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981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813B1
KR101259813B1 KR1020060074872A KR20060074872A KR101259813B1 KR 101259813 B1 KR101259813 B1 KR 101259813B1 KR 1020060074872 A KR1020060074872 A KR 1020060074872A KR 20060074872 A KR20060074872 A KR 20060074872A KR 101259813 B1 KR101259813 B1 KR 10125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acket
pdp context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05A (ko
Inventor
백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8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은 패킷망과의 패킷 서비스 수행 중 이동통신 망을 통해 VT(vidio telephony)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패킷 서비스에 대한 PDP 문맥(PDP context)의 활성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에 보존되도록 요청하고, VT(vidio telephony) 통화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서비스에 대한 PDP 문맥(PDP context)이 보존된 상태에서 VT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VT 통화 종료 후 패킷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고도, SGSN에 보존된 PDP 문맥(PDP context)이 활성화되어 패킷망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74872
이동통신 단말기, SGSN, GGSN, PDP 문맥, 패킷망, 이동통신 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Packet data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WCDMA망의 구성이 도시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패킷교환지원노드(SGSN)
30: 패킷관문지원노드(GGSN) 40: 패킷망
41: 인터넷 망 42: 서버
50: 무선 접속망(RAN) 51: 기지국(BTS)
52: 기지국 제어기(BSC) 60: 이동통신 교환국(MSC)
70: 이동통신 망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킷망을 통한 패킷 서비스 중 VT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PDP 문맥이 보존된 상태에서 VT 통화 연결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CDMA 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접속망을 통해 SGSN(Service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연결되고, SGSN 및 GGSN을 통해 패킷망과 연결되어, 패킷망과의 패킷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GGSN은 SGSN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해당 패킷망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패킷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SGSN으로 전송하고, SGSN은 GGSN으로부터 전달된 패킷을 무선 접속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접속망과 연결된 이동통신 교환국(MSC)을 통해 이동통신 망과 연결되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컨텐츠 서비스 및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등의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패킷망과의 패킷 서비스 중 잠시 통화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경우, 통화 서비스를 위하여 진행중이던 패킷 데이터의 호 접속을 종료해야만 한다.
따라서, 통화 서비스 종료 후, 패킷 서비스를 다시 수행하기 위해서는 PDP 문맥(PDP context)을 다시 설정해야만 패킷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패킷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의 연결 시간이 길어져 그에 따라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중 VT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활성화 된 PDP 문맥이 SGSN에 보존되도록 하고, VT 통화 종료 후에도 별도의 설정 없이 보존된 PDP 문맥이 활성화 되도록 하여, 패킷망을 통한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은 패킷망 및 이동통신 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을 통한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PDP 문맥(PDP context)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망을 통해 VT(vidio telephony) 통화 요청 시, 활성화 된 상기 PDP 문맥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에 보존(preserve)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VT 통화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WCDMA망의 구성이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 수행 시,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는 패킷망(40), 패킷망(40)으로부터 제공된 패킷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전달하는 패킷관문지원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30), GGSN(30)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무선 접속망(RAN, cRadio Acess Network)(50)으로 전송하는 패킷교환지원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20), 무선 접속망(RAN, 50)을 통해 SGSN(20)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포함한다.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거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며, SGSN(20)의 관리 영역 내에 포함되는 가입자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 등이 SGSN(2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때, SGSN(20)은 무선 접속망(RAN, 50)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활성화 된 PDP 문맥(PDP context)을 보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패킷 데이터 전송 시, 또는 패킷망으로 패킷 데이터 요청 시, 보존된 PDP 문맥이 다시 활성화되도록 한다.
GGSN(30)은 인접된 인터넷 망(41)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SGSN(20)으로부터 전달된 패킷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인터넷 망(41)을 통해 해당 서버(42)로 전송하거나, 인터넷 망(41)으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SGSN(20)으로 전송한다.
이때, SGSN(20) 및 GGSN(30)은 무선 접속망(RAN, 5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되며, 패킷망(40)에 접속되어 패킷망(40)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여기서, 패킷망(40)은 인터넷 망(41) 및 패킷 데이터가 저장되어, 인터넷 망(41)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42)를 포함한다.
또한, WCDMA망에서의 VT 서비스 수행 시, 무선 접속망(RAN, 50)에 연결된 이 동통신 단말기(10)로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60),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다양한 콘텐츠 및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망(70)을 더 포함한다.
한편, 무선 접속망(RAN, 5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ubsystem)(51)과, 기지국(BTS, 51)을 통하여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52)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 제어기(BSC, 5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SGSN(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패킷망(40) 간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거나, 혹은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이동통신 망(70) 간 VT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패킷망(40)을 통한 패킷 서비스 수행 중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 된 PDP 문맥이 SGSN(20)에 보존되도록 요청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패킷망(40)을 통한 패킷 서비스 수행 중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된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이 변경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은 할당/유지 우선권 (Allocation/Retention Priority),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전달 순서(Delivery Order), 에러 SDU(Service Data Unit)의 전달(Delivery of Erroneous SDU), 최대 SDU 크기(Maximum SDU size), 상향 최대 비트율(uplink maximum bit rate), 하향 최대 비트율(downlink maximum bit rate), 잉여 비트 에러율(Residual Bit Error Ratio), SDU 에러율, 전송 지연(Transfer Delay), 트래픽 처리 우선권(Traffic Handing Priority), 상향 보장 비트율, 하향 보장 비트율 등이 포함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이 '0 Kbps'로 변경되도록 요청함으로써, PDP 문맥(PDP context)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 채, 패킷망(40)과의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활성화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컨텍스트(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변경 요청이 있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품질(QOS) 프로파일(profile)을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고 전송률이 '0 Kbps'이면, PDP 문맥(PDP context) 설정을 유지한 채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고 전송률이 '0 Kbps'이 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요청에 따라 활성화된 PDP 문맥이 SGSN(20)에 보존되면,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 통화를 요청함으로써, 다른 단말기와 VT 통화연결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 통화 종료 후, SGSN(20)을 통해 패킷망(40)으로 패킷 데이터 요청하거나, 소정 패킷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SGSN(20)에 보존된 PDP 문맥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패킷망(40)을 통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PDP 문맥(PDP context)의 서비스 품질(QOS) 중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이 '0 Kbps' 인 경우, PDP 문맥(PDP context)의 서비스 품질(QOS) 중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이 기 설정치로 복구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PDP 문맥(PDP context)의 서비스 품질(QOS) 중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을 기 설정치로 복구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패킷망(40) 간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패킷망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SGSN(20)으로 PDP 문맥(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한다(S100). 이때, SGSM(20)은 GGSN(30)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PDP 문맥(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함에 따라 GGSN(30)으로부터 PDP 문맥(PDP context)이 생성되어, PDP 문맥(PDP context)이 활성화되고, 이때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응답신호를 전송함으로써(S120), SGSN(20) 및 GGSN(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패킷망(40) 간 패킷 데이터 송 수신을 수행한다(S130).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패킷망(40) 간 패킷 서비스 수행 중,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vidio telephony) 통화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S14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활성화 상태의 PDP 문맥(PDP context)이 SGSN(20)에 보존되도록 요청한다(S150).
즉,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활성화 상태의 PDP 문맥이 SGSN(20)에 보존되도록 함으로써, PDP 문맥을 다시 설정하지 않고도 패킷망(40)과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식별정보는 TEID(Tunnelling Endpoint IDentifier),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등을 포함한다.
한편,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 상태의 PDP 문맥을 보존하고, 보존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60, S17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SGSN(20)으로부터 PDP 문맥 보존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S170),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이동통신 망(70)으로 VT(vidio telephony) 통화 발신신호를 전송하여(S180),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연결된 다른 단말기와 VT 통화를 수행한다(S190).
이때, VT(vidio telephony)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콘텐츠, 음성 통화와 같이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가능한 서비스는 모두 해당된다.
한편, VT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이동통신 망(70)으로 VT(vidio telephony) 통화 종료신호를 전송하여(S200),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연결된 다른 단말기와의 VT 통화를 종료한다.
이동통신 망(70)을 통한 VT(vidio telephony) 통화 종료 후(S20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SGSN(20)을 통해 패킷망(40)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요청하고(S210), 이때 SGSN(20)에 보존된 PDP 문맥이 활성화되어 패킷망(40)을 통한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다시 수행한다(S220).
여기서, SGSN(20)을 통해 패킷망(40)으로소정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SGSN(20)에 보존된 PDP 문맥이 활성화되어 패킷망(40)을 통한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다시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패킷망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SGSN(20)으로 PDP 문맥(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한다(S300). 이때, SGSM(20)은 GGSN(30)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PDP 문맥(PDP context) 활성화를 요청함에 따라 GGSN(30)으로부터 PDP 문맥(PDP context)이 생성되어, PDP 문맥(PDP context)이 활성화되고(S310), 이때 SGSN(20)은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응답신호를 전송함으로써(S320), SGSN(20) 및GGSN(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및 패킷망(40) 간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S330).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패킷망(40) 간 패킷 서비스 수행 중,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VT(vidio telephony) 통화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S34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이 변경되도록 요청한다(S350).
즉, 이동통신 단말기(10)는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프로파일(profile) 중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maximum bit rate)이 '0 Kbps'로 변경되도록 요청한다. 이때, SGSN(20)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을 인식할 수 있도록 TEID(Tunnelling Endpoint IDentifier),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SGSN(20)은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감지하고, 이때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maximum bit rate)을 '0 Kbps'로 변경한다(S360). 여기서, 별도의 서비스 품질(QOS) 변경 요청이 있을 때까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 설정을 유지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SGSN(20)으로부터 PDP 문맥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S370),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이동통신 망(70)으로 VT(vidio telephony) 통화 발신신호를 전송하여(S380),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연결된 다른 단말기와 VT 통화를 수행한다(S390). 이때, VT(vidio telephony)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콘텐츠, 음성 통화와 같이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가능한 서비스는 모두 해당된다.
한편, VT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MSC, 60)을 통해 이동통신 망(70)으로 VT(vidio telephony) 통화 종료신호를 전송하여(S400),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연결된 다른 단말기와의 VT 통화를 종료한다.
이동통신 망(70)을 통한 VT(vidio telephony) 통화 종료 후(S400), 이동통신 단말기(10)는 SGSN(20)으로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대 비트율(maximum bit rate)이 기 설정치로 복구되도록 요청하면(S410), SGSN(20)은 변경된 서비스 품질(QOS)을 기 설정된 데이터로 복구하고(S420), 서비스 품직 복구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S43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패킷망(40) 간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재수행되도록 한다(S440).
이때, 변경된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복구를 요청할 때도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TEID(Tunnelling Endpoint IDentifier),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PDP 문맥(PDP context)에 대한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은 패킷망과의 패킷 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망으로의 VT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패킷 서비스에 대한 PDP 문맥(PDP context)이 보존된 상태에서 VT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VT 통화 종료 후 패킷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고도, SGSN에 보존된 PDP 문맥(PDP context)이 활성화되어 패킷망간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패킷 서비스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패킷 서비스와 통화 서비스를 동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패킷망 및 이동통신 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을 통한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PDP 문맥(PDP context)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망을 통해 VT(vidio telephony) 통화 요청 시, 상기 PDP 문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PDP 문맥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VT 통화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VT 통화 종료시, 상기 PDP 문맥의 서비스 품질(QoS)을 복구되어,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P 문맥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변경 요청 시, 상기 PDP 문맥에 대한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TEID(Tunnelling Endpoint IDentifier),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단계는 상기 PDP 문맥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고 전송률이 '0 Kbps'로 변경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T 통화 종료 시, 상기 PDP 문맥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상향 링크(uplink) 및 하향 링크(downlink)의 최고 전송률이 기 설정치로 복구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단계는 상기 PDP 문맥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KR1020060074872A 2006-08-08 2006-08-08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KR10125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72A KR101259813B1 (ko) 2006-08-08 2006-08-08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72A KR101259813B1 (ko) 2006-08-08 2006-08-08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05A KR20080013405A (ko) 2008-02-13
KR101259813B1 true KR101259813B1 (ko) 2013-04-30

Family

ID=3934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72A KR101259813B1 (ko) 2006-08-08 2006-08-08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90B1 (ko) * 2007-08-14 2009-10-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레이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 제어 방법
EP2244523A1 (en) * 2009-04-21 2010-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suspend packet switched ser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877A (ko) * 2000-03-16 2002-10-31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데이터용 패킷데이터 가입자 컨텍스트를 활성화하는방법 및 시스템
WO2006034660A1 (en) 2004-09-30 2006-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rvice identifying and routing in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WO2006052176A1 (en) 2004-11-15 2006-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JP3805255B2 (ja) * 2000-05-31 2006-08-02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接続の識別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877A (ko) * 2000-03-16 2002-10-31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데이터용 패킷데이터 가입자 컨텍스트를 활성화하는방법 및 시스템
JP3805255B2 (ja) * 2000-05-31 2006-08-02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接続の識別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WO2006034660A1 (en) 2004-09-30 2006-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rvice identifying and routing in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WO2006052176A1 (en) 2004-11-15 2006-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05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3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755828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234415B1 (en) Dynamic upgrade of quality of service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KR100907775B1 (ko) 고속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터미널, 고속 데이터 레이트 원격통신 네트워크, 및 핸드오버 수행 여부 결정 방법
US9451516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offload point device, user equipment and system
US20140204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te of voic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oice service via packet network
JP5340424B2 (ja) データ中継装置及びデータ中継方法
US7200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ed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2004523170A5 (ko)
US75063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bearer author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010330B2 (ja) プロトコル変換装置及び方法
US20120264420A1 (en) Distributed base station controller
KR101213932B1 (ko) 이종망 환경에서 종단간 서비스 품질 연동장치 및 그 방법
KR1012598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방법
KR101099433B1 (ko) 낮은 대기 시간 서비스들을 위한 베어러 네트워크에 의한시그널링 전송
KR20030059540A (ko) 올 아이피 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101830224B1 (ko) 패킷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564528B1 (ko) Wcdma 패킷망에서 디폴트 접속점명(apn)에 대한서비스 품질 결정방법
KR100893191B1 (ko) 이동통신망에서 무선자원 절약을 위한 상시 접속 유지 방법및 그 시스템
JP4564023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ベアラ許可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68966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교환 지원 장치 및 그 자원할당 방법
KR20120025926A (ko) 동적 상향 링크 속도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85477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