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3666B1 - Fluid controlling valve - Google Patents

Fluid controll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666B1
KR101253666B1 KR1020100034879A KR20100034879A KR101253666B1 KR 101253666 B1 KR101253666 B1 KR 101253666B1 KR 1020100034879 A KR1020100034879 A KR 1020100034879A KR 20100034879 A KR20100034879 A KR 20100034879A KR 101253666 B1 KR101253666 B1 KR 10125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leeve
connection
valve seat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5397A (en
Inventor
김성관
송진한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송진한
김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한, 김성관 filed Critical 송진한
Priority to KR102010003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66B1/en
Publication of KR2011011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6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유입유로, 연결유로, 유입유로와 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제 1 오리피스,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연결 챔버, 유출유로, 연결 챔버와 유출유로를 연결하는 제 2 오리피스,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설치구멍을 갖는 밸브 몸체, 연결유로에 배치되는 제 1 밸브시트, 유출유로에 배치되는 제 2 밸브시트,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를 연결 챔버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갖고 밸브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 슬리브에 대해 제 1 밸브시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리브 가압 스프링, 슬리브에 대해 제 1 밸브시트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한 다이아프램, 제 2 밸브시트에 가까워지거나 제 2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설치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템, 스템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템 가압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슬리브와 스템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이중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ow passage, a connection passage, a first orifice connecting the inflow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a connection chamber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passage, an outlet passage, a second orifice connecting the connection chamber and the outlet passage, A valve body having an installation hol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a first valve seat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a second valve seat disposed in the outlet passage, and a passage for guiding fluid entering the connection passage to the connection chamber A sleeve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sleeve, a sleeve press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valve seat with respect to the sleeve, a diaphragm for applying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irst valve seat with respect to the sleeve, and a second Stem against the stem,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so as to be close to the valve seat or away from the second valve seat. It includes a system pressure spring for providing a force.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ual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using the sleeve and the stem.

Description

유량 조절 밸브{FLUID CONTROLLING VALVE}Flow control valve {FLUID CONTROLLING VALVE}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 조절의 정밀도를 높이고 유체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control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 control valve that can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flow control and can stab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밸브는 배관 라인에 설치되어 다양한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밸브의 종류로는 볼 밸브, 글로브 밸브, 플러그 밸브, 게이트 밸브, 체크 밸브, 니들 밸브, 후로트 밸브 등이 있다.Valves are installed in piping lines to control the flow of various fluids. Types of valves include ball valves, globe valves, plug valves, gate valves, check valves, needle valves, and float valves.

볼 밸브(Ball Valve)는 밸브의 실린더 내에 내부가 관통된 볼이 삽입된 것으로, 핸들의 조작에 의해 볼이 회전함으로써 유로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글로브 밸브(Globe Valve)는 핸들의 작동에 의해 스핀들이 상하로 작동하여 시트가 노즐을 막아 유로를 차단하는 형식의 밸브이다.The ball valve (Ball Valve) is a ball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valve, the ball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consists of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Globe valve is a valve in which the spindle operates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the seat blocks the nozzle to block the flow path.

플러그 밸브(Plug Valve)는 콕(Cock)과 같은 형태로 원추형의 플러그를 축 주위에서 90°회전시켜 유로를 개폐한다. 게이트 밸브(Gate Valve)는 핸들의 조작에 따라 유로의 직각방향에 설치된 밸브판이 시트를 폐쇄시켜 직선 운동을 하는 형태의 밸브이다. 이 밖에,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는 원판상의 폐자(閉子)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유량을 가감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구조의 밸브이다.The plug valve is a cock shaped like a cock, and rotates the conical plug by 90 ° around th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he gate valve is a valve in which a valve plate instal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closes the seat and performs a linear mo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In addition, the butterfly valve (Butterfly Valve) is the valve of the simplest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by rotating the waste on the disc,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밸브는 대부분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그 개도량이 조절되지만,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과 같이 온수 등의 유체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에서는 개도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요구된다.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의 경우 온수 공급 라인에 온수 공급 조절을 위한 온수조절 밸브가 설치되는데, 이 온수조절 밸브에는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결합되어 그 개도량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Most of these various types of valves are controll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but in systems that ne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fluid supply such as hot water, such as an automatic control heating system, valves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opening amount are provided. Required.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control heating system, a hot water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 the hot water supply line to control the hot water supply, and the hot water control valve is coupled with an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so that the opening amoun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의 경우 실내의 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방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온수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요구된다.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 이외에도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다양한 유체 공급 시스템에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automatic control heating system,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ccurately and quickly,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flowing into each room must be accurately controlled. This requires a valve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In addition to automatic controlled heating systems, valves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fluids are required for various fluid supply system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량 조절의 정밀도를 높이고 유체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control valve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flow control and stabl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유입유로, 연결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제 1 오리피스,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연결 챔버, 유출유로, 상기 연결 챔버와 상기 유출유로를 연결하는 제 2 오리피스, 상기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설치구멍을 갖는 밸브 몸체, 상기 연결유로에 배치되는 제 1 밸브시트, 상기 제 2 오리피스가 마련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배치되는 제 2 밸브시트, 상기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연결 챔버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갖고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제 1 밸브시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리브 가압 스프링,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유로의 압력이 상기 슬리브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클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제 1 밸브시트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제 2 밸브시트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제 2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설치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밸브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 상기 스템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템 가압 스프링을 포함한다.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let flow passage, the connection flow passage, the first orifice connecting the inflow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the connection cha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the outlet passage And a second orifice connecting the connection chamber and the outlet passage, a valve body having an installation hol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a first valve seat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and a second orifice provided in the outlet passage. A second valve seat disposed therein, a sleeve having a passage for guid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connection channel to the connection chamber, the sleeve being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body, and away from the first valve seat with respect to the sleeve;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eeve, the sleeve being coupled to the sleeve and the pressure in the outlet flow path A diaphragm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greater than an elastic force and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sleev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valve seat, and moves to the installation hole so as to be closer to or away from the second valve seat And a stem, wherein the stem is possibly installed and one end protrudes out of the valve body, and a stem pressure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against the 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연결 챔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eeve support bushing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connection chamber and in which the sleeve is movably inse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스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나사산을 갖는 중공형의 가이드 플러그, 상기 가이드 플러그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멍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 플러그, 상기 가이드 플러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플러그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며 회전 시 상기 가이드 플러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플러그와 상기 지지 플러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거리 조절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guide plug in which the stem is movably inserted and has a male thread, and a hollow support in which the guide plug is movably coupled and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A plug,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of the guide plug to be screwed to the guide plug, and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guide plug and the support plug to move the guide plug during rot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adjusting bushing.

상기 지지 플러그는 비원형의 결합구멍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러그는 회전 운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지지 플러그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비원형의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lug may have a non-circular coupling hole, and the guide plug may have a non-circular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plug to prevent rotational move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거리 조절 부싱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 조절 부싱과 결합되며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공구 결합부 및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을 갖는 인디케이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and an indicator having a scale for indicating a rotation angle and a tool engaging portion to which a tool can be coupled. It may further include a 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다수의 구멍을 갖고 유입유로와 상기 제 1 오리피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valve body through the inlet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flow path and the first orifice It may further comprise a strainer.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연결유로에 배치되는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밸브시트는 상기 보스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The valve body may include a boss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first valve seat may be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boss.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슬리브와 스템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이중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유량 조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ual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using the sleeve and the stem. Therefore, the flow volume of the fluid can be stably adjusted, and the precision of the flow rate regul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 1 유량 조절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제 2 유량 조절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low control unit of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low control unit of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se ter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된 밸브 몸체(20), 밸브 몸체(20)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유량 조절 유닛(50) 및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을 포함한다.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은 밸브 몸체(20)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밸브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은 유량 조절 밸브(10)와 결합되는 액츄에이터(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밸브 몸체(20)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밸브 몸체(20)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low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ve body 20,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2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t includes a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50 and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63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50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valve body 20 and is installed in the valve body 20.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63 is installed in the valve body 20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20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the actuator 5 coupled with the flow control valve 10.

밸브 몸체(20)는 하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1)은 유입구(24)가 마련된 유입부(24), 상부 하우징(22)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하우징 결합부(25), 설치구멍(26a)이 형성된 설치부(26)를 갖는다. 하부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유입구(24)와 연결되는 유입유로(27), 유입유로(27)에 연결되는 제 1 오리피스(28), 제 1 오리피스(28)와 연결되는 연결유로(29)가 마련된다. 제 1 하우징 결합부(25)에는 연결유로(29)와 연결되는 연결 챔버(47)의 하부 일부분을 형성하는 홈(25a)이 마련된다. 유입유로(27)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제 1 오리피스(28)를 통해 연결유로(29) 쪽으로 그 유동 방향이 꺾인다. 한편, 연결유로(29), 연결 챔버(47) 및 후술할 제 2 오리피스(46)는 동일 선 상에 배치되어 연결유로(29)로 유입된 유체는 유동 방향을 바꾸지 않고 제 2 오리피스(46)까지 유동하게 된다.The valve body 20 includes a lower housing 21 and an upper housing 22. The lower housing 21 includes an inlet part 24 provided with an inlet 24, a first housing coupling part 25 for coupling with the upper housing 22, and an installation part 26 having an installation hole 26a. Have Inside the lower housing 21, an inflow passage 27 connected to the inlet 24, a first orifice 28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27, and a connection passage 29 connected to the first orifice 28 are provided. Is prepared. The first housing coupling part 25 is provided with a groove 25a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chamber 47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29. The fluid flowing along the inflow passage 27 is bent in the flow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assage 29 through the first orifice 28.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flow path 29, the connection chamber 47 and the second orifice 46 to be described later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flow path 29 does not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second orifice 46 Will flow until.

유입유로(27)와 제 1 오리피스(28)의 사이에는 거름망(30)이 배치된다. 거름망(30)은 유입구(24)를 통해 밸브 몸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구멍(30a)을 갖는다. 거름망(30)은 설치구멍(26a)을 통해 하부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된다. 설치구멍(26a)은 폐쇄용 플러그(31)에 의해 폐쇄된다. 폐쇄용 플러그(31)는 설치부(2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부(26)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암나사산(32)에 대응하는 수나사산(33)과 압력계, 온도계 등의 외부 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31a)을 갖는다. 결합구멍(31a)은 외부 기구가 결합되지 않을 때 마개로 폐쇄될 수 있다.A strain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inflow passage 27 and the first orifice 28. The strainer 30 has a plurality of holes 30a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valve body 20 through the inlet 24. The sieve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using 21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26a. The installation hole 26a is closed by the closing plug 31. The closing plug 31 is provided with a male thread 33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32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6 and an external mechanism such as a pressure gauge or a thermometer so as to be screwed to the mounting portion 26. It has a coupling hole 31a for engaging. The engagement hole 31a can be closed by a stopper when the external mechanism is not engaged.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하우징(21)의 연결유로(29) 내부에는 결합홈(34a)을 갖는 보스부(34)가 마련되고, 이 보스부(34)에는 제 1 밸브시트(35)가 결합된다. 제 1 밸브시트(35)는 결합홈(34a)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6)에 의해 보스부(34)에 결합된다. 제 1 밸브시트(35)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유로(29)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수직을 이루는 상면을 갖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boss portion 34 having a coupling groove 34a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passage 29 of the lower housing 21, and the boss portion 34 has a first valve seat 35. ) Are combined. The first valve seat 35 is coupled to the boss portion 34 by a fixing member 36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34a. The structure of the first valve seat 35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tructures having an uppe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connection flow path 29.

하부 하우징(21)의 제 1 하우징 결합부(25)에는 홈(25a)과 연결되는 제 1 분기유로(37)가 마련된다. 제 1 분기유로(37)는 후술할 상부 하우징(22)의 제 2 분기유로(48)와 연결되어 상부 하우징(22)에 마련되는 유출유로(45)의 유체를 연결 챔버(47)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하우징(21)의 유입부(24)에는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파이프 연결부재(38)와 연결 부싱(39)이 결합된다. The first housing coupling part 25 of the lower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 first branch passage 37 connected to the groove 25a. The first branch passage 37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assage 48 of the upper housing 22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fluid in the outlet passage 45 provided in the upper housing 22 to the connection chamber 47. Play a role. The inlet 24 of the lower housing 21 is coupled to the pipe connecting member 38 and the connecting bushing 39 for connecting the pipe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22)은 유출구(40)가 마련된 유출부(41), 하부 하우징(21)과의 결합을 위한 제 2 하우징 결합부(42), 설치구멍(43a)이 형성된 설치부(43), 압력계나 온도계 등의 외부 기구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22a)을 갖는다. 결합구멍(22a)은 외부 기구가 결합되지 않을 때 마개 등으로 밀폐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3, the upper housing 22 is the outlet 41, the outlet 40 is provided, the second housing coupling portion 42 for coupling with the lower housing 21, the installation hole The attachment part 43 in which 43a was formed is provided, and the engagement hole 22a for engagement of external mechanisms, such as a pressure gauge and a thermometer. The engagement hole 22a may be closed with a plug or the like when the external mechanism is not engaged.

상부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유출구(40), 유출구(40)와 연결되는 유출유로(45), 연결 챔버(47)와 연결되는 제 2 오리피스(46)가 마련된다. 제 2 오리피스(46)는 유출유로(45)와 연결된다. 상부 하우징(22)의 설치부(43)는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설치부(4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4)이 마련된다. 상부 하우징(22)의 제 2 하우징 결합부(42)에는 연결 챔버(47)의 상부 일부분을 형성하는 홈(42a)이 마련된다.Inside the upper housing 22, an outlet 40, an outlet passage 45 connected to the outlet 40, and a second orifice 46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mber 47 are provided. The second orifice 46 is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45. The mounting portion 43 of the upper housing 22 is for coupling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63, and an internal thread 44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43. The second housing coupling part 42 of the upper housing 22 is provided with a groove 42a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chamber 47.

하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2)이 결합될 때, 제 1 하우징 결합부(25)의 홈(25a)과 제 2 하우징 결합부(42)의 홈(42a)이 연결되어 연결 챔버(47)를 형성한다. 하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2)은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챔버(47)는 후술할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의 다이아프램(55)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다이아프램(55)에 의해 상부 챔버(47a)와 하부 챔버(47b)로 구획된다.When the lower housing 21 and the upper housing 22 are coupled, the groove 25a of the first housing coupling portion 25 and the groove 42a of the second housing coupling portion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chamber 47 is connected. ). The lower housing 21 and the upper housing 22 may b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The connection chamber 47 is a space in which the diaphragm 55 of the first flow control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chamber 47a and a lower chamber 47b by the diaphragm 55.

상부 챔버(47a)는 연결유로(29)와 제 2 오리피스(46)를 연결하고 하부 챔버(47b)는 하부 하우징(21)의 제 1 분기유로(37)와 유출유로(45)와 연결되도록 상부 하우징(22)에 마련되는 제 2 분기유로(48)를 통해 유출유로(45)와 연결된다. 연결 챔버(47)와 유출유로(45)의 사이에는 제 2 오리피스(46)가 마련된 제 2 밸브시트(49)가 마련된다.The upper chamber 47a connects the connecting passage 29 and the second orifice 46 and the lower chamber 47b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assage 37 and the outlet passage 45 of the lower housing 21. It is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45 through the second branch passage 48 provided in the housing 22. A second valve seat 49 having a second orifice 46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chamber 47 and the outlet passage 45.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은 밸브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출유로(45)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유출유로(45)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은 연결유로(29)로 유입되는 유체를 연결 챔버(47)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51)를 갖는 슬리브(52), 슬리브(52)에 대해 제 1 밸브시트(3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리브 가압 스프링(53), 슬리브(5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부 하우징(21)에 결합되는 슬리브 지지 부싱(54), 슬리브(52)에 제 1 밸브시트(3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위한 다이아프램(5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50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body 20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outflow passage 45 to the interior of the outflow passage 45 Prevent the pressure from rising above a certain pressure. The first flow regulating unit 50 has a sleeve 52 having a passage 51 for guid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9 into the connecting chamber 47, and the first valve seat with respect to the sleeve 52. Sleeve pressing spring 53 for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35, sleeve support bushing 54, sleeve 52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21 to support the sleeve 52 to move up and down And a diaphragm 55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valve seat 35.

슬리브 지지 부싱(54)은 연결유로(29) 둘레의 하부 하우징(21) 내부면에 마련된 암나사산(56)에 대응하는 수나사산(57)을 구비하여 하부 하우징(21)에 나사 결합된다. 슬리브(52)는 슬리브 지지 부싱(54)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리브(52)와 슬리브 지지 부싱(54)의 사이에는 오링(58)이 개재된다.The sleeve support bushing 54 has a male thread 57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5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1 around the connecting passage 29 and screwed to the lower housing 21. The sleeve 5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eeve support bushing 54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 o-ring 58 is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 52 and the sleeve support bushing 54.

슬리브(52)의 상단부에는 슬리브 결합링(59) 및 스프링 지지링(60)이 결합된다. 슬리브 결합링(59)과 스프링 지지링(60)의 사이에는 다이아프램(55)이 개재되며, 다이아프램(55)은 슬리브(52)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다이아프램(55)은 슬리브(52)가 삽입되는 관통구멍(55a)을 갖고, 그 둘레가 제 1 하우징 결합부(25) 및 제 2 하우징 결합부(42)의 사이에 끼어 고정된다. 슬리브 가압 스프링(53)은 그 일단이 슬리브 지지 부싱(54) 내부의 걸림턱(61)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스프링 지지링(60)에 지지된다.The sleeve coupling ring 59 and the spring support ring 60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leeve 52. The diaphragm 55 is interposed between the sleeve coupling ring 59 and the spring support ring 60, and the diaphragm 5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leeve 52. The diaphragm 55 has a through hole 55a into which the sleeve 52 is inserted, and the circumference thereof is clamped between the first housing engag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housing engaging portion 42. One end of the sleeve pressing spring 53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jaw 61 in the sleeve support bushing 5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ring 60.

이러한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은 유출유로(45)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다이아프램(55)이 탄성 변형하면서 슬리브(52)를 제 1 밸브시트(3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민다. 이때, 슬리브(52)의 하단부와 제 1 밸브시트(35)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연결유로(29)에서 슬리브(52)의 통로(5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이 커진다.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50 pushes the sleeve 52 toward the first valve seat 35 while the diaphragm 55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pressure in the outlet flow passage 45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leeve 52 and the first valve seat 35 is narrowed,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passage 51 of the sleeve 52 from the connection flow path 29 becomes large.

따라서, 슬리브(52)의 통로(5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유출유로(45)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여 유출유로(45)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작아지면, 슬리브 가압 스프링(53)이 탄성 복원되면서 슬리브(52)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슬리브(52)의 하단부와 제 1 밸브시트(35) 사이의 간격이 다시 벌어진다.Thu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passage 51 of the sleeve 52 is reduced.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flow channel 45 decreases so that the pressure in the outflow channel 45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sleeve 52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sleeve pressurizing spring 53 is elastically restored so that the sleeve (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52 and the first valve seat 35 opens again.

이와 같이,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은 유출유로(45)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슬리브(52)가 이동함으로써, 유출유로(45)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As such, the first flow rate adjusting unit 50 automatically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outflow channel 45 by moving the sleeve 52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outflow channel 45.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은 액츄에이터(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22)의 설치부(43)에 설치된다.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은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일단이 액츄에이터(5)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밸브 몸체(20)로부터 돌출되는 스템(64), 스템(64)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템 가압 스프링(65), 스템(64)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공형의 가이드 플러그(66) 및 보조 가이드 플러그(67), 상부 하우징(22)의 설치구멍(43a)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러그(66)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공형의 지지 플러그(68), 가이드 플러그(66)와 지지 플러그(68)의 사이에 개재되는 거리 조절 부싱(69)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63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43 of the upper housing 22 to be coupled to the actuator (5).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63 is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the stem 64 protruding from the valve body 20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coupled to the actuator 5. , A stem pressing spring 65 for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stem 64, a hollow guide plug 66 and an auxiliary guide plug 67 for slidably supporting the stem 64, and an upper housing 22 Of the hollow support plug 68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43a of the support hole movably supporting the guide plug 66, and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lug 66 and the support plug 68. ).

스템(64)은 가이드 플러그(6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71)와 로드(7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패킹(72)을 포함한다. 스템(64)은 밸브몸체(20)에 결합되는 액츄에이터(5)에 의해 움직이며, 제 2 밸브시트(49)와 가까워지거나 제 2 밸브시트(49)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스템(64)과 가이드 플러그(66)의 사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73)과 지지링(74)이 개재된다.The stem 64 includes a rod 71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plug 66 and a packing 7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71. The stem 64 is moved by an actuator 5 coupled to the valve body 20 and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by approaching the second valve seat 49 or away from the second valve seat 49.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 o-ring 73 and support ring 74 are interposed between the stem 64 and the guide plug 66 to prevent leakage of fluid.

스템 가압 스프링(65)은 가이드 플러그(66)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스프링 지지링(75)과 스템(64)에 결합되는 제 2 스프링 지지링(76)의 사이에 위치한다. 스템 가압 스프링(65)은 스템(64)에 대해 제 2 밸브시트(4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5)가 스템(64)을 제 2 밸브시트(49) 쪽으로 밀때 스템 가압 스프링(65)은 압축되어 탄성 변형되고, 액츄에이터(5)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템 가압 스프링(65)이 스템(64)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The stem pressure spring 65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pring support ring 75 disposed inside the guide plug 66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ring 76 coupled to the stem 64. The stem pressurizing spring 65 provides an elastic force against the stem 64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valve seat 49. Therefore, when the actuator 5 pushes the stem 64 toward the second valve seat 49, the stem pressurizing spring 65 is com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actuator 5 is removed, the stem pressurizing spring 65 is removed. Return the stem 64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플러그(66)는 지지 플러그(68)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 플러그(66)와 지지 플러그(68)의 사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77)이 개재된다. 가이드 플러그(66)에는 보조 가이드 플러그(67)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79) 및 거리 조절 부싱(69)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산(80)이 마련된다. 가이드 플러그(66)의 하단부에는 비원형의 결합부(81)가 마련된다. 결합부(81)는 지지 플러그(68)에 마련되는 비원형의 결합구멍(8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비원형의 결합부(81)와 결합구멍(85)이 서로 형합됨으로써 가이드 플러그(66)는 상하 직선 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 운동은 억제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5, the guide plug 66 is coupled to the support plug 68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o prevent the leakage of fluid between the guide plug 66 and the support plug 68. O-ring 77 is interposed. The guide plug 66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79 for screwing with the auxiliary guide plug 67 and a male thread 80 for screwing with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The lower end of the guide plug 66 is provided with a non-circular coupling portion 81. The coupling portion 8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non-circular coupling hole 85 provided in the support plug 68. By joining these non-circular engaging portions 81 and the engaging holes 85 with each other, the guide plug 66 can be linearly moved up and down, but rotational movement is suppressed.

보조 가이드 플러그(67)는 가이드 플러그(66)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스템(64)의 상단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 플러그(67)는 가이드 플러그(66)의 암나사산(79)에 대응하는 수나사산(82)과 스템(64)의 로드(71)가 삽입되는 관통구멍(67a)을 갖는다. The auxiliary guide plug 67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ug 66 to slidabl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tem 64. The auxiliary guide plug 67 has a male thread 82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79 of the guide plug 66 and a through hole 67a into which the rod 71 of the stem 64 is inserted.

지지 플러그(68)는 밸브 몸체(20)의 설치부(43)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러그(66)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플러그(68)는 설치부(43)의 암나사산(44)에 대응하는 수나사산(83)을 구비하여 설치부(43)에 나사 결합된다. 지지 플러그(68)와 설치부(43)의 사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84)이 개재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지 플러그(68)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플러그(66)의 결합부(81)가 삽입되는 비원형의 결합구멍(85)이 마련된다. 지지 플러그(68)의 외주면에는 액츄에이터(5)를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산(86)이 마련된다.The support plug 68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43 of the valve body 20 to support the guide plug 66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support plug 68 has a male thread 83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 44 of the mounting portion 43 and is screwed to the mounting portion 43. An O-ring 84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lug 68 and the installation portion 43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ug 68 is provided with a non-circular coupling hole 85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81 of the guide plug 66 is inse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ug 68, a male screw thread 86 for fixing the actuator 5 is provided.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리 조절 부싱(69)은 가이드 플러그(66)와 지지 플러그(68)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된다. 거리 조절 부싱(69)은 가이드 플러그(66)의 수나사산(80)에 대응하는 암나사산(87)을 가지고 있어서 가이드 플러그(66)와 나사 결합된다. 거리 조절 부싱(69)은 지지 플러그(68)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은 할 수 있지만 고정링(88)에 의해 상하 운동이 억제된다. 고정링(88)은 지지 플러그(68)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고정홈(68a) 및 거리 조절 부싱(69)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걸림홈(69a)에 삽입되어 거리 조절 부싱(69)의 상하 이동을 제한한다. 거리 조절 부싱(69)이 회전하면 이와 나사 결합된 가이드 플러그(6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is rotatably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lug 66 and the support plug 68.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has a female thread 87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80 of the guide plug 66 and is screwed with the guide plug 66.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may rotate in the support plug 68, but the up and down movement is suppressed by the fixing ring 88. The fixing ring 8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8a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lug 68 and the locking groove 69a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to move up and down of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To limit. When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rotates, the guide plug 66 screwed theret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거리 조절 부싱(69)의 외주면에는 인디케이터링(90)과의 결합을 위한 톱니(89)가 마련된다. 인디케이터링(90)은 거리 조절 부싱(69)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거리 조절 부싱(69)과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는 거리 조절 부싱(69)의 톱니(89)에 대응하는 톱니(9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링(90)의 상면에는 공구의 결합을 위한 홈 형태의 공구 결합부(90a)와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90b)이 마련된다. 사용자가 인디케이터링(90)의 공구 결합부(90a)에 공구를 결합하고 인디케이터링(90)을 돌리면 거리 조절 부싱(69)이 회전하여 가이드 플러그(66)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인디케이터링(90)과 가이드 플러그(66) 사이의 틈새는 보조 가이드 플러그(67)를 덮는 커버(92)에 의해 막힌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a tooth 89 for coupling with the indicator ring 90 is provided. The indicator ring 90 is coupled with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the teeth 91 corresponding to the teeth 89 of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are provided. Prepar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dicator ring 90 is provided with a groove coupling tool 90a for coupling the tool and a scale 90b for displaying the rotation angle. When the user engages the tool to the tool engaging portion 90a of the indicator ring 90 and turns the indicator ring 90,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rotates so that the guide plug 66 descends or rises. The gap between the indicator ring 90 and the guide plug 66 is blocked by a cover 92 covering the auxiliary guide plug 6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24)을 통해 밸브 몸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입유로(27)를 따라 유동하여 거름망(30)을 통과한 후 제 1 오리피스(28)를 통해 연결유로(29)로 유입된다. 연결유로(29)로 유입된 유체는 슬리브(52)의 제 1 밸브시트(35)와 슬리브(52)의 하단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슬리브(52)의 통로(51)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연결 챔버(47)의 상부 챔버(47a) 및 제 2 오리피스(46)를 통과하여 유출유로(45)로 유입된다. 유출유로(45)로 유입된 유체는 대부분 유출구(40)를 통해 밸브 몸체(20)의 외부로 유출되고, 일부는 제 1 분기유로(37) 및 제 2 분기유로(48)를 따라 연결 챔버(47)의 하부 챔버(47b)로 유입된다.As shown in FIG. 6, the fluid flowing into the valve body 20 through the inlet 24 flows along the inflow passage 27 to pass through the strainer 3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orifice 28. It flows into the connecting passage 29 through. The fluid flowing into the connecting passage 29 enters the passage 51 of the sleeve 52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valve seat 35 of the sleeve 52 and the lower end of the sleeve 52, and continues to connect. It passes through the upper chamber 47a and the second orifice 46 of the chamber 47 and flows into the outflow passage 45. Most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let passage 45 flows out of the valve body 20 through the outlet 40, and part of the fluid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chamber (a) along the first branch passage 37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48. 47 flows into the lower chamber 47b.

이와 같이 유체가 밸브 몸체(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유출유로(45)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커지면, 그 압력에 의해 슬리브 가압 스프링(53) 및 다이아프램(55)이 변형되면서 슬리브(52)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 밸브시트(35)와 슬리브(52)의 하단부 사이의 틈새가 줄어들어 연결유로(29)에서 슬리브(52)의 통로(5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한다. 이렇게 슬리브(52)를 통한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면 유출유로(45) 쪽의 유량이 감소하여 유출유로(45)의 압력이 작아진다.As such,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utlet flow passage 45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while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20, the sleeve pressurizing spring 53 and the diaphragm 55 are deformed by the pressure, and the sleeve ( 52) is lowered.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first valve seat 35 and the lower end of the sleeve 52 is reduc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passage 51 of the sleeve 52 from the connecting passage 29 is reduced.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leeve 52 is reduced in this way, the flow rate of the outflow passage 45 decreases, so that the pressure in the outflow passage 45 becomes small.

그리고 유출유로(45)의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작아지면, 슬리브 가압 스프링(53) 및 다이아프램(5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리브(52)는 원래 상태로 상승하고 슬리브(52)를 통하 유체의 유량은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는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의 작용으로 유출구(40) 쪽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압력은 슬리브 가압 스프링(53)의 탄성력과 다이아프램(55)의 탄성력의 합력에 대응하는 압력이다.When the pressure in the outlet flow passage 45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the elastic force of the sleeve pressurizing spring 53 and the diaphragm 55 causes the sleeve 52 to rise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leeve 52 The flow rate is increased again. As such, in the flow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at the outlet 40 may be kept constant by the action of the first flow control unit 50. Here, the constant pressure is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forc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leeve pressing spring 53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diaphragm 55.

도 7 및 도 8은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의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츄에이터(5)가 스템(64)을 제 2 밸브시트(49) 쪽으로 가압하면, 스템(64)의 패킹(72)이 제 2 밸브시트(49)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패킹(72)에 의해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해 유출유로(45)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이 커져서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해 유출유로(45)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5)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스템 가압 스프링(6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템(64)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한 유체의 유량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7 and 8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63. When the actuator 5 presses the stem 64 toward the second valve seat 49 as shown in FIG. 7, the stem ( The packing 72 of 64 approaches the second valve seat 49. At this time,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to the outlet passage 45 is increas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let passage 45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is increased. Will decrease.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actuator 5 is removed, the stem 64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tem pressurizing spring 65, there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again.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인디케이터링(90)을 이용하여 거리 조절 부싱(69)을 한쪽 방향으로 돌리면, 가이드 플러그(66)와 거리 조절 부싱(69) 사이의 나사 운동에 의해 가이드 플러그(66)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플러그(66)가 하강하면 이에 지지된 스템(64)도 함께 하강하므로 스템(64)의 세팅 높이가 낮아진다. 이때, 액츄에이터(5)의 작동과 상관없이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해 유출유로(45)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플러그(66)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액츄에이터(5)의 작동과 상관없이 제 2 오리피스(46)를 통해 유출유로(45)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rotates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in one direction by using the indicator ring 90, the screw motion between the guide plug 66 and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is caused. The guide plug 66 moves downward. When the guide plug 66 is lowered, the stem 64 supported thereon is also lowered so that the setting height of the stem 64 is lowered.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let passage 45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is reduced. On the contrary, by moving the guide plug 66 upward,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utlet passage 45 through the second orifice 46 may b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링(90)과 거리 조절 부싱(69)을 이용하여 스템(64)의 세팅 높이를 조절하면, 액츄에이터(5)의 유량 조절 범위를 변경하거나, 유량 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5)의 작동 빈도를 줄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 setting height of the stem 64 is adjusted by using the indicator ring 90 and the distance adjusting bushing 69, the flow rate adjusting range of the actuator 5 may be changed, or the flow rate of the actuator 5 may be adjusted. Frequency of operation can be reduced.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는 제 1 유량 조절 유닛(50)을 통해 유출구(40) 쪽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 2 유량 조절 유닛(63)을 통해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의 조절이 용이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n the outlet 40 side through the first flow control unit 50,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 63) the flow rate can be precisely adjusted. Therefore, the flow rate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ncreas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s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유량 조절 밸브 20 : 밸브 몸체
21 : 하부 하우징 22 : 상부 하우징
23 : 유입구 25, 42 : 제 1, 2 하우징 결합부
27 : 유입유로 28, 46 : 제 1, 2 오리피스
29 : 연결유로 30 : 거름망
31 : 폐쇄용 플러그 35, 49 : 제 1, 2 밸브시트
37, 48 : 제 1, 2 분기유로 40 : 유출구
45 : 유출유로 47 : 연결 챔버
50, 63 : 제 1, 2 유량 조절 유닛 52 : 슬리브
53 : 슬리브 가압 스프링 54 : 슬리브 지지 부싱
55 : 다이아프램 59 : 슬리브 결합링
60 : 슬리브 지지링 64 : 스템
65 : 스템 가압 스프링 66 : 가이드 플러그
67 : 보조 가이드 플러그 68 : 지지 플러그
69 : 거리 조절 부싱 71 : 로드
72 : 패킹 88 : 고정링
90 : 인디케이터링 92 : 커버
10: flow control valve 20: valve body
21: lower housing 22: upper housing
23: inlet 25, 42: first, second housing coupling portion
27: inflow channel 28, 46: the first and second orifices
29: connecting euro 30: sieve
31 closing plug 35, 49 first and second valve seat
37, 48: 1st and 2nd branch euro 40: outlet
45: outflow passage 47: connection chamber
50, 63: 1st, 2nd flow control unit 52: Sleeve
53 sleeve sleeve spring 54 sleeve support bushing
55: diaphragm 59: sleeve coupling ring
60: sleeve support ring 64: stem
65 stem pressure spring 66 guide plug
67: auxiliary guide plug 68: support plug
69: distance adjustable bushing 71: rod
72: packing 88: retaining ring
90: indicator 92: cover

Claims (7)

유입유로, 연결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제 1 오리피스,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연결 챔버, 유출유로, 상기 연결 챔버와 상기 유출유로를 연결하는 제 2 오리피스 및 상기 유출유로와 연결되는 설치구멍을 갖는 밸브 몸체;
상기 연결유로에 배치되는 제 1 밸브시트;
상기 제 2 오리피스가 마련되고, 상기 유출유로에 배치되는 제 2 밸브시트;
상기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연결 챔버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갖고,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제 1 밸브시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리브 가압 스프링;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유로의 압력이 상기 슬리브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클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제 1 밸브시트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제 2 밸브시트에 가까워지거나 상기 제 2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설치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밸브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 및
상기 스템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템 가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An inflow passage, a connection passage, a first orifice connecting the inflow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a connection cha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an outlet passage, a second orifice connecting the connection chamber and the outlet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A valve body having an installation hole connected thereto;
A first valve seat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A second valve seat provided with the second orifice and disposed in the outlet passage;
A sleeve having a passage for guid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connection channel to the connection chamber, the sleeve being movable in the valve body;
A sleeve press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slee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valve seat;
A diaphragm coupled to the sleeve, the diaphragm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pressure in the outlet flow path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leeve pressing spring to exert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valve seat with respect to the sleeve;
A stem mov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so as to be close to or away from the second valve seat, one end of which protrudes out of the valve body; And
And a stem pressurizing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aid 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연결 챔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leeve support bushing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flow passage and the connection chamber and into which the sleeve is movably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나사산을 갖는 중공형의 가이드 플러그;
상기 가이드 플러그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멍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 플러그; 및
상기 가이드 플러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플러그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며, 회전 시 상기 가이드 플러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플러그와 상기 지지 플러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거리 조절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A hollow guide plug having a stem inserted therein and having a male thread;
A hollow support plug to which the guide plug is movably coupled and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And
A distance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of the guide plug to be screwed to the guide plug, and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guide plug and the support plug to move the guide plug during rotation Regulating bushing; flow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러그는 비원형의 결합구멍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러그는 회전 운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지지 플러그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비원형의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lug has a non-circular engaging hole, and the guide plug has a non-circular engaging part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of the support plug so that rotational movement is suppress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 부싱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 조절 부싱과 결합되며,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공구 결합부 및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을 갖는 인디케이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low control valve coupled to the distance control bushing so as to rotate with the distance control bushing, further comprising an indicator ring having a scale for indicating a rotation angle and a tool engagement portion to which the tool can be coupled; .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의 유입을 위해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 마련되는 유입구를 통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다수의 구멍을 갖고,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제 1 오리피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It has a plurality of holes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valve body through the inlet provided in the valv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for the inflow of the fluid, the inflow passage and the first A flow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strainer disposed between the orif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는 상기 연결유로에 배치되는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밸브시트는 상기 보스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body has a boss disposed in the connection passage, the first valve seat is a flow control valv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boss.
KR1020100034879A 2010-04-15 2010-04-15 Fluid controlling valve Active KR101253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79A KR101253666B1 (en) 2010-04-15 2010-04-15 Fluid controlling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79A KR101253666B1 (en) 2010-04-15 2010-04-15 Fluid controlling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397A KR20110115397A (en) 2011-10-21
KR101253666B1 true KR101253666B1 (en) 2013-04-11

Family

ID=4503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879A Active KR101253666B1 (en) 2010-04-15 2010-04-15 Fluid controlling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6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1B1 (en)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Complex set fluid valve
US10393286B2 (en) 2016-10-10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lve position indicator for valve shutter
KR102057399B1 (en) 2018-09-12 2019-12-1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Valve assembly for regulating flow rate
KR102152177B1 (en) * 2019-10-28 2020-09-04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Valve for controlling flow rate and valve assembly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41B1 (en) * 2019-03-14 2020-03-10 박문수 Control Valve Having Flow Stability Portion
CN112879583B (en) * 2021-01-11 2022-02-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Adjustable flow stabilizing valve
CN115704285A (en) * 2021-08-10 2023-02-1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Erosion-resistant switch valve for ground flow of high-pressure oil and gas well
CN118499495A (en) * 2024-06-06 2024-08-16 盐城欧润石化设备制造有限公司 A petroleum pipeline valv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72A (en) * 1990-04-20 1992-01-08 Osaka Gas Co Ltd Gas outflow prevention valve
KR200298744Y1 (en) * 2002-09-18 2002-12-27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A variable flow control valve
JP2006318339A (en) * 2005-05-16 2006-11-24 Yoshitake Inc Pressure reduction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72A (en) * 1990-04-20 1992-01-08 Osaka Gas Co Ltd Gas outflow prevention valve
KR200298744Y1 (en) * 2002-09-18 2002-12-27 신일밸브산업주식회사 A variable flow control valve
JP2006318339A (en) * 2005-05-16 2006-11-24 Yoshitake Inc Pressure reduction val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1B1 (en)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Complex set fluid valve
US10393286B2 (en) 2016-10-10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lve position indicator for valve shutter
KR102057399B1 (en) 2018-09-12 2019-12-1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Valve assembly for regulating flow rate
KR102152177B1 (en) * 2019-10-28 2020-09-04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Valve for controlling flow rate and valve assembly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397A (en)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66B1 (en) Fluid controlling valve
KR101187043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for water supply
DK3025207T3 (en) Flow regulating valve
DK178182B1 (en) A control valve
RU2447345C2 (en) Control valve
DK178181B1 (en) A control valve
US10795381B2 (en) Flow-rate adjustable valve
US10767765B2 (en) Flow-rate adjustable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624963B2 (en) Valve flow adjustment device
US10976756B2 (en) Gas regulator internal vent limiting device
CN101825186A (en) Flow regulator
WO2011057165A1 (en) Pressure regulator having an integral pilot and self-relieving mechanism
US10429859B2 (en) Pressure regulator
US7344088B2 (en) Dual-function valve with pressure adjustment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KR20140070422A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KR100839143B1 (en) Flow control valve
CN218845214U (en) Check valve with limiting function
EP3084545B1 (en) Dynamic balancing valve for control of flow rate independently of pressure
GB2545473A (en) Faucets
US20160224031A1 (en) Flow control valve
KR101793239B1 (en) Safety valve with water pressure adjusting function
WO2014042957A2 (en) Pneumatic level switch
KR101306908B1 (en) Valve assembly for regulating flow rate
KR102152177B1 (en) Valve for controlling flow rate and valve assembly having the same
US4520992A (en) Slow-closing valv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