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3556B1 -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556B1
KR101263556B1 KR1020100116446A KR20100116446A KR101263556B1 KR 101263556 B1 KR101263556 B1 KR 101263556B1 KR 1020100116446 A KR1020100116446 A KR 1020100116446A KR 20100116446 A KR20100116446 A KR 20100116446A KR 101263556 B1 KR101263556 B1 KR 10126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light
unit
las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999A (ko
Inventor
안진철
이정구
정필상
이영기
조윤경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556B1/ko
Priority to PCT/KR2011/008936 priority patent/WO2012070850A2/ko
Publication of KR2012005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5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화면부, 조작부, 수화부 및 카메라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수화부 및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 상단에 배치되는 광조사 모듈, 및 상기 광조사 모듈로 진입하는 레이저 광의 파장 대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 모듈은 복수의 파장 대역대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레이저 파장 대역의 조합을 통해 생체 리듬에 적합한 대역의 파장을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써 탈모 및 생체 치료 기능을 높이게 한다.

Description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Cellular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light irradiating}
본 발명은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및 수화부 둘레에 레이저 조사부와 발광부를 조합 배열하여 두피를 포함한 생체부위에 다파장 대역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생체치료기능을 갖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출력 레이저치료(LLLT : Low Level Laser Treatment)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치료법으로써 약한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하면 DNA를 자극, 단백질 합성을 늘리고 세포분열을 활발하게 만들어 혈액순환 개선효과와 손상된 조직의 재생과 피부궤양치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치료의 효과를 기기에 응용한 것으로서 레이저를 두피에 조사하여 두피의 모낭 등을 자극함으로서 탈모증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된 레이저 조사기(한국등록특허 제0549525호;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와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탈모치료기(한국등록특허 제0546080호; 이하 "인용발명2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인용발명1,2에서는 제 1 출력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출력 파장과 그 값이 다른 제2 출력 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교대로 배열된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두피에 조사될 때 머리카락을 빗질하여 머리카락을 벌려주도록 구성된 빗솔부를 포함하는 저출력 레이저 조사기이다.
이러한 인용발명1,2는 모두 독립된 기기로 된 것이며, 따라서 별도로 휴대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어서 원하는 장소, 원하는 시간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인용발명1,2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휴대하게 되는 휴대폰으로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두피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탈모 치료기능을 갖는 휴대폰(한국등록특허 제0777661호;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함)에서는 표시부(3), 버튼부(7), 카메라 렌즈(1), 광 출력부(4)가 구비된 케이스(2) 형태의 휴대폰(10)에서 상기 광 출력부(4)에 다수의 빗솔(6)이 돌출 형성된 빗솔부(5)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두피에 대한 탈모 치료를 시행하게 한다.
상기 휴대폰(10)에서 사용하는 버튼부(7)의 선택에 의해 휴대폰(10)에 내장된 중앙제어부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가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광 출력부(4)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광을 두피에 조사하여 모낭세포의 활성화와 두피조직의 혈류 증가를 최적화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시 이에 인접하여 설치된 가시광 다이오드가 점멸되도록 함으로서 안전한 사용을 유도하며, 카메라 렌즈(1) 촬영 시 저조도인 경우 보조 광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인용발명3의 경우에는 휴대폰(10)을 이용하여 적절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탈모를 방지한다는 내용은 기술되어 있지만 어느 특정파장 대역 대에서 두피의 혈류를 증가하고 또한 파장을 복수개로 조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즉, 단순히 탈모를 방지하게 하기 위해서 임의의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는 구성을 알 수 있을지언정, 레이저 파장 대역대 별로 어떤 조합을 통해 최적의 조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은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상 휴대폰을 휴대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경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레이저 파장 대역의 조합을 통해 생체 리듬에 적합한 대역의 파장을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써 탈모 및 생체 치료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화면부, 조작부, 수화부 및 카메라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광조사 모듈, 및 상기 광조사 모듈로 진입하는 광의 파장 대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서로 상이한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조사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레이저 조사부 및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상이한 파장 대역의 광을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 모듈은 515~1200nm 범위의 파장 대역대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 모듈은 상기 수화부 및 카메라부를 중심으로 3개가 삼각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광조사 모듈은 별개의 파장 대역대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대역대는 395 내지 415nm의 제 1 파장 대역대, 620 내지 640nm의 제 2 파장 대역대, 및 585 내지 605nm의 제 3 파장 대역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은 상기 광조사 모듈 주위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빗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빗솔부는 중공의 판넬형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빗솔,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레이저 파장 대역의 조합을 통해 생체 리듬에 적합한 대역의 파장을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써 탈모 및 생체 치료 기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통화 및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경우에는 생체 치료의 임상적 효과로 확인된 다파장 대역의 레이저 펄스를 생체부위에 조사하여 생체세포 및 발모촉진을 위하여 레이저 조사기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가 낮은 장소에서 사진촬영을 할 때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보조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파장 대역의 레이저 펄스를 조합하여 생체 부위별로 적합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절한 치료효과를 지원하게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모치료 기능을 갖는 휴대폰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개념도, 및
도 3은 본 발명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의 구동 형태를 보이는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100)은 본체(101), 본체(101)의 전면 상단에 배치된 광조사 모듈(110), 및 광조사 모듈(110) 주위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빗솔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1)는 그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판넬 방식의 화면부(102), 화면부(102)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조작부(103), 본체(101)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조작부(108), 화면부(102)의 상단에 배치되는 수화부(105)와 카메라부(106), 상기 수화부(105)와 카메라부(106)의 가장자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홈(107)을 포함한다. 고정홈(107)은 카메라부(106) 및 수화부(105)의 외측 가장자리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폰(100)은 그 기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조사 모듈(110)은 탈모 치료를 하기 위하여 두피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이저 조사부(111)와 레이저 조사부(111)에서 레이저가 출력할 때 안전을 위하여 시각적으로 주의를 환기시킴과 아울러 보조광원으로 사용되는 발광부(113)를 포함하고, 광조사 모듈(110)은 그 배치의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부(106) 및 수화부(105)의 상하부에 교번으로 조합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부(106) 및 수화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3개의 광조사 모듈(110)이 삼각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레이저 광의 안정된 방출을 기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광조사 모듈(110)은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부(106) 및 수화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일정 간격으로 조합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레이저 조사부(111)에는 레이저 다이오드(LD)가 설치되고, 발광부(113)에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설치가 가능하다.
빗솔부(120)는 중공의 판넬형 몸체(121), 몸체(121)의 상면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빗솔(122), 및 몸체(121)의 하단에 배치되는 걸림 돌기(124)를 포함한다. 빗솔(122)은 머리카락을 빗질하는 동시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끝이 둥근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되며, 걸림 돌기(124)는 고정홈(107)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빗솔부(120)의 본체(101)의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빗솔부(120)는 두피 등의 피부에 닿을 때 상처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경도를 가진 고무 재질이나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되, 휴대폰의 본체(101)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빗솔부(120)를 투명의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하여 발광부(113)의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광하는 색상에 의해 빗솔부(120)의 색상이 육안으로 아름답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의 블럭다이아그램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100)에서 레이저 조사부(111) 및 발광부(113)를 구동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화면부(102), 전원부(109), 제 1,2 조작부(103,108), 및 무선 통신 유닛(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2 조작부(103,108)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화면부(102)에 디스플레이되어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무선 통신 유닛(150)은 제 1,2 조작부(103,108) 등을 통한 직접적인 입력없이 무선으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14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연결된 광 조절부(130)가 광조사 모듈(110)에 배치되는 다이오드로의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광 조절부(130)는 레이저 조사부(111)에 접속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조절부(131)와 발광부(113)에 접속되는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133)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조절부(131)는 휴대폰(100)의 제어부(140)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받아 레이저 조사부(111)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LD)로 공급되는 파장 대역대를 조절한다. 더불어,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133)는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출력 정도에 따라 발광부(113)에서 방출되는 광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133)의 구동 방식에 대해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 조사부(111)가 미사용되는 경우에는 발광부(113)가 보조광원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부(140)에서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133)를 통해 발광부(113)가 고조도의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레이저 조사부(111)를 통해 레이저광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40)에서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133)를 통해 발광부(113)가 저조도의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휴대폰(100)은 레이저 조사부(111) 및 발광부(113)를 구동하는 타이밍과 펄스 폭 등이 제어부(140)에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제 1,2 조작부(103,108)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조사 모듈(110)을 통해 다파장 대역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부(109)를 이용하여 휴대폰(100)의 전원을 켜고, 제 1,2 조작부(103,108) 또는 화면부(102)의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생체 치료를 위한 입력 작업을 개시한다.
탈모 및 생체 치료를 위한 레이저의 파장은 515~1200nm 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파장 대역대는 제어부(140)에 기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파장대역대는 1mW 내지 500mW 범위의 저출력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파장의 레이저 광은 광 조절부(130)의 레이저 다이오드 조절부(131) 및 광조사 모듈(110)의 레이저 조사부(111)에 의하여 전방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산되는 레이저 광은 레이저 다이오드 조절부(131)의 필터(미도시)에 의하여 걸러져서 특정 파장대의 레이저 광만이 통과하는 것이며, 실시예로서 620 내지 640nm의 레이저 광은 피부 노화 억제에 효능이 있고, 395 내지 415nm의 레이저 광은 여드름 완화에 효능이 있으며, 585 내지 605nm의 레이저 광은 피부 탄력에 기여하는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실험상 밝혀진 결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파장 대역의 레이저 광을 통과시킴으로서 생체 치료에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여드름이 발생하는 얼굴 등의 생체 부위에 별도의 약제를 도포한 후에 상기 395 내지 415nm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그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장 대역 대에서 각각 405nm, 595nm, 및 630nm의 파장으로 설정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3개 파장 대역대에서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광조사 모듈(110)이 삼각 형상으로 배치되어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2 조작부(103,108) 또는 화면부(102)에서의 조작을 통해 광조사 모듈(110)을 통한 자유로운 파장 대역대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제어부(140)에 기설정된 각각의 광조사 모듈(110)에서의 한정된 파장 대역을 방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레이저 파장 대역의 조합을 통해 생체 리듬에 적합한 대역의 파장을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써 탈모 및 생체 치료 기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101 : 본체
102 : 화면부
103 : 제 1 조작부
105 : 수화부
106 : 카메라부
107 : 고정홈
108 : 제 2 조작부
109 : 전원부
110 : 광조사 모듈
111 : 레이저 조사부
113 : 발광부
120 : 빗솔부
121 : 몸체
122 : 빗솔
124 : 걸림 돌기
130 : 광 조절부
131 : 레이저 다이오드 조절부
133 : 가시광 다이오드 조절부
140 : 제어부
150 : 무선 통신 유닛

Claims (7)

  1. 화면부, 조작부, 수화부 및 카메라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카메라부 주위에 배치되는 광조사 모듈; 및
    상기 광조사 모듈로 진입하는 광의 파장 대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레이저 조사부 및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 모듈은 395 내지 415nm의 제 1 파장 대역대, 620 내지 640nm의 제 2 파장 대역대, 및 585 내지 605nm의 제 3 파장 대역대를 포함하는 적어도 세가지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 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과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광조사 모듈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과 상기 화면부의 출력을 통하여 상기 광조사 모듈을 통해 자유로운 파장 대역대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한정된 파장 대역을 방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상이한 파장 대역의 광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광조사 모듈 주위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빗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빗솔부는 중공의 판넬형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빗솔,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1020100116446A 2010-11-22 2010-11-22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46A KR101263556B1 (ko) 2010-11-22 2010-11-22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PCT/KR2011/008936 WO2012070850A2 (ko) 2010-11-22 2011-11-22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446A KR101263556B1 (ko) 2010-11-22 2010-11-22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99A KR20120054999A (ko) 2012-05-31
KR101263556B1 true KR101263556B1 (ko) 2013-05-13

Family

ID=4614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4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556B1 (ko) 2010-11-22 2010-11-22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3556B1 (ko)
WO (1) WO20120708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02A (ko) * 2014-10-22 2016-05-02 이상헌 모발 성장 촉진용 광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109B1 (ko) * 2015-02-12 2018-06-11 주식회사 칼라세븐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61B1 (ko) * 2006-08-10 2007-11-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기능을 갖는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72A (ko) * 2000-08-08 2000-11-06 신정환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한 다파장 헤어 치료기
KR20060134889A (ko) * 2006-12-07 2006-12-28 주식회사 옵토웰 모발관리용 레이저 조사기
KR100995427B1 (ko) * 2008-06-13 2010-11-18 원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모발성장 촉진 레이저 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61B1 (ko) * 2006-08-10 2007-11-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기능을 갖는 휴대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02A (ko) * 2014-10-22 2016-05-02 이상헌 모발 성장 촉진용 광 치료기
KR101712286B1 (ko) * 2014-10-22 2017-03-03 이상헌 모발 성장 촉진용 광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99A (ko) 2012-05-31
WO2012070850A2 (ko) 2012-05-31
WO2012070850A3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6609B2 (ja) ハンドヘルド式低レベルレーザー治療機器
AU2002320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hotomodulation of living cells
US8057525B2 (en) Beauty device
US20110184499A1 (en) Skin treatment device and system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WO201215876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
US10105548B2 (en) Device for facial treatment based on light emission and induced magnetic field, and a system including same
KR101598665B1 (ko) 피부개선 및 발모용 광 요법 장치
KR101811830B1 (ko) 라이트 펜 디스펜서
US121618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w intensity optical hair growth control
US11642546B2 (en) LED facial mask
JP3126750U (ja) 皺とり器
KR20140090332A (ko) 테라피 글라스
KR20090109651A (ko) 레이저 조사 수단을 가진 헤드폰
KR101263556B1 (ko)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170108530A (ko)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광 조사(Irradiation)를 할 수 있도록 LED(Light emitting diode)광원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KR200444888Y1 (ko) 발광장치
KR20110118039A (ko) 다방향 광 조사가 가능한 광 치료장치
KR20120021816A (ko) Led 기반 피부 관리 장치
KR101092121B1 (ko) 광도파로가 연결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이용한 모발 관리 광원
KR102204002B1 (ko) 의료용 레이저를 사용한 탈모 방지용 헬맷
KR102470632B1 (ko) 백반증 치료 장치
KR20190119942A (ko) 광마사지기
KR101724079B1 (ko)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두피 관리 장치
KR20170108529A (ko)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모듈방식으로 광 조사(Irradiation)를 할 수 있도록 LED(Light emitting diode)광원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3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0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