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9373B1 -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373B1
KR101259373B1 KR1020110088550A KR20110088550A KR101259373B1 KR 101259373 B1 KR101259373 B1 KR 101259373B1 KR 1020110088550 A KR1020110088550 A KR 1020110088550A KR 20110088550 A KR20110088550 A KR 20110088550A KR 101259373 B1 KR101259373 B1 KR 10125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ll support
driving roll
stopp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182A (ko
Inventor
강영훈
정기환
이성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3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7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 방향에 대해 주편의 단면 모양이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는, 피스톤에 결합되어 하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방향 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Segement device of continuous caster}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조 방향에 대해 주편의 단면 모양이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정련과정을 마친 용강이 담겨지는 레이들(ladle)에서 롱노즐(long nozzle)을 통해 턴디쉬(tundish)로 용강이 주입되고, 턴디쉬에 일시 저장된 용강이 턴디쉬와 주형(mold)사이에 위치되는 용강 전달장치(delivery system)를 거쳐 주형에 주입되며, 주형에서의 1차 냉각, 주형하부에서의 2차 냉각을 거쳐 응고시킴에 따라 빌렛(billet), 블룸(bloom), 빔블랭크(beam blank), 슬래브(slab) 등과 같은 주편을 생산하는 일련의 공정을 말한다.
주형을 통해 배출되는 용강(Molten steel)은 주형(Mold)에서 1차 냉각을 거쳐 표면이 다소 응고되는 상태로 연속주조 장치의 세그먼트(Segment)에 구비되는 상단 및 하단 롤러 결합체 사이로 인입되며, 이때 용강의 빠른 응고를 위해 냉각수가 분사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간다.
상기 세그먼트(1)에 구비되는 롤러는 상기 상단 롤러 결합체(2)와 하단 롤러 결합체(4)의 사이에서 인발 성형되는 주편(5)에 마찰력을 가함과 동시에 주편 진행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한 구동 롤러(Pinch roller)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구동 롤러는 제조 원가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상단 롤러 결합체(2)의 중앙에 결합되는 하나의 롤러(이하, 상부 구동롤)만을 이용하고 나머지 롤러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의 회전력 없이도 마찰에 따라 공회전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아이들 롤(Idle roller)(10a)을 이용하게 된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그먼트는 상부 프레임(2), 하부 프레임(4)으로 구분되고, 상부 프레임은 롤러들을 지지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20) 및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40)과, 상기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의 상부 4곳에는 유압 실린더(52)가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와 하부 프레임은 타이로드(52, tie rod)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아이들롤들과는 달리 상부 구동롤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구동롤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에 용접구조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더미 바(dummy bar) 장입시와 주편 인발시 적정한 마찰력 유지를 위하여 1개(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30 참조) 혹은 2개의 유압 실린더(도 4의 도면부호 30 참조)가 설치되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구동롤 지지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다른 지지 프레임들에 비하여 높이가 낮아 변형에 대한 강성이 약하다. 강성 보완과 상하 움직임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 전, 후의 인접한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가 구동롤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유압의 방향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 내부의 미응고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철정압을 받을 때 아이들롤과 구동롤은 그것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강성이 달라서 변형되는 형상이 달라지게 된다.(도 4의 L1, L2 참조) 이에 따라, 주편의 단면 모양이 주조방향으로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주편 내부의 미응고 용강에 주조방향과 폭방향으로 미세한 유동이 발생되어 주편의 편석(segregation) 상태를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주편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여 최종적인 제품의 생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세그먼트 장치는 구동롤을 지지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20)의 구속을 위해서 인접 프레임에 스토퍼(60, stopper)를 설치하여 주편으로부터 철정력을 받을 때 상부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20)의 변형 형상(L1)과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40)의 변형 형상(L2) 차이로 인하여 주편의 미응고 주편이 폭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주편이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형 편차를 줄이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06-0022407과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슬롯을 형성한 것도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며, 슬롯 형성으로 중앙부의 강성을 인위적으로 감소시킨 것이기 때문에 구조 강도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22407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주조 방향에 대해 주편의 단면 모양이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는,
피스톤에 결합되어 하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방향 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의 하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볼록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된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 형상의 스토퍼 돌기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와 스토퍼가 접촉하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이 더 이상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이동 공간을 한정할 수 있고,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제거함으로써, 구동롤 지지 프레임과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 차이로 인하여 주편의 미응고 주편이 폭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주편이 제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주조 공정을 위한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속 주조기를 구성하는 하나의 세그먼트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세그먼트의 상단 롤러, 하단 롤러의 배열과 상단 롤러 결합체의 구동롤 지지 프레임 및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중심 측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개략도로서, 주편에 의한 구동롤 지지 프레임과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 차이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것을 예시한 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도 9는 유압 실린더 압력이 100bar인 경우이고, 도 10은 유압 실린더 압력이 200bar인 경우이다.
도 11은 한국공개특허 10-2006-0022407호의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는 피스톤에 결합되어 하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200) 및, 상기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하단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300)에는 상기 돌출부(110)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방향 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31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은 그 상단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120)과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하단부에서는 등간격으로 정렬되는 다수개의 지지편, 예를 들어 4개의 지지편과 결합되어 구동 롤러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베어링부(131~134)와 연결됨에 따라 구동 롤러(130)와도 함께 연결되게 된다. 상기 구동 롤러(130)는 구동 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 전달부(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하단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에서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구속을 위해서 인접 프레임에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여 주편으로부터 철정력을 받을 때 상부 방향의 변위를 구속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토퍼를 제거하고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에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측면 프레임(300)에는 스토퍼(310)를 설치하였다.
상기 돌출부(110)와 스토퍼(310)가 접촉하면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이 더 이상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이동 공간을 한정할 수 있고,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제거함으로써,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과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200)의 변형 형상 차이로 인하여 주편의 미응고 주편이 폭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주편이 제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부(11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하단에 용접이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주편으로부터의 철정력과 경압하(soft reduction)시의 압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 하단에 자리홈을 형성한 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10)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 방향, 즉, 구동 롤러(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임 변형 편차 감소에 효과적인데, 이를 위해 돌출부(110)의 상단 단부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프레임(300)에는 스토퍼(310)가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에 설치하는 돌출부(110)과 마찬가지로 측면 프레임에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310)는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방향, 즉, 구동 롤러(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임 변형 편차 감소에 효과적인데, 이를 위해 스토퍼(310)의 하단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300)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10)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311)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311)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측면 프레임(300)은 주편 주조 방향으로의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311)는 상하 방향으로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311)의 안내 접촉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사용하여 윤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A는 구동롤 실린더 하중 작용 위치를 뜻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320)는 볼록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된 스토퍼 돌기(3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321)가 삽입되는 오목 형상의 스토퍼 돌기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은 주조 초기에 더미바(dummy bar) 인출과 주편 인발의 목적으로 하부 방향으로는 운동이 가능하나, 상부 방향으로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 돌출부(110)의 상부면이 측면 프레임(300)의 스토퍼(310) 하부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만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110)가 상기 스토퍼(310)에 접촉되었을 때 구동롤러(130)와 아이들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또는 동일 평면에 정렬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실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것을 예시한 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도 9는 유압 실린더 압력이 100bar인 경우이고, 도 10은 유압 실린더 압력이 200bar인 경우이다. 도 11은 한국공개특허 10-2006-0022407호의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의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3차원 모델링하여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로 변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방법은 3차원 모델을 유한 요소로 분할한 후, 각 재료에 해당하는 물성치를 입력하고 클램핑(clamping) 실린더에 하중을 가하여 베어링 블록 지지부 4곳(도 6의 131~134)의 변위를 추출하였다. 베어링 블록 지지부는 주편에 상당하는 탄성체에 지지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①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스토퍼(60, 도 4)가 인접한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에 있는 경우(도 4 참조), ② 한국공개특허 10-2006-0022407호와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가로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③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스토퍼(310)가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 상기 3가지 경우에 대하여 변형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①에 대한 해석 결과이다. 구동롤 지지 프레임 상부에 작용하는 실린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형 형상이 조금씩 달라지게 되는데 도 9는 압력이 낮은 경우(압력 크기 100bar)에 대한 해석 결과이고, 도 10은 압력 크기 200bar에 대한 해석 결과이다. 도면에서 가로축의 1, 2, 3, 4는 폭 방향 베어링 블록 4곳(도 6의 131, 132, 133, 134 참조)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1과 4는 양쪽 가장자리 위치를 나타내며, 2, 3은 가운데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6개 색상 그래프는 롤 지지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낸다. 즉, 1, 2, 3, 5, 6번 색상은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결과이고, 4번 색상은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결과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은 나머지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과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편차로 인하여 주편 내부의 미응고 부분이 폭방향으로 유동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주편 내부에 중심 편석을 발생시켜 내부 품질을 저하시킨다.
도 11은 상기 ②에 대한 해석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은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과 유사하나 양쪽 끝단에서 편차가 많이 발생한다. 이것은 프레임에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야기되는 강성 저하 때문이다.
도 12는 상기 ③에 대한 해석 결과이다.(구동롤 압력 50bar)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은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변형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편 내부 미응고 부분의 유동을 방지하여 내부 품질이 양호한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에 의하면, 돌출부(110)와 스토퍼(310)가 접촉하면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이 더 이상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이동 공간을 한정할 수 있고,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제거함으로써, 구동롤 지지 프레임(100)과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200)의 변형 형상 차이로 인하여 주편의 미응고 주편이 폭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주편이 제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구동롤 지지 프레임 110 : 돌출부
200 :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
300 : 측면 프레임 310, 320 : 스토퍼

Claims (5)

  1. 피스톤에 결합되어 하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되는 구동롤 지지 프레임;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비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방향 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높이의 1/2 이하의 위치에 설치되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 측면 삽입부에 삽입되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볼록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된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 형상의 스토퍼 돌기 삽입부가 형성된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KR1020110088550A 2011-09-01 2011-09-01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50A KR101259373B1 (ko) 2011-09-01 2011-09-01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50A KR101259373B1 (ko) 2011-09-01 2011-09-01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82A KR20130025182A (ko) 2013-03-11
KR101259373B1 true KR101259373B1 (ko) 2013-04-30

Family

ID=4817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9373B1 (ko) 2011-09-01 2011-09-01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47A (ko) 2019-10-30 2021-05-10 이준수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2082A (zh) * 2022-10-31 2023-01-13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Cn) 一种压辊压下装置及连铸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765A (ja) 1985-09-09 1987-03-18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ロ−ラエプロン
JPH10180430A (ja) 1996-12-19 1998-07-07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用鋳片支持案内ロールの間隔変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87000A (ja) 2000-04-03 2001-10-16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装置のローラーエプロンセグメント
KR100743492B1 (ko) 1999-04-10 2007-07-30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주조 슬래브, 특히 박 슬래브의 외형을 조절하는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1765A (ja) 1985-09-09 1987-03-18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ロ−ラエプロン
JPH10180430A (ja) 1996-12-19 1998-07-07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用鋳片支持案内ロールの間隔変更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43492B1 (ko) 1999-04-10 2007-07-30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주조 슬래브, 특히 박 슬래브의 외형을 조절하는 방법및 장치
JP2001287000A (ja) 2000-04-03 2001-10-16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装置のローラーエプロンセグメ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47A (ko) 2019-10-30 2021-05-10 이준수 연속 주조용 세그먼트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82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373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장치
CN212310798U (zh) 侧压拉矫机及其连铸机
CN105050752A (zh) 连续铸造设备
US5915460A (en) Guide segment support system for continuous casting
KR20090098384A (ko) 연속 주조용 벤더 세그먼트
US4131154A (en) Roller apron for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for steel
KR101403176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KR101411372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US7159642B2 (en) Method and strand guide for supporting, guiding and cooling casting strands made of steel, especially preliminary sections for girders
CA2419069C (en) Method and strand guide for supporting, guiding and cooling casting strands made of steel, especially preliminary sections for girders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JP3304885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ロール圧下装置
KR101797351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CN111375737A (zh) 侧压拉矫机、连铸机及连铸方法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510277B1 (ko)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롤러장치
KR101406465B1 (ko) 연속주조용 톱존 벤더세그먼트
KR102400467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JP7679800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1130855A (ja) 無限軌道式連続鋳造機
EP1963037B1 (en) Plant for producing metal strip
JP2000190058A (ja) 鋳片の軽圧下方法
KR101148943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20130137775A (ko) 연속주조장치의 세그먼트 조립체
JPH0715658Y2 (ja) 連続鋳造設備の振動鋳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