단계(S2)와,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인장용 홀에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하는 단계(S3)와, 상기 보강판의 상기 하부 거푸집을 바라보는 반대면에 설치되는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S4)와,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을 인장장치에 고정하는 단계(S5)와, 상기 하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상기 하부거푸집에 상부거푸집을 체결하는 단계(S6)와, 상기 인장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하는 단계(S7)와,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원심성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S8)와, 양생 후, 상기 막음판을 제거하며, 보강판 및 거푸집을 탈형하며, 오토클레이브 양생하는 단계(S9)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assembling a tension member to prepare a reinforcing bar assembl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into the lower formwork (S1), and disposing a reinforcing plate at one end of the lower formwork (S2) and Fix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tension hol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late (S3), and installing a blocking plat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lower formwork of the reinforcement plate (S4) and the tension Fixing the other end of the member to the tensioning device (S5), putting concrete into the lower formwork and fastening the upper formwork to the lower formwork (S6), and driving the tensioning device to tension the tensioning member. Step (S7), the step of curing after centrifugal molding in the tensioned state (S8), and after curing, removing the blocking plate, demolding the reinforcement plate and formwork, curing the autoclave ( S9) It includes.
보강판을 배치하는 단계(S2)는 보강판(100)의 외주면이 지지부(66)에 지지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배치가 완료된다. 이때, 걸림턱(121)은 거푸집의 내공에 끼워지게 된다.In the step S2 of arranging the reinforcement plate,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by arrang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인장부재(20)를 고정하는 단계(S3)는 보강판에 형성된 삽입홀(140)에 인장부재의 헤드(21)를 통과시킨 후,인장부재(20)를 인장용 홀(150)로 평행이동 시킨 후, 당김으로써, 와이어의 헤드(21)가 인장용 홀(150)의 경사면(151)에 지지되도록 한다.Fixing the tension member 20 (S3) is passed through the
상기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S4)는, 상기 막음판(200)을 상기 보강판(100)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보강판(100)에 상기 인장부재(20)가 삽입되는 삽입홀(140)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140)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200)에는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보강판 결합용 홀(21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211) 및 상기 삽입홀(140)을 삽입홀 막음 볼트(212)로 체결하여 설치한다.In the step S4 of installing the blocking plate, the blocking
또한, 상기 막음판 설치하는 단계(S4)는, 상기 하부 거푸집(60a)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220)이 형성된 상기 막음판(200)을 상기 거푸집 결합홀(220)을 통해서 상기 하부 거푸집에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결합용 볼트(250)를 거푸집 결합홀(220) 및 거푸집의 결합용 볼트공(64)에 체결함으로써 막음판(200)과 거푸집의 결합을 완료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blocking plate (S4)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xing to the lower formwork (60a). The fixing to the lower form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탈형하는 방법은, 인장축(63a)을 마구리판(63)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풀어주는 것으로 시작한다. 인장축(63a)을 마구리판(63)에서 풀어줌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전체가 보강판(100)을 향해서 미세 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콘크리트 파일과 거푸집(60a, 60b)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보다 깨끗하게 거푸집(60a, 60b) 사이의 탈형이 이루어진다.The method of demolding starts by loosening the nut for fixing the
상기와 같이, 막음판이 보강판의 구멍들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보강판이 막음판과 거푸집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인장부재의 인장시 보강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plate not only prevents leakage of concrete through the holes of the reinforcing plate, but also the reinforcing plate is fix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and the formwork, there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plate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tensioning member is tensioned.
특히, 막음판이 삽입홀 막음볼트(212)를 이용하여 보강판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막음판과 보강판이 하중에 대해서 합성 거동됨으로서, 하중 지지능력(인장부재의 인장력에 대해서 변형되지 않고 버티는 능력)이 훨씬 증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locking plate is firmly fixed to the reinforcing plate by using the insertion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서, 보강판을 인장시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such an eff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ckness from being thicker than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ccurring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tensioned.
또한, 콘크리트파일의 제조시에 하부슈판의 설치를 생략함과 동시에 인장용 지지판이 필요없게 되고 콘크리트파일의 제조시에 파일의 선단지지력 강화를 위한 보강판을 일체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공수를 줄이고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lower shoe plate is omit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concrete pile, the support plate for tension is eliminated, and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reduced because the reinforcement plate for strengthening the tip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can be produced integrally. The material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saved.
1212: 삽입홀 막음 돌기 220: 거푸집 결합홀
200: 막음판 230: 중공 막음용 돌부
211: 보강판 결합용 홀 60a, 60b: 거푸집
100: 보강판 20: 인장부재
140: 삽입홀 210: 삽입홀 막음부
212: 삽입홀 막음 볼트 121, 1121, 1221, 1321: 걸림턱1212: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 220: formwork coupling hole
200: blocking plate 230: hollow blocking protrusion
211: reinforcing
100: reinforcing plate 20: tension member
140: insertion hole 210: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212: Insertion
Claims (16)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막을 수 있도록 일면에 돌출된 삽입홀 막음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며,
상기 삽입홀 막음 돌기의 외측으로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The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head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of the concrete pile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cret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ile and the form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formwork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formed on one side A blocking plate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pil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piles,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s protruding on one surface to block the insertion hole is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plate for the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
상기 삽입홀 막음 돌기의 내측에는 콘크리트파일 중공 막음용 돌부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s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plate for the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for the hollow concrete block further protruding.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과 나란하도록 배치된 보강판 결합용 홀이 원주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며,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의 외측으로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The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head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of the concrete pile is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cret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ile and the form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formwork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formed on one side A blocking plate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piles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piles,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holes for joining the reinforcing plate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insertion hole i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plate for the concre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파일 중공 막음용 돌부가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용 막음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locks for manufacturing concrete p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pile hollow b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inside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상기 거푸집의 일단에 위치하는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푸집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막음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콘크리트와 접하는 콘크리트 접촉면과 거푸집의 플랜지에 접하는 거푸집 접촉면이 한면에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삽입홀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piles;
A reinforcing plate located at one end of the formwork; And
A blocking plate position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ormwork with the reinforcing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ixed to the formwork;
/ RTI >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by penetrat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and a concrete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ile and a form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flange of the formwork are formed on one surfac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ement plate of the blocking plate.
상기 삽입홀 막음부는,
상기 막음판의 상기 보강판과 접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홀 막음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sertion hole b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blocking plate.
상기 삽입홀 막음부는,
상기 막음판의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보강판 결합용 홀과,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 및 상기 삽입홀에 체결되는 삽입홀 막음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sertion hole blocking portion,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ing plate, and the insertion hole blocking bolt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hole.
상기 보강판은,
상기 거푸집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reinforcement plat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that can be caugh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rmwork.
상기 걸림턱은 링형상의 스트립을 용접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atching jaw is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welding the ring-shaped strip.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거푸집과 상기 콘크리트의 경계선에 다수의 볼트공을 형성한 후, 상기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볼트가 상기 거푸집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atching jaw is a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i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concrete, the bolt is projected in the formwork direction by fastening the bolt through the bolt hole.
상기 보강판은,
상기 거푸집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보강밴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reinforcement plat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nd is fixed to be caugh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rmwork.
인장부재를 조립하여 철근 조립체를 준비하고, 상기 철근조립체를 하부 거푸집에 끼워넣는 단계;
상기 하부 거푸집의 일끝단에,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콘크리트와 접하는 콘크리트 접촉면과 거푸집의 플랜지에 접하는 거푸집 접촉면이 한면에 형성된 보강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인장용 홀에 상기 인장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의 상기 하부 거푸집을 바라보는 반대면에 설치되는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을 인장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상기 하부 거푸집에 상부 거푸집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하는 단계;
상기 인장부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원심성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 및
양생 후, 상기 막음판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crete pile,
Assembling a tension member to prepare a reinforcing bar assembly, and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into a lower formwork;
Disposing a reinforc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formwork with a concret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ile and a form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formwork;
Fixing the tension member to a tension hole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late;
Installing a blocking plate installed on an opposite side facing the lower formwork of the reinforcing plate;
Fix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to a tension device;
Injecting concrete into the lower formwork and fastening the upper formwork to the lower formwork;
Driving the tension device to tension the tension member;
Curing after the centrifugal molding in the tensioned state of the tension member; And
After curing, removing the blocking plate;
Reinforced plate integrated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막음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막음판을 상기 보강판에 볼트 체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installing the blocking plate, the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integrated, characterized in that to install the blocking plate bolt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상기 보강판에 상기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막음판에는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보강판 결합용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 결합용 홀 및 상기 삽입홀을 삽입홀 막음 볼트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through a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and fastening the reinforcing plate coupling hole and the insertion hole with an insertion hole blocking bolt.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late is integrated.
상기 막음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Installing the blocking plate,
Fixing to the lower formwork;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the reinforcement plate is integrated, further comprising a.
상기 하부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거푸집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막음판을 상기 거푸집 결합홀을 통해서 상기 하부 거푸집에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파일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Fixing to the lower formwork,
Reinforcing plate integrated concrete pi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coupling to the lower formwork through the block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rmwork coupling hol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997A KR101264918B1 (en) | 2010-05-13 | 2010-05-13 |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
PCT/KR2011/002167 WO2011142534A2 (en) | 2010-05-13 | 2011-03-30 | Concrete pi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997A KR101264918B1 (en) | 2010-05-13 | 2010-05-13 |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457A KR20110125457A (en) | 2011-11-21 |
KR101264918B1 true KR101264918B1 (en) | 2013-05-15 |
Family
ID=4491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4997A KR101264918B1 (en) | 2010-05-13 | 2010-05-13 |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918B1 (en) |
WO (1) | WO2011142534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1963B1 (en) | 2018-05-28 | 2020-01-08 | 영풍파일(주) | Connecting Members for Producing PHC pile |
KR20210046190A (en) | 2019-10-18 | 2021-04-28 | 권현경 | Forming device for concrete p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7872B1 (en) * | 2012-01-30 | 2014-01-09 | 백규호 | Skin friction force improve the concrete pil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KR101441055B1 (en) * | 2012-10-18 | 2014-09-17 | (주)아리터 | Concrete pile with steel part and resistance-reinforcing device of spiral form in the outer surfa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KR101596028B1 (en) * | 2014-09-05 | 2016-02-26 | (주)아리터 | Concrete pile with steel part having settling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KR102029300B1 (en) * | 2016-04-07 | 2019-10-07 | 이엑스티 주식회사 | PHC pile having reinforced tip without shoe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CN106272953A (en) * | 2016-08-16 | 2017-01-04 | 重庆市晟庄建材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reinforcing steel stak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821A (en) | 1981-07-17 | 1983-01-26 | 徳原 秀洛 | Manufacture of concrete secondary product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103B1 (en) * | 1994-01-26 | 1998-04-08 | 라병준 | Pile shoe and combination structure of pile shoe and support plate |
KR100654964B1 (en) * | 2004-05-14 | 2006-12-08 | 송기용 | Reinforcement of head extension pile |
KR200417103Y1 (en) * | 2006-02-24 | 2006-05-23 | 만수건설주식회사 | PH File |
KR20080093388A (en) * | 2007-04-16 | 2008-10-21 | 이수호 | Tip extended concrete pile with through bolts installed. |
KR100983633B1 (en) * | 2008-03-27 | 2010-09-27 | 송정옥 | A head reinforcement PHC pile |
JP5111203B2 (en) * | 2008-03-31 | 2013-01-09 |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 Seismic reinforcement pile structure |
-
2010
- 2010-05-13 KR KR1020100044997A patent/KR10126491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3-30 WO PCT/KR2011/002167 patent/WO2011142534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821A (en) | 1981-07-17 | 1983-01-26 | 徳原 秀洛 | Manufacture of concrete secondary produc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1963B1 (en) | 2018-05-28 | 2020-01-08 | 영풍파일(주) | Connecting Members for Producing PHC pile |
KR20210046190A (en) | 2019-10-18 | 2021-04-28 | 권현경 | Forming device for concrete p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457A (en) | 2011-11-21 |
WO2011142534A3 (en) | 2012-03-01 |
WO2011142534A2 (en) | 201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4918B1 (en) |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50854B1 (en) | Reinforcing plate integrated phc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CN111058440B (en) | Mechanical connecting device for concrete precast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1683613B1 (en) | Composite Pile with PHC Pile and Steel Tubular Pile by Connecting Apparatus | |
JP5258099B2 (en) | Prestressed concrete pi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necting pile head and footing | |
JP4260044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joint piles | |
KR20130083552A (en) | Manufacturing methode for phc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hc pile | |
KR102212675B1 (en) | Fabrication apparatus of concrete pile | |
KR101789302B1 (en) | Concrete file structure | |
CN110578325B (en) | Recoverable prestress drilling and pouring fender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H11269871A (en) | Composite pile for foundation pile | |
KR101241994B1 (en) | Reinforcing block used in concrete pile and concrete pile using the same | |
KR20130081934A (en) | Phc pil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 |
KR10130505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ile of Prestressed Hollow Concrete Pile and Steel Pipe | |
KR101212279B1 (en) | Phc synthesis pil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1205893B1 (en) |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ends | |
KR101240402B1 (en) | Producing device for pile having Expanding lower body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1644449B1 (en) | Phc pile using joint plate and connecting fin | |
KR101826244B1 (en) | Composite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697550B2 (en) | Composite anchor bol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789304B1 (en) | Concrete file structure | |
KR20120130528A (en) | PHC Pile | |
KR102483165B1 (en) | Tensile device for PHC pile | |
KR10185914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mbination Pile | |
JP7329491B2 (en) | Concrete Column, Prefabricated Concrete Colum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