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668B1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668B1 KR101264668B1 KR1020130016206A KR20130016206A KR101264668B1 KR 101264668 B1 KR101264668 B1 KR 101264668B1 KR 1020130016206 A KR1020130016206 A KR 1020130016206A KR 20130016206 A KR20130016206 A KR 20130016206A KR 101264668 B1 KR101264668 B1 KR 101264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portable terminal
- case body
- cover member
- hol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4—Devices for sound-producing, piercing, gas-discharging,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5/00—Whist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보호함은 물론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된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키는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protec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the hollow portion formed with the inlet and the vent can be formed integrally to generate airflow sound due to the flow of air.
The mobi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the whole or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jection port and the vent is formed to the air flow by the flow of air The hollow portion for generating sound is integrally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보호함은 물론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된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otec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llow portion formed with the inlet and the vent to generate airflow sound due to the flow of air. It is about a case.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핸드폰, 개인휴대단말기(PDA), 스마트폰 등과 같이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정보기기를 의미한다. In general,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that combines the collection, storage, creation, retrieval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phone.
현재 휴대단말기로 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Smartphones, which are mainly used as portable terminals, combine the advantages of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ntegrating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fax transmission and Internet access, to mobile phone functions.
상술한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biggest feature of the above-mentioned smartphone is that unlike the existing mobile phone released as a finished product and using only a given function,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by the user.
또한, 스마트폰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a smartphone can access a variety of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wireless Internet,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itself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nd share applications among smartphones having the same OS. It is widely used in this respect.
전술한 휴대단말기는 주로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충격에 민감하여 사용자가 자칫 부주의로 땅에 떨어드릴 경우에는 치명적인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각종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s are not only expensive, but also sensitive to shocks, so that if a user inadvertently drops them to the ground, they may cause fatal failure or damage, and various cases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s are widely used. have.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은 물론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경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통상의 케이스에서부터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케이스(일명 젤리케이스 또는 실리콘케이스)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performs not only a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mpact but also a function of preventing scratches and improving aesthetics, from a conventional cas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to a soft synthetic resin such as polyurethane or silicone. There are many varieties, ranging from cases to jelly cases or silicone cases.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단순히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만을 할 뿐, 그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s only a function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provide more complex functions.
[참고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220507호(2013.01.03.)
[Reference Prior Art Document] Registered Patent No. 1220507 (2013.01.03.)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보호함은 물론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된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well as pro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of a hollow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jection port and the vent hole is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generate airflow sound by the flow of air To provide a case f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키는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jection hole and the vent is formed air The hollow part which generates airflow sound by the flow of is integrally formed.
바람직하게,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se body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hollow body for providing a space for forming the hollow portion integrally formed body;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an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to form the hollow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홈은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ollow groove is formed inside the rear plate of the case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ver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at least close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it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cover the entir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including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본체는 휴대단말기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홈은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판 내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부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se body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bile terminal, the hollow groov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to the side plate of the side of the case body corresponding to the sid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form an opening toward the front, The cover member may be coupled inside the side portion of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부재는 단면이 대략 'ㄱ'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일측과 측면판 상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ver member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 'cross-section, it may be coupled to abut on each of the back plate side and the side plate upper side of the case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부재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ver member may be configured as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 테두리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밀착을 위한 패킹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ning member of the hollow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for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바람직하게,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에 의해 상기 중공홈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hollow groove which i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hollow groove that provides a space for forming the hollow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ver member to form the hollow as the hollow groove is closed by the back plate of the.
바람직하게,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조립되어 중공홈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의 격벽으로 이뤄진 격벽구조체; 및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 partition structure formed of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assembled to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form a hollow groove;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plate of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an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to form the hollow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커버 또는 개방하도록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플립 커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flip co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to cover or open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통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ollow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lat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and discharged to the vent.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의 내벽면에는 복수의 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ots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lo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Can be.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판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may be formed in the hollow part to divide the flow path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판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control plate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jection port divid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의 내벽면 및 상기 분할판에는 복수의 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partition plate, and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slot 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It can be configured to be.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에는, 손가락의 운지를 통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ollow portion, at least one fingering hol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 flow sound through the fingering of the finger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주입구에는 마우스피스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jection hole may be extended to the mouthpiece.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커버 부재는 초음파 융착 방법, 열 융착 방법,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접합 방법으로 부착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method of any one of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a thermal welding method,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감싸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 지점에는, 봉형 부재가 구비된 거치용 지지물의 일부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용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t one point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urrounding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ion of the mounting support with a rod-shaped member is inserted may be a mounting groove or hole for mounting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보호함은 물론 주입구와 통기구가 형성된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에 의한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he hollow portion formed with the inlet and the vent is formed integrally to generate the airflow sound by the flow of air.
또한, 아동이나 여성이 타인에 의한 위험에 처한 경우에 재빠르게 기류음을 발생시켜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림에 따라 위험 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hild or a woman is in danger by another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generate a sound flow to avoid the danger situation according to the warning of the danger situation around.
또한, 자동차 사고나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응급 상황에서 시간이 지체되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휴대단말기를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류음의 발생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려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car accident or a fall accident,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or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form others of their location through the generation of airflow and to request rescue. have.
또한, 조절판을 통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황을 모면하거나 구조 요청을 하는 것 이외에 평상시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분할판으로 분할된 유로에 각각 조절판의 위치를 달리하여 화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유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air flow can be adjusted through the thrott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y to the user in addition to avoiding danger or requesting rescue. Because it can generate a chord has the advantage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play.
또한, 운지홀을 통해 기류음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악기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fingering h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se can be used as an instrument.
또한, 주입구와 연통된 마우스피스를 형성하여 바람을 불어넣기가 편하도록 하거나 마우스피스를 형성하지 않고 주입구만을 형성하여 미관이 좋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mouthpiec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jection hole to facilitate the blowing or to form only the injection hole without forming the mouthpiece may be a good aesthetics.
또한, 케이스 본체와 커버 부재를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케이스 본체와 커버 부재를 단시간에 결합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시장경쟁력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are combined by ultrasonic welding,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can be combined in a short time,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thereby lowering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 competitiveness.
또한, 이어캡의 삽입부를 삽입하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용 홈이 구비되어 있어 이어캡의 삽입부를 거치용 홈에 삽입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ear cap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ear cap to watch the video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플립커버의 개방상태와 커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0 및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and a cover state of a flip cover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and 3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and 3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will be described for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FI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 comprises a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도 1의 'S')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100h)이 일체로 형성된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상하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A)의 상하좌우 모든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등 휴대단말기(A)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A)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as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분할되어 조립됨에 따라 일체형의 케이스 본체(100)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상기 중공홈(100h)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대략 중앙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The hollow groove (100h)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the substantially central side of the case body (100).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홈(100h)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hollow groove (100h),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open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plate (100a) of the
한편, 상기 중공홈(100h)의 형성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의 일부 또는 전부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됨에 있어서, 돌출된 부분이 완만하게 라운드처리되어 미관이 우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r all of the
이때, 상기 중공홈(100h)은 상기 라운딩처리됨에 따라 형성된 대략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홈(103h)의 내측에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격벽(10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중공홈(100h)은 상기 격벽(103)이 없이 상기 홈(103h) 자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한편, 상기 중공홈(100h)과 연통되도록 주입구(IH)와 통기구(OH)가 각각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hole (IH) and the vent (OH)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groove (100h),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마우스피스(13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통기구(OH)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injection port (IH)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주입구(IH)와 통기구(OH)는 기류음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 위치,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injection hole IH and the vent OH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size, position, and number in order to effectively generate airflow sounds.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용 홀(10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판(100b)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버튼노출용 홀(1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홀, 홈 또는 돌출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커버 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도 1의 'S')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중공부(S)는, 상기 중공홈(100h)을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된 커버 부재(200)의 결합면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중공홈(100h)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이러한 중공부(S) 및 상기 중공부(S)와 연통된 주입구(IH), 통기구(OH)의 구성에 의해 기류음이 발생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S is formed by the coupling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통해 주입구(IH)로 바람을 불어서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통기구(OH)로 바로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상기 중공부(S)를 순환한 후 상기 통기구(OH)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류음이 발생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blows air into the injection hole IH through the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감을 높일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는, 상기 중공홈(100h)을 형성하는 격벽(103)의 상단부와 상기 커버 부재(200)의 결합면이 일체로 부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공부(S)를 밀폐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상기 격벽(103)과 상기 커버 부재(200)의 결합면은,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초음파 융착 방법으로 상호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03)의 상단에 융착용 돌기(111a)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용 돌기(111a)에 상기 커버 부재(2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융착용 돌기(111a)와 커버 부재(200)의 밀착부에 혼으로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융착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단시간에 결합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대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시장경쟁력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upling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판(100b)에 형성된 결합돌기(101)와 상기 커버 부재(200)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201)이 서로 압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경질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200)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으로 압입하여 끼워넣음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01)와 결합홈(201)이 상호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결합돌기(101)와 결합홈(201)으로 체결되어 상호 결합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또한, 상기 중공부(S)의 밀폐를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중공홈(100h)의 개구부 테두리에는 패킹 부재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ck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opening edge of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는, 상술한 부착 방법, 체결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101)와 결합홈(201)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두 구성요소의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 등의 부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커버 부재(200)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촬영용 홀(104)에 대응하는 위치에 촬영용 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 면적에만 대응하는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만을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30)를 통해 주입구(IH)로 바람을 불어서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통기구(OH)로 바로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상기 중공부(S)를 순환한 후 상기 통기구(OH)로 배출됨에 따라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air is injected by the user to the injection port (IH) through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4 and 5 will be described for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통기구(OH)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110)이 중공부(S)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판(110)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조절판(110)을 제외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djusts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H and discharged to the air vent OH, thereby raising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상기 조절판(110)은 상기 주입구(IH)와 상기 통기구(OH)가 형성된 측 공간과 그 반대측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S) 상에 구비된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중공부(S)의 내벽면,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부(S)를 형성하는 격벽(103)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슬롯(102)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S),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조절판(110)은 상기 복수의 슬롯(102) 중 어느 한 위치의 마주하는 슬롯(1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입구(IH)와 상기 통기구(OH)가 형성된 측 공간과 그 반대측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Therefo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통기구(OH)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가 상기 조절판(110)에 의해 조절됨에 따라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H and discharged to the vent hole OH is adjusted by the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10)이 중공부(S)의 상측에 형성된 슬롯(102)에 삽입되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이 협소하여 높은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10)이 도 5의 (a)보다 하측에 형성된 슬롯(102)에 삽입되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도 5의 (a)의 경우보다 낮은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ure 5, when the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10)이 도 5의 (b)보다 하측에 형성된 슬롯(102)에 삽입되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도 5의 (b)의 경우보다 낮은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5, when the
또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10)이 도 5의 (c)보다 하측에 형성된 슬롯(102)에 삽입되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도 5의 (c)의 경우보다 낮은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5, when the adjusting
즉, 도 5에 도시된 경우를 기준으로, 기류음의 높낮이는 (a), (b), (c), (d)의 순서로 점차 낮아지게 된다. That is, based on the case shown in Figure 5,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is gradually lowered in the order of (a), (b), (c), (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S)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102)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102)에 상기 조절판(110)을 삽입하여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air is circulated by inserting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6 and 7 to describ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판(120)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분할판(120)을 제외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6 and FIG. 7, at least one
상기 분할판(120)은 상기 중공홈(100h)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S)의 내측에 2개의 분할판(120)이 구비되어 상기 주입구(IH)로 주입된 공기의 유로가 3방향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된다. The
이때, 상기 주입구(IH)는 분할된 유로에 각각 대응하여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공기 유로에 각각 주입구(IH)가 형성됨에 따라 3개의 주입구(IH)가 구비되며, 각 주입구(IH)는 하나의 마이스피스(13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injection holes IH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flow paths, and in this embodiment, three injection holes IH are provided in each of the three air flow paths, respectively. The injection port IH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one
한편,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되어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판(110)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각 유로 상에 각각 조절판(110)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각 유로 상에 각각 조절판(110)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S)를 형성하는 격벽(103)의 내측면 및 상기 분할판(12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슬롯(102)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조절판(110)은 상기 복수의 슬롯(102) 중 어느 한 위치의 마주하는 슬롯(1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각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로 상에 7단계로 슬롯(102)이 형성되어, 가장 하측에 위치된 슬롯(102)에 조절판(110)을 삽입한 경우에 "도"음이 발생하고, 상방으로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음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도 7의 (a)의 경우에는 도, 미, 솔의 화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in the case where the
또한, 도 7의 (b)의 경우에는 도, 파, 라의 화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도 7의 (c)의 경우에는 시, 레, 솔의 화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도 7의 (d)의 경우에는 시, 파, 솔의 화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7B, the chords of FIG. 7, the wave, and the ra may be generated. In the case of FIG. In the case of d), chords, waves and brushes can be produc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S)에 형성된 각 유로 상의 복수의 슬롯(102)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102)에 각각 조절판(110)을 삽입하여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의 크기를 각각 조절함에 따라 여러 가지 화음의 기류음을 조절하여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8 and 9 to describ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의 중공홈(100h)에 복수의 운지홀(H)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운지홀(H)은 상기 중공홈(100h)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상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8 and 9, a plurality of fingering holes H are formed in the
한편, 상기 운지홀(H)을 제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운지홀(H)을 제외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fingering hole (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to 3, a detailed description except for the fingering hole (H) will be omitted.
상기 운지홀(H)은 사용자가 손가락의 운지를 통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로서, 복수의 운지홀(H)을 각각 닫거나 열리도록 하여 다양한 높낮이의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ingering hole H is a hole for allowing a user to play through the fingering of a finger. The fingering hole H may close or open the plurality of fingering holes H to generate various airflow sounds.
예를 들어, 리코더나 단소 등을 연주하듯이,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통해 주입구(IH)로 바람을 불어넣어 공기를 주입시킴과 함께 복수의 운지홀(H)을 각각 닫거나 열리도록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높낮이의 기류음을 발생시켜 연주를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f playing a recorder, Danso, etc., the user injects air by blowing air into the injection hole IH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S)에 형성된 복수의 운지홀(H)을 통해 리코더나 단소 등과 같이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lay like a recorder or a danso through a plurality of finger holes (H)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S).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판(120)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복수의 운지홀(H)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at least one
한편,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되어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판(110)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각 유로 상에 각각 조절판(110)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S)의 내측에 2개의 분할판(120)이 구비되어 상기 주입구(IH)로 주입된 공기의 유로가 3방향으로 분할되며, 3개의 유로 중 중앙측에 위치한 유로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복수의 운지홀(H)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split
이때, 중앙측 유로에 구비된 조절판(110)은 최하측 슬롯(102)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측 유로를 제외한 양측 유로에 구비된 조절판(110)은 다양한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예를 들어, 중앙측 유로에 구비된 조절판(110)이 최하측 슬롯(102)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양측 유로에 구비된 조절판(110)을 각각 최하측에서 3번째, 최하측에서 5번째로 위치되도록 하면, 양측 유로 중 최하측에서 3번째에 위치된 조절판(110)에 의해 '미'음이 발생하고, 양측 유로 중 최하측에서 5번째에 위치된 조절판(110)에 의해 '솔'음이 발생하며, 중앙측 유로에 구비된 조절판(110)에 의해 '도'음이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이러한 상태에서, 리코더나 단소 등을 연주하듯이,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통해 주입구(IH)로 바람을 불어넣어 공기를 주입시킴과 함께 복수의 운지홀(H)을 각각 닫거나 열리도록 조절함에 따라 중앙측 유로에서 다양한 높낮이의 기류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In such a state, the user blows win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H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S)에 형성된 각 유로 상의 복수의 슬롯(102)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102)에 각각 조절판(110)을 삽입하여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의 크기를 각각 조절함에 따라 여러 가지 화음의 기류음을 조절하여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운지홀(H)을 열거나 닫도록 함으로써 발생하는 화음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운지홀(H)은 중앙측에 위치한 유로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운지홀(H)이 각 경로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fingering holes H is formed on the
예를 들어, 3개의 경로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3 X 5의 배열로 운지홀(H)이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fingering hole H may be formed in an arrangement of 3 × 5 in 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2 and 13,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로 구성된다. 12 and 13,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It is composed of a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휴대단말기(A)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The
한편, 휴대단말기(A)의 일측 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의 내측 부분에는,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공홈(100h)이 일체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llow groove (100h)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one side side plate (100b)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홈(100h)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사각 블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홈(100h)의 형성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에 격벽(103)이 일체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hollow groove (100h) is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the one side side plate (100b) of the
따라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과 상기 격벽(103)에 의해 중공홈(100h)이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한편, 상기 중공홈(100h)과 연통되도록 주입구(IH)와 통기구(OH)가 각각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IH)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OH)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port (IH) and the vent (OH)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groove (100h), respectively,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3, the injection port (IH) is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주입구(IH)와 통기구(OH)는 기류음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나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injection port IH and the vent OH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size or pos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generate airflow sounds.
상기 커버 부재(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부 내측에 결합되어 중공부(S)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중공부(S)의 형성을 위해 휴대단말기(A)의 폭보다 넓게 연장형성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부재(200)는 단면이 대략 'ㄱ'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의 일측과 일측 측면판(100b)의 상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The
한편, 상기 커버 부재(200)는 초음파 융착 방법, 열 융착 방법,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등의 접합방법,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이용한 체결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후면판(100a)의 일측과 일측 측면판(100b)의 상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중공부(S)의 형성을 위해 휴대단말기(A)의 폭보다 넓게 연장형성된 부분의 평면 부분만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 면적에만 대응하는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만을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중공홈(100h)에는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판(120)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에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에 복수의 운지홀(H)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llow groove (100h) formed in the
상기 주입구(IH)를 통해 주입되어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판(110)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각 유로 상에 각각 조절판(110)이 구비된다. At least one
상기 분할판(120), 조절판(110), 운지홀(H)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 (도 10 및 도 11)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중공홈(100h)이 전방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는 케이스 본체(100)의 중심측을 향하여 측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200)는 측방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bed the case where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hollow groove (100h) toward the front,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100h) may be formed laterally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도 12 및 도 13)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IH)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S. 12 and 13), and an injection hole IH for injecting air has a back plate of the
한편, 분할판(120), 조절판(110), 운지홀(H)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 (도 10 및 도 11)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로 구성된다. 16 and 17,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It is composed of a
한편, 휴대단말기(A)의 일측 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 내측에 중공홈(100h)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홈(100h)은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Meanwhile, a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홈(100h)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사각 블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홈(100h)의 형성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에 격벽(103)이 일체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hollow groove (100h) is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the one side side plate (100b) of the
따라서, 상기 중공홈(100h)을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200)의 결합면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중공홈(100h)에 의해 중공부(S)가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hollow part S is formed by the coupling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 측면판(100b)에는, 상기 중공홈(100h)과 연통되도록 주입구(IH), 통기구(OH), 복수의 운지홀(H)이 각각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side plate (100b) of the
상기 주입구(IH), 통기구(OH), 복수의 운지홀(H)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도 8 및 도 9)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injection hole IH, the vent OH, and the plurality of fingering holes H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S. 8 and 9),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8 and 19,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도 10 및 도 11)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주입구(IH)로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마우스피스가 없이 케이스 본체(100) 상에 주입구(IH)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s. 10 and 11), but the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가 없이 주입구(IH) 자체가 케이스 본체(100)의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가 없이 주입구(IH) 자체가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8, the injection hole IH itself without the mouthpiece is formed so as to open upward of the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도 10 및 도 11)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케이스 본체(100)로만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중공홈(100h)을 폐쇄하는 커버 부재(200)는 휴대단말기(A) 자체의 뒷면으로 이뤄진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S. 10 and 11), and the portable terminal A is wrapped to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he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휴대단말기(A)를 장착한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A)의 평평한 뒷면 부분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중공홈(100h)을 폐쇄하여 중공부(S)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A is mounted on the case
한편,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 테두리에는 상기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분과 밀착을 위한 패킹 부재(P)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 부재에 의해 중공부(S)의 밀폐성이 증대되어 기류음이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edge of the hollow groove (100h) is provided with a packing member (P) for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he sealing member of the hollow portion (S) is increased by the packing member to increase the airflow Sound can be produced effectively.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and 22.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도 10 및 도 11)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이 상기 중공홈(100h)의 깊이만큼 후면을 향해 전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S. 10 and 11), 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판(100a)이 중공홈(100h)의 깊이만큼 전체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후면판(100a)의 테두리 부분에서 라운드처리되어 홈(103h)이 형성되며, 상기 홈(103h)의 내측 중앙부의 일부 영역에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격벽(103)이 형성되어 중공홈(100h)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의 외측면은 미세하게 돌출되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2,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판(120)에 의해 구획된 각 경로 상에 운지홀(H)이 각각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경로에 형성된 운지홀(H)을 통해 각 경로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각가의 기류음을 조절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3 and 24, the finger holes H may be formed on respective paths partitioned by the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and 26.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의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200h)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00)의 후면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중공홈(200h)의 깊이만큼 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200)의 전면부상에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격벽(203)이 형성되어 중공홈(200h)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격벽(203)의 형성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200)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ormation height of the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에 결합시 상기 후면판(100a)의 평평한 외측면이 상기 중공홈(200h)을 형성하는 격벽(203)의 상단부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중공홈(200h)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중공부를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의 결합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홈(101-1)과 상기 커버 부재(200)에 형성된 결합돌기(201-1)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of the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경질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200)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에 밀착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201-1)가 상기 결합홈(101-1)에 끼워져 걸리도록 상호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의 사이 일측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부를 커버 또는 개방하는 플립 커버(250)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one side betwe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플립 커버(250)의 일측에 구비된 접힘부(252)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의 사이 일측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플립 커버(250)의 접힘부(252)에 형성된 복수의 홀(a)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b)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플립 커버(25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holes (a) formed in the folded
상기 플립 커버(250)는,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되거나,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상태로 될 수 있다. The
상기 분할판(120), 조절판(110), 운지홀(H)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 (도 10 및 도 11)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9.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의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는, 후면판(100a)의 테두리에서 라운딩처리되어 오목한 형태의 홈(103h)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200h)이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The
즉, 상기 커버 부재(200)의 하면에 격벽(203)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홈(200h)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격벽(203)의 형성 높이는 상기 홈(103h)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ormation height of the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면에 결합시 상기 커버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된 격벽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100a)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중공홈(200h)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중공부를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분할판(220), 조절판(210)의 구성과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 (도 10 및 도 11)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0.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도 29)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커버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된 격벽이 별도의 구성요소로 분할 구성된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ig. 29), but the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0), 격벽구조체(300), 커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격벽구조체(300)는, 상하가 개구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 조립됨에 따라 중공홈(도 31의 '100h')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예를 들어, 상기 격벽구조체(300)는, 대략 사각 블록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격벽(303), 상기 격벽(303)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분할판(305), 상기 격벽(303)의 내측면과 분할판(305)의 양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슬롯(3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따라서, 상기 격벽구조체(3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내측에 조립시 격벽(303)과 후면판(100a)에 의해 도 31과 형태로 중공홈(100h)을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커버 부재(200)는, 적어도 상기 중공홈(100h)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격벽구조체(300)의 상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 내측에 결합된다.
The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 to 35.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2,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의 케이스 본체(100)는, 휴대단말기(A)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의 커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200h)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00)의 후면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중공홈(200h)의 깊이만큼 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200)의 전면부상에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격벽(203)이 형성되어 중공홈(200h)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격벽(203)의 형성 높이는 상기 커버 부재(200)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ormation height of the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에 결합시 상기 후면판(100a)의 평평한 외측면이 상기 중공홈(200h)을 형성하는 격벽(203)의 상단부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중공홈(200h)의 개구부가 폐쇄되어 중공부를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의 결합은,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출리브(100a-1)와 상기 돌출리브(100a-1)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부재(20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단차부(200a-1)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경질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200)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후면판(100a) 외측면에 밀착함에 따라 상기 돌출리브(100a-1)가 상기 단차부(200a-1)에 끼워져 상호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를 감싸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 지점에는, 이어캡(400)의 삽입부(410)를 삽입하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용 홈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t one point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urrounding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e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용 홈은,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200)의 일측에는 형성된 거치홀(200ah) 및 상기 거치홀(200ah)에 대응하여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홈(100ah)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groove, as shown in Figure 33 and 34, the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의 결합 시, 상기 거치홀(200ah)과 상기 거치홈(100ah)이 동축상으로 조립되어 이어캡(400)의 삽입부(410)가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따라서, 평상시에는 이어캡(400)의 봉형 부재인 삽입부(410)를 휴대단말기(A)의 이어폰 단자(EH)에 삽입하여 휴대하고, 동영상 재생 시 이어캡(400)의 삽입부(410)를 거치용 홈(100ah, 200ah)에 삽입하여, 도 35와 같은 상태로 휴대단말기(A)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Therefore, usually, the
한편, 상기에서는, 이어캡(400)의 봉형 부재인 삽입부(410)가 삽입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 거치용 홈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후면부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 거치용 홀로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although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th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휴대단말기(A)의 상하좌우 측면부와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A)의 측면부만을 감싸는 범퍼 케이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formed in a shape to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but wrapped up, down, left and right side parts and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A) It may be formed so as to,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mper case surrounding only the sid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는 단일 구성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둘 이상의 요소로 분할되어 조립됨에 따라 일체형의 케이스 본체(100)로 구성되거나 상기 커버 부재(200)가 둘 이상의 요소로 분할되어 조립됨에 따라 일체형의 커버 부재(200)를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00)와 커버 부재(200)는 경질 합성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100:케이스 본체 102:슬롯
110:조절판 120:분할판
130:마우스피스 100h:중공홈
200:커버 부재 IH:주입구
OH:통기구 S:중공부
H:운지홀 P:패킹 부재100: Case body 102: Slot
110: control plate 120: split plate
130:
200: Cover member IH: Inlet
OH: Vent S: Hollow
H: fingering hole P: packing member
Claims (20)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ortion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and the vent is formed to form a hollow portion for generating airflow sound by the flow of air integrally Case for portable terminal.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ortion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having a hollow groove integrally formed to provide a space for forming the hollow portion; An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an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to form the hollow portion.
상기 중공홈은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low groove is formed inside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Case for terminal.
상기 커버 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cover the entir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including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상기 케이스 본체는 휴대단말기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홈은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판 내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부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body is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bile terminal, the hollow groove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side plate of the case body corresponding to the sid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form an opening toward the front, the cover member is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portion of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상기 커버 부재는 단면이 대략 'ㄱ'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일측과 측면판 상부측에 각각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ross-section,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abut on each side of the back plate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case body.
상기 커버 부재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cover member is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 테두리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밀착을 위한 패킹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ning edge of the hollow groo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member for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에 의해 상기 중공홈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he hollow groove is formed integrally to provide a space for forming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body when coupled 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And a cover member which forms the hollow part as the hollow groove is closed by a rear plate.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조립되어 중공홈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의 격벽으로 이뤄진 격벽구조체; 및
적어도 상기 중공홈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판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art o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 partition structure formed of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assembled to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form a hollow groove; An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case body to close at least the opening of the hollow groove to form the hollow portion.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부를 커버 또는 개방하도록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플립 커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lip co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to cover or open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통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hollow portion,
And a control plat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and discharged to the vent.
상기 중공부의 내벽면에는 복수의 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low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slot 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Case for mobile terminal.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유로를 분할하도록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hollow portion,
And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formed to partition the flow path of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어 분할된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순환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절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control panel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 flow sou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ivided flow path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is provided for a mobile terminal case.
상기 중공부의 내벽면 및 상기 분할판에는 복수의 슬롯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은 상기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한 위치의 슬롯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6. The method of claim 15,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partition plate, and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rol plat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slot 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lo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irflow sound.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중공부에는,
손가락의 운지를 통해 기류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운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hollow portion,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ngering hol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 flow sound through the fingering of the finger is formed.
상기 주입구에는 마우스피스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port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thpiece is extended.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커버 부재는 초음파 융착 방법, 열 융착 방법,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접합 방법으로 부착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method of any one of the ultrasonic welding method, thermal welding method,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upling.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부를 감싸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 지점에는, 봉형 부재가 구비된 거치용 지지물의 일부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용 홈 또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t one point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urrounding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ion of the mounting support provided with a rod-shaped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or hole for mounting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Dragon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4113 | 2013-02-07 | ||
KR20130014113 | 2013-02-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4668B1 true KR101264668B1 (en) | 2013-05-15 |
Family
ID=4866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62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4668B1 (en) | 2013-02-07 | 2013-02-15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668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3795B1 (en) | 2013-01-23 | 2014-07-01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Dual support flap case |
USD716783S1 (en) | 2013-04-15 | 2014-11-04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Slim case |
KR101522002B1 (en) * | 2014-09-02 | 2015-05-21 | 여창기 | A protective case for mobile having speaker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
US9110630B2 (en) | 2013-07-25 | 2015-08-18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n adhesive panel |
US9675148B2 (en) | 2015-03-18 | 2017-06-13 | Targus International Llc | Extendable, univers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101781080B1 (en) | 2016-02-23 | 2017-09-22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martphone case |
KR20190091432A (en) * | 2019-07-29 | 2019-08-06 | 신승민 | Heat-radiat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
CN110839323A (en) * | 2019-11-19 | 2020-02-25 | 昆山尚尼司电子科技有限公司 | Combined type machine she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1864A (en) | 1997-12-01 | 1999-06-18 | Seita Nakajima | Emergency lifesaving annunciator |
JP2007061244A (en) | 2005-08-30 | 2007-03-15 | Kyowa Electric & Chem Co Ltd | Portable medicament storage case |
-
2013
- 2013-02-15 KR KR1020130016206A patent/KR1012646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1864A (en) | 1997-12-01 | 1999-06-18 | Seita Nakajima | Emergency lifesaving annunciator |
JP2007061244A (en) | 2005-08-30 | 2007-03-15 | Kyowa Electric & Chem Co Ltd | Portable medicament storage cas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3795B1 (en) | 2013-01-23 | 2014-07-01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Dual support flap case |
USD716783S1 (en) | 2013-04-15 | 2014-11-04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Slim case |
US9110630B2 (en) | 2013-07-25 | 2015-08-18 |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n adhesive panel |
KR101522002B1 (en) * | 2014-09-02 | 2015-05-21 | 여창기 | A protective case for mobile having speaker sound amplification function |
US9675148B2 (en) | 2015-03-18 | 2017-06-13 | Targus International Llc | Extendable, univers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US9700113B2 (en) | 2015-03-18 | 2017-07-11 | Targus International Llc | Extendable, univers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101781080B1 (en) | 2016-02-23 | 2017-09-22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Smartphone case |
KR20190091432A (en) * | 2019-07-29 | 2019-08-06 | 신승민 | Heat-radiat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
KR102110491B1 (en) | 2019-07-29 | 2020-05-13 | 신승민 | Heat-radiat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
CN110839323A (en) * | 2019-11-19 | 2020-02-25 | 昆山尚尼司电子科技有限公司 | Combined type machine she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4668B1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486692Y1 (en) | Case Having Double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 |
US10398205B2 (en) | Water resista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AU2018260952B2 (en) |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 |
JP3200256U (en) |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 object having a thin outer shape | |
CN204131562U (en) | Containment vessel | |
US9462099B2 (en) | Mobile device case | |
CN118972725A (en) | Electronic component and glasses | |
JP2013517390A (en) | Helmet with a surface reinforcing component having an embedded fixture | |
US20200288833A1 (en) | Mobile device cases and case systems with embedded sidewall shock absorber | |
KR101892546B1 (en) | Mobile phone cover | |
US20150014188A1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ims and a material | |
US20200069015A1 (en) | Water resista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13712359A (en) |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 |
CN102802570A (en) | Headgear-earwea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Same | |
JP6402233B1 (en) |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 |
JP5653321B2 (en) |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278447B2 (en) | Adjustable helmet with side protective members | |
CN210137357U (en) | Multilayer dispersion absorption formula prevents falling cell-phone shell | |
KR200473421Y1 (en) | A phone case having a mirror | |
CN108540894A (en) | A kind of earphone waterproof construction and bone conduction earphone | |
JP3873161B2 (en) | Portable terminal | |
CN113520003A (en) | Digital product protective case | |
KR200473005Y1 (en) | Cell phone case | |
CN204859273U (en) | Ultra -thin flexible glue gasbag cell -phone protective shea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