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3761B1 -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61B1
KR101253761B1 KR1020120100466A KR20120100466A KR101253761B1 KR 101253761 B1 KR101253761 B1 KR 101253761B1 KR 1020120100466 A KR1020120100466 A KR 1020120100466A KR 20120100466 A KR20120100466 A KR 20120100466A KR 101253761 B1 KR101253761 B1 KR 10125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fiber
mixer
bibeam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강성숙
Original Assignee
강성숙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숙, 김대영 filed Critical 강성숙
Priority to KR102012010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0Mixing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mixtures contain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및 섬유 보강재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하는 1차 투입단계(ST11)와; 상기 1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섬유 보강재를 5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 1차 비빔단계(ST12)와; 상기 1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투입하는 2차 투입단계(ST13)와; 상기 2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1차 혼합물과 함께 5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 2차 비빔단계(ST14)와; 상기 2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물(W) 및 혼화제(Ag)를 투입하는 3차 투입단계(ST15)와; 상기 3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 및 혼화제(Ag)를 2차 혼합물과 함께 10 내지 20초 동안 혼합하는 3차 비빔단계(ST16)와; 상기 3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최종 혼합물을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T17);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하고 믹서 혼합시간을 감소시켜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하고 믹서 혼합시간을 감소시켜 생산능력을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불연속의 단(短) 섬유를 콘크리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에 따라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 인성, 전단강도 및 내충격성 등을 개선시킨 복합재이다.
이러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균열 발생 후 균열 개구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피로강도가 개선되어 포장 두께나 터널 라이닝 두께가 감소하며, 내동해성이 개선되고, 철근 콘크리트와 병용하면 부재의 전단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압축인성과 휨인성이 우수하여 충격력이나 폭발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섬유의 형상, 치수, 혼입률, 배향과 분산 및 콘크리트의 품질 등에 따라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종래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97432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한 내용이다.
도 1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Ce), 혼화재(Am), 잔 골재(As) 및 황마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하는 1차 투입단계(ST1)와; 상기 1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혼화재(Am), 잔 골재(As) 및 황마를 20 내지 30초 동안 혼합하는 1차 비빔단계(ST2)와; 상기 1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물(W)과 혼화제(Ag)를 투입하는 2차 투입단계(ST3)와; 상기 2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과 혼화제(Ag)를 1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30초 동안 혼합하는 2차 비빔단계(ST4)와; 상기 2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굵은 골재(Ab)를 투입하는 3차 투입단계(ST5)와; 상기 3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굵은 골재(Ab)를 2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30초 동안 혼합하는 3차 비빔단계(ST6)와; 상기 3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최종 혼합물을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T7);를 수행한다.
먼저 1차 투입단계(ST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포틀랜드 시멘트와 같은 시멘트(Ce), 고로슬래그분말이나 플라이애쉬 등과 같은 혼화재(Am), 잔 골재(As) 및 황마를 투입한다.
그리고 1차 비빔단계(ST2)에서는 1차 투입단계(ST1)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혼화재(Am), 잔 골재(As) 및 황마를 20 내지 30초 동안 혼합한다.
다음에 2차 투입단계(ST3)에서는 1차 비빔단계(ST2)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물(W)과 혼화제(Ag)를 투입한다. 이때, 혼화제(Ag)는 콘크리트 경화 전후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계획적으로 첨가되는 바, 시멘트량의 1% 전후가 사용되는데, 최근 콘크리트에 대한 높은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여러 가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분산제와 AE제가 전체 혼화제(Ag)의 9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서 2차 비빔단계(ST4)에서는 2차 투입단계(ST3)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과 혼화제(Ag)를 1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30초 동안 혼합하여 2차 혼합물(M2)을 만든다.
그리고 3차 투입단계(ST5)에서는 2차 비빔단계(ST4)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굵은 골재(Ab)를 투입한다.
그 다음, 3차 비빔단계(ST6)에서는 3차 투입단계(ST5)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 투입된 굵은 골재(Ab)와 2차 혼합물을 20 내지 30초 동안 함께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만든다.
끝으로 배출단계(ST7)에서는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최종 혼합물을 배출함으로써 전체 황마 보강 콘크리트 배합을 마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최종적으로 배출된 콘크리트에서 도면 2와 같은 화이버 볼(Fiber ball) 현상이 나타나거나 시멘트 볼(Cement ball)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화이버 볼 현상이란 섬유 보강재가 서로 뭉쳐서 덩어리져 있는 현상을 말하는데, 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 내에서 입자 하나하나가 골고루 분산되어 3차원 입체구조를 이루어야 균열저감 및 휨인성 증진 등 그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데, 섬유끼리 서로 뭉쳐있게 되면 섬유 보강재의 분산성이 떨어져 오히려 뭉친 부분은 더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멘트 볼 현상이란 시멘트(Ce)가 분산되지 않고 둥글둥글한 형상이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시멘트(Ce)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종래의 순서로 콘크리트를 생산할 경우 비빔 시간이 평균 65초 이상 소요되어 믹서 혼합시간의 증가로 생산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하고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서의 혼합시간을 감소시켜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및 섬유 보강재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하는 1차 투입단계(ST11)와; 상기 1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섬유 보강재를 5 내지 10초 동안 혼합하는 1차 비빔단계(ST12)와; 상기 1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투입하는 2차 투입단계(ST13)와; 상기 2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1차 혼합물과 함께 10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 2차 비빔단계(ST14)와; 상기 2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물(W) 및 혼화제(Ag)를 투입하는 3차 투입단계(ST15)와; 상기 3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 및 혼화제(Ag)를 2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25초 동안 혼합하는 3차 비빔단계(ST16)와; 상기 3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최종 혼합물을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T1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 보강재는 황마 또는 양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투입단계는, 잔 골재(As)는 "(잔 골재 / 전체 골재) * 100 = 45 ~ 55%"의 잔골재율이 유지되도록 투입하고, 잔 골재(As)는 시멘트(Ce) 중량의 2.4 ~ 3.5배, 굵은 골재(Ab)는 시멘트(Ce) 중량의 2.5 ~ 3.7배, 섬유 보강재는 시멘트(Ce) 중량의 0.0015 ~ 0.005배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투입단계는, 투입되는 혼화재(Am)의 양은 시멘트(Ce) 중량의 5 ~ 20%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투입단계는, 물(W)과 시멘트(Ce)의 비율은 "(물 / 시멘트) * 100 = 45 ~ 65%"가 유지되도록 투입하고, 투입되는 혼화제(Ag)는 시멘트(Ce) 중량의 1 ~ 5%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본 발명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비하여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서의 혼합시간이 감소되어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a는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화이버 볼(Fiber ball)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화이버 볼(Fiber ball) 현상의 일부 확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 굵은 골재 Ag : 혼화제 Am : 혼화재 As : 잔 골재
Ce : 시멘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하고 믹서 혼합시간을 감소시켜 생산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1차 투입단계(ST11)에서는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및 섬유 보강재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한다.
여기서 섬유 보강재로는 황마 또는 양마를 사용할 수 있다. 황마는 아욱목의 쌍떡잎식물로서 피나무과(Tiliaceae) 코르코루스속(Corchorus)에 속하는 2종(種)의 식물로서 방글라데시와 인도가 원산지이며, 인피섬유 무리 중 하나인 이들의 섬유도 동시에 가리키며, 황갈색의 색상으로 인해 황마라 명명되었다. 황마는 각 섬유들이 천연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다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단면은 중심부에 루멘을 갖고 5 내지 6각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동일한 섬유 내에서도 루멘은 섬유의 길이방향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배열되므로, 치수 안정성 및 강도에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그 표면상태는 거친 구조로서 섬유보강에 매우 효과적이다. 황마는 인공 유기계 보강섬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내열성능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황마는 층상형의 단면구조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보강에 매우 유리하고, 황마의 길이 및 혼입량에 따라 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황마는 나일론 등과 같은 인공섬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휨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매트릭스 내에서 황마의 부착력에 따른 매트릭스와의 결합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황마가 보강된 콘크리트로 시공된 구조물은 쪼갬인장강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온도응력 및 건조수축 등에 따른 균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황마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면서 시멘트 매트릭스에 결착됨으로써 그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나일론, 폴리비닐알콜 등과 같은 인공 유기계 섬유에 비해 그 길이 변화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황마는 그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함에 따라 인공섬유에 비해 매트릭스 내에서의 부착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윤활특성이 우수하므로 브리딩 현상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양마는 일명 케냐프(Kenaf)라고도 하고 황마와 같이 아욱목의 쌍떡잎식물로서 아프리카와 인도가 원산지로서 황마의 대용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황마와 같이인공 유기계 보강섬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내열성능 및 알칼리와 반응시 구조체 내에서 휨, 인장강도가 증대하고, 양마가 보강된 콘크리트로 시공된 구조물은 쪼갬인장강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온도응력 및 건조수축 등에 따른 균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인공섬유에 비해 매트릭스 내에서의 부착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윤활특성이 우수하므로 브리딩 현상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투입단계는 잔 골재(As)가 "(잔골재 / 전체골재) * 100 = 45 ~ 55%"의 잔골재율이 유지되도록 투입하고, 잔 골재(As)는 시멘트(Ce) 중량의 2.4 ~ 3.5배, 굵은 골재(Ab)는 시멘트(Ce) 중량의 2.5 ~ 3.7배, 섬유 보강재는 시멘트(Ce) 중량의 0.0015 ~ 0.005배가 되도록 투입한다. 따라서 시멘트(Ce)를 230 ~ 400kg 투입하는 경우에서, 즉 시멘트(Ce) 329kg을 투입할 경우 잔 골재(As)는 822.5 ~ 1151.5kg(시멘트 중량의 2.5 ~ 3.5배)인데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대조군과 본 발명의 잔 골재(As)는 841kg/㎥로 하고, 굵은 골재(Ab)는 822.5 ~ 1217.3kg(시멘트 중량의 2.5 ~ 3.7배)인데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대조군과 본 발명의 굵은 골재(Ab)는 963kg/㎥로 하고, 섬유 보강재는 0.494 ~ 1.645kg(시멘트 중량의 0.0015 ~ 0.005배)인데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대조군과 본 발명의 섬유보강재는 0.9kg/㎥을 투입하게 된다. 여기서 섬유보강재로서 황마 또는 양마를 사용하는데 상기 황마 또는 양마는 2 내지 10mm의 길이로 절단된 조각실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이는 6mm의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1은 대조군 샘플과 본 발명 샘플의 배합표를 나타낸다.
배합표(kg/㎥)
구분 시멘트 잔 골재 굵은 골재 혼화제 섬유보강재
대조군/본발명 165 329 841 963 Ceㅧ1.0% 0,9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보강재인 황마 또는 양마가 보강된 콘크리트 배합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투입단계(ST11), 1차 비빔단계(ST12), 2차 투입단계(ST13), 2차 비빔단계(ST14), 3차 투입단계(ST15), 3차 비빔단계(ST16), 및 배출단계(ST17)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투입단계(ST11)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및 섬유 보강재를 투입한다.
그리고 나서, 1차 비빔단계(ST12)에서는 1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섬유 보강재를 5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데, 종래 발명인 도 1과 달리 1차 투입단계(ST11)에서 굵은 골재(Ab)를 투입하여 1차 비빔단계(ST12)를 수행하는 반면 기존에 1차 투입단계에서 투입된 시멘트(Ce)를 2차 투입단계(ST13)에서 투입함으로써 비빔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도 섬유 보강재를 골고루 분산시켜 콘크리트에서 화이버 볼(Fiber ball) 현상이나 시멘트 볼(Cement ball) 현상을 제어하는 역할에 도움을 준다.
다음에, 2차 투입단계(ST13)에서는 1차 비빔단계(ST12)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투입한다. 그래서 투입되는 혼화재(Am)의 양은 시멘트 중량의 5 ~ 20%가 되도록 한다. 즉, 투입되는 시멘트(Ce)의 중량이 230 ~ 400kg일 경우에서, 즉 시멘트(Ce) 329kg을 투입할 경우 혼화재(Am)는 16.5 ~ 65.8kg의 범위내에서 투입하면 된다.
이어서, 2차 비빔단계(ST1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2차 투입단계(ST13)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1차 혼합물과 함께 10 내지 15초 동안 혼합한다.
그리고 나서, 3차 투입단계(ST15)에서는 2차 비빔단계(ST14)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물(W) 및 혼화제(Ag)를 투입한다. 이때 물(W)과 시멘트(Ce)의 비율은 "(물 / 시멘트) * 100 = 45 ~ 65%"가 유지되도록 투입하고, 투입되는 혼화제(Ag)는 시멘트(Ce) 중량의 1 ~ 5%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3차 비빔단계(ST16)에서는 3차 투입단계(ST15)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 및 혼화제(Ag)를 2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25초 동안 혼합한다.
끝으로, 배출단계(ST17)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3차 비빔단계(ST16)에서 혼합된 최종 혼합물을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섬유보강재인 황마 또는 양마가 혼합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배합을 마치게 된다.
상기 표 2는 상기 표 1의 배합을 가진 대조군 샘플 및 본 발명에 따른 시험한 결과표이다.
구분 시험(검사항목) 단위 시험(검사결과) 시험(검사방법)
S1 S2 S3 S4 S5 S6
대조군 압축강도 N/㎟ 29.7 29.8 30.1 29.7 29.1 29.4 KS F 2405 : 2005
쪼갬인장강도 N/㎟ 3.8 4.0 3.8 3.9 3.7 4.1 KS F 2423 : 2006
휨강도 N/㎟ 5.0 5.0 5.2 5.2 5.1 5 KS F 2408 : 2005
본 발명 압축강도 N/㎟ 30.4 29.4 29.9 29.9 29.7 29.4 KS F 2405 : 2005
쪼갬인장강도 N/㎟ 3.9 4.0 3.9 3.7 4.2 4.2 KS F 2423 : 2006
휨강도 N/㎟ 5.1 5.2 5.0 5.1 5.1 5.1 KS F 2408 : 200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섬유보강재인 황마 또는 양마를 보강함으로써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휨강도 등이 대조군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배합방법으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생산할 경우 3㎥용 믹서 기준으로 비빔시간이 최소 60초 이상 소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빔시간이 최소 35초로 대폭 단축됨에 따라 생산능력을 향상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화이버 볼 현상 및 시멘트 볼 현상을 해결하고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서의 혼합시간을 감소시켜 생산능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잔골재 / 전체골재) * 100 = 45 ~ 55%"의 잔골재율이 유지되면서 시멘트(Ce) 중량의 2.4 ~ 3.5배의 잔골재(As), 시멘트(Ce) 중량의 2.5 ~ 3.7배의 굵은 골재(Ab) 및 시멘트(Ce) 중량의 0.0015 ~ 0.005배의 섬유 보강재를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하는 1차 투입단계(ST11)와;
    상기 1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잔 골재(As), 굵은 골재(Ab), 섬유 보강재를 5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 1차 비빔단계(ST12)와;
    상기 1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1차 혼합물에 시멘트(Ce) 및 시멘트(Ce) 중량의 5 ~ 20%가 되도록 혼화재(Am)를 투입하는 2차 투입단계(ST13)와;
    상기 2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시멘트(Ce) 및 혼화재(Am)를 1차 혼합물과 함께 10 내지 15초 동안 혼합하는 2차 비빔단계(ST14)와;
    상기 2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2차 혼합물에 물(W)과 시멘트(Ce)의 비율이 "(물 / 시멘트) * 100 = 45 ~ 65%"가 유지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시멘트(Ce) 중량의 1 ~ 5%가 되도록 혼화제(Ag)를 투입하는 3차 투입단계(ST15)와;
    상기 3차 투입단계에서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에 투입된 물(W) 및 혼화제(Ag)를 2차 혼합물과 함께 20 내지 25초 동안 혼합하는 3차 비빔단계(ST16)와;
    상기 3차 비빔단계에서 혼합된 최종 혼합물을 믹서 또는 베쳐플랜트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T17);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는,
    황마 또는 양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상기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
KR1020120100466A 2012-09-11 2012-09-11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66A KR101253761B1 (ko) 2012-09-11 2012-09-11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466A KR101253761B1 (ko) 2012-09-11 2012-09-11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761B1 true KR101253761B1 (ko) 2013-04-12

Family

ID=4844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466A KR101253761B1 (ko) 2012-09-11 2012-09-11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92B1 (ko) 2015-01-30 2016-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 콘크리트 배합 조성물 및 그 배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65B1 (ko) 2001-09-13 2004-07-07 임채영 강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근가의 제조방법
JP2005238605A (ja) 2004-02-26 2005-09-08 Kajima Corp 高靭性frc材料の製造法
JP2008180076A (ja) 2006-12-28 2008-08-07 Flowric:Kk 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JP2010510088A (ja) * 2006-11-21 2010-04-02 ガルシア,カルロス ハビエル フェルナンデス 予備混合および乾式繊維添加処理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65B1 (ko) 2001-09-13 2004-07-07 임채영 강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근가의 제조방법
JP2005238605A (ja) 2004-02-26 2005-09-08 Kajima Corp 高靭性frc材料の製造法
JP2010510088A (ja) * 2006-11-21 2010-04-02 ガルシア,カルロス ハビエル フェルナンデス 予備混合および乾式繊維添加処理
JP2008180076A (ja) 2006-12-28 2008-08-07 Flowric:Kk 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92B1 (ko) 2015-01-30 2016-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 콘크리트 배합 조성물 및 그 배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va et al. Strength improvement of mortar composites reinforced with newly hybrid-blended fibres: Influence of fibres geometry and morphology
KR101751479B1 (ko)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249B1 (ko) 물결형 강섬유와 직선형 강섬유를 혼입한 초고성능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방법
US9382156B2 (en) Lightweight extruded cementitious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80102975A (ko) 폭렬방지용 고강도 콘크리트용 조성물
Krishnaraja et al. Flexural performance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layered reinforced concrete beams
KR101134459B1 (ko)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체 및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KR20050031097A (ko) 교면 재포장용 초속경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방법
JP2010116274A (ja) 短繊維補強セメント成形体
KR101207038B1 (ko)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036B1 (ko) 광물질 섬유를 포함하는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2015597B1 (ko) 전기로 동슬래그 잔골재를 활용한 습식 진동 성형용 콘크리트 수로관용 조성물
KR101253761B1 (ko) 섬유 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79629A (ko) 단섬유보강 고인성 시멘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170076146A (ko) 그래핀부산물이 혼입된 시멘트-모르타르 복합체
KR101150458B1 (ko) 친환경 섬유보강 콘크리트
Nguyen et al. Cement mortar reinforced with recycled carbon fiber and CFRP waste
KR20160144554A (ko) 유·무기 복합섬유를 이용한 고인성 복합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폭 섬유보강 콘크리트
KR101138828B1 (ko) 경량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8501172B (zh) 大掺量短切合成细纤维混凝土的成型方法
KR20180010529A (ko) 골재미분말을 함유한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37210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KR101769990B1 (ko) 비정질 강섬유 및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11664B1 (ko) 충격 저항성을 향상시킨 콘트리트 제조방법
KR102566467B1 (ko) 시멘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