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118B1 -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118B1 KR101264118B1 KR1020120130696A KR20120130696A KR101264118B1 KR 101264118 B1 KR101264118 B1 KR 101264118B1 KR 1020120130696 A KR1020120130696 A KR 1020120130696A KR 20120130696 A KR20120130696 A KR 20120130696A KR 101264118 B1 KR101264118 B1 KR 101264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ource
- user terminal
- user
- source content
-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HAORKNGNJCEJBX-UHFFFAOYSA-N cyprodinil Chemical compound N=1C(C)=CC(C2CC2)=NC=1NC1=CC=CC=C1 HAORKNGNJCEJ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41001342895 Ch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 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여 음원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관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거나 표시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음원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받고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음악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음원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설정한 음원 정보와 함께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상기 서버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될 음원 콘텐츠 및 음원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세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source management means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content list to a user terminal to provide a streaming service and a download service of sound source content; User interface means installed or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sound source content service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et by the server;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database unit included in the server o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eans and including sound source content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r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원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음악 듣기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음악을 검색하는 방법이 음악 타이틀, 가수 이름 등으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노래말 또는 노래 음률은 기억 나는데 타이틀이나 가수 이름을 모를 경우 원하는 음악을 찾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조건을 설정하면, 서비스 음원리스트부에 표시되는 음원리스트의 전반부 또는 후반부에 상기 설정된 검색조건에 맞는 음원 일부가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음원을 선택하여 듣기를 하거나 다운로드를 할 때, 상기 선택된 음원이 재생되기 전 또는 후, 또는 다운로드를 하는 동안 상기 일부 음원이 재생되도록 하기 위한 음원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music listening and downloading service is used to search for music using music titles, singer names, etc., so I can remember the words or song rhythms.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of view, when the user sets a desired search condition, the first part or the second part of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ed in the service sound source list part is displayed, and the user selects the sound source to listen to or downloads the sound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ausing the partial sound source to be played back before or aft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layed or during downloading.
온라인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유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유선인터넷 단말기, 모바일 웹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음원 콘텐츠 제공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content providing services, sound content providing services are expanding through wired Internet terminals, mobile web, or application programs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온라인 음원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음원을 저장하고 있는 웹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앱)에 음원 타이틀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음원 타이틀 리스트 중 희망하는 타이틀을 선택하여 청취하거나 다운로드 벋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찾아서 청취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검색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검색수단은 음악 타이틀 또는 가수 이름 등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악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online music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es a list of sound source titles to a website or an application (app) provided by a web server or an application server storing a sound source, and the user selects a desired title from the sound source title list and listens or downloads it. To help. In addition, a search means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find, listen to, or download desired music. The search means is generally configured to search for a desired music by using keywords such as a music title or a singer name.
그러나 사용자가 특정 음악의 타이틀 및 가수 이름이 기억 나지 않고, 노래말 일부 또는 음률 일부를 기억하고 있거나 들으면 기억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음원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는 상기 특정 음악을 찾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발명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66598호(공개일 : 2004년7월27일)의 “후렴듣기를 이용한 음악검색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로매체”로 공개되어 있다.However,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title and singer name of a specific music, and can remember if he / she remembers or hears part of a song or part of a song, the online music content providing service cannot find the specific music. In view of this problem, the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66598 (published: July 27, 2004), "A method for searching music using chorus listening and a computer-readable cross-sectional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It is open to the public.
상기 공개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가수명을 입력받으면 곡 리스트가 표시되고 표시된 곡 리스트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곡의 후렴듣기를 요청하면 후렴부분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찾고자 하는 음악을 좀더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후렴듣기를 이용한 음악검색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a) 적어도 하나의 가수명, 곡명, 후렴듣기 및 가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이용하여 음악정보DB를 구축하는 단계; (b)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신접속을 이룬 사용자 단말기로 음악 검색 관련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전송된 음악 검색 관련 웹페이지를 통해 가수명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가수명에 대응시켜 저장된 곡 리스트를 전송하고, 전송된 곡 리스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곡의 후렴듣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후렴듣기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선택된 곡의 후렴부분만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ong list is displayed when the input of the singer name from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nd the chorus part is played when the user requests to listen to the desired song among the displayed song list so that the music can be searched more easily and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retrieval method using listening,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For this, (a) mus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singer's name, song name, chorus listening, and lyrics information. Establishing a music information DB using the; (b) transmitting a music search related web page to a user terminal which has ma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 When the artist name is input through the music search related web page transmitted through step (b), the stored song list is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put singer name, and a request for listening to the song selected from the user from the transmitted song list is requested. Receiving a signal; And (d) supporting only the chorus part of the selected song in response to the chorus listening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c).
상기 공개 발명은, 음악을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가수명을 입력하여 검색하여 해당 가수의 음악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후렴 듣기를 요청하여야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In order to search for music, the disclosed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inputs and searches a singer's name to receive a music list of the singer, and selects one of the received lists to request chorus listening.
그러나, 사용자가 가수명을 모르거나 기억하지 못하면 원하는 음악을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know or remember the singer n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music cannot be searched.
따라서, 음원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수명 및 곡명을 모르거나 기억하지 못하고, 음악의 음률 일부만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도 선호하는 음악을 찾아서 들을 수 있는 음원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regarding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 user can find and listen to a favorite music even when a user does not know or remember a singer's name and a song name and only remembers a part of a music's rhythm in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ervice system. do.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을 통한 음원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원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가수명 또는 곡명을 모르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음악의 일부 음률만을 들어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or remember the name or song name of the music preferred by the user receiving the sound source service in the online music servic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selecting and listening to a preferred music with only a partial sound rat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통신 수단으로 접속할 수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포함되었거나 통신 접속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As a technical solu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server to which the user terminal can be connected as a communication means and a database included in or communicated with the server In a system comprising a portion,
상기 서버에 사용자가 선호 음악 조건을 설정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사용자설정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원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음원리스트표시부와;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리스트를 재생시키기 위한 음원재생부와; 상기 서버와의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거나 표시되 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설정부에 설정한 선호 음악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시키기 위한 사용자설정관리부와;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가 수신한 상기 선호 음악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통신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에 저장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설정검색부와;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검색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음원검색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된 음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원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트리밍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된 음원리스트 중 음원을 다운로드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선택된 음원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로드관리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등의 웹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웹콘텐츠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버를 연동시키기 위한 앱연동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 설치된 음원콘텐츠관리수단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1음원DB와; 상기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는 제2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2음원DB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및 제2음원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음원정보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시된다.A user setting unit for setting and storing a favorite music condition in the server; A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ound source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 sound source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sound source list selected by the user; Receives and stores the user interface means installed or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and setting data of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 by the user terminal in the user setting unit. A user setting management unit for making it; A user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setting data of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received by the user setting manager; A user setting search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tored in the user setting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h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A sound source searching unit for searching a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earched by the user setting search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A streaming unit for providing a streaming servic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content when selecting a sound source displayed o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 download manager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is download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 web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web content such as the user interface means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 app interlocking unit for interfacing the application with the server when the application is connected to the server i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interface mean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first sound source DB including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sound source content management means installed in the server, and first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o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 A second sound source DB storing second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database unit including a sound source information DB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and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사용자단말기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할 음원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선호 음악 조건에 해당하는 제2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음원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에 각각 매칭시켜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제1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매칭되어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와;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 종료후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와;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의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와 구분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콘텐츠를 리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이 제시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means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 which a user terminal is installed or transmitting to a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et by the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to a server; Storing, by the server, preference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Requesting, by the user terminal, a sound source lis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by accessing the server; Receiving, by the server,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querying the user information or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tored in a database unit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by match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to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respectively; Selecting a specific first sound source content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Reproducing second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Reproduc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Select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of which playback end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of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There is provided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list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a region separat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온라인을 통한 음원 서비스 시스템에서 음원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가수명 또는 곡명을 모르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음악의 일부 음률만을 들어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who receives the sound service in the online music service system does not know or remember the name or song name of the preferred music, the user prefers to listen to only the partial music rate of the music. You can hear it by selec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서버의 음원관리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사용자설정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음원리스트표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음원재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means of a user termina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management means of the serv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FIG.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FIG. 2.
FIG.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FIG. 2.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음원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여 음원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200)와; 상기 서버(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될 음원 콘텐츠 및 음원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300)를 포함하고;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1음원DB(310)와;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는 제2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2음원DB(220)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및 제2음원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음원정보DB(2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주요부인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가 선호 음악 조건을 설정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사용자설정부(110)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음원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음원리스트표시부(120)와;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리스트를 재생시키기 위한 음원재생부(130)와; 상기 서버(200)와의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거나 표시되는 구성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means which is a main par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서버의 음원관리수단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버가 포함하고 있는 음원관리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상기 사용자설정부(110)에 설정한 선호 음악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시키기 위한 사용자설정관리부(210)와;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210)가 수신한 상기 선호 음악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저장부(22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통신 접속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220)에 저장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설정검색부(230)와;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가 검색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음원검색부(24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에 표시된 음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원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트리밍부(25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된 음원리스트 중 특정 음원을 다운로드 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선택된 음원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로드관리부(26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등의 웹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웹콘텐츠저장부(27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버(200)를 연동시키기 위한 앱연동부(28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부(2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management means of the serv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sound source management means included in th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ceiving and storing setting data of a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 by the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사용자설정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설정부(110)는, 선호 음악이 발표 또는 유행하던 시기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연도선택부(111)와; 선호하는 음악의 장르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장르선택부(112)와; 선호 음악이 발표되었거나 히트한 가요행사 등의 이벤트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이벤트선택부(113)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에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될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재생위치설정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As shown in FIG. 4, the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음원리스트표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는,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제1음원리스트표시부(121)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설정부(110)에서 설정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제2음원 콘텐츠의 위치가 표시되는 제2음원위치표시부(122)(123)을 포함하는 제공음원리스트표시부(124)와; 사용자가 음원재생부(130)에서 제2음원을 리스팅하면 표시하기 위한 제2음원리스트표시부(125)를 포함하는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126)가 포함된 구성이다.FIG.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FIG. 2. As shown in FIG. 5, the sound source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중 음원재생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재생부(130)는,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위치는 제2음원콘텐츠재생표시부(132)(133)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의 전단부에 표시된 상기 제2음원콘텐츠재생표시부(132)의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면서 표시되는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제2음원음악정보표시부(134)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의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면서 표시되는 상기 제1음원 콘텐츠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제1음원음악정보표시부(135)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재생표시부(131)의 후반부에 표시된 상기 제2음원콘텐츠재생표시부(133)의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면서 표시되는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제2음원음악정보표시부(136)를 포함하는 구성이다.FIG.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of FIG. 2. As shown in Fig. 6, the sound
이하,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서버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음원 콘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하여 상기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음원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버(200)에 접속을 하면 상기 서버(200)에서 웹콘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상기 서버(200)로부터 음원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이 표시된다.The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110)를 표시하여 상기 연도선택부(111)에서 선호 음악이 발표된 또는 유행하던 연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호 음악이 1980년대의 음악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연도선택부(111)에서 1980년대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장르선택부(112)에서 선호 음악의 기억하고 있는 음악 장르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1980년대 유행하던 음악으로 발라드 음악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장르선택부(112)에서 발라드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선택부(113)에서 선호 하는 음악이 발표되었거나 히트를 친 가요 행사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1980년대 10대가요상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벤트선택부(113)에서 10대가요상을 선택한다. 상기 연도선택, 장르선택 및 이벤트선택은 선호 음악 조건 설정의 필수 조건이 아니다. 연도선택과 장르선택만을 할 수 있고, 이벤트선택만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연도선택, 장르선택 및 이벤트선택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user displays the
또한, 상기 재생위치설정부(114)에서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될 위치를 설정한다. 제2음원의 전반부, 후반부 또는 후렴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yback
상기 사용자설정부(110)에서 설정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설정부(110)의 저장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되고 상기 서버(200)의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210)가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220)에 저장시킨다.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et by the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하여,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고 음원리스트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음원리스트 전송요청을 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를 표시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음원리스트 전송 요청을 수신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음원검색부(240)에서 서버(100)가 설정한 제1음원 리스트를 음원정보DB(330)에서 가져오고,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210)가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조회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는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220)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저장 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조회한다.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에서 검색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 예를 들면, 1980년대, 발라드, 10대가수상에 해당하는 제2음원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의 음원정보DB(330)에서 가져와 상기 제1 음원 리스트와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상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에 상기 제1 음원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리스트표시부(121)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음원 리스트를 상기 제2음원리스트표시부(122)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음원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원재생부(130)가 표시되고, 상기 제2음원콘텐츠재생표시부(132)의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된다.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시간은 5초 내지 10초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제1음원 콘텐츠 스트리밍 준비가 진행되어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된다. 상기 제2음원 콘텐츠 또는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인 경우, 상기 음원재생부(130)의 리스팅 버튼을 선택한다. 상기 제2음원 콘틴츠 리스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120)의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126)의 제2음원콘텐츠표시부(125)에 상기 제2음원 콘텐츠 정보가 리스팅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상기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126)에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음원재생부(130)에서 재생된다.The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하여,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고 음원리스트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서버(200)에 음원리스트 전송요청을 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를 표시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음원리스트 전송 요청을 수신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음원검색부(240)에서 서버(100)가 설정한 제1음원 리스트를 음원정보DB(330)에서 가져오고,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210)가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조회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는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220)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저장 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조회한다.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230)에서 검색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 예를 들면, 1980년대, 발라드, 10대가수상에 해당하는 제2음원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의 음원정보DB(330)에서 가져와 상기 제1 음원 리스트와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상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120)에 상기 제1 음원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리스트표시부(121)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음원 리스트를 상기 제2음원리스트표시부(122)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상기 제1음원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200)의 상기 다운로드관리부(260)에서 상기 선택된 제1음원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여 다운로드가 될 수 있도록 제어를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미도시한 다운로드진행부가 표시되고, 선택된 제1음원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진행되기 전 또는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된다.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시간은 5초 내지 10초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다운로드되는 동안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인 경우,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리스팅 버튼을 선택한다. 상기 제2음원 콘틴츠 리스팅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120)의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126)의 제2음원콘텐츠표시부(125)에 상기 제2음원 콘텐츠 정보가 리스팅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상기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126)에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음원재생부(130)에서 재생된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시키는 단계(S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1)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S102)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할 음원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S103)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S104)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선호 음악 조건에 해당하는 제2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05)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음원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에 각각 매칭시켜 표시시키는 단계(S106)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제1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S107)와;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매칭되어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S108)와;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 종료후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S109)와;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의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S1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와 구분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콘텐츠를 리스팅하는 단계(S11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method of providing a sound sourc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ecuting an application in which a user terminal is installed or transmitting the same to a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to display a user interface means (S100);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et by the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to a server (S101); Storing, by the server, preference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S102); Requesting a sound source lis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by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server (S103); Receiving, by the server,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inquire (S104) preference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tored in a database unit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S105);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by match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respectively (S106). Wow; Selecting specific first sound source content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S107); Reproduc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S108); Reproduc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S109); Select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which playback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S110); And list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a region separat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S111).
도 8은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시키는 단계(S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1)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S202)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할 음원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S203)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S204)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선호 음악 조건에 해당하는 제2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205)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음원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에 각각 매칭시켜 표시시키는 단계(S206)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제1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S207)와;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매칭되어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S208)와;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되는 동안 또는 재상 종료 후 상기 제1음원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단계(S209)와;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의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S210)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와 구분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콘텐츠를 리스팅하는 단계(S21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eans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by the user terminal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via a web browser (S200);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et by the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to a server (S201); Storing, by the server, preference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S202); Requesting, by the user terminal, a sound source lis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by accessing the server (S203); Receiving, by the server,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querying the user information or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S204);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tored in a database unit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S205);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by match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respectively (S206). Wow; Selecting a specific first sound source content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S207); Reproduc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S208); Download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while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s being played back or after completion of playback (S209); Selecting (S210)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whose playback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of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And list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a region separat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S211).
도 9는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입력된 제1음원 리스트 전송 요청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01)와; 상기 서버의 사용자설정관리부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리스트 전송 요청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설정검색부에 전달하는 단계(S301)와;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사용자설정저장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S302)와;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조회된 상기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의 음원정보DB에서 상기 선호 음악 조건 설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음원 정보를 가져와 서버에서 설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제1음원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03)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정보 및 제2음원 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하는 단계(S304)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제1음원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305)와;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정보와 함께 표시된 제2음원 정보의 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S306)와; 사용자단말기가 재생 중인 또는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7)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정보를 표시시키는 단계(S30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or the first terminal list transmission request,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eans to the server (S301) Wow; Receiving, by the user setting manager of the server, the first sound source list transmiss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the user setting searching unit (S301); Querying, by the user setting search unit, preference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n a user setting storage unit (S302); At least one first sound source set by the server by obtaining at least on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from a sound source information DB of a database unit based on the preferred music condition setting data in which the user setting search unit is querie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user terminal (S303); Displaying (S304) the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by the user terminal on a user interface means;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S305);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content of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S306);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being reproduced or the reproduction terminated (S307); And display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on the user interface means (S3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의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선호 음악 검색 조건을 설정하는 수산과,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검색된 음원 정보를 서버에서 설정한 음원 정보와 함께 표시시키고, 상기 서버에서 설정한 음원 정보를 선택하여 재생시키거나 다운로드를 수행할 때 또는 재생이 종료되었거나 다운로드가 종료된 후, 상기 된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검색된 음원 정보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를 짧은 시간 재생시키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ly som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eries for setting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earched based on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et in the server,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et in the server is displayed.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sound source information based on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described above, when the selection is made to be played back or the download is performed or after the play is finished or the download is finished.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서버
300 : 데이터베이스부
310 : 제1음원DB
320 : 제2음원DB
330 : 음원정보DB100: user terminal
200: Server
300: database unit
310: first sound source DB
320: second sound source DB
330: Sound Source Information DB
Claims (10)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부와; 상기 서버가 설정하여 전송한 제1 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 음원리스트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 한 선호 음악 검색 조건에 해당하고 상기 서버가 전송한 제2 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각각 매칭시켜 표시하기 위한 제2 음원리스트표시부를 포함하는 음원리스트표시부와; 사용자가 상기 제1 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1 음원 콘텐츠가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 완료 후에 상기 제2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제2 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상기 선택된 제1 음원 콘텐츠와 연동되어 있는 제2 음원 콘텐츠를 소정 시간 재생시키기 위한 음원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A server including a sound source management means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content list to a user terminal to provide a streaming service and a download service of the sound source content; User interface means installed or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sound source content service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et by the server; A database unit included in the server or connected by communication means, the database unit including sound source contents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interface means,
A user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A first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et and transmitted by the server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by the server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 by the user setting unit; A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including a second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for matching and displaying the respective content lists;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s,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is interlocked with the selected first sound source content of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second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before or after playback is completed. And a sound source player for reproduc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1음원DB와; 상기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는 제2음원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제2음원DB와;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및 제2음원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음원정보DB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base unit comprises: a first sound source DB storing first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o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A second sound source DB storing second sound source content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And a sound source information DB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and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설정부에 설정한 선호 음악 검색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시키기 위한 사용자설정관리부와; 상기 사용자설정관리부가 수신한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저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통신 접속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설정저장부에 저장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설정검색부와;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검색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음원검색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된 음원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원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트리밍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된 음원리스트 중 특정 음원을 다운로드 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선택된 음원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로드관리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등의 웹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웹콘텐츠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A user setting manager for receiving and storing setting data of a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 by the user terminal in the user setting unit; A user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setting data of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received by the user setting manager; A user setting search unit for recognizing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stored in the user setting storage unit when the user terminal h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A sound source searching unit for searching for sou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searched by the user setting search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earch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 streaming unit for providing a streaming servic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content when selecting a sound source displayed o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 download manager for transmitting a selected sound sourc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a specific sound source is download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a web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web content such as the user interface means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버를 연동시키기 위한 앱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interface mean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e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n app linking unit for interlocking the application and the server.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선호 음악이 발표 또는 유행하던 시기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연도선택부와; 선호하는 음악의 장르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장르선택부와; 선호 음악이 발표되었거나 히트한 가요행사 등의 이벤트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이벤트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제1음원 콘텐츠와 함께 표시될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재생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setting unit,
A year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time when the preferred music was released or popular; A genr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favorite music genre; An ev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r inputting an event such as a music event in which a favorite music is announced or hit; And a playback pos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ayback position of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in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상기 음원리스트표시부는,
사용자가 음원재생부에서 선택한 제2 음원 콘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선호음악리스트표시부를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And a preferred music li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에 입력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상기 서버에 재접속하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재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재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제2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음원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에 각각 매칭시켜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제1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재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가 재생되기 전 또는 재생 완료 후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매칭되어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가 소정 시간 재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와 구분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콘텐츠를 리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Displaying a user interface means transmitted from a server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by the user terminal or through a web browser;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inputted to a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to a server;
Storing, by the server, preference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eans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on which the user terminal is installed and reconnecting to the server or reconnecting to the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Querying, by the server,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onnected;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tored in a database unit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by match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to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respectively;
Selecting a specific first sound source content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Playing,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matched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before or after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selected by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is 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after the reproduction ends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list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an area separat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자설정부에 입력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상기 서버에 재접속하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재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재접속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제2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음원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에 각각 매칭시켜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제1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콘텐츠의 재생전 또는 재생 완료 후에 상기 제1음원 콘텐츠와 매칭되어 표시된 제2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제2음원 콘텐츠의 재생되는 동안 또는 재상 종료 후 상기 제1음원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진행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콘텐츠가 선택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의 음원리스트표시부와 구분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콘텐츠를 리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Displaying a user interface means transmitted from a server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by the user terminal or through a web browser;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inputted to a user setting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to a server;
Storing, by the server, preference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means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on which the user terminal is installed and reconnecting to the server or reconnecting to the server through a web browser;
Querying, by the server,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onnected;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stored in a database unit and a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by match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list to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respectively;
Selecting a specific first sound source content from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list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Reproduc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matched with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before or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ownloading the first sound source content while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s being played or after the playback ends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a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sound source content after the reproduction ends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list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content in an area separated from the sound source list display unit of the user interface means.
상기 서버의 사용자설정관리부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설정검색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사용자설정저장부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상기 사용자설정검색부가 조회된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의 음원정보DB에서 상기 선호 음악 검색 조건 설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음원 정보를 가져와 서버에서 설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제1음원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음원 정보 및 제2음원 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표시된 제1음원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상기 제1음원 정보와 함께 표시된 제2음원 정보의 음원 콘텐츠가 재생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재생 중인 또는 재생이 종료된 상기 제2음원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에 상기 선택된 제2음원 정보를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콘텐츠 제공 방법.Transmitting, by a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a server through a user interface means;
Receiving, by the user setting manager of the server,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or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a user setting searching unit;
Querying, by the user setting search unit of the server,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or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n a user setting storage unit;
At least on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is obtained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B of the database unit based on the preferred music search condition setting data in which the user setting search unit is inquired, and is set in the server; Transmitting one piece of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the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n a user interface means;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means;
Playing sound source contents of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sourc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being reproduced or ended;
And displaying the selected second sound source information on the user interface means of the user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96A KR101264118B1 (en) | 2012-11-19 | 2012-11-19 |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PCT/KR2013/010329 WO2014077597A1 (en) | 2012-11-19 | 2013-11-14 | Sound sourc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696A KR101264118B1 (en) | 2012-11-19 | 2012-11-19 |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4118B1 true KR101264118B1 (en) | 2013-05-14 |
Family
ID=4866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696A KR101264118B1 (en) | 2012-11-19 | 2012-11-19 |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118B1 (en) |
WO (1) | WO2014077597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3812A (en) | 2006-03-02 | 2007-09-13 | Kddi Corp | Music information search system, music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8335B1 (en) * | 2003-01-15 | 2006-03-10 | 박준경 | Method of manufacturing bath water supply system and bath water stock solu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operation of bath water supply system |
KR20070023464A (en) * | 2005-08-24 | 2007-02-2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Virtual PVR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
KR100888341B1 (en) * | 2007-01-04 | 2009-03-1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ound source search system and method, and sound source search server therefor |
KR101415024B1 (en) * | 2007-04-03 | 2014-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search for music using metadata |
-
2012
- 2012-11-19 KR KR1020120130696A patent/KR10126411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
- 2013-11-14 WO PCT/KR2013/010329 patent/WO20140775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3812A (en) | 2006-03-02 | 2007-09-13 | Kddi Corp | Music information search system, music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77597A1 (en) | 2014-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1562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5175446B2 (en) | Portable terminal | |
US20080268772A1 (en) | Personalized radio engine for mobile devices | |
KR20100014821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 recognition | |
KR100805308B1 (en) |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 |
US20110099080A1 (en) |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providing server, and program for use in the same | |
CN112086082A (en) | Voice interaction method for karaoke on television, television and storage medium | |
JP4165249B2 (en) |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 |
JP5431094B2 (en) | Karaoke transmission system, karaoke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3931179B2 (en) | Content playback device | |
JP6261129B2 (en) | Singing recommendation music information system | |
JP4008829B2 (en) | Karaoke song selection system, karaoke remote control device, karaoke device, song selection mediation device | |
JP2003302983A (en) | Method of using personal portable browser terminal as music selection tool for karaoke apparatus, karaoke user support server and karaoke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 |
JP2013050479A (en) | Music data processing device, music data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KR101264118B1 (en) | A music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JP5058728B2 (en) | Digital cont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digital cont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ontrol program for digital cont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 |
KR101002015B1 (en) |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and Real-time Music Search and Playback Method | |
JP5853827B2 (en) | Content spread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ent spread management method | |
JP2021139674A (en) | Content output system and content output method | |
JP4266151B2 (en) | Distribution system, audio device, and continuous playback method | |
KR20020088941A (en) | music service provid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is system | |
JP5350306B2 (en) |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control program for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of | |
JP2005055628A (en) | Karaoke device | |
JP2007299336A (en) | Site retrieval method, site retrieval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 |
KR1012432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cont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