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3412B1 -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412B1
KR101263412B1 KR1020117001497A KR20117001497A KR101263412B1 KR 101263412 B1 KR101263412 B1 KR 101263412B1 KR 1020117001497 A KR1020117001497 A KR 1020117001497A KR 20117001497 A KR20117001497 A KR 20117001497A KR 101263412 B1 KR101263412 B1 KR 10126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path
spiral
flow
fluid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607A (ko
Inventor
토시히로 하나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4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with helical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2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 B01F25/432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with means for dividing the material flow into separate sub-flows and for repositioning and recombining these sub-flows; Cross-mixing, e.g. conducting the outer layer of the material nearer to the axis of the tube or vice-versa using element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nnels or using a plurality of tubes which can either be placed between common spaces or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01F25/4331Mixers with bended, curved, coiled, wounded mixing tubes or comprising elements for bending the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나 온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고, 컴팩트하고 배관시공이 용이한 유체혼합기를 제공한다. 이 유체혼합기는, 유체입구와, 상기 유체입구에 접속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접속하는 나선유로와, 상기 나선유로로부터 분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와,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각각 접속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접속하는 유체출구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나선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각각 분기하고, 상기 제2 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유로와 각각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FLUID MIXER AND DEVICE USING A FLUID MIXER}
본 발명은, 화학공장, 반도체 제조분야, 식품분야, 의료분야, 바이오 분야 등 각종 산업에서의 유체수송배관에 사용되는 유체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나 온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시킬 수 있는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관내에 장착하여 관내를 흐르는 유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방법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린 날개 형상의 스태틱 믹서 엘리먼트(static mixer element)(81)를 이용한 것이 일반적이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1-205062호 참조). 통상, 스태틱 믹서 엘리먼트(81)는 직사각형판을 그 긴축선 둘레로 180도 비튼 것을 최소단위부재로 하여, 복수개의 최소단위부재를 비틀림 방향이 번갈아 서로 다른 방향이 되도록 일체로 직렬로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스태틱 믹서 엘리먼트(81)를 관(82) 안에 배치하고, 관(82)의 양단부에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83)를 설치하고, 플레어(85)를 장착하여 체결너트(84)를 조임으로써 스태틱 믹서가 형성된다. 이 때, 스태틱 믹서 엘리먼트(81)의 외경이 관(82)의 내경과 거의 같게 설계되어서 유체가 효과적으로 교반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스태틱 믹서를 이용한 유체 혼합방법은, 흘러오는 유체를 흐름에 따라 교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직경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할 수는 있는데,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스태틱 믹서의 상류측에서 물과 약액을 혼합하여 흘릴 때, 약액의 혼합비가 일시적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진 상태에서 스태틱 믹서를 통과한다. 이 때, 직경방향에서는 균일화되어 물과 약액이 교반되어도, 축방향(흐름방향)에서는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진 부분은 거의 희석되지 않고, 진해진 상태 그대로 하류측으로 흘러버린다(도 17의 (b) 참조). 이에 의해, 반도체 세정장치, 특히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에 직접 약액을 도포하여 각종 처리를 하는 장치에 접속된 경우, 농도가 서로 다른 약액이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에 도포되어 불량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축방향(흐름방향)의 농도분포의 얼룩을 피하는 방법으로는, 유로 도중에 탱크를 설치하고 탱크 안에 유체를 일단 모아서 탱크 안의 농도를 균일화시킨 후에 유체를 흘리는 방법(도시하지 않음)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장치가 커지는 문제나, 탱크로부터 다시 유체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펌프, 배관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부재의 개수가 많아지는 문제나, 배관라인을 시공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서는 탱크 안에 유체가 체류한다. 유체가 체류하면 박테리아의 발생원인이 되고, 탱크 안에서 발생한 박테리아가 배관라인으로 흘러들어, 반도체 제조라인에서는 반도체 웨이퍼에 부착하여 불량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축방향(흐름방향)의 농도분포의 얼룩을 피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를 분기하여 유체를 희석하는 분기희석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H08-146008호 참조). 이 장치는, 가는 관(91) 안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고 있는 시료용액을 분석하는 장치에 있어서, 흐르고 있는 시료를 복수개의 유로로 분기하는 분기부(92)를 유로의 도중에 설치함으로써 시료용액을 분할하고, 각 분기유로의 가는 관(93, 94)의 내경이나 길이를 바꾸어서 검출기(95) 앞의 합류부(96)에서 다시 합류시켜서, 시료용액이 검출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희석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 18의 종래의 분기희석장치의 기술을 유체수송배관에 사용하는 경우, 관로의 도중에서 분기된 길이가 서로 다른 관로를 설치하여 다시 합류시키는 배관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축방향(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유로 안에서 균일화하기 위해서는 분기한 유로를 많이 설치하여야 하고, 그 경우 분기한 배관라인을 설치하는 공간이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배관라인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부품개수가 많이 필요하여 번잡하고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나 온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고, 컴팩트하고 배관시공이 용이한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유체혼합기는, 유체입구와, 상기 유체입구에 접속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접속하는 나선유로와, 상기 나선유로로부터 분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와,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각각 접속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접속하는 유체출구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나선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각각 분기하고, 상기 제2 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유로와 각각 접속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혼합기는, 한쪽 단면에 상기 유체입구가 배치되고, 다른 쪽 단면에 상기 유체출구가 배치되며, 나선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가 상기 나선홈의 나선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연통구멍이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나선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홈 및 상기 상자체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나선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분기유로가 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혼합기는, 한쪽 단면에 상기 유체출구가 배치되고, 나선홈이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가 상기 나선홈의 나선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연통구멍이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나선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체의 외주에 상기 유체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 및 상기 상자체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나선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분기유로가 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혼합기는, 상기 나선유로가 상기 제1 유로와 접속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통로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혼합기는, 상기 제2 유로의 내주면이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유체출구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혼합기는, 상기 연통구멍 각각의 통로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체에 페룰(ferrule) 이음매부가 설치된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체가 2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부재에 각각 플랜지(flange)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클램프(clamp)로 고정한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체가 2개의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 외주에, 플랜지부와, 타단부가 직경축소된 직경축소부가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원통부의 상기 플랜지부측 개구부에 상기 본체부를 끼워넣어서, 각각의 상기 플랜지부를 클램프로 고정한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체가, 하부로 개구된 중공실이 설치되고, 상기 중공실에 입구유로와 출구유로가 각각 연결된 몸체와, 상기 중공실의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자체의 중공실에 맞물려서 배치된 것을 제10 특징으로 한다.
흐르는 물질의 온도 또는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라인에 있어서, 상기 유체혼합기에 의해 상기 물질의 온도 또는 농도를 균일화하는 것을 제11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기체 또는 액체인 것을 제12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2개의 물질의 혼합비율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라인에 있어서, 상기 유체혼합기에 의해 상기 물질의 혼합비율을 균일화하는 것을 제13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2개의 물질이 각각 흐르는 라인의 합류부의 하류측에 상기 유체혼합기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제 14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기체, 액체, 고체, 분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15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물과, pH 조정제, 액체비료, 표백제, 살균제, 계면활성제 또는 액체약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16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액체약품과, 제2 액체약품 또는 금속인 것을 제17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폐액과, pH 조정제, 응집제 또는 미생물인 것을 제18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석유류와, 제2 석유류, 첨가제 또는 물인 것을 제19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접착제와, 경화제인 것을 제20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수지와, 제2 수지, 용제, 경화제 또는 착색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21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식품원료와, 제2 식품원료, 식품첨가제, 조미료, 미생물 또는 불연성 가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22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공기와, 가연성 가스인 것을 제23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불연성 가스와, 제2 불연성 가스 또는 증기인 것을 제24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적어도 물, 액체약품 또는 식품원료 중 어느 하나와, 공기, 불연성 가스 또는 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25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제1 합성중간체와, 제2 합성중간체, 첨가제, 액체약품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제2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의 본체부(7), 원통체(14) 등의 각 부품의 재질은, 수지제이면,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고 함), 폴리에틸렌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특히, 유체에 부식성 유체를 이용하는 경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PTFE라고 함), 폴리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수지(이하, PFA라고 함) 등의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수지제이면 부식성 유체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식성 가스가 투과하여도 배관부재가 부식할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 또는 상자체를 형성하는 부재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부재로 이용하여도 되고, 유체 혼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혼합기에 흘리는 물질에 따라서는 각 부품의 재질은 철, 동, 동합금, 놋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탄 등의 금속이나 합금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어서, 아래의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유로 안에서 일시적으로 약액의 농도가 진해지거나 옅어진 상태에서도,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고, 농도가 안정된 약액을 공급할 수 있어서, 각종 분야에서의 약액농도의 변화에 따른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유로 안에서 일시적으로 유체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진 상태에서도, 유체 흐름방향의 온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고, 온도가 안정된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서, 급탕기(給湯器) 등에서 온도를 보다 안정시키는 동시에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3) 유체혼합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 설치공간도 필요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4) 배관시공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을 한층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배관유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하여 유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체혼합기의 상류측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유체혼합기의 하류측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원통체의 서로 다른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의 나선유로의 서로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유로의 서로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배관유로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서의 원통체의 서로 다른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는 종래의 스태틱 믹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태틱 믹서의 유체 교반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분기희석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는, 유체가 유입하는 유체입구(5)와 유체입구(5)에 접속하는 제1 유로(1)와, 유체가 유출하는 유체출구(6)와 유체출구(6)에 접속하는 제2 유로(3)가 동축상에 배치되고, 유로(1, 3)를 나선의 중심축으로 한 나선유로(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유로(1) 및 제2 유로(3)는 모두 직선형 유로이다. 나선유로(2)의 일단부에는 제1 유로(1)가 접속되어 있고, 나선유로(2)의 도중에는 제2 유로(3)에 각각 접속하는 5개의 분기유로(4a, 4b, 4c, 4d, 4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6)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분기유로(4e)는 나선유로(2)의 타단부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분기유로(4a, 4b, 4c, 4d, 4e)는 나선유로(2)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각각 분기하고, 제2 유로(3)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유로(3)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튜브 등에 의해 배관접속된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의 상류측에서 물과 약액을 혼합하여 일시적으로 약액의 농도가 진해진 상태로 흘렸을 때,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져서 흐르고 있는 약액은, 유체입구(5)로부터 제1 유로(1)로 유입하여 나선유로(2)로 흘러간다. 농도가 진해진 약액 부분이 나선유로(2)의 분기유로(4a)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a)를 흘러서 제2 유로(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6)로 흐른다. 나머지 약액은 나선유로(2)의 하류측으로 흘러가고, 또한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 부분이 분기유로(4b)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b)를 흘러서 제2 유로(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6)로 흐른다. 나머지 약액은 나선유로(2)의 하류측으로 흘러가고, 더욱이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 부분은, 분기유로(4b)를 흐른 약액과 마찬가지로, 분기유로(4c)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c)를 흘러서 제2 유로(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6)로 흐른다. 이하, 4a, 4b, 4c와 마찬가지로,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 부분은 4d, 4e를 흘러서 제2 유로(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6)로 흘러간다.
이 때, 분기유로(4a)를 흐르는 농도가 진해진 약액의 일부는 다른 농도가 진해진 약액보다 빠르게 유체출구(6)로부터 유출되고, 시간차로 분기유로(4b), 분기유로(4c), 분기유로(4d), 분기유로(4e)의 순으로 농도가 진해진 약액의 일부씩 유체출구(6)로부터 유출하여 간다. 즉,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져서 흐르고 있는 약액은 유체혼합기에 의해 시간차로 5개로 분할되어 흐르게 되고, 농도가 진해지지 않은 약액과 각각 섞임으로써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분기유로의 내경이 대략 동일하면, 농도가 진해진 약액 부분은 거의 5등분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 분포를 얼룩없이 보다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본 실시예에서 분기유로(4a, 4b, 4c, 4d, 4e)는 제2 유로(3)의 축선에 따라 등간격의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분기유로(4a, 4b, 4c, 4d, 4e)를 흐르는 유체에 부여하는 시간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접속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거나, 나선유로(2)가 제1 유로(1)와 접속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통로단면적을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분기유로(4a, 4b, 4c, 4d, 4e)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기유로(4a, 4b, 4c, 4d, 4e)의 개수는 많이 설치하는 편이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보다 미세하게 균일화할 수 있다.
여기서, 농도가 진해진 약액 부분을 유체혼합기에서 분할하여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가 얼룩없이 균일화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물질인 순수와 약액이 각각 흐르는 라인의 합류부의 하류측에 도 1의 유체혼합기를 배치한 라인에 있어서, 도 1의 유체혼합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농도계(100, 101)를 각각 설치하고, 상류측으로부터 순수와 약액을 혼합하여 흘리는 장치를 제작하여, 순수와 약액을 일정한 비율로 흘리고 있는 도중에 순간적으로 약액의 농도를 진하게 한 상태(순수에 대하여 약액의 비율을 크게 함)로 한 후, 원래의 일정한 비율로 흘려서 농도분포의 얼룩을 발생시켰을 때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농도를 측정하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된다.
도 3은 유체혼합기의 상류측에 설치한 농도계(100)의 그래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가로축은 경과시간, 세로축은 농도이고, 어느 일정 시간에 농도가 진해지는 경우에는, 도면과 같은 피크(h1)가 나타나게 된다. 도 4는 유체혼합기의 하류측에 설치한 농도계(101)의 그래프를 나타내는데, 농도의 피크가 5개로 분산되고, 피크(h2)의 높이는 약 5분의 1로 되어 있다. 농도의 피크 사이의 간격 t1은, 유체가 나선유로(2) 안에서 분기유로(4a)의 위치를 통과하고 나서 분기유로(4b)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에 대응하며, 마찬가지로, t2는 분기유로(4b)로부터 분기유로(4c)까지, t3은 분기유로(4c)로부터 분기유로(4d)까지, t4는 분기유로(4d)로부터 분기유로(4e)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에 대응한다. 이 때, 나선유로(2) 각각의 분기유로(4a, 4b, 4c, 4d, 4e)에 이를 때까지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피크(h2)가 나오는 간격(t1~t4)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분기유로(4a, 4b, 4c, 4d, 4e)의 개수를 더욱 늘리면 피크(h2)의 높이를 상류측의 피크(h1)에 대하여 분기유로의 개수로 분할한 정도의 높이까지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령 유체혼합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농도의 피크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약간 떨어지는 경우는 있지만, 피크(h1)는 거의 변하지 않고 흐르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농도분포의 얼룩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열탕(熱湯)과 냉수를 혼합하였을 때의 온도분포의 흐름방향의 균일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온도분포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여 급탕기 등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고온이 된 유체 온도의 흐름방향의 균일화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온도를 안정시켜서, 열탕이 흐르는 것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혼합기의 유로가 분기와 합류를 반복함으로써, 흐름방향 뿐만 아니라, 직경방향에 대해서도 혼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용 설명의 편의상 유체입구와 유체출구라고 기재하였는데, 유체를 역방향으로 흘려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체출구는 유체가 유입하는 입구가 되고, 유체입구는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가 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하낟.
도면부호 7은 PTFE제 본체부이다. 본체부(7)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7)의 일단면에 유체입구(8)와 유체입구(8)에 접속된 제1 유로(9)가 설치되며, 타단면에 유체출구(10)와 유체출구(10)에 접속된 제2 유로(11)가 설치되고, 제1, 제2 유로(9, 11)는 본체부(7)의 중심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7)의 외주면에는 나선홈(12)이 설치되어 있고, 나선홈(12)의 일단부에는 제1 유로(9)가 접속되어 있고, 제2 유로(11)의 내주면과 나선홈(12)의 바닥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되는 연통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10)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연통구멍(13)은 나선홈(1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14는 PFA 튜브제 상자체가 되는 원통체이다. 원통체(14)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체(14)의 내경은 본체부(7)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7)와 튜브인 원통체(14)의 열박음(shrink fitting)에 의해 본체부(7)의 외주면에 밀봉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본체부(7)에 원통체(14)를 끼워맞춤으로써, 본체부(7)의 나선홈(12)과 원통체(14)의 내주면으로 나선유로(15)가 형성된다.
한편, 상자체인 원통체(14)는, 튜브와 같은 연질의 부재 이외에도 경질의 부재로 형성하여도 된다. 상자체의 형상은 원통체 이외에도 직육면체 등이어도 된다. 또한, 원통체(14)와 본체부(7)는 밀봉한 상태에서 끼워맞추어져 있는 것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끼워맞추어도 되고, 열박음 이외에도 용접이나 접착이어도 되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FA 튜브제 원통체(17)를 본체부(16)에 밀착하여 끼워맞추고 본체부(16)의 양단에 캡 너트(18)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통체(17)를 본체부(16)의 외주면에 밀봉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원통체(20)를 본체부(19)에 끼워맞추고 캡 너트(21)에 의해 원통체(20)를 시일링(22)으로 본체부(19)의 외주면에 밀봉된 상태로 고정시켜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의 상류측으로부터 물과 약액을 혼합하여 흘리고, 일시적으로 약액의 농도가 진해진 상태로 흘렸을 때,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져서 흐르고 있는 약액은, 유체입구(8)로부터 유입하여 나선유로(15)로 흘러간다. 나선유로(15)를 흐르는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진 약액은 각각의 연통구멍(13)에 의해 분할되어 흐르고,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진 약액은 시간차로 제2 유로(11)를 흘러서 농도가 진해지지 않은 약액과 각각 섞임으로써 유체 흐름방향으로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가 얼룩없이 균일화되는 작용은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는, 제2 유로(11)의 내주면과 나선홈(12)의 바닥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통구멍(13)은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통구멍(13)의 설치위치나 설치하는 개수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흐름의 시간차를 미세하게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보다 미세하게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는, 유로의 복잡함에 비해 가공이 비교적 쉬우며, 부품개수도 적기 때문에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로구조가 작게 정돈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혼합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배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체혼합기를 배관라인에 접속할 때에도 유체입구(8)와 유체출구(10)에 각각 이음매 등으로 접속하는 것 만으로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배관시공이 쉽고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구멍(13)은 각각의 통로단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연통구멍(13)에 의해 분할되는 유체의 유량이 각각 일정하게 흐르기 때문에, 유체혼합기에 유입한 유체는 연통구멍(13)의 개수로 거의 같게 분할되어 각각 시간차를 두고 합류하여 흘러서,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균일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유로(23)가 제1 유로(24)와 접속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통로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선유로(23)를 흐르는 유체는 각각의 연통구멍(25)으로부터 유체가 분할하여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나선유로(23)의 하류측 유속이 떨어지기 때문에, 나선유로(23)의 통로단면적을 점차 줄여서 압력손실이 일어나도 유체의 흐름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도록 하여, 분할하여 흐르는 유체의 시간차를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나선유로(23)의 통로단면적을 줄이는 방법은, 도 7과 같이 유체입구(26)로부터 유체출구(27)를 향하여 본체부(19)의 외주면이 점차 직경축소하도록 설치하고, 이 외주면 형상에 맞춘 원통체(20)를 끼워맞추어서 나선유로(23)를 형성하여도 되고, 그 밖에도 나선홈의 깊이를 점차 얕게 하여 형성하거나(도시하지 않음), 나선홈의 폭을 점차 좁혀서 형성하거나(도시하지 않음), 이것들을 복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로(28)의 내주면이 상류부(유체입구(29)측)로부터 유체출구(30)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선유로(31)를 흐른 맨 처음에 분할하여 연통구멍(32a)으로부터 제2 유로(28)를 흐르는 유체가 재빨리 제2 유로(28)를 흘러서 유체출구(30)로부터 유출되고, 잇달아 분할되어 연통구멍(32)으로부터 제2 유로(28)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서서히 늦춤으로써, 분할시켜서 흐르는 유체의 시간차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하낟.
유체혼합기는, 유체가 유출하는 유체출구(46)와, 유체출구(46)에 접속하는 제2 유로(43)와, 제2 유로(43)를 나선의 중심축으로 한 나선유로(42)가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하는 유체입구(45)와 유체입구(45)에 접속하는 제1 유로(41)가, 나선유로(42)의 유체출구측 일단부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나선유로(42)의 도중에는 제2 유로(43)에 각각 접속하는 5개의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46)측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분기유로(44e)는 나선유로(42)의 타단부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튜브 등에 의해 배관접속된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의 상류측으로부터 물과 약액을 혼합하여 일시적으로 약액의 농도가 진해진 상태로 흘렸을 때,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져서 흐르고 있는 약액은, 유체입구(45)로부터 제1 유로(41)로 흘러서 나선유로(42)를 흐른다. 농도가 진해진 약액이 나선유로(42)의 분기유로(44a)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4a)를 흘러서 제2 유로(4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46)로 흐른다. 나머지 약액은 나선유로(42)의 하류측으로 흘러가고, 또한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이 분기유로(44b)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4b)를 흘러서 제2 유로(4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46)로 흐른다. 나머지 약액은 나선유로(42)의 하류측으로 흘러가고, 더욱이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 부분은, 분기유로(44b)를 흐른 약액과 마찬가지로, 분기유로(44c)가 접속한 부분을 흐른 시점에, 그 일부가 분기유로(44c)를 흘러서 제2 유로(4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46)로 흐른다. 이하, 44a, 44b, 44c와 마찬가지로, 농도가 진해진 나머지 약액 부분은 44d, 44e를 흘러스 제2 유로(43)를 통과하여 유체출구(46)로 흘러간다.
이 때, 분기유로(44a)를 흐르는 농도가 진해진 약액 일부는, 최단 루트로 제2 유로(49)를 통과하여 다른 농도가 진해진 약액보다 빠르게 유체출구(48)로부터 유출하고, 시간차로 분기유로(44b), 분기유로(44c), 분기유로(44d), 분기유로(44e)의 순으로 서서히 길어지는 루트를 통과하여 농도가 진해진 약액의 일부씩 유출하여 간다. 결국, 유로 안에서 부분적으로 농도가 진해져서 흐르고 있는 약액은 유체혼합기에 의해 시간차로 5개로 분할되어 흐르게 되고, 농도가 진해지지 않은 약액과 각각 섞임으로써 유체 흐름방향으로 균일화하여 혼합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로부터 분할한 순서대로 유체출구(46)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마다 길어지기 때문에, 시간차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는 제2 유로(43)의 축선에 따라 등간격의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를 흐르는 유체에 시간차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2 유로(43)와 접속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하거나, 나선유로(42)는 제1 유로(41)와 접속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그 통로단면적을 점차 작아지게 형성하여도 되고,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기유로(44a, 44b, 44c, 44d, 44e)의 개수는 많이 설치하는 편이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를 얼룩없이 보다 미세하게 균일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47은 PTFE제 본체부이다. 본체부(47)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47)의 일단면에 유체출구(48)와 유체출구(48)에 접속된 제2 유로(49)가 설치되며, 제2 유로(49)는 본체부(47)의 중심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47)의 외주면에는 나선홈(50)이 설치되어 있고, 나선홈(50)의 유체출구(48)측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 유로(55)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유로(49)의 내주면과 나선홈(50)의 바닥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되는 연통구멍(5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48)측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연통구멍(51)은 나선홈(5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52는 PP제 상자체가 되는 원통체이다. 원통체(5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체(52)의 내경은 본체부(47)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7)와 열박음에 의해 본체부(47)의 외주면에 밀봉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본체부(47)에 원통체(52)를 끼워맞춤으로써, 본체부(47)의 나선홈(50)과 원통체(52)의 내주면으로 나선유로(53)가 형성된다. 원통체(52)의 유체출구(48)측의 측면에는 유체입구(54)가 설치되고, 유체입구(54)와 본체부(47)의 나선홈(50)의 유체출구(48)측의 일단부에 접속하는 제1 유로(5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원통체(52)는 본체부(47)와 밀봉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으면 어느 방법으로 끼워맞추어도 되고, 제2 실시예에 기재된 바리에이션 외에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체(56)를 본체부(57)에 끼워맞추어서 캡너트(58)에 의해 원통체(56)를 시일링(59)으로 본체부(57)의 외주면에 밀봉된 상태로 고정시켜도 된다.
제4 실시예는,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가 얼룩없이 균일화되는 작용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통구멍(51)은 각각의 통로단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선유로(53)가 제1 유로(55)와 접속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통로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유로(49)의 내주면이 상류부로부터 유체출구(48)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페룰 이음매를 이용한 형상의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111, 112는 SUS 304제의 제1, 제2 원통부이다. 제1, 제2 원통부는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제1 원통부(111)로 설명한다. 제1 원통부(111)의 일단부 외주에는 플랜지부(113)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원통부가 직경축소된 직경축소부(114)와 직경축소부(114)의 직경이 축소된 단부에 페룰 이음매(115)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15)의 단면에는 입구개구(126)가 설치되고, 입구개구와 제1 원통부(111)의 내부로 연결되는 입구유로(127)(제2 원통부(1112)에서는 입구부분이 출구개구(128) 및 출구유로(129))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16은 SUS 304제 본체부이다. 본체부(116)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16)의 일단면에 유체입구(119)와 유체입구(119)에 접속된 제1 유로(121)가 설치되며, 타단면에 유체출구(120)와 유체출구(120)에 접속된 제2 유로(122)가 설치되고, 제1, 제2 유로(121, 122)는 본체부(116)의 중심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6)의 외주면에는 나선홈(123)이 설치되어 있고, 나선홈(123)의 일단부에는 제1 유로(121)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유로(122)의 내주면과 나선홈(123)의 바닥면을 각각 연통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되는 연통구멍(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120)측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연통구멍(125)은 나선홈(123)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16)의 양단부는 제1, 제2 원통부(111, 112)의 내주면에 맞춘 형상으로 직경이 축소되고, 외주는 제1, 제2 원통부(111, 112)의 내주와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6)는 제1, 제2 원통부(111, 112)의 직경이 축소되지 않은 측의 플랜지부(113, 117)의 개구부에 끼워진다. 각 플랜지부(113, 117)의 단면 사이에 가스켓(gasket; 124)을 끼우고, 플랜지부(113, 117)를 클램프(118)로 고정하고 있다. 제1 원통부(111)의 입구유로(127)는 본체부(116)의 제1 유로(121)에 연결되고, 제2 원통부(112)의 출구유로(129)는 본체부(116)의 제2 유로(122)에 연결된다. 이 때, 제1, 제2 원통부(111, 112)가 상자체를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플랜지부(113, 117)의 접속은 페룰 이음매의 접속방법과 같으며, 페룰 이음매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의 형상 이외에도 페룰 이음매를 이용하여 조립이 쉽게 유체혼합기를 형성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원통형 상자체의 양단부에 페룰 이음매부를 설치한 상자체에 본체부를 끼워맞춘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체부의 유로 형상을 제4 실시예의 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이 경우,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와, 유체입구 및 유체출구가 설치된 제2 원통부를 페룰 이음매부에 의해 접속한다(도시하지 않음).
이어서, 제5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에 유입한 유체는, 유체입구(119)로부터 본체부(116)의 제1 유로(121)를 통과하여 나선홈(123)이 형성하는 나선유로로 유입한다. 본체부(116) 안의 유로를 흐름으로써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가 얼룩없이 균일화되는 작용은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균일화된 유체는 제2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출구(120)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는 분해 및 조립이 쉽고, 페룰 이음매부(115)에 의해 배관라인으로의 설치제거가 용이하여, 특히 분해하여 부품을 세정하여 조립하는 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식품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Y형 스트레이너(strainer) 형상의 유체혼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31은 폴리염화비닐(이하, PVC라고 함)제 몸체로서, Y형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31)의 하부에 중공실(132)이 설치되고, 중공실(132)에 연결되는 연통구(133)를 가지는 받침시트(134)와, 중공실(132)로부터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135)를 가지고 있다. 몸체(131)의 양단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입구개구(136) 및 출구개구(137)가 형성되고, 입구개구(136)와 중공실(132)에 각각 연결되는 입구유로(138)와, 출구개구(137)와 연통구(133)에 각각 연결되는 출구유로(139)를 가지고 있다.
도면부호 140은 PVC제 덮개체로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 외주에 차양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PVC제 캡너트(1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단부 내주에 몸체(131)의 개구부(135) 외주에 설치된 숫나사부에 나사부착되는 암나사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한쪽 단부에는 내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내차양부가 설치되어 있다. 캡너트(142)는, 덮개체(140)의 차양부(141) 단면에 내차양부가 맞닿고, 몸체(131)의 숫나사부에 나사부착함으로써, 덮개체(140)를 고정하고, 이 몸체(131)와 덮개체(140)로 상자체를 형성한다. 한편, 덮개체(140)와 후술하는 본체부(143)는 일체로 설치하여도된다. 또한, 캡너트(142)를 이용하지 않고 덮개체(140)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몸체(131)에 나사부착하여도 되고, 몸체(131)의 개구부(135)에 암나사부를 설치하여 숫나사부를 가지는 덮개체(140)를 나사부착하여도 된다. 또한, 고정방법도 나사부착 이외에도 몸체(131)와 덮개체(140)를 고착할 수 있으면, 베이어닛(bayonet)이나 페룰이나 나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부호 143은 PVC제 본체부이다. 본체부(143)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43)의 일단면에 유체출구(146)와 유체출구(146)에 접속된 제2 유로(145)가 설치되며, 제2 유로(145)는 본체부(143)의 중심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43)의 외주면에는 나선홈(144)이 설치되어 있고, 나선홈(144)의 유체출구(146)측의 일단부는 몸체(131)의 입구유로(138)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유로(145)의 내주면과 나선홈(144)의 바닥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되는 연통구멍(14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체출구(146)측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연통구멍(147)은 나선홈(14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43)의 외주는 몸체(131)의 중공실(132) 내주와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43)의 유체출구(146)의 반대측 단부 외주에는 개구부(135)의 내주면과 밀봉되는 O-링을 가지는 고리형상 홈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43)는 몸체(131)의 개구부(135)로부터 중공실(132)에 끼워맞추어지고, 삽입한 본체부(143)의 단부를 받침시트(134)에 맞닿게 하여 연통구(133)에 본체부(143)의 제2 유로(145)가 연결된 상태에서 덮개체(140)와 캡 너트(142)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입구개구(136)는 유체혼합기의 유체입구가 되고, 입구유로(138)는 유체혼합기의 제1 유로가 된다.
이어서, 제6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혼합기에 유입한 유체는, 몸체(131)의 입구개구(136)로부터 입구유로(138)를 통과하여 본체부(143)의 나선홈(144)이 형성하는 나선유로로 유입한다. 본체부(143) 안의 유로를 흐름으로써 유체 흐름방향의 농도분포가 얼룩없이 균일화되는 작용은 제3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균일화한 유체는 제2 유로(145)로부터 출구유로(139)를 통과하여 출구개구(137)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유체혼합기는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특히 분해하여 부품을 세정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식품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로서, 먼저 흐르는 물질의 온도 또는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라인 안에 유체혼합기가 설치된 장치가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라인 안에 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히터로 가열되는 시간축에 대한 유체의 온도에 편차가 발생함으로써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경우(도시하지 않음)나, 조(槽) 안에 담근 고형물을 유체 안으로 용출시켜서 유체를 흘리는 라인에서 용출한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경우(도시하지 않음) 등에, 유체혼합기 안을 흐름으로써 유체의 온도 또는 농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 때, 유체로서 흘리는 물질은 기체 또는 유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물질이 각각 흐르는 라인(60, 61)의 합류부(62)의 하류측에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를 배치한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예를 들어, 2개의 물질을 공급하는 펌프(63, 64)가 맥동(脈動)하는 등으로 합류하였을 때의 혼합비율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경우나,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가 각각 합류하는 라인에서 고온의 유체가 불균일하게 흘러서 시간축에 대한 유체의 온도에 편차가 발생함으로써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경우나, 기정 농도의 유체를 무구(無垢)의 유체와 혼합시키는 라인에서 혼합유체의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경우 등에, 유체혼합기(65)에 의해 물질의 혼합비율을 균일화함으로써 시간축에 대하여 온도나 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유체로서 흘리는 물체는 기체, 액체, 고체, 분체 중 어느 것이면 되고, 고체, 분체는 라인 안을 흐를 수 있어야 하며, 미리 기체 또는 액체와 혼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3개 이상의 물질이 흐르는 라인을 합류시킨 장치로 하여 3개 이상의 물질이 유체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물질이 각각 흐르는 라인(66, 67)의 합류부(68)의 하류측에 본 발명의 유체혼합기(69)를 배치하고, 유체혼합기(69)의 하류측에 다른 물질이 흐르는 라인(70)이 합류하는 합류부(71)의 하류측에 다른 유체혼합기(72)를 배치한 장치이어도 된다. 이는 3개 이상의 물질을 동시에 혼합하면 혼합얼룩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맨 처음에 혼합한 2개의 물질을 균일화한 후에 다른 물질을 혼합하여 균일화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혼합얼룩이 없는 균일한 혼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과 기름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경우, 한번에 전부를 섞으면 잘 섞이지 않고 혼합얼룩이 발생하기 때문에, 미리 물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에 기름과 혼합함으로써 얼룩없이 균일하게 혼합하거나, 물과 황산을 혼합하여 희석한 후, 그 혼합물과 암모니아 가스를 혼합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흡수시키거나, 물과 황산을 혼합하여 희석한 후, 그 혼합물과 규산 소다를 혼합하여 pH를 조정하는 등 바람직하게 혼합을 할 수 있다. 한편, 맨 처음에 3개 이상의 물질을 흘려서 합류시켜도 되고, 도중에 2개 이상의 물질을 합류시켜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유체혼합기를 3개 이상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다른 물질을 혼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어서, 본 장치에 의해 혼합되는 물질의 조합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장치에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물,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pH 조정제, 액체 비료, 표백제, 살균제, 계면활성제 또는 액체약품 중 어느 하나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 균일화된다.
이 때의 물은 순수, 증류수, 수돗물, 공업용 물 등 혼합시키는 물질의 조건에 맞는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의 온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나 냉수이어도 된다.
pH 조정제는 혼합하는 액체의 pH 조정에 사용되는 산, 알칼리이면 되고, 염산, 황산, 질산, 불산, 카르복시산, 구연산, 글루콘산, 호박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액체비료는 농업용 액상 비료이면 되고, 분뇨나 화학비료 등을 들 수 있다.
표백제는 화학물질의 산화,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색소를 분해하는 것이면 되고, 차아염소산 나트륨, 과탄산 나트륨, 과산화수소, 오존수, 이산화티오요산, 아이티온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는 병원성 혹은 유해성을 가지는 미생물을 죽이기 위한 약제로서, 요오드 팅크(iodine tincture), 포비든 요오드, 차아염소산 나트륨, 클로르 석회, 머큐로크롬액,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아크리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과산화수소수, 염화 벤잘코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크레졸 비누액, 아염소산 나트륨,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수, 오존수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자 안에 물에 배기 쉬운 부분(친수기)과, 기름에 배기 쉬운 부분(친유기·소수기)을 가지는 물질로서, 지방산 나트륨, 지방산 칼륨, 모노알킬 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카르복시베타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소르비탄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알파술포지방산 에스테르나트륨, 직쇄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알킬 황산 에스테르 나트륨,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 나트륨, 알파올레핀술폰산 나트륨, 알킬술폰산 나트륨, 자당지방산 에스테르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알킬아미노 지방산 나트륨, 알킬베타인, 알킬아민옥사이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체약품의 범주에 들어간다면 상기 카테고리에 들어가지 않는 액체약품을 이용하여도 되고, 염산, 황산, 초산, 질산, 포름산, 불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수산화암모늄 규산소다, 기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든 액체약품은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물,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도 뜨거운 물을 흘려도 되고, 물과 뜨거운 물을 섞어서 균일하고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혼합된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액체약품,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액체약품 또는 금속을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혼합되는 제1, 제2 액체약품은 섞을 수 있는 액체약품이면 되고, 상기 액체약품이나 그 이외의 액체약품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와 시너(thinner)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체약품은 화장품이어도 된다. 화장품은 세안료, 클렌징, 화장수, 미용액, 유액, 크림, 겔(gel) 등 피부질 자체의 정돈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화장품이나, 구취, 체취, 땀띠, 짓무름, 탈모 등의 방지, 육모 또는 제모, 쥐나 해충 구제 등 의약부외품에 해당하는 약용 화장품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은 주로 유기금속 화합물이며, 미소한 입자형상, 분체 또는 유기용제 등에 용해시킨 액체로 사용된다. 유기금속 화합물은 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메틸)아연과 같은 유기아연 화합물, 디메틸구리리튬과 같은 유기동 화합물, 그리냐르 시약(Grignard reagent), 요오드화 메틸마그네슘, 디에틸마그네슘과 같은 유기마그네슘 화합물, n-부틸리튬과 같은 유기리튬 화합물, 금속 카르보닐, 카르벤 착체, 페로센(ferrocene)을 비롯한 메탈로센(metallocene)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 파라핀 오일에 용해시킨 단원소나 다원소 혼합표준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규소, 비소, 붕소 등의 반금속 화합물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금속(卑金屬)도 포함된다. 유기금속 화합물은 석유화학 제품의 제조나 유기중합체의 제조에서 촉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폐액,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pH 조정제 또는 응집제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pH 조정제는 상기 pH 조정제가 사용되고, 응집제는 폐액을 응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황산 알루미늄, 폴리황산 제2철, 폴리염화 알루미늄, 폴리실리카철, 황산 칼슘, 염화 제2철, 소석회 등을 들 수 있다. 미생물은 폐액의 발효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면 되고, 곰팡이, 효모 등 균류나, 박테리아 등의 세균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석유류,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석유류, 첨가제 또는 물을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제2 석유류란,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밖에 소량의 유황, 산소, 질소 등 여러가지 물질을 포함하는 액상의 기름을 말하며, 나프타(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윤활유, 아스팔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첨가제는 석유류의 품질향상이나 보유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을 가리키고, 윤활유 첨가제로서 세정분산제, 산화방지제, 점도지수 향상제·유동점 강하제, 유성 향상제·극압첨가제, 마모방지제, 방청·방식제 등, 그리스(grease) 첨가제로서 구조안정제, 충전제 등, 연료유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물은, 순수, 증류수, 수돗물, 공업용 물 등 혼합시키는 물질의 조건에 맞는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의 온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나 냉수이어도 된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수지,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수지, 용제, 경화제, 착색제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수지란, 용융수지, 액체수지 등의 접착제의 주성분, 도료의 도막형성성분이다. 용융수지는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이 가능한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AB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액체수지 등의 접착제의 주성분은, 아크릴수지계 접착제, α-올렌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에테르계 셀룰로오스,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초산비닐 수지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스틸렌-부타디엔 고무 용액계 접착제, 스틸렌-부타디엔 고무계 라텍스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니트로셀룰로오스 접착제,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초산비닐 수지 용액계 접착제, 폴리스틸렌 수지용제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계 접착제, 폴리벤즈이미다졸 접착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용액계 접착제, 멜라민 수지계 접착제, 요소 수지계 접착제, 레조르시놀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도료의 도막형성 성분으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는 헥산, 벤젠, 톨루엔,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초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염화메틸렌,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토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탄올, 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로는 폴리아민, 산무수물, 아민류, 과산화물, 사카린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는 아연화, 연백, 리소폰, 이산화티탄, 침강성 황산바륨, 바라이트(barite) 분, 미늄(minium), 산화철적, 황연, 아연황, 울트라마린 블루, 감청, 카본블랙 등의 안료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가 용융수지인 경우, 성형기나 압출기로부터 유체혼합기(65)로 용융수지를 흘리는 장치를 형성하여도 되고(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성형기인 경우에는 성형기의 노즐과 금형 사이에 유체혼합기(65)를 배치하여 사출성형을 하거나, 압출기인 경우에는 압출기와 대(臺) 사이에 유체혼합기(65)를 배치하여 압출성형을 한다. 이 경우, 수지 안의 온도를 균일화하여 수지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두께 얼룩이나 내부 응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색얼룩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식품원료,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식품원료, 식품첨가제, 조미료, 불연성 가스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제1, 제2 식품원료란, 배관 안을 유동할 수 있는 음료 또는 식품이면 되고,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와인, 보드카 등의 알코올 음료, 우유, 요구르트, 버터, 크림, 치즈, 연유, 유지 등의 유제품, 쥬스, 차, 커피, 두유, 물 등의 음료, 멸치다시마 육수, 된장국, 콩소메 스프, 콘 스프, 돼지뼈 스프 등의 음료식품, 그 밖에도 젤리, 곤약, 푸딩, 초콜릿, 아이스크림, 사탕, 두부, 으깬 생선살 식품, 거품낸 계란, 젤라틴 등의 각종 식품원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동가능하다면 고체나 분체이어도 되고, 소맥분, 녹말가루, 강력분, 박력분, 메밀가루, 가루우유, 커피, 코코아 등의 가루원료나, 과육, 미역, 참깨, 파래, 가다랑어포, 빵가루, 가늘게 썰거나 갈은 식품 등의 작은 고형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식품첨가제로는 흑설탕, 삼온당, 과당, 맥아당, 꿀, 당밀, 메이플 시럽, 물엿,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스, 멀티톨, 팔라티노스, 크실리톨, 소르비톨, 토마틴(Thaumatin), 사카린나트륨, 사이클람산(cyclamic acid), 둘신,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네오테임(neotame) 등의 감미료, 카라멜 색소, 치자나무 색소, 안토시아닌 색소, 아나토 색소, 파프리카 색소, 홍화 색소, 홍국 색소, 플라보노이드 색소, 코티닐 색소, 아마란스(amaranth), 에리스로신(erythrocin), 알루라 레드 AC(allura Red AC), 뉴콕신(Newcockcin), 플록신(phloxine), 로즈벵갈(rose bengal), 애시드 레드(acid red), 타아트라진(tartrazine), 선셋 옐로우 FCF, 패스트 그린 FCF, 브릴리언트 블루 FCF, 인디고 카민(indigo carmine) 등의 착색료, 안식향산 나트륨, ε-폴리리신, 이리 단백 추출물(프로타민), 소르빈산 칼륨, 나트륨, 데히드로초산 나트륨, 써야플리신(Thujaplicin)(히노키티올) 등의 보존료,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이산화유황, 클로로겐산, 카테킨 등의 산화방지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조미료로는 간장, 소스, 식초, 기름, 고추기름, 된장, 케첩, 마요네즈, 드레싱, 미림 등 액체인 것이나 설탕, 소금, 후춧가루, 산초나무열매, 고춧가루 등의 분체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미생물은 식품의 발효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버섯, 곰팡이, 효모 등 균류나, 박테리아 등의 세균류이다. 균류로는 각종 버섯이나 누룩곰팡이균 등을 들 수 있고, 세균류로서 예를 들어 비피더스균, 유산균, 낫토균 등을 들 수 있다. 불연성 가스로는 탄산가스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맥아즙과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맥주를 생성하는 등에 사용된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공기,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가연성 가스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가연성 가스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아세틸렌, 수소,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불연성 가스,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불연성 가스 또는 증기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불연성 가스로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가스, 헬륨가스, 황화수소가스, 아황산가스, 유황산화물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조합으로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물, 액체약품, 식품원료,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에는 공기, 불연성 가스, 증기를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또한,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0)에는 제1 합성중간체,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61)에는 제2 합성중간체, 첨가제, 액체약품 또는 금속을 흘림으로써 유체혼합기(65)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혼합되어도 된다. 제1, 제2 합성중간체란, 목표화합물까지의 다단계 합성경로중에 나타나는 합성도중단계의 화합물을 말하며, 복수 약품을 혼합한 합성도중인 것이나 수지의 정제 도중인 것이나 의약중간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4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로 혼합시키는 물질의 조합은, 더욱이 도 15의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각각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도 14, 도 15의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에서, 합류하기 전의 물질이 흐르는 각각의 라인에 히터 또는 기화기를 설치하여도 되고(도시하지 않음), 유체혼합기의 하류측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합류하기 전의 한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에 계측기를 배치하고, 계측기로 계측된 파라메터에 따라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의 펌프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가져도 되며(도시하지 않음), 다른 쪽 물질이 흐르는 라인에 제어밸브를 설치하여 계측기의 파라메터에 따라 제어밸브의 개구도를 조정하는 제어밸브를 가져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 때, 계측기는 필요한 유체의 파라메터를 계측할 수 있으면, 유량계, 유속계, 농도계, pH 측정기이어도 된다. 또한, 라인 합류부의 하류측 유로에 스태틱 믹서를 설치하여도 되고, 유체혼합기로 유로 축방향의 균일화를 실시하고, 스태틱 믹서로 유로의 직경방향 균일화를 실시하기 때문에 보다 균일하게 유체를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하여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 수정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1 유로 2: 나선유로
3: 제2 유로 4a, 4b, 4c, 4d, 4e: 분기유로
5: 유체입구 6: 유체출구
7: 본체부 8: 유체입구
9: 제1 유로 10: 유체출구
11: 제2 유로 12: 나선홈
13: 연통구멍 14: 원통체
15: 나선유로 41: 제1 유로
42: 나선유로 43: 제2 유로
44a, 44b, 44c, 44d, 44e: 분기유로 45: 유체입구
46: 유체출구 47: 본체부
48: 유체출구 49: 제2 유로
50: 나선홈 51: 연통구멍
52: 원통체 53: 나선유로
54: 유체입구 55: 제1 유로

Claims (26)

  1. 유체입구와, 상기 유체입구에 접속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접속하는 나선유로와, 상기 나선유로로부터 분기하는 복수개의 분기유로와,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가 각각 접속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접속하는 유체출구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나선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각각 분기하고, 상기 나선유로로부터 분기하는 상기 복수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제2 유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유로와 각각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단면에 상기 유체입구가 배치되고, 다른 쪽 단면에 상기 유체출구가 배치되며, 나선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가 상기 나선홈의 나선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연통구멍이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나선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홈 및 상기 상자체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나선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분기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단면에 상기 유체출구가 배치되고, 나선홈이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가 상기 나선홈의 나선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연통구멍이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나선홈을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체의 외주에 상기 유체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 및 상기 상자체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나선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분기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유로가 상기 제1 유로와 접속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통로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의 내주면이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유체출구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 각각의 통로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에 페룰(ferrule) 이음매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가 2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부재에 각각 플랜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클램프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가 2개의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의 일단부 외주에, 플랜지부와, 타단부가 직경축소된 직경축소부가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원통부의 상기 플랜지부측 개구부에 상기 본체부를 끼워넣어서, 각각의 상기 플랜지부를 클램프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가, 하부로 개구된 중공실이 설치되고, 상기 중공실에 입구유로와 출구유로가 각각 연결된 몸체와, 상기 중공실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자체의 중공실에 맞물려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
  11. 흐르는 물질의 온도 또는 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라인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유체혼합기에 의해 상기 물질의 온도 또는 농도를 균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기체 또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3. 적어도 2개의 물질의 혼합비율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변하는 라인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유체혼합기에 의해 상기 물질의 혼합비율을 균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물질이 각각 흐르는 라인의 합류부의 하류측에 상기 유체혼합기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기체, 액체, 고체, 분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6.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물과, pH 조정제, 액체비료, 표백제, 살균제, 계면활성제 또는 액체약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7.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액체약품과, 제2 액체약품 또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폐액과, pH 조정제, 응집제 또는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19.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석유류와, 제2 석유류, 첨가제 또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0.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접착제와,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1.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수지와, 제2 수지, 용제, 경화제 또는 착색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2.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식품원료와, 제2 식품원료, 식품첨가제, 조미료, 미생물 또는 불연성 가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3.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공기와, 가연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4.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제1 불연성 가스와, 제2 불연성 가스 또는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5.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적어도 물, 액체약품 또는 식품원료 중 어느 하나와, 공기, 불연성 가스 또는 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26.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제1 합성중간체와, 제2 합성중간체, 첨가제, 액체약품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KR1020117001497A 2008-08-07 2009-07-28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KR101263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4701 2008-08-07
JP2008204701 2008-08-07
PCT/JP2009/063716 WO2010016448A1 (ja) 2008-08-07 2009-07-28 流体混合器及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607A KR20110043607A (ko) 2011-04-27
KR101263412B1 true KR101263412B1 (ko) 2013-05-10

Family

ID=4166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497A KR101263412B1 (ko) 2008-08-07 2009-07-28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59694B2 (ko)
EP (1) EP2311552B1 (ko)
JP (1) JP4667539B2 (ko)
KR (1) KR101263412B1 (ko)
CN (1) CN102112215B (ko)
WO (1) WO2010016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85024U (en) * 2009-10-29 2010-07-21 Yao-Song Hou Improved fluid-flow watching device
US9498271B2 (en) * 2009-10-29 2016-11-2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axial needle cannula with distal spiral mixer and side ports for fluid injection
DE102009055320B4 (de) 2009-12-24 2011-09-01 Humedics Gmbh Mes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uchung eines Probegases mittels Infrarot-Absorptionsspektroskopie
JP5753846B2 (ja) * 2010-06-16 2015-07-2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液体混合装置、および液体クロマトグラフ
EP2663392B1 (en) * 2011-01-12 2018-10-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Layer multiplier for fluids with high viscosity
US9458041B2 (en) * 2011-03-10 2016-10-04 Eco-Safe Systems Usa, Inc. Ozone purification system for liquid effluent and wastewater systems
DE202011050903U1 (de) * 2011-08-04 2011-10-11 Holger Blum Misch- und Dosiervorrichtung zum Mischen und Dosieren von Chemikalien
US9574268B1 (en) 2011-10-28 2017-02-21 Asm America, Inc. Pulsed valve manifold for atomic layer deposition
WO2013111789A1 (ja) * 2012-01-23 2013-08-01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および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を用いた装置
WO2013121295A2 (en) * 2012-02-17 2013-08-22 Wiab Water Innovation Ab Mixing device
EP2671630B1 (en) 2012-06-07 2016-08-10 General Electric Company Mix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ixing channels and use thereof
CN102847480B (zh) * 2012-09-19 2014-07-30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化学液混合装置及方法
CN102928265A (zh) * 2012-10-22 2013-02-13 杭州富铭环境科技有限公司 烟气采样方法、装置及烟气在线监测系统
CN102914453B (zh) * 2012-10-22 2016-03-23 杭州富铭环境科技有限公司 烟气采样混合方法、装置及烟气在线监测系统
CN102974255B (zh) * 2012-10-31 2015-07-0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被动式螺旋微结构混合装置及应用
JP6076130B2 (ja) * 2013-02-25 2017-02-08 旭有機材株式会社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6118417B2 (ja) 2013-02-28 2017-04-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混合機
JP2014198324A (ja) * 2013-03-29 2014-10-23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流路及び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
US20140334245A1 (en) * 2013-05-08 2014-11-13 Karlsruher Institut Fuer Technologie Emulsifying arrangement
KR200470238Y1 (ko) 2013-08-28 2013-12-27 (주)대국 직렬 순차 가열식 전기 온수 보일러
WO2015034870A2 (en) * 2013-09-03 2015-03-12 Arocha Max Double-chamber mixing syringe and method of use
JP6657306B2 (ja) * 2013-11-13 2020-03-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液処理装置及び基板液処理方法
JP6352143B2 (ja) 2013-11-13 2018-07-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液処理装置及び基板液処理方法
WO2016017700A1 (ja) * 2014-07-31 2016-02-04 株式会社オプトクリエーション 洗浄装置
US20190242413A1 (en) * 2017-04-20 2019-08-08 Somarakis Helix Elbow Piping Llc Helix amplifier fittings
US10302104B2 (en) * 2014-10-20 2019-05-28 Somarakis Helix Elbow Piping Llc Helix amplifier fittings
EP3034159B1 (en) * 2014-12-18 2020-1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atic mixer and method of mixing fluids
JP6764870B2 (ja) * 2015-02-24 2020-10-07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ブリティッシュ・コロンビア 連続フローマイクロ流体システム
JP6189351B2 (ja) * 2015-03-18 2017-08-30 株式会社東芝 流路構造
JP6543985B2 (ja) * 2015-03-25 2019-07-17 横浜ゴム株式会社 混練機の内部観察方法
US10729600B2 (en) 2015-06-30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EP3370673B1 (en) 2015-11-04 2022-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HUE057989T2 (hu) 2015-11-04 2022-06-28 Procter & Gamble Nedvszívó szerkezetet tartalmazó nedvszívó árucikk
CN106731931B (zh) * 2015-11-20 2020-01-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混合器
US10662527B2 (en) * 2016-06-01 2020-05-26 Asm Ip Holding B.V. Manifolds for uniform vapor deposition
JP6911546B2 (ja) 2017-06-06 2021-07-28 栗田工業株式会社 希薄薬液製造装置
CN107381988A (zh) * 2017-08-16 2017-11-24 山东大学 一种盾构高浓度废弃泥浆处理系统及方法
CN107593282B (zh) * 2017-10-25 2018-05-18 翔天农业开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食用菌液体菌种的输送设备及其方法
CN108204146B (zh) * 2018-01-03 2023-07-18 河北医科大学第二医院 一种生物安全实验室风险防控系统
CN108771966B (zh) * 2018-06-12 2021-03-02 连云港龙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气处理工艺
CN108636077B (zh) * 2018-06-12 2020-12-15 江苏蓝电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烟气scr脱硝处理系统
US11492701B2 (en) 2019-03-19 2022-11-08 Asm Ip Holding B.V. Reactor manifolds
JP7299803B2 (ja) * 2019-08-30 2023-06-28 日機装株式会社 混合器
KR20210048408A (ko) 2019-10-22 2021-05-03 에이에스엠 아이피 홀딩 비.브이. 반도체 증착 반응기 매니폴드
CA3171384A1 (en) 2020-02-28 2021-09-02 Texas Medical Center Sprayable stimuli-responsive micro-hydrogels for adhesion prevention and enhanced tissue healing
CN111298675A (zh) * 2020-03-30 2020-06-19 诺舟生物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次氯酸水制备装置及制备工艺
EP4251309A4 (en) * 2020-11-30 2024-11-06 Texas Medical Center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RATION OF MULTI-COMPONENT FLUIDS
CN113391023A (zh) * 2021-07-12 2021-09-14 中国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NOx排放测试平台
CN114767558B (zh) * 2022-03-22 2023-06-30 无锡知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精华乳制备装置
CN117566693B (zh) * 2023-11-17 2024-09-27 安徽盛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铜冶炼转炉烟气制酸的低温位热回收系统和回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95A (ja) 1998-11-13 2000-05-23 Tlv Co Ltd フローミキサ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5315A (en) * 1965-02-18 1967-07-12 Ici Ltd Apparatus for mixing viscous liquids
US3704006A (en) * 1971-01-25 1972-11-28 Kenics Corp Dispersion producing method
US3977435A (en) * 1974-02-21 1976-08-31 Charles Bates Controlled pressure drop valve
JPS5191175A (en) * 1975-02-06 1976-08-10 Yakuzaino kinitsukongohoho
DE2719956C2 (de) * 1977-05-04 1982-12-02 Bayer Ag,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m Mischen, Reagieren und Ausdampfen
JPS5839567B2 (ja) * 1978-03-30 1983-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混合装置
JPS5921932A (ja) * 1982-07-23 1984-0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換気扇制御器
JPS5921932U (ja) 1982-07-31 1984-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反応射出成形アフタミキサ−
JPH02307518A (ja) 1989-05-19 1990-12-20 Teijin Ltd 流体混合装置
CN1062481A (zh) 1991-12-28 1992-07-08 翠竹企业集团 一种静态混合器
JPH08146008A (ja) 1994-11-25 1996-06-07 Hitachi Ltd 分割希釈装置
JPH08141379A (ja) 1994-11-28 1996-06-04 Nomura Micro Sci Co Ltd 混合装置
AT403349B (de) * 1996-05-13 1998-01-26 Staudinger Joh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tragen eines gases- oder eines gasgemisches in eine flüssigkeit
AUPO566097A0 (en) * 1997-03-17 1997-04-10 Browne, John Phillip Fluid mixer and water oxygenator incorporating same
JP4009035B2 (ja) * 1999-03-05 2007-11-14 株式会社フジキン 静止型混合攪拌装置
JP3677424B2 (ja) 2000-01-26 2005-08-0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スタティックミキサーエレメント
JP2002243597A (ja) 2001-02-16 2002-08-28 Japan Advanced Inst Of Science & Technology Hokuriku 溶液の希釈方法、及び溶液の希釈装置
DE10212081A1 (de) * 2002-03-19 2003-10-09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Zufuhr von Edukten in einen Reaktionsraum
US7041218B1 (en) * 2002-06-10 2006-05-09 Inflowsion, L.L.C. Stat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CN1537670A (zh) 2003-04-14 2004-10-20 刘辉堂 负压进气回流滞逸气液混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95A (ja) 1998-11-13 2000-05-23 Tlv Co Ltd フローミキ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16448A1 (ja) 2012-01-26
WO2010016448A1 (ja) 2010-02-11
JP4667539B2 (ja) 2011-04-13
EP2311552A4 (en) 2015-05-27
US9259694B2 (en) 2016-02-16
KR20110043607A (ko) 2011-04-27
US20110128814A1 (en) 2011-06-02
EP2311552B1 (en) 2016-09-07
EP2311552A1 (en) 2011-04-20
CN102112215A (zh) 2011-06-29
CN102112215B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412B1 (ko) 유체혼합기 및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KR101263395B1 (ko) 나선식 유체혼합기 및 나선식 유체혼합기를 이용한 장치
JP5441746B2 (ja)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6076130B2 (ja)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5484008B2 (ja) 静止型流体混合器及び静止型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4667541B2 (ja) 渦巻き式流体混合器及び渦巻き式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6403528B2 (ja)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2011104483A (ja) 静的流体混合器及び静的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2013075281A (ja) 流体混合器および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