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3113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13B1
KR101263113B1 KR1020110109495A KR20110109495A KR101263113B1 KR 101263113 B1 KR101263113 B1 KR 101263113B1 KR 1020110109495 A KR1020110109495 A KR 1020110109495A KR 20110109495 A KR20110109495 A KR 20110109495A KR 101263113 B1 KR101263113 B1 KR 10126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safety
housing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053A (ko
Inventor
현민웅
Original Assignee
현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민웅 filed Critical 현민웅
Priority to KR102011010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1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매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호간에도 회전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소켓과; 상기 각 소켓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과 상기 소켓의 축을 통해 외부의 전기선 또는 통신선과 로터리죠인트 형식으로 연결되며, 플러그가 접속되는 소켓단자와; 상기 벽면에 매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밀폐하며 장식용으로 활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벽면으로부터 많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가 삽입된 콘센트 주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외관 품위가 향상되며, 콘센트 주변 이동체와의 간섭이 거의 없어 플러그의 파손이나 그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CONCENT}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완전히 벽면으로 매립되게 하여 안전성을 더욱 강화시킴과 동시에 감전이나 파손을 막고 외관 품위를 높인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는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소켓이 2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플러그를 꽂아 놓지 않을 때에는 콘센트에 마련된 단자삽입구가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어린이 등이 호기심에 의해 젖가락 등을 삽입하는 등의 행위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안전 콘센트가 출시된 바 있다.
이와는 달리, 다양한 전기제품 예컨대,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청소기, TV 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상시 전기를 통해야 하는 전기선, 전화케이블, 인터넷케이블, TV 케이블 등의 단자 접속을 위한 콘센트의 경우에는 플러그(Plug)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 있으므로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사람이나 물건 등과 충돌하기 쉽고, 이러한 현상 발생시 플러그가 손상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 스파크가 발생됨은 물론 어린이가 잘못 만졌을 때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도 1의 (a)와 같이, 벽면(10)에 매입설치된 콘센트(20)에 플러그(30)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외관 품위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변 이동체와의 간섭이 극심하고, 간섭이나 충돌시 플러그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 아나라, 도 1의 (b)와 같이, 콘센트(20)에 케이블(C)이나 전화선(L) 등이 터미널(단자)(T)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문제가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이에 대한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콘센트와 함께 벽면에 매입되게 하여 플러그가 벽면으로부터 많이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간섭을 최소화하고, 외관 품위도 향상시키면서, 플러그 파손이나 손상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극소화시킨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면에 매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호간에도 회전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소켓과; 상기 각 소켓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과 상기 소켓의 축을 통해 외부의 전기선 또는 통신선과 로터리죠인트 형식으로 연결되며, 플러그가 접속되는 소켓단자와; 상기 벽면에 매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밀폐하며 장식용으로 활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 테두리 일부에는 상기 플러그와 연결된 플러그선을 수납하는 선정리홈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소켓은 제1소켓과 제2소켓으로 구분되고, 제1소켓의 일측면에는 축돌기가 돌출되고, 제2소켓의 대향면에는 축돌기가 끼워지는 축홀이 형성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들 사이의 이격거리 중앙에는 상기 소켓을 회전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상기 바닥판에 일체로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벽면으로부터 많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가 삽입된 콘센트 주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외관 품위가 향상되며, 콘센트 주변 이동체와의 간섭이 거의 없어 플러그의 파손이나 그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센트 및 이에 접속된 플러그 또는 케이블이나 전화선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설치상태중 일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설치 및 마감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벽면(100)에 매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 콘센트는 상기 벽면(100)에 매입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을 통해 벽면(100)에 배선된 전원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기선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플러그(Plug)의 몸체 형태 또한 구형, 반원형, 납작한 사각형, 사다리꼴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플러그에 일체로 구비된 접속용 단자의 경우도 사각판형, 봉형 등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두를 도시하지 않고 통용되고 있는 220V형 원형 플러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개념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110V형 플러그에도 그대로 적용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전기선이 아닌 케이블 혹은 안테나선, 인터넷연결선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 것 뿐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고정브라켓(210)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사각판상의 바닥판(22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220)과 일체로 형성되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10)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반원형상의 안착홈(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212)에는 스피커 잭과 같은 형태로 +,- 전기가 서로 절연된 채 통할 수 있도록 단자(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에는 후술할 축돌기(D, 도 4 참조)가 안착되는데, 상기 축돌기(D)에는 상기 단자와 접속되어 서로 같은 전극끼리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자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배선된 전기선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상면은 고정구(214)에 의해 나사고정되어 상기 안착홈(212)을 커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214)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원형돌기(216)가 돌출되어 후술되는 소켓(230)의 축홀(H, 도 4 참조)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230)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원활하게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210)들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소켓(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소켓(230)의 일단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정브라켓(210)의 안착홈(212)에 축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소켓(230)이 연결되는 고정브라켓(210)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지지브라켓(240)을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소켓(230)이 2개 이상 설치될 경우 플러그를 꼽거나 뺄 때 힘을 받게 되는데 그 부분이 제일 취약하므로 중앙부의 지지력을 높여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기선은 상기 소켓(230)의 일측면, 즉 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소켓(230) 내부에 구비된 소켓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일종의 로터리죠인트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소켓(23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전기선(미도시)과 소켓단자(250) 간의 전기적 접촉이 끊기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소켓(230)의 소켓단자(250)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은 형태로 플러그(300)가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30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110V 용 플러그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시된 형상과 모양의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110V 용, 220V 용 범용 플러그는 물론 그 형상을 벗어난 다른 형태의 플러그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거기까지 미친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상기 소켓(230)은 도 4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데, 도시된 바는 2개 설치된 예를 보여 준다.
이때, 상기 소켓(230)을 제1소켓(232)과 제2소켓(234)로 분리하여 명명한다면, 제1소켓(232)과 제2소켓(234)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1소켓(232)의 일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안착홈(212)에 설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축 역할을 하는 축돌기(D)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반면, 상기 제2소켓(234)의 일측면에는 상기 축돌기(D)가 삽입될 수 있는 축홀(H)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안착홈(240)에 설치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제1,2소켓(232,234)은 서로 암(축홀), 수(축돌기)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호 회전될 수 있게 접속되는 구조이면 족하기 때문에 도시된 예와 같은 형태로 특정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축돌기(D)와 축홀(H)을 통해 소켓단자(250)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이들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단자가 형성됨은 당연하며, 이러한 원형 단자는 공지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b),(c)와 같이, 상기 제1소켓(232)과 제2소켓(234)은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벽면(100)에 매입된 하우징(200)에 본 발명에 따른 제1,2소켓(232,234)을 구비한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이 형성된 바닥판(220)을 함께 장착한다.
그런 다음, 전기선을 연결하고, 해당 소켓(230)에 플러그(300)를 접속한다.
그러면, 도 3과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이후, 플러그선(400, 도 5 참조)을 인출하여, 하우징(200)에 형성된 선정리홈(260, 도 3 참조)을 통해 하우징(200) 밖으로 인출한다.
이때, 상기 선정리홈(260)은 플러그선(400) 혹은 케이블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면 테두리 일부에 파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300)는 깔끔하게 하우징(200)에 내장되는 형태가 되고, 소켓(230)이 회전유동하는 구조이므로 플러그(300)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므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커버부재, 즉 마감부재(500)를 통해 마무리함으로써 벽면(100)으로부터 플러그(300)가 돌출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플러그(300)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부재(50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무늬, 글씨, 그림, 문양 등의 장식을 가할 수도 있고, 색상을 구현하여 장식미를 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마감부재(500)는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여야 향후 플러그(300) 교체시 사용하기 쉬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 뿐만 아니라, 플러그까지 함께 벽면에 매립시키는 형태를 갖되 플러그선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플러그가 접속되는 소켓을 회전유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100 : 벽면 200 : 하우징
210 : 고정브라켓 220 : 바닥판
230 : 소켓 240 : 지지브라켓
250 : 소켓단자 260 : 선정리홈
300 : 플러그 400 : 플러그선
500 : 마감부재

Claims (2)

  1. 벽면(100)에 매입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에 내장되고, 사각판상의 바닥판(22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2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210)과;
    상기 고정브라켓(24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상호간에도 회전되게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소켓(230)과;
    상기 각 소켓(230)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측면과 상기 소켓(230)의 축을 통해 외부의 전기선 또는 통신선과 로터리죠인트 형식으로 연결되며, 플러그(300)가 접속되는 소켓단자(250)와;
    상기 벽면(100)에 매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부를 밀폐하며 장식용으로 활용되는 마감부재(500)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소켓(230)은 제1소켓(232)과 제2소켓(234)으로 구분되고, 제1소켓(232)의 일측면에는 축돌기(D)가 돌출되고, 제2소켓(234)의 대향면에는 축돌기(D)가 끼워지는 축홀(H)이 형성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210)들 사이의 이격거리 중앙에는 상기 소켓(230)을 회전지지하는 지지브라켓(240)이 바닥판(220)에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삭제
KR1020110109495A 2011-10-25 2011-10-25 안전 콘센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5A KR101263113B1 (ko) 2011-10-25 2011-10-25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5A KR101263113B1 (ko) 2011-10-25 2011-10-25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53A KR20130045053A (ko) 2013-05-03
KR101263113B1 true KR101263113B1 (ko) 2013-05-15

Family

ID=4865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113B1 (ko) 2011-10-25 2011-10-25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1911B (zh) 2015-06-02 2017-07-11 羅新平 插座排
CN105932466B (zh) * 2016-04-27 2020-05-15 杭州鸿雁电器有限公司 一种壁式插座面板结构
KR102012737B1 (ko) * 2017-10-20 2019-08-21 임기영 교체식 멀티 콘센트
CN108199181B (zh) * 2017-12-28 2019-05-14 温州新马亚电器有限公司 一种插座辅助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78Y1 (ko) * 2001-05-25 2001-11-17 조재화 회전형 콘센트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12-13 김용민 조립형 전기 콘센트
KR200400519Y1 (ko) * 2005-08-26 2005-11-08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가구용 단자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78Y1 (ko) * 2001-05-25 2001-11-17 조재화 회전형 콘센트
KR200255394Y1 (ko) 2001-08-16 2001-12-13 김용민 조립형 전기 콘센트
KR200400519Y1 (ko) * 2005-08-26 2005-11-08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가구용 단자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53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7174B1 (en) Safe electrical outlet
CA2714504C (en) Rotating plug adaptor
US7575436B1 (en) Rotating plug adapter with integral two blade receptacle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US20120270416A1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WO2012086145A1 (en) Connector housing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GB2579882A (en) Protective cover assembly for a socket and a socket
KR101411288B1 (ko) 전기플러그
KR101717237B1 (ko) 회전형 멀티탭
KR20150089861A (ko) 멀티 탭 콘센트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US7819701B2 (en) Rotat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KR200387542Y1 (ko)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EP3017513B1 (en) A double wall socket
KR102280288B1 (ko) 회동 가능한 멀티콘센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20110053298A (ko) 전기 플러그를 뽑지않은 상태로 전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켓
KR101621775B1 (ko) 구획공간이 마련된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102169202B1 (ko) 접지 전용 플러그
KR102048559B1 (ko)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