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98B1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098B1 KR101254098B1 KR1020110130760A KR20110130760A KR101254098B1 KR 101254098 B1 KR101254098 B1 KR 101254098B1 KR 1020110130760 A KR1020110130760 A KR 1020110130760A KR 20110130760 A KR20110130760 A KR 20110130760A KR 101254098 B1 KR101254098 B1 KR 1012540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type gantry
- support
- tension
- timing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4 fluo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75—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using a detector unit almost surrounding the patient, e.g. more than 18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C형 갠트리에 장착된 촬영 모듈을 회전시키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otating a photographing module mounted on a C-type gantry and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촬영 모듈을 회전시키면서 촬영을 하는 영상 획득 장치로는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장치 등이 있다. 이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는 일반 촬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신체의 단층 면상을 나타내는 첨단 의료 장치로, X선 촬영 모듈을 통해 인체의 여러 각도에서 투과한 X선을 컴퓨터로 측정하고 인체의 단면에 대한 흡수치를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낸다.A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while rotating the photographing module includes a computed tomography (CT) apparatus. This computed tomography device is a high-tech medical device that shows the tomographic plane of the body, which cannot be represented by normal imaging.The X-ray imaging module measures the X-ray transmitted from various angles of the human body with a computer Reconstructed and displayed as an image.
이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의 원리는 인체의 골, 내장, 혈관 등 조직에 따라 X선 흡수율이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X선을 비추이고 그 흡수율의 차이를 컴퓨터로 계산해 단면도를 그리는 것이다.The principle of this computed tomography device is that the X-ray absorption rate differs according to tissues such as bones, internal organs, and blood vessels of the human body.
이러한 단면도를 그리기 위해서는, 환자가 누워 있는 테이블에 대해 C형 갠트리에 장착된 X선 촬영 모듈이 회전하면서 환자의 조직을 촬영하게 된다.In order to draw such a cross-sectional view, the X-ray imaging module mounted on the C-type gantry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able on which the patient is lying to photograph the tissue of the patient.
종래의 X선 촬영 모듈 회전 장치로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축에 직접 결합된 피니언과, C형 갠트리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피니언에 기어 맞물림되는 랙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회전되면 피니언과 랙에 의해 C형 갠트리가 회전되므로, C형 갠트리에 고정된 X선 촬영 모듈 또한 회전된다.Conventional X-ray imaging module rotation apparatus includes a drive motor, a pinion directly coupled to the axis of the drive motor, and a rack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type gantry and gear-engaged with the pinion. Therefore, since the C-type gantry is rotated by the pinion and the rack when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the X-ray imaging module fixed to the C-type gantry is also rotated.
하지만, 종래의 X선 촬영 모듈 회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X-ray imag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랙과 피니언이 직접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C형 갠트리가 회전되는 동안 소음이나 진동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Since the rack and pinion are directly coupl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noise or vibration is caused while the C-type gantry is rotated.
또한, C형 갠트리의 형상으로 인해 C형 갠트리의 외주연에 형성된 랙 또한 C형상을 갖게 되므로, 즉 랙의 양단 사이에는 설정 길이 개방부를 가지므로, 피니언이 이 개방부에 이르게 되면 랙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이 문제를 맞기 위해, 복수개의 피니언과 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구동 모터 마다 조금씩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서로 동기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ck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type gantry due to the shape of the C-type gantry also has a C-shape, that is, because both ends of the rack has a set length opening, when the pinion reaches this opening, it is released from the rack. .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is problem, although a plurality of pinions and a plurality of drive motors respectively coupled thereto may be used, there may be difficulty in synchronizing with each other since the drive motors have sligh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촬영 모듈이 회전되는 동안 소음이나 진동을 최소화하고, C형 갠트리의 개방부에 무관하게 C형 갠트리의 외주연 중 적어도 한 군데에 회전력을 부가하되 서로 동기화시킬 수 있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inimizing the noise or vibration while the photographing module is rotated, irrespectiv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C-type gantry shooting can be add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type gantry bu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 module rotation device and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는 촬영 모듈이 구비되며 일측 외주연에 기어림이 형성된 C형 갠트리; 상기 C형 갠트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풀리 지지 부재; 상기 풀리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그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 풀리-벨트 유닛; 상기 풀리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그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과 동기화 되며 그리고 상기 기어림에 적어도 한 군데가 맞물리는 내측 풀리-벨트 유닛; 및 상기 C형 갠트리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C형 갠트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hotographing module r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module, the C-type gantry is formed on one side outer periphery;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type gantry; A pulley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An outer pulley-belt uni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 inner pulley-belt unit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synchronized with the outer pulley-belt unit, and engaged with at least one gear; And a guide unit provided between the C-type gantry and the support part to guide rotation of the C-type gantry.
또한,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를 함께 연결하는 외측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ulley-belt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ulley rotatably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First and second outer driven pulley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set interval on the basis of the driving pulley; And an out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the first and second outer driven pulleys together.
또한, 상기 내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제1 외측 피동 풀리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구동 풀리; 상기 제1 내측 구동 풀리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피동 풀리; 상기 제1 내측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내측 피동 풀리를 연결하는 제1 내측 타이밍 벨트; 상기 제2 외측 피동 풀리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구동 풀리; 상기 제2 내측 구동 풀리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피동 풀리; 및 상기 제2 내측 구동 풀리와 상기 제2 내측 피동 풀리를 연결하는 제2 내측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ulley-bel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ner drive pulley provided on the same shaft as the first outer driven pulley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 first inner driven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driving pulley by a second set interval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A first inn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first inner drive pulley and the first inner driven pulley; A second inner drive pulley provided on the same shaft as the second outer driven pulley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A second inner driven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driving pulley by a second set interval so as to be rotatable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a second inn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second inner driving pulley and the second inner driven pulley.
또한, 상기 제1 내측 타이밍 벨트 또는 상기 제2 내측 타이밍 벨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어림에 맞물릴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inner timing belt or the second inner timing belt may be engaged with the gear.
또한, 상기 제1 내측 피동 풀리와 상기 제2 내측 피동 풀리와의 간격은 상기 C형 갠트리의 양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driven pulley and the second inner driven pulley may be set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type gantry.
또한,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ulley-belt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ut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outer timing belt.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 각각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 및 상기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측 타이밍 벨트가 걸리는 외측 텐션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at least one outer tension control unit is an outer tension adjustment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an outer tension pulley movably provided in the outer tension adjustment long hole and caught by the outer timing belt.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외측 피동 풀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외측 텐션 조절부;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2 외측 피동 풀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외측 텐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outer ten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outer tension control unit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first outer driven pulley; And a second out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second outer driven pulley.
또한, 상기 내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 내측 텐션 조절부; 및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내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 내측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pulley-belt unit may include a first inn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inner timing belt; And a second inn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inner timing belt.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측 텐션 조절부 각각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 및 상기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 텐션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tension control unit is an inner tension adjustment ho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an inner tension pulley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inner tension adjusting long hole.
또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C형 갠트리의 중력 방향 힘을 지지하는 중력 방향 지지부; 및 상기 C형 갠트리가 중력 방향 지지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이탈 방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is a gravity direct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 gravity direction force of the C-type gantry; And it may include a departure-avoidance support for holding the C-type gantry is not separated from the gravity direction support.
또한, 상기 중력 방향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타측에 구비되며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외주 접촉테; 및 상기 외주 접촉테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타측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vity direction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type gantry outer peripheral contact fram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plurality of gravity support roller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verse rollers are disposed in an arc shape on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또한, 상기 이탈 방지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주 접촉테; 및 상기 내주 접촉테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이탈 방지 롤러 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support portion is an inn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type gantry;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roller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verse rollers are disposed in an arc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또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C형 갠트리의 횡방향 이동을 막는 횡방향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support for preventing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C-type gantry.
또한,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 접촉면; 및 상기 외측 접촉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종방향 롤러가 배치된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teral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ntact surfac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type gantry;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upport roller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ollers are disposed in an arc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ct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을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는 촬영 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술한 촬영 모듈 회전 장치;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는 상기 촬영 모듈;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본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ncluding a photograph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photographing module; The photographing module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And a main body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촬영 모듈은 X선 촬영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ing module may be an X-ray imaging module.
또한, 상기 X선 촬영 모듈은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 및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되 상기 X선 발진기와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X선을 받는 디텍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X-ray imaging module may include an X-ray oscillator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and oscillating X-rays; And a detector unit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provided to face the X-ray oscillator and receiving the X-rays.
또한, 상기 X선 촬영 모듈은 상기 촬영 모듈 회전 장치에 의해 360도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X-ray imaging module may be rotated 360 degrees by the imaging module rotation device.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풀리-벨트 유닛과 내측 풀리-벨트 유닛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촬영 모듈이 회전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촬영 모듈이 회전되는 동안 소음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ulley-belt unit and the inner pulley-belt unit are provided and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hotographing module is rotated, thereby minimizing noise or vibration while the photographing module is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풀리-벨트 유닛과 내측 풀리-벨트 유닛이 동기화 되고, 기어림이 내측 풀리-벨트 유닛의 적어도 한 군데에서 맞물리며, 그리고 안내 유닛에 의해 C형 갠트리가 안내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C형 갠트리의 개방부에 무관하게 C형 갠트리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기화에 따른 회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ulley-belt unit and the inner pulley-belt unit are synchronized, the gearing meshes in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inner pulley-belt unit, and the C-type gantry is guided by th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rotate the C-type gantry irrespective of the opening of the C-type gantry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rotation due to synchron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과 이탈 방지 롤러 열과 그리고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나타내기 위해 받침부를 잘라서 우측으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중렬 방향 지지 롤러 열에 C형 갠트리의 타측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이탈 방지 롤러 열과 그리고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나타내기 위해 받침부를 잘라서 좌측으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안내 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3 is a left side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ut out to the right to show the gravity supporting roller row, the release preventing roller row,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roller row;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C-type gantry is seated on the row of supporting rollers in the middle direction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ut away to the left to show the release prevention roller row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ller row;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1 to show the guide unit.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와, 받침부(120)와, 풀리 지지 부재(130)와,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과,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과, 그리고 안내 유닛(16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device includes a C-
C형 갠트리(110)는 회전체이며, 두 개의 C형 프레임(111, 112)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프레임(113)에는 촬영 모듈(200)이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C형 프레임(111)의 외주연에 기어림(111a)이 형성된다. 특히, 이에 구비된 촬영 모듈(200)은 X선 촬영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촬영 모듈(200)은 C형 갠트리(110)의 연결 프레임(113)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210)와, 그리고 C형 갠트리(110)의 연결 프레임(113) 중 X선 발진기(210)와 대향되는 연결 프레임(113)에 구비되며 X선을 받는 디텍터부(220)를 포함한다.The C-
받침부(120)는 고정체이고, 상부 개방부를 갖는 박스 형상을 하며, C형 갠트리(110)의 하부를 지지한다.The supporting
풀리 지지 부재(130)는 판 형상을 하며, 고정체인 받침부(120)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구비된다.The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은 풀리 지지 부재(130)를 기준으로 그 외측면에 구비된다.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outer pulley-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은 풀리 지지 부재(130)를 기준으로 그 내측면에 구비되고,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과 동기화 되며, 그리고 기어림(111a)에 적어도 한 군데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inner pulley-belt unit 150 is provided on its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안내 유닛(160)은 C형 갠트리(110)와 받침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C형 갠트리(1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롤러 타입을 갖는다. 안내 유닛(16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 및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후 하기로 한다. The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상술한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3 again, the above-described outer pulle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은 풀리 지지 부재(130)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풀리(141)와, 구동 풀리(141)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설정 간격 이격되어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142)(143)와, 그리고 구동 풀리(141)와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142)(143)를 함께 연결하는 외측 타이밍 벨트(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 풀리(141)에 하나의 구동 모터(M)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외측 타이밍 벨트(144)가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142)(143) 또한 따라서 회전된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outer pulley-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은 풀리 지지 부재(13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외측 타이밍 벨트(144)의 텐션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outer pulley-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170) 각각은 풀리 지지 부재(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170a)과, 그리고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170a)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측 타이밍 벨트(144)가 걸리는 외측 텐션 풀리(170b)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측 텐션 풀리(170b)를 상기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170a)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외측 타이밍 벨트(144)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at least one outer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170)는 구동 풀리(141)와 제1 외측 피동 풀리(142)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외측 텐션 조절부(171)와, 그리고 구동 풀리(141)와 제2 외측 피동 풀리(1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외측 텐션 조절부(172)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풀리(141)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외측 텐션 조절부(171)(172)가 대칭되게 구비되므로, 구동 풀리(141)가 어느 한 측으로 쏠리는 쏠림 현상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외측 타이밍 벨트(144)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outer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상술한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2, and 4 again, the above-described inner pulley-belt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은 제1 외측 피동 풀리(142)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구동 풀리(151)와, 제1 내측 구동 풀리(151)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피동 풀리(152)와, 제1 내측 구동 풀리(151)와 제1 내측 피동 풀리(152)를 연결하는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와, 제2 외측 피동 풀리(143)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구동 풀리(155)와, 제2 내측 구동 풀리(155)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피동 풀리(156)와, 그리고 제2 내측 구동 풀리(155)와 제2 내측 피동 풀리(156)를 연결하는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를 포함한다.1, 2 and 4, the inner pulley-belt unit 150 is provid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outer driven
따라서, 하나의 구동 풀리(141)에 하나의 구동 모터(M)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외측 타이밍 벨트(144)가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142)(143)를 회전시키고, 제1 외측 피동 풀리(142)에 연결된 제1 내측 구동 풀리(151)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가 회전되면서 제1 내측 피동 풀리(152)를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 외측 피동 풀리(143)에 연결된 제2 내측 구동 풀리(155)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가 회전되면서 제2 내측 피동 풀리(156)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3)(157)가 하나의 구동 풀리(141)로부터 동기화되어 회전된다.Therefore, when a rotational force of one driving motor M is transmitted to one driving
또한, 제1 내측 피동 풀리(152)와 상기 제2 내측 피동 풀리(156)와의 간격은 상기 C형 갠트리(110)의 양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driven
나아가, C형 갠트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트인 개방부를 갖는데, 이 개방부는 C형 갠트리(110)가 360도 회전되면서 받침부(120)로 들어갔다 나오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되는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 및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가 구비되는 구성과, 제1 내측 피동 풀리(152)와 제2 내측 피동 풀리(156)와의 간격이 C형 갠트리(110)의 양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C형 갠트리(110)가 360도 회전되는 동안, 제1 및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3)(157) 모두가 기어림(111a)에 맞물리는 과정과,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만 기어림(111a)에 맞물리는 과정과, 제1 및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3)(157) 모두가 다시 기어림(111a)에 맞물리는 과정과, 그리고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만 기어림(111a)에 맞물리는 과정이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C형 갠트리(110)가 360도 회전되는 동안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 또는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림(111a)에 맞물린다.Furthermore, the C-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은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 내측 텐션 조절부(181)와, 그리고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 내측 텐션 조절부(18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inner pulley-belt unit 15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측 텐션 조절부(181)(182) 각각은 풀리 지지 부재(1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180a)과, 그리고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180a)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 텐션 풀리(180b)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측 텐션 풀리(180b)가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180a)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내측 타이밍 벨트(153)(또는 제2 내측 타이밍 벨트(157))의 텐션을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안내 유닛(16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도 5는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과 이탈 방지 롤러 열과 그리고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나타내기 위해 받침부를 잘라서 우측으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중렬 방향 지지 롤러 열에 C형 갠트리의 타측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이탈 방지 롤러 열과 그리고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나타내기 위해 받침부를 잘라서 좌측으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ut out to the right to show the gravity supporting roller row, the anti-separation roller row,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roller row, and FIG. 6 shows the other side of the C-type gantry seated on the row of the supporting roller rows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cut away to show the left side in order to show the release preventing roller row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roller row.
도 8은 안내 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1 to show the guide unit.
안내 유닛(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의 중력 방향 힘을 지지하는 중력 방향 지지부(161)와, 그리고 C형 갠트리(110)가 중력 방향 지지부(16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이탈 방지 지지부(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C형 갠트리(110)의 일단이 중력 방향 지지부(161)에 지지될 때 이탈 방지 지지부(162)가 C형 갠트리(110)를 잡아주게 되므로 C형 갠트리(110)는 항상 동심원을 그리고 회전하게 된다.The
또한, 중력 방향 지지부(161)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의 타측(도면상 좌측에 있는 C형 프레임(112))의 외주연 구비되는 외주 접촉테(161a)와, 그리고 외주 접촉테(161a)에 접촉되기 위해 받침부(120)의 타측(도면상 우측)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도 5 및 도 6 참조)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161b)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ravity
또한, 이탈 방지 지지부(162)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주 접촉테(도 6 및 도 8의 "162a")와, 내주 접촉테(162a)에 접촉되기 위해 받침부(120)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도 5 내지 도 7 참조)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이탈 방지 롤러 열(162b)을 포함한다. 특히,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161b)의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 중 적어도 2개와, 이탈 방지 롤러 열(162b)의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 중 적어도 2개는 항상 C형 갠트리(110)에 계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 수와 그 사이 간격이 설정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상술한 안내 유닛(16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의 횡방향 이동을 막는 횡방향 지지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횡방향 지지부(16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갠트리(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 접촉면(163a)과, 외측 접촉면(163a)에 접촉되기 위해 받침부(120)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도 5 내지 도 8 참조)으로 복수개의 종방향 롤러가 배치된 횡방향 지지 롤러 열(163b)을 포함한다. 따라서, C형 갠트리(110)가 좌/우로 기우뚱거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설명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획득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모듈(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술한 촬영 모듈 회전 장치(100)와, C형 갠트리(110)에 구비되는 촬영 모듈(200)과, 그리고 받침부(120)에 옆에 구비되는 본체(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es the photographing
또한, 촬영 모듈(200)은 X선 촬영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선 촬영 모듈(200)은 C형 갠트리(110)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210)와, 그리고 C형 갠트리(110)에 구비되되 X선 발진기(210)와 대향되게 구비되며 X선을 받는 디텍터부(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X선 발진기(210)에서 발진된 X선이 피검체(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디텍터부(220)에 수집되고, 이 수집된 검출 신호를 본체(300)로 보내면 본체(300)에서는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X선 촬영 모듈은 상술한 촬영 모듈 회전 장치에 의해 360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루오르스코피(fluoroscopy) 영상뿐만 아니라 CT(computed tomography) 이미지도 획득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X-ray imaging module may be rotated 360 degrees by the imag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quire not only a fluoroscopy image but also a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또한, 본체(300) 및 받침부(120)는 바퀴(310, 121)를 통해 지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리고 본체(300)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ing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과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촬영 모듈(200)이 회전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촬영 모듈(200)이 회전되는 동안 소음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uter pulle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풀리-벨트 유닛(140)과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이 동기화 되고, 기어림(111a)이 내측 풀리-벨트 유닛(150)의 적어도 한 군데에서 맞물리며, 그리고 안내 유닛(160)에 의해 C형 갠트리(110)가 안내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C형 갠트리(110)의 개방부에 무관하게 C형 갠트리(11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기화에 따른 회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ulle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10: C형 갠트리 111a: 기어림
120: 받침부 130: 풀리 지지 부재
140: 외측 풀리-벨트 유닛 150: 내측 풀리-벨트 유닛
160: 안내 유닛 200: 촬영 모듈
M: 구동 모터110:
120: base 130: pulley support member
140: outer pulley-belt unit 150: inner pulley-belt unit
160: guide unit 200: shooting module
M: drive motor
Claims (20)
상기 C형 갠트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풀리 지지 부재;
상기 풀리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그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 풀리-벨트 유닛;
상기 풀리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그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과 동기화 되며 그리고 상기 기어림에 적어도 한 군데가 맞물리는 내측 풀리-벨트 유닛; 및
상기 C형 갠트리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C형 갠트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유닛
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C-type gantry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module, the gear is formed on one outer periphery;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type gantry;
A pulley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An outer pulley-belt uni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 inner pulley-belt unit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synchronized with the outer pulley-belt unit, and engaged with at least one gear; And
Guide unit provided between the C-type gantry and the support portion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C-type gantry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및 제2 외측 피동 풀리를 함께 연결하는 외측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In claim 1,
The outer pulley-belt unit
A drive pulley rotatably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First and second outer driven pulley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set interval on the basis of the driving pulley; And
And an out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the first and second outer driven pulleys together.
상기 내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제1 외측 피동 풀리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구동 풀리;
상기 제1 내측 구동 풀리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내측 피동 풀리;
상기 제1 내측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내측 피동 풀리를 연결하는 제1 내측 타이밍 벨트;
상기 제2 외측 피동 풀리와 같은 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구동 풀리;
상기 제2 내측 구동 풀리와 제2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내측 피동 풀리; 및
상기 제2 내측 구동 풀리와 상기 제2 내측 피동 풀리를 연결하는 제2 내측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In claim 2,
The inner pulley-belt unit
A first inner drive pulley provided on the same shaft as the first outer driven pulley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A first inner driven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driving pulley by a second set interval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A first inn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first inner drive pulley and the first inner driven pulley;
A second inner drive pulley provided on the same shaft as the second outer driven pulley and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A second inner driven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driving pulley by a second set interval so as to be rotatable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And a second inner timing belt connecting the second inner driving pulley and the second inner driven pulley.
상기 제1 내측 타이밍 벨트 또는 상기 제2 내측 타이밍 벨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어림에 맞물리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inner timing belt or the second inner timing belt meshes with the gearing.
상기 제1 내측 피동 풀리와 상기 제2 내측 피동 풀리와의 간격은 상기 C형 갠트리의 양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ner driven pulley and the second inner driven pulley is set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type gantry.
상기 외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In claim 2,
The outer pulley-belt unit
And at least one out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outer timing bel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 각각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 및
상기 외측 텐션 조절용 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측 타이밍 벨트가 걸리는 외측 텐션 풀리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at least one outer tension control unit
An outer tension adjustment ho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And a lateral tension pulley movably provided in the lateral hole for adjusting the outer tension and having the outer timing bel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텐션 조절부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외측 피동 풀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외측 텐션 조절부;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2 외측 피동 풀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외측 텐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In claim 7,
The at least one outer tension adjusting unit
A first out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first outer driven pulley; And
And a second out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second outer driven pulley.
상기 내측 풀리-벨트 유닛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 내측 텐션 조절부; 및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내측 타이밍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 내측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pulley-belt unit
A first inn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inner timing belt; And
And a second inner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ulley supporting memb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inner timing belt.
상기 제1 및 제2 내측 텐션 조절부 각각은
상기 풀리 지지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 및
상기 내측 텐션 조절용 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 텐션 풀리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tension adjusting units
An internal tension adjustment slot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pulley support member; And
Imaging module rotation device comprising an inner tension pulley movably provided in the inner tension adjustment long hole.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C형 갠트리의 중력 방향 힘을 지지하는 중력 방향 지지부; 및
상기 C형 갠트리가 중력 방향 지지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이탈 방지 지지부를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In claim 1,
The guide unit
Gravity direct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 gravity direction force of the C-type gantry; And
And a departure prevention support part for holding the C-type gantry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ravity direction support part.
상기 중력 방향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타측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외주 접촉테; 및
상기 외주 접촉테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타측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중력 방향 지지 롤러 열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gravity direction support
An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of the C-type gantry; And
And a gravity support roller row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verse rollers are disposed in an arc shape on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contact frame.
상기 이탈 방지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주 접촉테; 및
상기 내주 접촉테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횡방향 롤러가 배치된 이탈 방지 롤러 열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lease preventing support portion
An inn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type gantry; And
And a separation prevention roller row having a plurality of transverse rollers disposed in an arc shape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contact frame.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C형 갠트리의 횡방향 이동을 막는 횡방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guide unit
And a lateral support for preventing lateral movement of the C-type gantry.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상기 C형 갠트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외측 접촉면; 및
상기 외측 접촉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받침부의 내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복수개의 종방향 롤러가 배치된 횡방향 지지 롤러 열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회전 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lateral support is
An outer contact surfac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type gantry; And
And a transverse support roller row in which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ollers are disposed in an arc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ontact surface.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는 상기 촬영 모듈; 및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장치.The photographing module rotat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5;
The photographing module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And
Main body provided in the support
Image acquisi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촬영 모듈은 X선 촬영 모듈인 영상 획득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maging module is an X-ray imaging module.
상기 X선 촬영 모듈은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 및
상기 C형 갠트리에 구비되되 상기 X선 발진기와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X선을 받는 디텍터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장치.The method of claim 17,
The X-ray imaging module
An X-ray oscillator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and oscillating X-rays; And
And a detector unit provided in the C-type gantry and provided to face the X-ray oscillator and receiving the X-rays.
상기 X선 촬영 모듈은 상기 촬영 모듈 회전 장치에 의해 360도 회전되는 영상 획득 장치.The method of claim 17,
The X-ray imaging module is rotated 360 degrees by the imaging module rotation device.
상기 본체 및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영상 획득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art are provided on the ground to be mov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760A KR101254098B1 (en) | 2011-12-08 | 2011-12-08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760A KR101254098B1 (en) | 2011-12-08 | 2011-12-08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4098B1 true KR101254098B1 (en) | 2013-04-12 |
Family
ID=4844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0760A Active KR101254098B1 (en) | 2011-12-08 | 2011-12-08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09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35891A (en) * | 2013-12-23 | 2015-06-24 | 西门子公司 | Rotating frame, related rack, computer fault imaging instrument |
KR20160013598A (en) | 2014-07-28 | 2016-02-05 | 주식회사바텍 | Rotating device for rotation arm of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
CN107981880A (en) * | 2016-10-26 | 2018-05-04 |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CT machines and its rotary body |
KR20190002843A (en) | 2017-06-30 | 2019-01-09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CT apparatus and CT scanning method using the same |
US10383588B2 (en) | 2016-05-16 | 2019-08-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antry of computed tomography (CT)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8055B1 (en) | 1994-02-08 | 1999-09-01 | 토비 에취. 쿠스머 | X-ray tomography system with gantry pivot and translation control |
JP2006136555A (en) | 2004-11-12 | 2006-06-01 | Shimadzu Corp | C-arm X-ray fluoroscope |
US20070025522A1 (en) | 2005-07-26 | 2007-02-01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footprint imaging system |
US20080013691A1 (en) | 2002-03-13 | 2008-01-17 | Gregerson Eugene A | Systems and methods for quasi-simultaneous multi-planar x-ray imaging |
-
2011
- 2011-12-08 KR KR1020110130760A patent/KR1012540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8055B1 (en) | 1994-02-08 | 1999-09-01 | 토비 에취. 쿠스머 | X-ray tomography system with gantry pivot and translation control |
US20080013691A1 (en) | 2002-03-13 | 2008-01-17 | Gregerson Eugene A | Systems and methods for quasi-simultaneous multi-planar x-ray imaging |
JP2006136555A (en) | 2004-11-12 | 2006-06-01 | Shimadzu Corp | C-arm X-ray fluoroscope |
US20070025522A1 (en) | 2005-07-26 | 2007-02-01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footprint imaging system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35891A (en) * | 2013-12-23 | 2015-06-24 | 西门子公司 | Rotating frame, related rack, computer fault imaging instrument |
KR20150073858A (en) * | 2013-12-23 | 2015-07-01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Rotating frame for the gantry of a computed tompgraphic machine, gantry and computed tompgraphic machine with such a rotating frame |
KR101665204B1 (en) * | 2013-12-23 | 2016-10-11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Rotating frame for the gantry of a computed tompgraphic machine, gantry and computed tompgraphic machine with such a rotating frame |
KR20160013598A (en) | 2014-07-28 | 2016-02-05 | 주식회사바텍 | Rotating device for rotation arm of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
KR101631667B1 (en) * | 2014-07-28 | 2016-06-17 | 주식회사바텍 | Rotating device for rotation arm of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
US10383588B2 (en) | 2016-05-16 | 2019-08-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antry of computed tomography (CT) apparatus |
CN107981880A (en) * | 2016-10-26 | 2018-05-04 |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CT machines and its rotary body |
US10786213B2 (en) | 2016-10-26 | 2020-09-29 | Beijing Neusoft Medical Equipment Co., Ltd. | CT machine and rotator thereof |
KR20190002843A (en) | 2017-06-30 | 2019-01-09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CT apparatus and CT scanning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4098B1 (en)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
KR101254097B1 (en) | Shoot module rotating apparatus and image obtaining apparatus of comprising the same | |
KR100946999B1 (en) | Rail system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y x-ray system | |
JP4481392B2 (en) | X-ray diagnostic equipment | |
JP4802079B2 (en) | Medical X-ray CT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769615B1 (en) |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 |
KR101175027B1 (en) | X-ray panorama imaging apparatus having a camera in oral cavity | |
US9314212B2 (en) | X-ray imaging apparatus | |
KR20130058633A (en) | Tube supporter of 3d digital radiography system, main drive unit of 3d digital radiography system and photographing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ing thereof | |
US9282942B2 (en) | Device and method for a diagnostic apparatus | |
KR101105624B1 (en) | Medical diagnostic equipment with X-ray detector with automatic positioning | |
JP4768695B2 (en) | X-ray CT imaging system | |
JP2003175031A (en) | Digital x-ray panoramic imaging apparatus | |
ES3003918T3 (en) | Ct imaging apparatus | |
US20210268308A1 (en) | Chair-type phototherapy device | |
KR101192461B1 (en) | X-ray panorama imaging apparatus in oral cavity | |
CN210408449U (en) | Novel integrated cone beam CT | |
CN109330619B (en) | Integrated cone beam CT | |
CN208551830U (en) | Radiographic apparatus | |
JP2007159987A (en) | Radiographic equipment | |
KR20120095040A (en) | Long-term diagnostic X-ray apparatus | |
KR20120090290A (en) | Medical radiography system | |
JP2011000358A (en) |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 |
CN221711981U (en) | A rotating diagnostic table and medical U-shaped arm DR three-dimensional imaging equipment | |
CN215839135U (en) | Novel CT bed board with magic ta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