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8494B1 -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494B1
KR101258494B1 KR1020060103275A KR20060103275A KR101258494B1 KR 101258494 B1 KR101258494 B1 KR 101258494B1 KR 1020060103275 A KR1020060103275 A KR 1020060103275A KR 20060103275 A KR20060103275 A KR 20060103275A KR 101258494 B1 KR101258494 B1 KR 101258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ensor
light
light source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6710A (en
Inventor
최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494B1/en
Publication of KR2008003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다양한 기능들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스크롤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롤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산된 빛을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60103275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센서, 스크롤, 스크롤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croll function is added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executed continuously and quickly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A sensor for sensing 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outputting a signal; It includes a scroll unit for sequentially changing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s it moves to provide a terminal implemented a scroll function.

Figure R1020060103275

Terminal, Mobile Terminal, Sensor, Scroll, Scroll Key

Description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기능 구현을 위한 제1실시예의 간략한 구성도;4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기능 구현을 위한 제2실시예의 간략한 구성도;5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스크롤 기능을 통하여 실행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functions executed through the scroll fun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다양한 기능 들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스크롤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scroll function is added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executed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and continuous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전면에 키 패드부(10)를 구비하는 본체부(A)와,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25)을 구비하는 폴더부(B)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main body A having a keypad 10 at the front thereof, and a folder B having a screen 25 for outputting an image. )

여기서, 상기 키 패드부(10)는 메뉴 선택 시 커서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전, 후, 좌, 우 방향키(11)와, 발신, 전화번호부, 카메라 등의 구동을 위한 단축키(12)와, 숫자, 문자,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키(13)로 이루어진다. Here, the keypad 10 is a front, rear, left, right direction keys 11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ursor when selecting a menu, a shortcut key 12 for driving a call, a phone book, a camera, and the like. , Character input keys 13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이러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는 방향키(11)를 이용하여 커서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킨 후 확인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메뉴의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능의 실행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2)(도 2 참조)를 통해 이루어진다.In order to dri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oves the cursor to a desired menu by using the direction key 11 and executes a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by using a confirmation key. At this time,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22 (see FIG.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2)는 키 패드부(10)의 입력 값을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입력 받은 후 저장부(24)에 저장된 키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키 값의 제어명령을 해석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2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 input value of the keypad 10 through an input interface 23 configured of a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in (GPIO). The control command for the corresponding key value is interpreted using the key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

이후, 상기 제어부(22)는 해석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부(24)로부터 읽어 들여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 프로그램의 작동 여부는 LCD와 같은 화면(25)에 표시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22 reads the drive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storage unit 24 using the analyzed control command to execute a necessary function. At this time, whether the driving program is oper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25 such as an LC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11)를 사용하여 커서를 이산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연속적인 데이터 검색 및 오류 복구를 위한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in order to execute a desired function, the user uses the direction keys 11 to move the cursor discrete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n operation for continuous data retrieval and error recovery is difficult.

또한, 키 눌림의 횟수에 따라 커서가 이산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이미지 검색, 화면 변경 등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크롤(scroll) 기능이 이산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ursor is moved discrete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key presses, there is a problem that continuous image search, screen change, etc. cannot be perform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discretely.

한편, 이러한 방향키(11)에 의한 스크롤 기능 구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크롤 키(미도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롤 키는 사용자가 스크롤 키를 회전시킴으로써 좌우 및/또는 상하 스크롤 기능이 구현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mplementing the scroll function by the direction key 1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oll key (not shown) is provided. Such a scroll key is implemented by the user to rotate the scroll key to the left and right and / or up and down scroll function.

종래의 스크롤 키는 기계적인 접촉식 또는 마그넷의 자속을 이용하여 센싱하는 형식을 취하였다.Conventional scroll keys take the form of sensing using mechanical contact or magnetic flux from a magnet.

상기 기계적인 접촉식 스크롤 키는 스크롤 키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롤 키와 맞물리는 기어(미도시) 등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었다. 이 경우 기계적인 접촉에 필요한 구성 등에 의해서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찰에 의한 접촉 부분의 마모 등에 의해서 내구성이 저하되며, 아 울러 작동성이 저하되어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echanical contact scroll key has a scroll function as the position of a gear (not shown) that engages with the scroll key changes as the scroll key rotate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ize is increased by the configuration required for mechanical contac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is lowered due to abrasion of the contact portion due to friction, as well as the operability is lowered and the reliability is lowered.

한편, 마그넷 센서 타입 스크롤 키는 스크롤 키에 부착된 마그넷(미도시)과 상기 마그넷의 자속 변화를 센싱하는 마그넷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었다. 즉, 스크롤 키의 좌우에 일정 각도마다 서로 어긋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 센서가 센싱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었다. 이 경우에는 마그넷 자속의 관리 및 산포의 변화에 따른 정확도에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oll sensor is implemented by a magnet sensor type scroll key through a magnet (not shown) attached to the scroll key and a magnet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lux of the magnet. That is, magnet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roll key at different angles, and the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by using the time difference sensed by the magnet senso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e accuracy of th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the magnet flux.

따라서, 종래의 스크롤 키에 비하여 센싱 능력의 정확도가 확보되고, 내구성이 증진된 스크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아울러 사용이 용이한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rminal capable of securing an accuracy of sensing capability and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having enhanced durability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croll key, and a need for an easy-to-us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스크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특히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asy to use, and which can implement a scroll function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크롤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산된 빛을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A sensor for sensing 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outputting a signal; It includes a scroll unit for sequentially changing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s it moves to provide a terminal implemented a scroll function.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으며, 상기 센서는 센싱되는 광원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 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순서에 따라 상하 스크롤 기능 또는 좌우 스크롤 기능이 구별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have different wavelengths, and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to be sensed. The up and down scroll function or the left and right scroll function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order of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상기 스크롤부는,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롤 키;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광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oll unit may include a scroll key rotatable; And a light transmitting member provided in the scroll key to sequentially change a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oll key.

한편, 상술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상기 광원과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더미 광원; 상기 광원과 상기 더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센싱하는 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과 더미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는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소정 개수의 광원과 더미 광원의 순차적인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ls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of the same wavelength; A plurality of dummy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source; A sensor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dummy light source; And a scroll unit which sequentially changes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dummy light source as it is moved, and the sensor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sequential combin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ight sources and dummy light sources that are sequentially sensed. Provided is a terminal in which a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여기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순서에 따라 상하 스크롤 기능 또는 좌우 스크롤 기능이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더미 광원은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더미 광원은 빛을 발산하지 않는 광원일 수 있다. Here, the vertical scrolling function or the horizontal scrolling function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dummy light source are each sequentially disposed, it is preferably disposed sequentially with each other. The dummy light source may be a light source that does not emit light.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광원 또는 더미 광원을 동시에 복수 개 센싱하며, 센싱된 복수 개의 광원 또는 더미 광원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sens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at the same time, and output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ed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크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 며, 스크롤 기능의 정확도가 증진되며 아울러 내구성이 증진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croll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in which the accuracy of the scroll function is enhanced and the durability is enhanc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상 슬라이딩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form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전면에 문자 입력키(11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화면(210) 및 카메라 등의 구동을 위한 단축키(220)를 구비하는 커버부(200), 그리고 스크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스크롤 입력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0 having a character input key 110 on the front, a display screen 210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camera. And a cover 200 having a shortcut key 220 for driving the back, and a scroll input device 300 for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여기서, 상기 스크롤 입력장치(300)는 스크롤부(S)와 방향키(370, 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서는 좌우 방향의 스크롤 기능은 종래와 같이 좌우 방향키(370, 380)를 통하여 구현되며, 상하 방향의 스크롤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부(S)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상하 방향의 스크롤 기능은 종래와 같이 상하 방향키(370, 380)를 통하여 구현되며, 좌우 방향의 스크롤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부(S)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Here, the scroll input device 300 includes a scroll unit S and direction keys 370 and 380. For example, in FIG. 3A, the scroll fun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implemen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370 and 380 as in the prior art, and the scroll func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achieved through the scroll unit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n addition, in FIG. 3B, the vertical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keys 370 and 380, and the horizontal scroll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croll unit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전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입력장치(300)는 방향키가 아닌 좌우 스크롤 기능을 구현하는 스크롤부와 상하 스크롤 기능을 구현하는 스크롤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owever, unlike the foregoing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input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a scroll unit for implementing a left and right scroll function and a scroll unit for implementing a vertical scroll function instead of a direction key.

또한,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기 스크롤부는 본체부(100)나 커버부(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unlike shown, the scroll un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or the cover 200, in addition to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locations.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기능의 구현을 위한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croll func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1실시예에 대한 간략한 구성도이다.4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복수 개의 광원(401, 402, 403), 센서(500), 그리고 스크롤부(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and 5,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401, 402, 403, a sensor 500, and a scroll unit S.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반경 상에 소정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서로 발산하는 빛의 파장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모두 적외선을 발산하는 LED인 경우에도 발산되는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모두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경우에도 발산되는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광원이 각각 빨간색, 노란색, 그리고 파란색의 가시광선을 발산한다면 상기 발산되는 빛의 파장은 서로 다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빨간색, 노란색, 그리고 파란색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편의상 각각 401, 402, 그리고 403으로 지시하였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on the same radius as shown in FIG.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have different wavelengths of light emit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even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LEDs emitting infrared ray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velengths of the emitted ligh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f course, even if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emit visible 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wavelengths of the emitted ligh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if the light source emits visible rays of red, yellow, and blue, respectively, wavelengths of the emitted light are different. Here, the light sources emitting red, yellow, and blue light are indicated as 401, 402, and 403 for convenience.

그리고, 상기 센서(500)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의 파장을 서로 구별하 게 되며, 센싱하는 파장의 빛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출력신호는 서로 다른 전압이나 전류값과 같은 전기적인 출력신호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500 distinguishes wavelength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light having a sensing wavelength. That is, the output signal may be an electrical output signal such as a different voltage or current value.

예를 들어, 상기 센서(500)가 빨간색의 광원(401)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1이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노란색의 광원(402)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2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그리고 파란색의 광원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3이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각 광원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500 senses the red light source 401, the sensor 500 outputs a signal of 1, and when the yellow light source 402 is sensed, outputs a signal of 2, and a blue light source. In the case of sensing,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ignal of 3. That is, different signals are output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each light source.

한편, 상기 스크롤부(S)는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Meanwhile, the scroll unit S performs a function of sequentially changing a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s it is move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롤부(S)는 회전 이동이 가능한 스크롤 키(551)와 상기 스크롤 키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500)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광전달부재(5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croll unit S is provided on the scroll key 551 which is rotatable and the scroll key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change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500 according to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scroll key Member 552.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키(551)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광전달부재(552)는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500)가 센싱하는 광원을 변경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551)의 상단의 일정 부분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커버부(20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크롤 키(55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며, 광원들과 센서는 모두 커버부(200) 내에 내장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s the user rotates the scroll key 551,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552 sequentially changes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500.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croll key 55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Of course, although the scroll key 551 is not shown, the scroll key 551 will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and both the light sources and the sensors are preferably embedded in the cover 200.

이러한 스크롤 키(551)와 광전달부재(5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스크롤 키(551)는 광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일부분만 광전달이 이루어지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재질 부분이 광전달부재(552)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명 재질 부분은 상기 스크롤 키가 회전됨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투명 재질 부분의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광원 중 특정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만 상기 센서(500)가 센싱할 수 있게 된다.The scroll key 551 and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55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at is, the scroll key 551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bu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only in part. Accordingly, the transparent material portion forms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552. In other words, the transparent material portion is rotated integrally as the scroll key is rotated, and the sensor 500 can sense only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light source amo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s the transparent material portion is rotated.

한편, 상기 스크롤 키(551)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광전달부재(552)가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500)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메카니즘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기술 사상에 속하게 될 것이다.Meanwhile, various mechanisms for sequentially changing the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500 by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552 through rotation of the scroll key 55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t will belo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어떻게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지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스크롤 키(501)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빨간색(401), 노란색(402), 그리고 파란색 광원(403)의 순서로 상기 센서가 빛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500)는 순차적으로 1, 2, 그리고 3이라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스크롤 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1, 2, 3, 1, 2, 3, 1,--- 순서로 상기 센서에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대로 상기 센서(500)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 방향으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sensor senses light in the order of red (401), yellow (402), and blue light source (403) by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scroll key 501, the sensor 500 is sequentially Outputs 1, 2, and 3 signals. Then, as the scroll key rotates clockwise, signals are output from the sensor in the order of 1, 2, 3, 1, 2, 3, 1, ---. Therefore, when the sensor 500 outputs signals in this order, a scroll function may be implemented in an upward direction.

반대로, 상기 스크롤 키(501)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빨간색(401), 파란색(403), 그리고 노란색 광원(402)의 순서로 상기 센서가 빛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500)는 순차적으로 1, 3, 2, 1, 3, 2, 1,--- 순서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가 이러한 순서대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하 방향으로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sensor senses light in the order of red (401), blue (403), and yellow light source (402) by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croll key (501), the sensor (500) is sequentially 1, 3, 2, 1, 3, 2, 1, --- in order to output the signal. Therefore, when the sensor outputs signals in this order, the scroll func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물론, 전술한 예는 서로 상하 방향이 바뀔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의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세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상기 스크롤 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의 순서는 서로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example may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scroll fun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tead of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ree or more light sources may be provided. In either case, however, when the scroll key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order of signals output by the sensor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롤 기능의 구현을 위한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센서(500)가 하나의 광원만을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동시에 복수 개의 광원을 센싱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sensor 500 does not sense only one light source and outputs a signal, and simultaneously sens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output different signal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404, 405, 406)과 상기 광원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더미 광원(407, 40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과 더미 광원은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404, 405, 406 emitting light of the same wavelength and a plurality of dummy light sources 407, 408 emitting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from the light source.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dummy light sources are sequentially disposed, respectively,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센서(500)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센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더미 광원(407, 408)은 빛을 발산하지 않는 광원일 수 있다. 즉, 특정 광원의 위치에 광원이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센 서(500)는 빛의 파장을 구별할 필요는 없고 빛이 전달되는지 아니면 전달되지 않는지 여부만 구별하도록 구성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ensor 500 should be able to sense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However, the dummy light sources 407 and 408 may be light sources that do not emit light. That is, the light source may be configured not to be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light source. In this case, the sensor 500 does not need to distinguish the wavelength of light, but may be configured to distinguish only whether light is transmitted or not.

한편, 상기 광전달부재(502)는 상기 스크롤 키(501)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광원과 더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 중 순차적으로 세 개의 빛만 상기 센서(500)로 전달한다. 물론, 상기 더미 광원이 빛을 발산하지 않는다면 일정 경우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빛만 상기 센서로 전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502 sequentially transmits only three light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dummy light source to the sensor 5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oll key 501. Of course, if the dummy light source does not emit light, in some cases only one or two lights are transmitted to the sensor.

예를 들어, 상기 센서가 404, 405, 406 광원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는 1이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센서가 405, 406 광원과 407의 더미 광원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는 2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으로 상기 스크롤 키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과 더미 광원의 조합에 따라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크롤 키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센서는 1, 2, 3, 4, 5, 1, 2, 3,--- 라는 서로 다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senses light sources 404, 405, and 406,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ignal of 1. When the sensor senses the light sources 405 and 406 and the dummy light sources 407 by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scroll key,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ignal of 2. That is, as the scroll key rotates clockwise, the sensor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light source and a dummy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In other words, as the scroll key rotates clockwise, the sensor sequentially outputs different signals 1, 2, 3, 4, 5, 1, 2, 3, ---.

반대로 상기 스크롤 키(50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센서는 1, 5, 4, 3, 2, 1, 5, 4,---라는 서로 다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센서(500)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순서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as the scroll key 50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ensor sequentially outputs different signals 1, 5, 4, 3, 2, 1, 5, 4, ---. Therefore, since the order of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500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oll key, the scroll func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가 복수 개의 광원이나 더미 광원을 센싱하여 그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센서는 하나의 광원이나 더미 광원만을 센싱하되, 순차적으로 센싱하는 광원이나 더미 광원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가 순차적으로 404, 405, 406 광원을 센싱하고 1이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407 광원을 센싱한 경우에는 2이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408 광원을 센싱한 경우에는 3이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406, 405, 404 광원을 센싱하고 1이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408 광원을 센싱하고 5라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sens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and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combination thereof, thereby implementing a scroll function. Alternatively, the sensor may sense only one light source or a dummy light source and output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that are sequentially sensed. For example, the sensor sequentially senses light sources 404, 405, and 406, and outputs a signal of 1, and if it detects 407 light sources, it outputs a signal of 2. In the case where the 408 light source is sensed again, a signal of 3 may be output. On the contrary, it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light sources 406, 405, 404 and output a signal of 1, and to sense the 408 light sources and output a signal of 5.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스크롤 키의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나 더미 광원의 조합은 달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Similarly, in this embodiment,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the dummy light sources should be configured differently so that the sensor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croll key.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광원이 구비되되, 상기 스크롤 키의 시계 방향이나 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된다고 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croll key, the sensor outputs different signals to implement the scroll fun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process of executing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using 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가 스크롤 키(501)을 회전 이동시키면 센서(500)에서 상기 회전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어부(340)로 전달된다.First, when the user rotates the scroll key 501, different signals are generated by the sensor 50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direction.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40.

이때, 상기 제어부(340)는 수신된 신호를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입력받은 후 저장부(400)에 저장된 키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키 값의 제어명령을 해석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input interface 341 composed of a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in (GPIO), etc. and then uses the corresponding key value using the key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Interpret the control command.

이후, 상기 제어부(340)는 해석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부(400)로부터 읽어 들여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시킨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340 reads the driv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storage unit 400 using the interpreted control command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various functions.

즉, 센서(500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40)는 커서의 연속적인 이동, 이미지의 확대/축소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5000 is input, the controller 340 performs a function of continuously moving the cursor and enlarging / reducing an image.

여기서, 상기 구동 프로그램의 작동 여부는 사용자의 확인을 위해 LCD와 같은 화면(210)에 표시된다.Here, whether the driving program is operated is displayed on a screen 210 such as an LCD for the user's confirm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스크롤 입력장치(300)은 스크롤부(S)와 제 1, 2방향키부(370, 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croll input device 300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croll S and first and second direction keys 370 and 380.

마지막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크롤 입력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을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nally, the functions executed by the scroll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to 11 illustrate functions executed by an input devic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롤 키(501)를 이동시키면 즉시 메시지 수신함 등과 같은 쇼트컷 메뉴(Shortcut Menu)가 화면에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key 501 in the initial state, a shortcut menu such as receiving a message immediately is output on the screen.

즉, 사용자가 스크롤 키(501)를 회전시키면 제어부(340)는 가장 먼저 쇼트컷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커서의 위치는 쇼트컷 메뉴의 맨 첫번째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scroll key 501, the controller 340 first outputs the shortcut menu to the screen.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ursor may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hortcut menu.

그리고, 상기 쇼트컷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스크롤 키(501)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쇼트컷 메뉴에 위치한 커서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킨다.When the shortcut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rotates the scroll key 501 again to move the cursor located in the shortcut menu to a desired menu.

이와 같이 스크롤 키(501)의 회전과 동시에 쇼트컷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면 종래와 같이 쇼트컷 메뉴에 진입하기 위해 별도의 메뉴 키 등을 누를 필요가 없다. As such, when the shortcut menu is output on the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scroll key 501,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a separate menu key or the like to enter the shortcut menu as in the related art.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8, the user may not only enlarge or reduce an image output on the screen using the input device 300 but also move the screen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이러한 영상의 확대/축소나 이동은 사용자가 스크롤 키(501)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이루어지므로 종래 방향키를 이용한 방식에 비해 훨씬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Since the enlargement / reduction or movement of the image is performed by the user only by rotating the scroll key 501, it is much easier and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direction key.

또한,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해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의 이동, 렌즈 각도의 변경, 파노라마 촬영 등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camera lens, the change of the lens angle, and the panorama shooting by using the input device.

마지막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이용해 전자책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멀티 미디어 재생기에 의해 재생되는 파일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Finally, as illustrated in FIGS. 9 and 10, the user may use the input device 300 to flip through pages of an e-book or to move a playback position of a file played by the multimedia player.

즉, 사용자는 스크롤 키(501)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자책의 원하는 페이지를 찾거나 자신이 청취하고자 하는 음악 또는 영화 파일의 재생위치를 찾을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find a desired page of the e-book or find a play position of a music or movie file to be listened to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scroll key 501.

또한, 멀티 미디어 재생기의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키(501)를 회전시켜 재생되는 파일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재생시키거나 역 재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ultimedia player, the user may rotate the scroll key 501 to play or reverse play a file to be played at a high speed or a low speed.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스크롤 키를 단순히 회전시키기만 함으로써 연속적이고 신속한 스크롤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First, 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tinuous and rapid scrolling function by simply rotating the scroll key.

즉, PDA, 통신 기능을 가지는 팜탑 컴퓨터, 다기능 이동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대한 데이터나 메뉴의 검색시 연속적이고 신속한 메뉴 검색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PDA, a palmtop computer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and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tinuous and rapid menu search can be easily implemented when searching for a large data or menu.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복수 개의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롤 기능이 실행되기 때문에, 정확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스크롤 기능을 구현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input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scroll function u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that implements a scroll function with improved accuracy and reliability.

Claims (9)

스크롤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상기 광원에서 발산된 빛을 센싱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A sensor for sensing 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outputting a signal;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And a scroll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change a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s it mov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으며,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have different wavelengths, 상기 센서는 센싱되는 광원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sensor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to be sens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순서에 따라 상하 스크롤 기능 또는 좌우 스크롤 기능이 구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croll function or the left and right scroll function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크롤부는,The scroll unit,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롤 키; 그리고A rotatable scroll key; And 상기 스크롤 키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롤 키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광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nd a light transmitting member provided in the scroll key to sequentially change a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oll key. 동일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광원;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mitting light of the same wavelength; 상기 광원과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더미 광원;A plurality of dummy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source; 상기 광원과 상기 더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센싱하는 센서; A sensor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dummy light source;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센서가 센싱하는 광원과 더미 광원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스크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comprises a scroll unit for sequentially changing the light source and the dummy light source sensed by the sensor as it is moved, 상기 센서는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소정 개수의 광원과 더미 광원의 순차적인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여 스크롤 기능이 구현되는 단말기. The sensor outputs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a sequential combin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ight sources and dummy light sources that are continuously sensed, and the scroll function is implemented.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순서에 따라 상하 스크롤 기능 또는 좌우 스크롤 기능이 구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croll function or the left and right scroll function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더미 광원은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dummy light sources are sequentially disposed, and sequentially disposed with each other.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상기 더미 광원은 빛을 발산하지 않는 광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dummy light source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does not emit light.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센서는 상기 광원 또는 더미 광원을 동시에 복수 개 센싱하며, 센싱된 복수 개의 광원 또는 더미 광원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sensor sens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at the same time, and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ensed light sources or dummy light sources.
KR1020060103275A 2006-10-24 2006-10-24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KR101258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75A KR101258494B1 (en) 2006-10-24 2006-10-24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75A KR101258494B1 (en) 2006-10-24 2006-10-24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710A KR20080036710A (en) 2008-04-29
KR101258494B1 true KR101258494B1 (en) 2013-04-26

Family

ID=3957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75A KR101258494B1 (en) 2006-10-24 2006-10-24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4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055A (en) * 2000-07-01 2002-01-10 김경진 Mouse with X, Y axis and scroll key controllable by using 2 photo diodes
JP2005509972A (en) * 2001-11-17 2005-04-14 デザイニリス リミテッド Digital display
KR20060043125A (en) * 2004-02-26 2006-05-15 웬 웨이 수 Rotational sensing device of motor r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055A (en) * 2000-07-01 2002-01-10 김경진 Mouse with X, Y axis and scroll key controllable by using 2 photo diodes
JP2005509972A (en) * 2001-11-17 2005-04-14 デザイニリス リミテッド Digital display
KR20060043125A (en) * 2004-02-26 2006-05-15 웬 웨이 수 Rotational sensing device of motor r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710A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7518B2 (en) Scrolling based on rotational movement
US7889172B2 (en)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7345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KR101442542B1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6325373B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70085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201301917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from an Electronic Device
JP2007116712A (en) Mobile terminal
JP2008517363A5 (en)
CN106325374B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WO2013027292A1 (en) Touch pane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CN100483320C (en) Input unit, mobile terminal unit, and content data manipulation method
EP2034385A2 (en) Electronic device with circuitry operative to change an orientation of an indicato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8164580B2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masking
KR10125849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scroll function
JP2007202124A (en)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ing input unit, and content data brows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752141B1 (en) Rotary navigation button device
JPWO2013027292A1 (en) Touch pane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05712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