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3983B1 -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983B1
KR101263983B1 KR1020090104805A KR20090104805A KR101263983B1 KR 101263983 B1 KR101263983 B1 KR 101263983B1 KR 1020090104805 A KR1020090104805 A KR 1020090104805A KR 20090104805 A KR20090104805 A KR 20090104805A KR 101263983 B1 KR101263983 B1 KR 10126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copolymer
ethylene
meth
alloy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125A (ko
Inventor
나상욱
최기대
김헌수
채희숙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0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8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alloy)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1) 폴리유산 10~60 중량%; 2) 프로필렌계 수지 20~80 중량%; 3) 반응성 상용화제 1~20 중량%; 4) 충격 보강제 5~30 중량%; 및 5)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0.1~1.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얼로이 조성물을 통하여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블로우 성형을 위한 용융 점도 향상, 패리슨 안정성과 내충격성, 신율을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의 균형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재료로 하여 블로우 성형체를 제조하면 외관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생활 용품이나 산업 자재 등을 얻을 수 있다.
폴리유산, PLA, 폴리프로필렌, 얼로이, 상용화제, 생활용기, 블로우(Blow), 친환경, 바이오매스(Biomass)

Description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Polymer alloy composition comprising poly-lactic acid for consumer plastic containers with excellent blow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상용화 극복을 통한 블로우 성형에 적합한 친환경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고형상의 재료에 열을 가하면 연화 또는 융융하여 가소성(plasticity : 작용한 외력으로 생긴 변형이 외력 제거 시에도 변형된 상태로 남는 성질) 또는 점성이 생기고 냉각시 다시 고형상이 되는 성질의 수지로 투광성이 있고 2차 성형 및 자유성형이 가능하나 강도와 연화점은 낮아 구조재보다는 마감재에 적합한 특징이 있어, 보통 포장재료, 식품용 용기, 잡화, 가정용 전자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비 닐아세틸수지, 메트아크릴산메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셀룰로이드 수지 등이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한 제품은 짧게는 일 이년, 길게는 십년 넘게 사용되다 폐기되며 결국은 매립 또는 소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및 석유자원의 고갈, 폐기물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부가되어 기존 석유화학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식물 또는 천연계 물질을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특히 교토 의정서, 발리 로드맵 등의 온실가스 감축 협정에 의해 석유화학 원료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대신 식물 또는 천연계 물질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관심 및 개발이 본격화하였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폴리글리콜산, 폴리유산, 폴리카프로락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이 알려져 있다. 이중 폴리유산(poly-lactic acid)은 옥수수나 고구마 등의 식물유래 전분을 발효하여 얻어지는 락트산(유산)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한정된 석유화학 자원에 의존할 필요가 없고, 다른 수지에 비해 비용이나 물성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유망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다. 폴리유산은 원료인 락트산의 고리열림 중합에 의해 얻어지며, 이 때 유산의 광학 이성질체의 함량에 따라 결정성 혹은 비결정성의 폴리유산이 제조된다. 폴리유산은 기존의 다른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물성으로 전체 바이오플라스틱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유산도 분자 구조가 경직되어 있기 때문에 신율이나 유연성이 떨어지고, 내충격성이 낮은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 생활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필요한 물성인 블로우 성형성도 취약하였다. 그에 반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바이오매스의 성분은 없지만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렴하여 생활 용기 소재로 널리 쓰여 왔다. 이 때문에 이 분야에서는 바이오플라스틱의 대표격인 폴리유산과 폴리올레핀의 고분자 합금(alloy)을 이루어 자연친화성과 기계적 물성을 조화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제조하려는 연구가 그 동안 진행되어 왔으나, 폴리유산은 극성이 커서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러한 폴리유산의 결점과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폴리유산과 폴리올레핀, 작용기 함유 수소 첨가 디엔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었으나, 내충격성이 불충분하고 블로우(Blow) 성형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폴리유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각종 상용화제를 포함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블로우 성형에 대한 기술적 어려움이 여전했다. 한편,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에, 랜덤 공중합체, 변성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다양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병행사용 등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블로우 성 형의 어려움 및 수지간 상용성이 부족하였고, 병과 같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블로우 성형시 필요한 내충격성이 불량한,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의 고분자 얼로이조성물로서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 사이의 상용성 문제를 해결하고, 폴리유산으로 인한 신율 저하, 강직성, 내충격성 저하가 없는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블로우 성형성이 좋고 물성 균형이 우수한 환경 친화적인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태양에서는,
1)폴리유산 10~60 중량%, 2) 프로필렌계 수지 20~80 중량%, 3) 반응성 상용화제 1~20 중량%, 4) 충격 보강제 5~30 중량%와 5)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0.1~1.0 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얼로이 조성물에서 반응성 상용화제로는 폴리유산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와 비닐기를 적어도 하나씩 갖추고 있는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과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충격 보강제로는 엘라스토머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로는 폴리유산 사슬 말단의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은,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 수지간의 상용성이 큼과 동시에 블로우 성형을 위한 용융점도가 향상되므로 인해, 친환경적인 용기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상기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재료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이용하면 블로우 성형이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해, 친환경적인 용기 등의 제작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은 종래의 폴리유산이 가진 강직성의 문제, 신율저하의 문제, 내충격성의 저하의 문제를 극복하여, 블로우 성형에 적합한 용융점도의 향상, 패리슨 안정성과 내충격성 향상, 신율 향상과 균형있는 물성의 함유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조성물을 통하여, 손쉽게 친환경 소재의 생활용기, 필름, 시트 등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재료로 하여 생산되는 각종 제 품은, 종래 열가소성 수지가 지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즉, 상기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재료로 한 제품은 내충격성이 강하며, 균형있는 물성을 지님으로 인해, 기존의 열가소성수지가 사용되는 분야에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있으며 외관이 우수한 제품을 블로우 성형 등을 통해 대량 생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환경적인 면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폴리유산의 함유로 인해, 제품의 폐기시에는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이루어진 재료의 소각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의 양을 줄임으로써 환경 보전 면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성과 내충격성이 좋은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은 폴리유산 10~60 중량%, 프로필렌계 수지 20~80 중량%, 반응성 상용화제 1~20 중량%, 충격 보강제 5~30 중량%와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0.1~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유산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것을 사용하면 무방하나, 현실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폴리유산의 분자량을 감안하면 분자량이 100,000 ~ 30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유산으로는 폴리L-유산, 폴리D-유산, 폴리(D,L)-유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유산은 바람직하게 유산의 광학 순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L-유산, 폴리D-유산, 그리고 폴리(D,L)-유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이성질체가 85%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95% 이상 포함될 경우에는 내열성 및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유산 함량은 10 중량%에서 60 중량% 범위인 것이 바이오매스 함량과 생활 용기로서의 각종 물성과 제조시의 용이성 등을 감안할 때 적당하다. 폴리유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바이오매스 함량이 거의 없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의미가 미미해진다.
한편, 국내에서는 식물기반 폴리 유산을 비롯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최소사용량에 대한 규정 및 환경마크 제도 등이 아직 정비되어 있지 않지만, 일본 플라스틱협회(JBPA, Japan BioPlastics Association)의 친환경 플라스틱 인증 기준인 바이오매스플라(Biomasspla) 인증 기준을 따를 때, 폴리유산 함유량은 최소값인 10 중량%를 넘어 전체 수지 조성물 중 25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5 중량%를 넘는 양의 폴리유산을 사용하면 앞서 본 일본 시장에서 친환경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폴리유산 함량이 60 중량%를 넘으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 신율, 내충격성, 내열성이 나빠져 전반적인 물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이 주모노머로 포함된 프로필렌과 올레핀의 공중합체, 특히 탄소 수 2~20의 지방족 올레핀 또는 방향족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일컫는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호모고분자,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무작위 공중합체, 프로필렌-a-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이오매스의 사용으로 인한 친환경성,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에 쓰일 수 있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조건은 생활 용기 제조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가 용도에 맞게 정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약이 없다. 구체적 예를 하나 들자면 본 발명의 한 실시 태양에서는 높은 블로우 성형성을 위하여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로 230℃,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가 0.1~5.0 g/10분인 프로필렌계 고분자를 사용한다. 0.1~4.0 g/10분 범위의 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면 블로우 성형성이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상용화제는 상기 폴리유산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와 비닐기를 동시에 갖춘 어느 한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 둘 이상의 혼합물을 일 컫는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상용화제는 비닐기가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좋으며, 폴리유산과 반응성이 있는 부위를 통하여 폴리유산과 결부될 수 있으므로, 폴리프로필렌의 매트릭스 속에 폴리유산이 고르게 미세 분산되도록 도와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의 예를 일부만 들자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노말부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acrylate)과 메타아크릴산(methacrylate)을 통틀어 일컫는 표현으로서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중 어느 쪽이라도 무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로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노말부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인 경우는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모노머를 중합시 5~20 중량%로 하여 중합한 공중합 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은 1~20 중량%인 것이 경제성과 고분자의 물성 조화 효과 면에서 적당하다. 반응성 상용화제의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유산이 고루 분산되지 못하므로 기계적 물성이 열악해진다. 함량이 20 중량%를 넘어 반응성 상용화제를 투입하는 것은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의 내열도 등 기계적 물성저하 및 경제성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충격 보강제는 최종 제품의 내충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를 일부만 들자면, 에틸렌-a-올레핀계 충격 보강제, 메타아크릴산메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 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계 충격 보강제, 실리콘계 충격 보강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충격 보강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충격 보강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의 5~30 중량%를 차지하면 우수한 충격 강도와 신율을 얻게 해 주어서 적당하다. 반면에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부족하고, 30 중량%를 넘게 되면 내충격성과 신율이 좋지만 폴리유산,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을 악화시키고, 내열성을 떨어뜨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충격 보강제 중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메탈로센 촉 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의 물성은 190℃,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가 0.1~5.0 g/10분인 고분자를 사용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는 폴리유산 고분자 사슬 말단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폴리유산의 용융점도(melt strength)를 높이고 , 가수분해성에 대한 저항성을 키워 주고 패리슨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사슬 연장제를 사용하면 폴리유산의 분자량이 커져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전체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의 유동성이 블로우 성형에 범위로 낮아져 블로우 성형성의 개량을 이룰 수 있다.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로는 폴리유산 사슬 말단의 히드록시기나 카르복시기와 반응하여 공유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물질, 특히 단량체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있는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카보디이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의 더 구체적인 예시 물질로는 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스테아르산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에폭시 화합물, 노볼락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 함유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글리시 딜, 치환 페닐카보디이미드(modified phenylcarbodiimide), 폴리(톨릴카보디이미드), 폴리(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비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파라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3,3'디메틸-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등의 카보디이미드 계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슬연장제 화합물은 에폭시기 함유 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또는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난연제, 윤활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반응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 부여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 보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연기억제제, 불소계 적하 방지제, 무기 충전제, 유리 섬유,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를적절히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 상기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의 다른 물리적 성질에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에서 함량을 증감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내용이다.
앞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조성물은 용융 점도가 향상된 특성, 강화된 패리슨(용융된 수지가 형상을 갖추면서 유동성도 있는 상태) 안정성과 내충격성 향상, 신율 향상 등 물성의 균형이 잡혀있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 또 는 압출 성형하여 각종 친환경 소재의 생활용기, 필름, 시트 등 여러 가지 성형체를 제조하는데 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단층으로 또는 다층 구조로 제조한 생활 용품용 용기, 산업재 또는 포장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조성물이 함유되는 이상, 상기 성형체의 성형된 구조에 있어서는 그 구조가 여러가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표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의 물성 측정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조성물의 성분을 이루는 폴리유산, 프로필렌계 수지, 반응성 상용화제, 충격 보강제,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그리고 기타 첨자제를 포함하여, 상기 조성물을 슈퍼믹서에서 일차 혼합한 후 통상적인 방법인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일출 압축기(single-screw extruder), 롤밀(roll-mills), 니더(kneader) 또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등 다양한 배합 가공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용융 혼 련한 후, 펠렛타이저(pelletizer)로 펠렛(pellet)을 얻은 다음 제습 건조기 도는 열풍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사출 가동하여 물성을 측정한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 대한물성을 각 조성%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를 살펴본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을 통한 각 조성 % 에 대한 물성은 표 1에 나타내었고, 비교예1 내지 비교예8을 통한 각 조성 %에 대한 물성은 표 2를 통해 나타내었다.
표 1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서, 표 1의 조성% 에 맞게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한 후 슈퍼믹서(super mixer)로 잘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200~230℃ 온도구간에서 용융 혼련하여 압출가공 하였다. 최종 펠렛화 한 다음 80℃ 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 성형하여 상온에서 1일 방치 후, 시편들에 대한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 2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조성 % 에 따른 물성 측정을 위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조성 %와 달리하여 표 2의 조성 % 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의 상기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물성평가>
1. 인장강도 및 신율 : ASTM D683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율 : ASTM D790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노치 아이조드(Notched Izod) 충격강도 : ASTM D256 방법에 의거, 1/8 인치(inch) 두께 시편에 노치 후 상온(23℃) 에서 측정하였다.
<성형성 및 외관 평가>
1. 패리슨 안정성: 공압출 다이(다이온도 230℃) 에서 패리슨(Parison)으로 압출하고 패리슨의 용융점도(melt strength) 상태, 표면, 처짐(sagging) 등의 성형성 및 외관을 육안으로 보면서 종합적으로 패리슨(Parison)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패리슨의 외관이 우수하고 처짐이 없으면 ◎(우수)로 , 외관은 우수하나 패리슨 처짐이 약간 있으면 ○(양호)로, 외관이 불량하고 처짐이 있으면 △(성형 어려움)으로, 용융점도 저하로 패리슨 형성이 안되어 블로우 성형이 불가능하면 X(성형불가)로 평가하였다.
< 표 1과 표 2에 나타낸 조성물 성분들의 구체적인 내역 >
A. 폴리유산 : PLA, 네이쳐웍스(Natureworks LLC) 4032D
B-1. 폴리프로필렌 수지 : 블록 공중합체, 폴리미래 Moplen EP 332C
B-2. 폴리프로필렌 수지 : 블록 공중합체, 효성 J440
B-3. 폴리프로필렌 수지 : 랜덤 공중합체, LG화학 T3410
C-1. 반응성 상용화제 :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인 일본 스미토모 화 학의 Igetabond 2B
C-2. 반응성 상용화제 :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그라프트 에틸렌-옥텐계 공중합체인 미국 듀폰(Dupont)의 Fusabond MN 493D
C-3. 반응성 상용화제 :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인 LG화학의 PB 050
D-1. 충격 보강제 : 에틸렌-1-옥텐계 공중합체인 LG화학의 LC 170
D-2. 충격 보강제 : 에틸렌-1-부텐계 공중합체인 일본 미쯔이 화학의 Tafmer DF-605
E-1.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 에폭시 함유 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독일 바스프(BASF)의 ADR-4300
E-2.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인 니신보 화학(Nisshinbo chemical)의 Carbodilite HMV-8CA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조성
(%)
PLA A 20 30 30 30 30 40 40 50
PP B-1 65 55 55 42 38 20
B-2 55
B-3 55
상용화제 C-1 5 5 5 5 5 8 10 10
C-2
C-3
충격보강제 D-1 10 10 10 10 10 10 20
D-2 10
사슬연장제 E-1 0.1 0.1 0.3 0.3 0.3 0.3 0.3
E-2 0.6
물성 인장강도(kgf/cm2) 197 250 245 186 215 236 222 203
인장신율(%) 130 210 100 90 190 280 350 440
굴곡탄성율(kgf/cm2) 10,130 12,100 11,100 9,700 10,100 12,600 11,800 11,500
굴곡강도(kgf/cm2) 317 353 382 260 271 388 334 320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 36 51 35 20 49 40 51 64
패리슨 안정성
구분 비교예
1 2 3 4 5
조성
(%)
PLA A 10 30 30 40 70
PP B-1 90 65 65 50 25
B-2
B-3
상용화제 C-1 0.5
C-2 5
C-3 5
충격보강제 D-1
D-2 10
사슬연장제 E-1
E-2
물성 인장강도(kgf/cm2) 198 193 241 312 510
인장신율(%) 25 5.8 6.1 2.4 0.5
굴곡탄성율(kgf/cm2) 10,130 11,540 13,460 18,950 30,350
굴곡강도(kgf/cm2) 317 345 388 423 940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 20 6.6 7.2 3.1 1.4
패리슨 안정성 X X
도 1은 반응성 상용화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종래 기술의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 고분자 얼로이의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반응성 상용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태양에 따른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 고분자 얼로이의 단면을 나타낸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12)

1) 폴리유산 10~60 중량%;
2) 23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가 0.1~5.0 g/10분인 프로필렌계 수지 20~80 중량%;
3) 반응성 상용화제 1~20 중량%;
4) 충격 보강제 5~30 중량%; 및
5)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크릴산노말부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충격 보강제는 190 ℃,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가 0.1~5.0 g/10분인 에틸렌-α-올레핀계 충격 보강제, 실리콘계 충격 보강제, 및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충격 보강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폴리유산 사슬 연장제는 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스테아르산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에폭시 화합물, 노볼락 에폭시 화합물, 에폭시 함유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치환 페닐카보디이미드, 폴리(톨릴카보디이미드), 폴리(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폴리(3,3'디메틸-4,4'비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파라페닐렌카보디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카보디이미드 및 폴리(3,3'디메틸-4,4'디페닐메탄카보디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 300,000 이고 폴리L-유산, 폴리D-유산, 폴리(D,L)-유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호모고분자,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무작위 공중합체, 프로필렌-a-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크릴산노말부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모노머는 5 내지 20 중량% 함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난연제, 윤활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반응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 부여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 보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연기억제제, 불소계 적하 방지제, 무기 충전제, 유리 섬유,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조성물을 블로우 성형 또는 압출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체.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단층으로 또는 다층 구조로 제조한 생활 용품용 용기, 산업재 또는 포장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KR1020090104805A 2009-11-02 2009-11-02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Active KR10126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805A KR101263983B1 (ko) 2009-11-02 2009-11-02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805A KR101263983B1 (ko) 2009-11-02 2009-11-02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125A KR20110048125A (ko) 2011-05-11
KR101263983B1 true KR101263983B1 (ko) 2013-05-13

Family

ID=4423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805A Active KR101263983B1 (ko) 2009-11-02 2009-11-02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11A (ko) 2014-08-11 2016-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85615A (zh) * 2015-02-13 2016-10-05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聚乳酸复合材料及其产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402B1 (ko) * 2011-02-14 2014-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275451B1 (ko) * 2011-04-14 2013-06-14 삼성토탈 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379612B1 (ko) * 2011-05-17 2014-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6019930B2 (ja) 2011-09-02 2016-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4782B1 (ko) * 2011-09-05 2013-02-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BR112015017286B1 (pt) * 2013-03-05 2020-06-09 Total Res & Technology Feluy artigo revestido
CN114149637A (zh) * 2022-01-10 2022-03-08 广东圆融新材料有限公司 聚丙烯-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892A (ja) * 2007-10-17 2009-05-07 Inoac Corp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9227982A (ja) 2008-02-29 2009-10-08 Sanyo Chem Ind Ltd 樹脂用相溶化剤
US20090269527A1 (en) 2008-04-29 2009-10-29 Dimitris Ioannis Collias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and Polyolef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892A (ja) * 2007-10-17 2009-05-07 Inoac Corp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9227982A (ja) 2008-02-29 2009-10-08 Sanyo Chem Ind Ltd 樹脂用相溶化剤
US20090269527A1 (en) 2008-04-29 2009-10-29 Dimitris Ioannis Collias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and Polyolef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11A (ko) 2014-08-11 2016-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외장재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85615A (zh) * 2015-02-13 2016-10-05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聚乳酸复合材料及其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125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983B1 (ko)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KR101340696B1 (ko) 폴리유산 수지 함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US9238731B2 (en) Reinforcing additives for composite materials
JP2011236443A (ja) 植物系樹脂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系樹脂含有成形体
CN101704969A (zh) 一种注射用塑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815101A (zh) 一种无卤阻燃、玻纤增强pa/as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2679862A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573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275451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2005307157A (ja) 新規相溶化剤および該相溶化剤を用いた極性ポリマー組成物
KR101388402B1 (ko)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20110064033A (ko)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4058610A (ja) 樹脂成形体
US20120196957A1 (en) Compatibilizer Blend For Polymeric Compositions
JP5517849B2 (ja) 樹脂組成物
KR101620135B1 (ko)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2437733B1 (ko) 친환경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9155A (ko)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34782B1 (ko)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US7619034B2 (en) Injection molding produced from biodegradable aromatic polyester blen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2188497A (ja) 樹脂組成物
KR102835169B1 (ko) 사출성형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40079574A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