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9546B1 -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546B1
KR101259546B1 KR1020110114295A KR20110114295A KR101259546B1 KR 101259546 B1 KR101259546 B1 KR 101259546B1 KR 1020110114295 A KR1020110114295 A KR 1020110114295A KR 20110114295 A KR20110114295 A KR 20110114295A KR 101259546 B1 KR101259546 B1 KR 10125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mobile phone
phone
smart key
ma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1011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폰과, NFC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스마트키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호간의 NFC가 개통되면,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과 상호 인증을 시도하고, 상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모바일폰이 자체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키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도어록에 등록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한다.

Description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SMART-KEY SERVICE}
본 발명은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록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스마트키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으로서 RFID 통신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폰의 NFC 기능을 이용하면, 모바일폰을 교통카드나 T-Money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부 은행 및 관공서에서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폰을 전자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더욱, 이러한 NFC 기능을 갖춘 모바일폰은, 메모리에 저장된 스마트키를 디지털 도어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도어록의 개방을 위한 인증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NFC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을 디지털 도어록의 인증키로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폰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폰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폰과, NFC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스마트키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호간의 NFC가 개통되는 NFC 개통 단계;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과 상호 인증을 시도하는 제1 인증 단계; 상호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모바일폰이 자체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키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는 제2 인증 단계; 상기 스마트키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도어록에 등록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하는 인증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인증 단계는, secret key에 의한 암호화/복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3DES, DES, AES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단계들에 앞서, 상기 도어록과 상기 모바일폰이 서로를 최초 등록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각각 실행하고,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폰이 임의로 생성한 secret key와 자체의 전화번호를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은 상기 전송된 secret key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또한 도어록 ID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secret key 및 상기 도어록 ID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모바일폰을 상기 도어록에 대해 마스터폰으로서 등록하는 마스터폰 등록 단계를 더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은 단 하나의 모바일폰을 상기 마스터폰으로서 등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폰과 또다른 모바일폰인 대상 모바일폰과의 상호 NFC가 개통되면,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도어록 ID 및 상기 secret key를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기 도어록으로 적어도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키 발급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를 삭제하고자 하는 명령을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도어록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스마트키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폰이 단1회 사용 가능으로 정의된 원타임 스마트키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상기 secret key와 함께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은 전송된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 및 상기 secret key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기 도어록과 상기 secret key에 의한 상호 인증 후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를 전송하면, 상기 도어록은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은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를 즉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폰은 상기 도어록에 단 1회만 인증가능한 수동 입력용 원타임 패스워드를 발급한 순번을 표시하는 카운터값을 유지하고, 상기 도어록은 상기 원타임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터값을 추출하여 유지하며, 상기 마스터폰이 임의의 대상 모바일폰에 상기 원타임 패스워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카운터값을 포함하여 원타임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SMS 메시지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사용자가 상기 전송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록에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도어록은 상기 입력된 원타임 패스워드에 포함된 상기 카운터값이 자체 유지하는 카운터값보다 큰 경우에 인증 성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이 인증 성공한 상기 모바일폰에 상기 도어록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전송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폰에서 상기 도어록에 대하여 인증을 시도한 경우, 미리 저장된 대상 모바일폰에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 시도 상황을 통보하는 리얼타임 오디트(Realtime Audit)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임의의 모바일폰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시도되면 상기 도어록이 상기 모바일폰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 결과를 순차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증 처리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저장된 인증 처리 결과를 상기 마스터폰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전송된 인증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타이어 오디트(Entire Audit)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폰에서 상기 도어록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기능에 대한 조작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을 NFC를 통해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에서 상기 기능을 상기 전송된 설정에 따라 갱신하는 설정 구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폰을 디지털 도어록과 NFC 통신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정할 수 있는 인증키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모바일폰에 의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다.
또한, 도어록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스마트키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 있어서 모바일폰으로 도어록에 인증을 시도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마스터폰 등록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마스터폰에서 임의의 모바일폰으로 스마트키를 발급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를 강제로 삭제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원타임 스마트키의 제공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원타임 패스워드를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스마트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폰(10)과, 도어록(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바일폰(10)에는 NFC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NFC 칩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모바일폰에는 폰어플리케이션(이하, '폰어플')(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폰어플(14)은 NFC 칩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스마트키 서비스라는 것은, 사용자가 모바일폰(10)을 이용하여 주택 또는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모바일폰(10)에서 도어록(20)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도어록(20)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약속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면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하여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게 된다.
모바일폰(10)은, 자체적으로 구비된 문자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 출력 수단, 진동 수단 등을 이용하여, 또한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유무선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RFID 통신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의 모바일폰은, 통합 운영체제가 설치된 스마트폰이 대부분이며, 여기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설치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폰어플(14)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로서, 모바일폰(10)이 원격 서버 또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폰어플(14)은 임의의 데이터를 모바일폰(10)이 구비하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으며, 모바일폰(10) 자체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모바일폰과의 SMS 통신 등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한, 폰어플(14)은 NFC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상대방을 고유하게 인증하기 위한 솔루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런 솔루션은,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일한 secret key에 의해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여 상호 인증을 실현하는, 3DES, DES 또는 AES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폰에 탑재된 폰어플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모바일폰과 폰어플의 동작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혼용할 수 있는데, 주로 '모바일폰'으로 통합하여 지칭하고 설명한다.
도어록(20)은, 출입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출입문 내부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20)은, NFC 기능, 예를 들면, RFID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폰(10)과 무선 통신가능하다.
도어록(20)은, RFID 통신과 같은 NFC를 통해 전송되는 임의의 디지털 정보를 secret key에 의해 복호화하여 모바일폰(10)을 인증하고, 인증 이후에 전송되는 정보 또는 secret key로 암호화된 후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정보(예를 들면, 도어록 ID 및/또는 사용자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어록은 3DES 등의 방식에서 사용하는 인증 절차가 완료하면 접근한 모바일폰을 정당한 사용자로서 인증할 수 있는데, 이후에 모바일폰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강화된 인증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임의의 모바일폰과의 secret key에 의한 인증이 완료한 후, 전송되는 전화번호에 의해 인증을 시도하는 모바일폰을 특정할 수 있게됨으로써, 인증을 시도한 모바일폰이 스마트키의 사용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검증할 수 있다. 만약, 인증을 시도한 모바일폰이 사용이 제한된 상태라면, 3DES에 의한 상호 인증이 성공하였더라도 인증 처리를 최종 실패로 판정한다.
더욱, 도어록(20)은 제조시에 제작사가 부여한 시리얼 번호와 같은 고유한 도어록 ID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마트키에 도어록 ID를 포함시키고, 전송되는 도어록 ID를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록(20)은, 인증된 사용자의 모바일폰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저장 유지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스마트키에 포함된 모바일폰 정보와 도어록에 미리 저장된 모바일폰 정보가 일치할 때 인증을 성공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임의의 모바일폰에 대하여 발급된 스마트키를 강제로 삭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어록은 해당 모바일폰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모바일폰(즉, 삭제 대상 모바일폰)이 NFC 통신을 통해 접근하여 스마트키를 전송하더라도 도어록에는 인증 처리에 사용할 모바일폰 정보가 삭제된 상태이므로, 인증이 실패처리된다.
또한, 도어록(20)은, 외부에서 올바른 비밀번호를 수동 입력하거나 올바른 스마트키가 전송되어도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는 내부 강제 잠금 기능이 설정될 수 있는데, 특수하게 설정된 스마트키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내부 강제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록(20)은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스마트키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20)에 제조 당시에 부여된 도어록 ID, 도어록에 대하여 인증된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스마트키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로는, 예를 들면, 제약없이 사용 가능한 퍼머넌트 스마트키(Permanent Smart Key), 단 1회만 사용 가능한 원타임 스마트키(One Time Smart Key), 도어록에 내부 강제 잠금 기능 등이 설정된 경우에도 도어록을 외부에서 해정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이머전시 스마트키(Emergency Smart Key)를 표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스마트키는, 상술한 secret key에 의해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으나, 공지의 3DES 암호화/복호화 방식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이후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어도 무방하다.
스마트키를 구성하는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암호화 방식도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 있어서 모바일폰으로 도어록을 이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도어록에 인증을 시도하기 위하여 폰어플을 실행시키고 인증에 사용할 어느 하나의 스마트키를 선택하면, NFC의 기능이 준비되어 도어록과의 통신에 대기한다(S10). 이러한 대기 동작 중에, 사용자가 모바일폰을 도어록에 접근시키게 되면, 도어록과 모바일폰의 NFC 기능이 서로 반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개통된다(S20). 모바일폰과 도어록은 공지된 3DES 등의 암호화/복호화 방식에 따라 상호 인증을 처리한다(S30).
상호 인증이 성공하면, 모바일폰에서는 적어도 자체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도어록 측으로 전송하게 되고(S40), 모바일폰에서는 전송된 전화번호가 자체 저장하고 있는 등록된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최종 성공으로 처리한다(S50).
인증 처리가 최종 성공하여 접근한 모바일폰이 정당한 사용자의 모바일폰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은 출입문을 개방하고, 인증 처리가 실패하였다면 도어록은 출입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폰어플에서는, 저장된 다수의 스마트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일정 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어록과의 통신에 대기시킨다. 이 대기 시간이 지나면 폰어플은 스마트키의 사용을 정지시킨다.
한편, 도어록은, 모바일폰과 secret key에 의한 상호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이후에 전송되는 정보(예를 들면, 스마트키)에 관계없이 출입문을 개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어록에서 어느 하나의 모바일폰을 마스터폰으로서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4는, 마스터폰 등록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도어록에는 하나의 모바일폰이 마스터폰으로서 등록될 수 있으며, 등록된 마스터폰은 스마트키 서비스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임의의 모바일폰에 대한 스마트키의 발급, 이미 발급된 스마트키의 삭제 지시, 수동 입력용 패스워드의 발급, 도어록의 내부 강제 잠금 동작을 해제할 수 있는 특수한 스마트키의 발급, 도어록에 대한 사용 이력 조회, 도어록의 각종 기능 설정 등을 실행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록에서 모바일폰 등록 메뉴를 실행시키고, 마스터폰으로 설정할 모바일폰에서도 도어록 등록 메뉴를 실행시킨다(S21, S21').
이어서, 등록 메뉴가 각각 실행되는 상태에서, 도어록에 모바일폰을 가까이 가져감으로써, 도어록과 모바일폰 사이의 NFC가 개통된다(S22).
모바일폰에서는 도어록과의 상호 인증에 사용할 secret key를 생성하고, 생성한 secret key와 자체의 전화번호를 도어록에 전송한다(S23). 전송되는 전화번호는 마스터폰 ID가 된다. 마스터폰 ID는, 모바일폰의 제작시에 설정된 시리얼 번호 또는 MAC-address, 또는 마스터폰 등록 절차에서 폰어플이 즉시 임의로 생성한 정보일 수도 있다.
도어록은 전송된 마스터폰 ID와 secret key를 저장하고, 자체 보유하고 있는 도어록 ID를 모바일폰에 전송한다(S24, S25). 모바일폰은 수신한 도어록 ID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6). 또한, 모바일폰은, 도어록에 제공해준 마스터폰 ID와 secret key도 저장한다.
한편, 하나의 도어록에는 하나의 마스터폰만이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록에 이미 마스터폰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마스터폰이 등록된다면, 기존의 마스터폰에 관련한 정보(예를 들면, secret key 및/또는 마스터폰 전화번호)는 삭제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모바일폰은 복수의 도어록에 대하여 마스터폰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록 각각에 대응하는 secret key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도어록을 "우리집", "기숙사", "사무실" 등의 이름으로 구분하고, 필요시 어느 하나의 secret key(또는 스마트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마스터폰을 이용하여 임의의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대하여 인증될 수 있도록 스마트키를 발급하는 절차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키의 발급은, 앞서 설정된 마스터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가 마스터폰을 통해 스마트키를 발급할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마스터폰과 스마트키를 발급받을 대상 모바일폰이 상호간의 NFC가 개통되고, 각각의 모바일폰에서 폰어플이 구동된 후(S31), 마스터폰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폰이 맞는지 확인하고, 스마트키를 생성하여 secret key와 함께 대상 모바일폰에 전송한다(S32). 이때, 생성되는 스마트키에는, 이 스마트키의 종류를 나타내는 스마트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키 종류로는, 이 스마트키가 별도의 제한이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퍼머넌트 스마트키(Permanent Smart Key), 단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원타임 스마트키(One-time Smart Key), 도어록의 내부 강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이머전시 스마트키(Emergency Smart Key) 등이 있다.
한편, 대상 모바일폰에서는, 실행중인 폰어플이 마스터폰으로부터 수신한 secret key 및 스마트키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33, S34).
이어서, 마스터폰은 스마트키를 발급한 내역을 도어록으로 전송한다. 즉, 도어록에서 스마트키 등록 메뉴를 실행시킨 후, 마스터폰을 도어록에 접근시키면, 마스터폰은 스마트키가 발급된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도어록으로 전송한다(S35). 이때, 발급된 스마트키의 종류에 관한 정보도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은 전송받은 정보들을 저장한다(S36). 이로써, 도어록은 스마트키가 발급된 모바일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장된 정보는 이후 도어록이 해당 모바일폰 및 스마트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되며, 후술하는 스마트키 강제 삭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입력 절차 후, 대상 모바일폰은 수신한 secret key를 이용하여 도어록과 상호 인증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제공받은 스마트키에 자체의 전화번호를 포함시켜 도어록으로 전송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로서 인증받을 수 있게 된다.
도어록에서는 미리 정해진 임의의 개수(예를 들면, 20개)의 스마트키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무분별하게 스마트키가 발급됨으로써 도어록에 대한 보안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폰도 본 스마트키 발급 절차에 따라서 스마트키를 발급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발급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마스터폰의 전화번호로 설정함으로써, 스마트키를 도어록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은, 임의의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를 강제로 삭제시킴으로써, 해당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대하여 더이상 인증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키 삭제 조작은 마스터폰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는 마스터폰에서 모든 모바일폰에 대하여 스마트키를 직접 발급해주기 때문에, 마스터폰에는 스마트키가 발급된 모바일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물론, 도어록에도 마스터폰이 스마트키를 발급한 모바일폰들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먼저, 마스터폰에서 임의의 대상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의 삭제 요청을, 스마트키 삭제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와 함께 도어록에 전송한다(S41, S42). 도어록에서는 삭제 요청에 따라, 삭제 대상 모바일폰에 관련한 정보(즉, 전화번호)를 삭제 처리한다(S43).
이후에, 삭제 대상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접근하여 사용자 인증을 시도하게 되면, 삭제 대상 모바일폰에는 이전에 마스터폰으로부터 발급받은 secret key와 스마트키가 아직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어록과의 secret key에 의한 상호 인증은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삭제 대상 모바일폰이 자체의 전화번호를 스마트키로써 전송할 때, 도어록에는 삭제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가 이미 삭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삭제 대상 모바일폰에 대한 사용자 인증은 성공할 수 없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는, 임의의 사용자의 모바일폰에 도어록에 대하여 단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원타임 스마트키(One Time Smart Key)를 제공할 수 있다. 원타임 스마트키의 제공 절차 및 사용, 삭제 절차를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폰과 원타임 스마트키의 발급 대상 모바일폰과의 NFC가 개통되면, 마스터폰은, 단 1회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후 즉시 삭제되도록 설정된 원타임 스마트키임을 표시하는 스마트키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생성하여 secret key와 함께 대상 모바일폰에 NFC를 통해 전송한다(S51). 대상 모바일폰에서는 폰어플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마스터폰으로부터의 원타임 스마트키와 secret key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저장한다(S52)(도 7(a) 참조).
이후, 원타임 스마트키를 발급받은 대상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접근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실행된다. 먼저, 원타임 스마트키를 가진 대상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근접하게 되면(S54), secret key에 의한 상호 인증이 처리된다(S55).
이후, 모바일폰에서 원타임 스마트키를 도어록에 전송하면(S56), 도어록에서는 전송된 스마트키가 원타임 스마트키임을 확인하고, 사용자 인증을 처리를 성공으로 판정한다(S57).
한편, 원타임 스마트키를 사용한 모바일폰에서는 폰어플이 원타임 스마트키의 사용을 확인하고, 사용된 원타임 스마트키를 메모리에서 즉시 삭제한다(S58). 이로써, 원타임 스마트키는 사용되고난 후에는 메모리에 남아있지 않으며, 추후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접근하더라도, 폰어플에서는 인증에 사용할 스마트키가 없다고 인식될 것이다.
원타임 스마트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키를 사용하는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는 없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도어록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동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도어록에 대하여 단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원타임 패스워드를 임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이러한 절차는, 어떤 사용자의 모바일폰이 RFID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형태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지 못하는 형태일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도어록에 패스워드를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여 단 1회만 인증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할 때 적용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가 마스터폰을 통해 원타임 패스워드를 생성한다(S61). 생성되는 원타임 패스워드에는, 원타임 패스워드의 생성 순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secret key에 의해 암호화함으로써 임의의 자릿수를 갖는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원타임 패스워드는 대상 모바일폰에 SMS 메시지 등의 형태로 전송된다(S62). 대상 모바일폰의 사용자는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원타임 패스워드를 도어록에 키패드를 통해 직접 입력한다.
한편, 도어록과 마스터폰은, 원타임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사용된 횟수(또는 최근에 사용된 원타임 패스워드에 포함된 순번 정보)를 표시하는 카운터값(순번 정보)을 유지한다. 그리고 도어록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타임 패스워드를 분석하여 카운터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카운터값이 유지하고 있는 카운터값보다 큰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즉, 추출한 카운터값이 저장된 카운터값보다 크다는 것은, 마스터폰에서 생성한 원타임 패스워드가 최근에 갱신된 카운터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원타임 패스워드가 재사용되더라도, 카운터값이 최근의 갱신된 값보다 작기 때문에, 인증은 실패하게 된다.
이어서,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인 스마트 가이드 기능을 설명한다. 스마트 가이드는, 도어록에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모바일폰에서 감지하고, 대응하는 조치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다.
먼저, 어떤 모바일폰이 저장된 secret key 및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도어록에 사용자 인증을 시도하고 인증이 성공하였다면(S71, S72), 도어록은 자체 점검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모바일폰에 전송한다(S73). 모바일폰에서는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S74).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고 도어록에 발생한 이상 상황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어록이 전송하는 상태 정보로는, 예를 들면, 저전압 감지, 내부 강제 잠금 상태 설정, 데드볼트 걸림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기능의 실제 구현 형태를 설명한다.
스마트키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전제 사항
본 서비스는 폰어플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스마트키를 선택하면, 일정 시간 동안만 선택된 스마트키(및/또는 secret key)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실행될 수 있다. 더욱, 도어록에서의 사용자 인증은, secret key에 의한 mutual authentication이 성공하는 경우에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스마트키 서비스용 솔루션 설치
어느 모바일폰에서 스마트키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한다면, 스마트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즉, 폰어플)을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모바일폰 내에 설치 및 실행시켜야 한다.
폰어플은 지정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PIN code를 지원할 수 있다.
도어록 등록하기( 마스터폰 생성하기)
도어록에서 마스터폰 등록 메뉴를 실행시킨다. 마스터폰으로 사용할 모바일폰의 폰어플에서도 도어록 등록 메뉴를 선택하고, 모바일폰을 도어록에 접근시킨다.
모바일폰에서는 마스터폰이 될 모바일폰(자체)의 고유한 ID(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secret key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한다.
도어록에서는 전송된 모바일폰의 ID와 secret key를 저장하고, 모바일폰으로는 도어록 ID를 전송한다. 도어록이 모바일폰으로부터 수신 완료를 표시하는 ACK를 전송받으면, 수신한 secret key와 마스터폰 ID를 저장하여 이전에 유지하고 있던 정보들을 갱신한다. 만일 도어록이 ACK를 수신하지 못했다면, 도어록은 이전의 정보들을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폰어플은, 수신한 도어록 ID, 생성하여 도어록에 제공한 secret key를 저장한다.
이때, 하나의 마스터폰에 등록할 수 있는 도어록의 개수는 모바일폰의 메모리에 의존하게 되는데, 모바일폰의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등록되는 도어록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도어록은 단지 하나의 마스터폰만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록에 새로운 마스터폰이 등록된다면, secret key가 새롭게 정의되기 때문에 이전에 등록된 마스터폰은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마스터폰에서 임의의 모바일폰에 스마트키 발급
마스터폰의 폰어플에서 임의의 모바일폰에 대하여 스마트키를 발급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고, 스마트키 발급 대상 모바일폰에서도 스마트키를 수신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한다. 마스터폰에 대상 모바일폰을 가까이 가져가게 되면, 마스터폰에서 대상 모바일폰과의 NFC를 개통하고, 대상 도어록과의 상호 인증에 사용될 secret key를 대상 모바일폰으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키의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추가 정보(예를 들면, 도어록 ID, 스마트키 종류 표시 정보 등)를 대상 모바일폰으로 전송한다.
발급 대상 모바일폰은 전송된 secret key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추후 도어록과의 사용자 인증에서, 이를 이용하여 도어록과의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
발급된 스마트키를 도어록에 등록
마스터폰이 임의의 모바일폰에 발급한 스마트키는 도어록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마스터폰은 발급된 스마트키를 도어록에 NFC를 통해 전송한다. 즉, 마스터폰은 발급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도어록에 전송하게 되고, 이후에, 도어록은 대상 모바일폰이 상호 인증 후 자체의 전화번호를 전송할 때, 마스터폰으로부터 제공되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와의 비교를 통해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키 삭제
마스터폰에서 임의의 모바일폰에 이미 발급된 스마트키를 삭제하기 위해서, 마스터폰의 폰어플에서 스마트키 삭제하기 메뉴를 선택하고 삭제하고자 하는 모바일폰의 정보(즉,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삭제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가 선택된 상태의 마스터폰이 도어록에 접근하게 되면, 도어록으로 삭제 명령이 전송되고, 도어록에서는 지정된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삭제한다.
마스터폰의 폰어플은 대상 모바일폰의 스마트키 삭제 이력을 갱신한다.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사양
카테고리 기능 설명
Smart Key Permanent Smart Key 사용 기간이 한정되지 않은 스마트키
One Time Smart Key 단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키
Emergency Smart Key 도어록에 내부 강제 잠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키
One Time Password 단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수동 입력용 패스워드
모바일폰에 의한 스마트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
Revoke Smart Key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를 삭제
Smart Key History 도어록 별로 스마트키의 발급 및 삭제 이력을 보여줌
Audit Real Time Audit 도어록 출입 이력을 실시간으로 지정된 모바일폰에 SMS 등으로 통보
Entire Audit 폰어플을 통해서 도어록 출입 이력을 일괄 확인
Interaction Smart Guide 스마트키로 도어록 출입시, 도어록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의 원인 및 조치 방법을 모바일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
(예를 들면, 저전압 경보, 내부 강제 잠금 상태, 데드볼트 걸림 등)
Setting Set Configuration 모바일폰의 UI를 이용하여 도어록 사용 조건을 설정
(예를 들면, 부저음 크기, 자동/수동 잠금, 3분락 인정 횟수, 3분락 지속 시간)
퍼머넌트 스마트키( Permanent Smart Key )
퍼머넌트 스마트키는 사용 기간이 한정되지 않은 스마트키로서, 마스터폰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며, 다른 모바일폰에 대해서 발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터폰이 마스터폰 자체에게도 발급 가능하다.
원타임 스마트키( One Time Smart Key )
원타임 스마트키는 특정의 도어록에 대하여 단 1회만 인증될 수 있도록 제한된 스마트키로서, 마스터폰에서만 발급 신청이 가능하며, 임의의 모바일폰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마스터폰 자체에게도 발급 가능하다.
원타임 스마트키를 제공받은 모바일폰에서는, 사용자 인증 시도가 수행되었다면 메모리에 저장된 원타임 스마트키를 즉시 디스에이블시키거나 삭제한다.
이머전시 스마트키( Emergency Smart Key)
이머전시 스마트키는 마스터폰에 의해서만 발급 가능하며, 마스터폰 자체에게도 발급될 수 있다. 이머전시 스마트키는 원타임 스마트키와 마찬가지로 단 1회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더욱, 강제 잠금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머전시 스마트키에 의해 강제 잠금이 해정될 수 있도록, 도어록에는, 외부에서 사용자 인증시 입력되는 스마트키로부터 이머전시 스마트키를 나타내는 스마트키 종류 정보를 확인하면, 도어록에 설정된 강제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만 한다.
원타임 패스워드( One time Password )
원타임 패스워드는 마스터폰에서만 발급을 신청할 수 있으며, 마스터폰을 대상으로도 발급할 수 있다.
마스터폰은 도어록 ID와 카운터값을 포함하여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secret key에 의해서 암호화하여 소정 개수의 숫자(또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원타임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SMS 메시지 등을 통해 발급 대상 모바일폰으로 발송한다.
대상 모바일폰의 사용자는 SMS로 전송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도어록에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고, 도어록은 입력된 패스워드를 secret key에 의해 복호화하고 도어록 ID와 카운터값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한다.
사용된 원타임 패스워드는, 도어록이 유지하는 카운터값이 증가하였으므로, 이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스마트키 히스토리(Smart Key History )
마스터 사용자가 도어록에 대한 스마트키 서비스와 관련한 이력(예를 들면, 스마트키의 발급 및 삭제 이력)을 조회하고자 마스터폰의 폰어플에서 스마트키 히스토리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 마스터폰은 저장하고 있는 관련 이력을 화면에 표시한다.
리얼타임 오디트( Real Time Audit )
어느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사용자 인증을 시도하거나 인증이 성공 또는 실패하는 등의 동작이 수행되었다면, 해당 모바일폰의 폰어플은 이러한 동작의 수행을 자동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지정된 모바일폰(예를 들면, 마스터폰)으로 SMS 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스터폰뿐만 아니라 스마트키를 발급받은 모든 모바일폰은, 리얼타임 오디트의 사용 유무 및 수신자 전화번호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저장된 모든 스마트키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인타이어 오디트( Entire Audit )
도어록은 RTC를 탑재하고 있어서, 언제, 누가, 어떤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Audi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스마트키에는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또는 모바일폰 ID)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도어록은 어떤 모바일폰이 사용자 인증을 시도했는지 알 수 있다.
마스터폰에서 인타이어 오디트 메뉴를 선택하면, 폰어플은 NFC 칩을 NFC Reader 모드로 변경한다. 도어록에서 인타이어 오디트 메뉴가 선택되면, 도어록은 NFC Tag 모드로 변경되고, 저장된 Audit 데이터를 Tag에 로드한다. 마스터폰이 도어록에 접근하면, 마스터폰은 NFC를 통해 도어록에 로드된 Audit 데이터를 읽어와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스마트 가이드( Smart Guide )
어느 모바일폰이 도어록에 인증 성공되면, 도어록은 도어록 자체의 내부 상태를 점검한 정보를 모바일폰에 전송하고, 모바일폰은 전송된 상태 정보와 그에 상응하는 조치 방법을 모바일폰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도어록에서 보고하는 상태 정보로는, 저전압 경보, 내부 강제 잠금 상태, 데드볼트 걸림 등이 있다.
설정 구성( Set Configuration )
모바일폰의 폰어플에서 설정 구성 메뉴를 선택한다. 폰어플은 NFC 칩을 NFC Writer 모드로 변경한다. 사용자는 폰어플을 조작함으로써, 도어록에서의 부저음 크기, 자동/수동 잠금, 3분락 인정 횟수, 3분락 지속 시간 등을 설정가능하다.
도어록에서 설정 구성 메뉴를 선택하면, 도어록은 NFC Tag 모드로 변경된다.
모바일폰을 도어록에 가까이 가져가면, 모바일폰은 설정된 사항들을 NFC를 통해 도어록으로 전송하고, 도어록은 Tag로부터 이 정보를 로드하여 도어록 설정 조건으로 갱신한다. 전송이 완료하면 설정 구성의 메뉴를 종료한다.

Claims (12)

  1. 스마트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폰과, NFC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스마트키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도어록을 이용한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도어록과 상기 모바일폰이 서로를 최초 등록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각각 실행하고,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폰이 임의로 생성한 시크리트 키(secret key)와 자체의 전화번호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은 상기 전송된 시크리트 키 및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또한 도어록 ID를 상기 모바일폰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폰이 상기 시크리트 키 및 상기 도어록 ID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모바일폰을 상기 도어록에 대해 마스터폰으로서 등록하는 마스터폰 등록 단계;
    상기 마스터폰과 또다른 모바일폰인 대상 모바일폰과의 상호 NFC가 개통되면,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도어록 ID 및 상기 시크리트 키를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키 발급 단계;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호간의 NFC가 개통되는 NFC 개통 단계;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상기 시크리트 키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시크리트 키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을 인증하는 제1 인증 단계;
    상기 제1 인증 단계가 성공하면,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자체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키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는 제2 인증 단계;
    상기 스마트키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상기 도어록에 등록 저장된 전화번호인 경우,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하는 인증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단계는, 상기 시크리트 키에 의한 암호화/복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3DES, DES, AES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단 하나의 모바일폰을 상기 마스터폰으로서 등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발급된 스마트키를 삭제하고자 하는 명령을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도어록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스마트키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이 단 1회 사용 가능으로 정의된 원타임 스마트키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상기 시크리트 키와 함께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은 전송된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 및 상기 시크리트 키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상기 도어록에 접근하여 상기 도어록과 상기 시크리트 키에 의한 상호 인증 후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를 전송하면, 상기 도어록은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처리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은 상기 원타임 스마트키를 즉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은 상기 도어록에 단 1회만 인증가능한 수동 입력용 원타임 패스워드를 발급한 순번을 표시하는 카운터값을 유지하고, 상기 도어록은 상기 원타임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터값을 추출하여 유지하며,
    상기 마스터폰이 임의의 대상 모바일폰에 상기 원타임 패스워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카운터값을 포함하여 원타임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SMS 메시지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모바일폰의 사용자가 상기 전송된 원타임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록에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도어록은 상기 입력된 원타임 패스워드에 포함된 상기 카운터값이 자체 유지하는 카운터값보다 큰 경우에 인증 성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이 인증 성공한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상기 도어록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이 상기 전송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서 상기 도어록에 대하여 인증을 시도한 경우, 미리 저장된 대상 모바일폰에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 시도 상황을 통보하는 리얼타임 오디트(Realtime Audit)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시도되면 상기 도어록이 상기 마스터폰 또는 상기 대상 모바일폰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 결과를 순차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증 처리 결과의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저장된 인증 처리 결과를 상기 마스터폰에 NFC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폰이 상기 전송된 인증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인타이어 오디트(Entire Audit)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폰에서 상기 도어록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기능에 대한 조작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을 NFC를 통해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에서 상기 기능을 상기 전송된 설정에 따라 갱신하는 설정 구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14295A 2011-11-04 2011-11-04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95A KR101259546B1 (ko) 2011-11-04 2011-11-04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295A KR101259546B1 (ko) 2011-11-04 2011-11-04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546B1 true KR101259546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546B1 (ko) 2011-11-04 2011-11-04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54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101484143B1 (ko) * 2013-09-16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도어 봉인 장치 및 방법
WO2015037771A1 (ko)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와,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9833A (ko) * 2013-09-10 2015-03-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포브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5306B1 (ko) * 2013-08-01 2015-06-02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키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 발급 운용 방법
KR101692919B1 (ko) * 2015-07-15 2017-01-04 최승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9716A (ko) * 2015-07-15 2017-01-25 최승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7086757A1 (ko) * 2015-11-20 2017-05-26 (주)엔에스비욘드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68305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67365A (ko) * 2016-12-12 2018-06-20 정남석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90143039A (ko) * 2018-06-19 2019-12-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WO2020242958A1 (en) * 2019-05-24 2020-12-03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of a doorbell device initiating a state change of an access control device and/or a control panel responsive to two-factor authentication
KR20210135870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이중 발전을 이용하는 잠금 장치
US20220028199A1 (en) * 2019-10-14 2022-01-27 Dambee Technology Co., Ltd.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US11854329B2 (en) 2019-05-24 2023-12-26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transmission of commands and signals to an access control device or a control panel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90B1 (ko) * 2005-12-19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95587B1 (ko) * 2006-10-26 2008-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그의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90B1 (ko) * 2005-12-19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95587B1 (ko) * 2006-10-26 2008-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자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 및그의 기록 매체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101525306B1 (ko) * 2013-08-01 2015-06-02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키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 발급 운용 방법
KR20150029833A (ko) * 2013-09-10 2015-03-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포브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0338B1 (ko) 2013-09-10 2020-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포브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US10055953B2 (en) 2013-09-16 2018-08-21 S-Winnus Co., Ltd. Device for electronically sealing container u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484143B1 (ko) * 2013-09-16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도어 봉인 장치 및 방법
WO2015037771A1 (ko)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와,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919B1 (ko) * 2015-07-15 2017-01-04 최승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280919B1 (ko) * 2015-07-15 2021-07-22 최승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9716A (ko) * 2015-07-15 2017-01-25 최승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키패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7086757A1 (ko) * 2015-11-20 2017-05-26 (주)엔에스비욘드 보안 터널을 이용하여 타겟 장치의 보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68305A (ko) * 2015-12-09 201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09903B1 (ko) * 2015-12-09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67365A (ko) * 2016-12-12 2018-06-20 정남석 근거리 통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90143039A (ko) * 2018-06-19 2019-12-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KR102498326B1 (ko) * 2018-06-19 2023-02-10 주식회사 직방 고유의 마스터 키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조작 방법
WO2020242958A1 (en) * 2019-05-24 2020-12-03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of a doorbell device initiating a state change of an access control device and/or a control panel responsive to two-factor authentication
US11854329B2 (en) 2019-05-24 2023-12-26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transmission of commands and signals to an access control device or a control panel device
US20220028199A1 (en) * 2019-10-14 2022-01-27 Dambee Technology Co., Ltd.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US11430280B2 (en) * 2019-10-14 2022-08-30 Dambee Technology Co., Ltd.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KR20210135870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이중 발전을 이용하는 잠금 장치
KR102340379B1 (ko) 2020-05-06 2021-12-17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이중 발전을 이용하는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546B1 (ko)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11477B1 (ko) 모바일키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68525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8787902B2 (en) Method for mobile-key service
US11657128B2 (en) Temporary password us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1052916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97795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EP2725823A1 (en)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etween secured element and door lock through NFC
US202100702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 transportation vehicle
CN103793960A (zh) 用于移动钥匙服务的方法
US10964141B2 (en) Internet-of-things (IoT) enabled lock with management platform processing
WO201602355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oor lock by encrypted wireless signals
KR102339318B1 (ko) 공개키 기반 구조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466624B1 (ko) 음성인식과 otp를 이용한 도어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126986B (zh) 加锁数据分区的解锁处理方法及装置
CN110197545A (zh) 一种智能锁及其管理方法、系统
CN111768517A (zh) 物流对象管理装置的门锁控制系统、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CA3006190C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120257A (ja)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JP6934441B2 (ja) 管理サーバ、認証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
JP4200347B2 (ja) 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2219059B2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ser terminal,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522838B1 (ja) 現金自動預払機
TWI871873B (zh) 電子門禁系統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