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5961B1 -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961B1
KR101255961B1 KR1020110132832A KR20110132832A KR101255961B1 KR 101255961 B1 KR101255961 B1 KR 101255961B1 KR 1020110132832 A KR1020110132832 A KR 1020110132832A KR 20110132832 A KR20110132832 A KR 20110132832A KR 101255961 B1 KR101255961 B1 KR 10125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area
wall disposed
construction method
caisson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원
육동준
함형진
전우용
최원경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9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케이슨 방파제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차수 성능이 개선된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큰 제1케이슨과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작은 제2케이슨을 제작하는 케이슨 제작단계;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제1케이슨과 제2케이슨을 번갈아가며 배치하며 이때 케이슨들 사이의 공간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차수재를 설치하는 케이슨 배치단계;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케이슨 구조물 내부의 물을 퍼내는 펌핑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펌핑 단계에서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넓은 케이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에 의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수재를 탄성 변형시켜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슨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케이슨 사이의 틈에 차수재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슨 사이를 통하여 케이슨 구조물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슨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육지처럼 활용할 수 있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Caison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케이슨 방파제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차수 성능이 개선된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슨은 철근 콘크리트 상자 모형으로 제작되며, 내부 공간은 비워서 물에 뜰 수 있도록 제조된다. 부양식 독(dock)이나 육상의 독에서 제작되고 예항선 또는 크레인 선에 매달려 현장으로 운반되어 방파제 또는 중력식 구조의 본체로서 설치된다.
도 1은 케이슨의 한 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케이슨은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케이슨(1)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지만, 설치된 후에 상부를 막을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내부공간(2)에는 사석을 채워 바닷속으로 가라앉도록 한다.
도 2는 케이슨을 이용해 만든 방파제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러 개의 케이슨(1)이 사용된다. 도 3에는 케이슨 방파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설치된 케이슨(1)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석이 채워져 있다.
이러한 케이슨(1)은 설치될 때 약 10cm 정도씩 떨어지게 설치된다. 설치 과정에서 케이슨(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슨(1) 사이를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케이슨(1) 사이에는 약 10cm정도의 이격된 부분이 있어서 설치된 케이슨(1)의 사이의 틈으로 해수의 이동을 기본적으로 허용한다. 따라서 케이슨(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도 2에 도면부호 3으로 표시)에는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케이슨(1)의 내측 공간에는 해수가 차 있게 되고 케이슨(1)의 내측 공간을 활용하고 싶어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슨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차수 성능이 우수한 케이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큰 제1케이슨과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작은 제2케이슨을 제작하는 케이슨 제작단계;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제1케이슨과 제2케이슨을 번갈아가며 배치하며 이때 케이슨들 사이의 공간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차수재를 설치하는 케이슨 배치단계;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케이슨 구조물 내부의 물을 퍼내는 펌핑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펌핑 단계에서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넓은 케이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에 의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수재를 탄성 변형시켜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케이슨과 제2케이슨은 서로 동일한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 단계 이전에 상기 제1케이슨의 내부공간에 사석을 채우는 채움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슨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케이슨 사이의 틈에 차수재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슨 사이를 통하여 케이슨 구조물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슨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육지처럼 활용할 수 있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케이슨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케이슨 방파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케이슨 방파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시공방법의 케이슨 배치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케이슨, 제2케이슨 및 차수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슨이 수압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과장해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케이스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시공방법의 케이슨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케이슨, 제2케이슨 및 차수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슨이 수압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과장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은 케이슨 제작단계, 케이슨 배치단계, 채움 단계 및 펌핑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슨 제작단계는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케이슨(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100)에 배치되는 벽(11)의 면적이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12)의 면적에 비하여 크도록 사다리꼴의 평면형상을 가진 케이슨이다.
상기 제2케이슨(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100)에 배치되는 벽(21)의 면적이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22)의 면적에 비하여 작도록 사다리꼴의 평면형상을 가진 케이슨이다.
상기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빈 곳인 제1공동부(13)와 제2공동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은 실제로 같은 형상을 가진 구조물로서 그 배치되는 방식에 따라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벽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으로 배치되면 제1케이슨(10)이 되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벽이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으로 배치되면 제2케이슨(20)이 된다.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는 케이슨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을 적절히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의 사이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차수재(30)를 배치한다. 도 5에는 한 세트의 제1케이슨(10), 제2케이슨(20) 및 탄성재(30)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모든 케이슨들(10, 20)의 사이에는 차수재(30)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에서 배치되는 케이슨(10, 20)들 사이의 공간에는 차수재(30)만이 배치되며 이는 케이슨들(10, 20) 사이에 공간을 차수재(30)가 채운다는 의미이다.
상기 채움 단계는 상기 제1케이슨(10)의 내부공간인 제1공동부(13)에 사석(40)을 채우는 단계이다.
상기 펌핑 단계는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와 채움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케이슨 구조물의 내부(100)의 해수를 외부로 퍼내는 단계이다.
상기 펌핑 단계에서 케이슨 구조물 내부(100)의 물을 외부로 퍼내게 되면 제1케이슨(10)과 제2케이슨(20)이 수압에 의해 구조물 내부(100) 쪽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케이슨 구조물의 외부 쪽에 배치되는 면적이 큰 제2케이슨(20)이 제1케이슨(10)에 비하여 큰 힘을 받게 된다. 도 6에 화살표가 케이슨들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제2케이슨(20)에 작용하는 힘이 크다는 의미로 제2케이슨(20)을 가리키는 화살표의 수가 많다.
이때 제1케이슨(10)에는 사석(40)이 채워져 있어 상대적으로 제2케이슨(20)에 비하여 무겁다. 따라서 이러한 무게 차이에 의해서도 제2케이슨(20)이 이동하는 거리가 더 길어지게 된다. 도 6에는 제2케이슨(20)이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한 거리를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제2케이슨(2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수재(30)를 탄성 변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슨들(10, 20) 사이의 공간이 더욱 조밀해지면서 케이슨들(10, 20)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어 펌핑에 의해 케이슨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물을 모두 퍼내어 그 내부의 공간을 육지처럼 사용할 수 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파고가 높은 경우 케이슨(10, 20)의 상부를 통하여 바닷물이 케이슨 구조물의 내부(100)로 유입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펌핑 단계에서 설치된 펌프 등을 철거하지 않고 나중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케이슨(20)의 이동에 의하여 차수재(30)가 압밀되면서 케이슨(10, 20)들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수밀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2케이슨(2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제2케이슨(20)의 제2공동구(23)에 사석을 채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케이슨 시공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제1케이슨 20 : 제2케이슨
30 : 차수재 40 : 사석

Claims (3)

  1.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큰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제1케이슨과,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제2케이슨을 제작하는 케이슨 제작단계;
    상기 케이슨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제1케이슨과 제2케이슨을 번갈아가며 배치하며 이때 케이슨들 사이의 공간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차수재를 설치하는 케이슨 배치단계;
    상기 케이슨 배치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케이슨 구조물 내부의 물을 퍼내는 펌핑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펌핑 단계에서 케이슨 구조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의 면적이 넓은 케이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에 의해 케이슨 구조물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수재를 탄성 변형시켜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슨과 제2케이슨은 서로 동일한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단계 이전에 상기 제1케이슨의 내부공간에 사석을 채우는 채움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10132832A 2011-12-12 2011-12-12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5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32A KR101255961B1 (ko) 2011-12-12 2011-12-12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32A KR101255961B1 (ko) 2011-12-12 2011-12-12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961B1 true KR101255961B1 (ko) 2013-04-23

Family

ID=4844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5961B1 (ko) 2011-12-12 2011-12-12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9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565A (ko) * 2015-02-09 2016-08-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록킹된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WO2020085590A1 (ko) * 2018-10-24 2020-04-30 강병관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KR20200137611A (ko) * 2019-05-31 2020-12-09 최주혁 케이슨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586609B1 (ko) * 2023-04-11 2023-10-11 유한회사 지엘산업 강제 합성형 조립식 콘크리트 가물막이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868A (ja) 1998-02-09 1999-08-17 Penta Ocean Constr Co Ltd 連結ケーソン
JP2004124453A (ja) 2002-10-01 2004-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ケーソン護岸遮水目地構造及びケーソン護岸遮水方法
KR20110037778A (ko) * 2009-10-07 2011-04-13 토광건설주식회사 조립식 가물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868A (ja) 1998-02-09 1999-08-17 Penta Ocean Constr Co Ltd 連結ケーソン
JP2004124453A (ja) 2002-10-01 2004-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ケーソン護岸遮水目地構造及びケーソン護岸遮水方法
KR20110037778A (ko) * 2009-10-07 2011-04-13 토광건설주식회사 조립식 가물막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565A (ko) * 2015-02-09 2016-08-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록킹된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101664160B1 (ko) * 2015-02-09 2016-10-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록킹된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WO2020085590A1 (ko) * 2018-10-24 2020-04-30 강병관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가물막이 및 터파기 공사 가시설 구조물 그리고 시공 방법
US11371204B2 (en) 2018-10-24 2022-06-28 Byung Kwan Kang Ring-shaped cofferdam and temporary pit excavation structure using tapered square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37611A (ko) * 2019-05-31 2020-12-09 최주혁 케이슨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66376B1 (ko) 2019-05-31 2021-06-18 최주혁 케이슨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586609B1 (ko) * 2023-04-11 2023-10-11 유한회사 지엘산업 강제 합성형 조립식 콘크리트 가물막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805B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664160B1 (ko) 인터록킹된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KR101255961B1 (ko)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CN107002376A (zh) 浮闸或岛及其制造方法
KR101334373B1 (ko) 해중 터널 장치
AU2017253505B2 (en) Sea wall structures, sea wal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assembly of the same
CN102080364A (zh) 桩承式沉箱海堤及其施工方法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101378203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444290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JP2019203314A (ja) サクション基礎構造体
CN109642402A (zh) 沉箱块建造方法和沉箱块结构
KR102353849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N201520954U (zh) 建码头用的沉箱平台
KR101338834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콘크리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과 해안구조물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EP2597206B1 (en) Found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RU2401356C1 (ru) Способ блок-модуль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в подводных котлованах
RU2480557C1 (ru) Морская гравитационно-свай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постановки ее на морское дно
KR101635900B1 (ko)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
JP6659489B2 (ja) 防波構造物
JP2009228268A (ja) 脚式離岸堤
KR20120022532A (ko) 철근 콘크리트 단위 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시공방법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