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228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82B1
KR101252282B1 KR1020110082974A KR20110082974A KR101252282B1 KR 101252282 B1 KR101252282 B1 KR 101252282B1 KR 1020110082974 A KR1020110082974 A KR 1020110082974A KR 20110082974 A KR20110082974 A KR 20110082974A KR 101252282 B1 KR101252282 B1 KR 10125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transmission resonator
transmission
refl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0372A (en
Inventor
변영재
이승규
김영수
최윤호
황민휘잉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82B1/en
Publication of KR2013002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8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자기 공진을 통해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에 따라서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상기 송신 공진부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로 정합시킨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utputs an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t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ccording to a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rough magnetic resonance. Match with.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최근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에 전력선 없이도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Recentl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that can supply and charge a small multimedia device without a power line has been studied.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하나인 자기 공진형(Magnetic resonant)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할 경우에 전자파가 자기장을 통해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이동하는 공진 결합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magnetic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hich is on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is based on a resonance coupling method in which electromagnetic waves move from a transmitter to a receiver through a magnetic field wh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resonate at the same frequency.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비접촉식(Inductive coupling) 방식보다 진화된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한이 없고 중거리 무선 전력 전송에 강인하다. 또한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자기 공진을 이용하므로 이론상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진다. The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more advanced than the inductive coupling metho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requency band and is robust to the medium-rang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addition, since the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es magnetic resonance, it has a property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theory.

이러한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력 전달 효율에 따라서 소비 전력이 결정된다. 또한 송신부의 송신 코일과 수신부의 수신 코일의 배열이 어긋나면 전력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송신부의 송신 코일과 수신부의 수신 코일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평행 상태로 배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아니며 이에 따른 전력 전달 효율의 저하는 불가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는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전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In such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ower consump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transmitter coil and the receiver coil of the transmitter is shif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Arrangement of the transmitting coil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ing coil of the receiver in a physically parallel state is not easy, and thus a decrease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inevitable. Therefore,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required a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기 공진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송할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공진 주파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공진부, 그리고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에 따라서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using magnetic resonance is provid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a transmission resonator for transmitting the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a resonance coupling method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t a resonant frequency, and An impedance match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ccording to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동작하여서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상기 송신 공진부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킬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a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output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Can be matched to the impedance 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증폭시키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gai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어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w pass filter for remov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variable gain amplifier.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전력 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송신 공진부로 전달하는 전력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power amplifier amplifying the power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power signal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송신 공진부 사이에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의 값은 상기 송신 공진부에서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가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variable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amplifier and the transmission resonator, wherein a value of the at least one variable capacitor is a value of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may be changed to match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기로 출력하며,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증폭 이득을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and the power amplifier may change the amplification gain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상기 전력 증폭기는,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상기 송신 공진부로 전달하는 제1 커플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제1 이득으로 증폭시키는 구동 전력 증폭기,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제2 이득으로 증폭시켜서 상기 제1 커플러로 출력하는 주 전력 증폭기, 그리고 상기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가 설정된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득으로 증폭된 제어 신호를 상기 주 전력 증폭기로 전달하고, 상기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가 상기 설정된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득으로 증폭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커플러로 전달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amplifier may include a first coupler for transmitting an input power signal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a driving power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mplifying the input power signal with a first gain, and a second input power signal. A main power amplifier amplified to a gain and output to the first coupler, and a control signal amplified to the first gain to the main power amplifi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oltage level, And a second coupler configured to transfer a control signal amplified to the first gain to the first coupl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less than the set voltage level.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전력을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은, 무선으로 전송할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송신 공진부에서 자기 공진을 통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반사되는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에 따라서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s provide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wer signal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through a magnetic resonance in a transmission resonator having a natural frequency, and applying a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measuring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송신측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코일과 수신측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코일의 기구적 배열 불일치에 따른 전력 전달 효율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a decrease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due to mechanical misalignment of a coil causing a resonance on a transmitting side and a coil generating a resonance on a receiving side in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서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edance matching method in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wer amplifier shown in FIG. 5.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자기 공진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력을 무선 전송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는 예를 들면, 배터리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rough magnetic resonanc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and supply the power to a device that consumes power. Here, the power consum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battery ope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력 공급부(110),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120), 전력 증폭기(130), 임피던스 정합부(140), 송신 공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20, a power amplifier 130, an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a controller ( 160).

전력 공급부(110)는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입력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VCO(120), 전력 증폭기(130), 임피던스 정합부(140) 및 제어부(160)로 공급한다. VCO(120), 전력 증폭기(130), 임피던스 정합부 (140) 및 제어부(160)는 전력 공급부(110)로부터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서 구동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converts an AC voltage input through an AC power source (not shown) into a DC voltage, and then supplies the VCO 120, the power amplifier 13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60. do. The VCO 120, the power amplifier 130,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60 are driven by receiving a D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110.

VCO(120)는 전력 공급부(110)로부터 직류 전압으로 공급받아서 교류 전력 예를 들면, 10MHz의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전력 증폭기(130)로 전달한다. The VCO 120 receives a DC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110 to generate an AC power signal, for example, 10 MHz, and transmits the power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130.

전력 증폭기(130)는 VCO(120)에 의해 생성된 전력 신호를 증폭하여 임피던스 정합부(140)를 통해서 송신 공진부(150)로 전달한다. 전력 증폭기(130)는 설정된 이득(예를 들면, 10~20dB)으로 전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amplifier 130 amplifies the power signal generated by the VCO 120 and transmits the amplified power signal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through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The power amplifier 130 may include a driving power amplifier 131 that amplifies a power signal with a set gain (eg, 10-20 dB).

임피던스 정합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를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예를 들면, 50옴(ohm)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 여기서,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는 전력 증폭기(130)에서 송진 공진부(150)를 바라본 송신 공진부(150)의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matches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nce unit 150 to an impedance at a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for example, 50 ohm imped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Here,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represents the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s viewed by the power amplifier 130 from the rosin resonator 150.

송신 공진부(150)는 자기 공진을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공진부(150)는 고유 공진 주파수로 자기 공진을 일으켜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달한다. 즉, 송신 공진부(150)는 고유 공진 주파수로 자기 공진을 일으켜 전력 신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수신 공진부(210)에서 송신 공진부(150)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공진할 때 공진 결합 방식을 통해 저장하고 있는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수신 공진부(210)로 전달한다.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coil causing magnetic resonance.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generates a magnetic resonance at a natural resonance frequency and transmits a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at is,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generates a self-resonance at a natural resonant frequency to store a power signal, and then the reception resonator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may have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When resonating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he power signal stored in the resonance coupling method is transferred to the reception resonator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는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가 기구적으로 평행 배열을 가진 상태에서 최대의 전력 전달 효율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가 평행 배열이 아니면 전력 전달 효율의 저하 정도가 심해진다. 이는 송신 공진부(150)의 고유의 공진 주파수에서 임피던스의 부정합과 같다. 송신 공진부(150)의 공진 주파수에서 임피던스의 부정합은 반사 계수의 증가를 야기하며, 송신 공진부(150)는 반사 계수에 비례하여 전력 신호를 반사시키므로, 전력 전달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In the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have a maximum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s mechanically arranged in parallel. In other words, i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are not arranged in parallel, the degree of deterioration in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increased. This is equivalent to an impedance mismatch at the inherent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mpedance mismatch at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causes an increase in the reflection coefficient, and since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reflects the power signal in proportion to the reflection coefficient,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제어부(160)는 송신 공진부(150)로부터 반사되는 전력의 전압(이하, "반사 전압"이라 함)을 측정하고, 반사 전압에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부(140)를 제어하여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를 해당 고유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함으로써, 반사 계수를 0에 가까운 수치로 최소화한다. 반사 계수가 0이 되면 전력 전달 효율이 최대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easures the voltage of the power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lection voltage”), and controls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reflected voltage to transmit transmission resonator 150. By minimizing the reflection coefficient to a value close to zero, the output impedance of is matched to the impedance at its natural resonance frequency. When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0, this may mea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maximized.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 공진부(210), 정류부(220) 및 부하(23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ncludes a reception resonator 210, a rectifier 220, and a load 230.

수신 공진부(210)는 자기 공진을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공진부(210)는 송신 공진부(150)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자기 공진을 일으켜 송신 공진부(150)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 신호를 정류부(220)로 전달한다. The reception resonato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coil causing magnetic resonance. The reception resonator 210 generates a magnetic resonance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to receive a power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ransmits the received power signal to the rectifier 220.

정류부(220)는 전력 신호를 정류하여 부하(230)에 공급한다. 여기서, 부하(230)는 도 1과 달리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rectifier 220 rectifies the power signal and supplies the rectified power signal to the load 230. Here, the load 23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unlike FIG. 1.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교류/직류 변환기(161), 연산 증폭기(162), 가변 이득 증폭기(163) 및 필터(164)를 포함한다. 2, the controller 160 includes an AC / DC converter 161, an operational amplifier 162, a variable gain amplifier 163, and a filter 164.

교류/직류 변환기(161)는 교류의 반사 전압을 측정하고, 교류의 반사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연산 증폭기(162)의 비반전 단자(+)로 전달한다. The AC / DC converter 161 measures the reflected voltage of the alternating current, converts the reflected voltage of the alternating current into direct current, and transfers the reflected voltage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162.

연산 증폭기(162)는 교류/직류 변환기(161)와 연결되어 있는 비반전 단자(+)와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되는 반전 단자(-) 및 가변 이득 증폭기(160)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The operational amplifier 162 is a non-inverting terminal (+) connected to the AC / DC converter 161 and an inverting terminal (-) to which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input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60. It includes.

연산 증폭기(162)는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반사 전압과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의 차를 출력 단자를 통해서 출력한다. 이때, 연산 증폭기(162)는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과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의 차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The operational amplifier 162 output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input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n this case, the operational amplifier 162 may amplify and output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

여기서, 기준 전압(Vref)은 자기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적용 환경이나 다른 기준에 따라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set to an arbitrary valu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the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or other reference.

가변 이득 증폭기(163)는 연산 증폭기(162)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증폭시켜서 필터(164)로 출력한다.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63 amplifies the output voltage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162 and outputs it to the filter 164.

필터(164)는 예를 들면, 저대역 통과 필터로서, 가변 이득 증폭기(163)의 출력 신호로부터 고주파 성분을 제거시킨 후 임피던스 정합부(1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임피던스 정합부(140)는 필터(164)의 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를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 이와 같이,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가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면, 반사 계수는 0이 되어 반사되는 전력이 없어지므로,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의 기구적 배열 불일치로 인한 전력 전달 효율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The filter 164 is, for example, a low pass filter. The filter 164 removes a high frequency component from an output signal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63 and output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to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Then,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matches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nce unit 150 to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lter 164. As such, when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s matched to the impedance at the resonance frequency, the reflection coefficient becomes 0 and the reflected power is lost. Therefore,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The degradation in power transfer efficiency due to mechanical misalignment can be compens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서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edance matching method in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10)는 VCO(120), 전력 증폭기(130), 임피던스 정합부(140), 송신 공진부(150) 및 제어부(160)로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unit 110 of the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may include a VCO 120, a power amplifier 130, an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a controller 160. Supply DC voltage.

VCO(120)는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S310), 전력 신호는 전력 증폭기(130)를 통해서 증폭되고(S320), 증폭된 전력 신호는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의 자기 공진에 의한 공진 결합 방식을 통해서 송신 공진부(150)에서 수신 공진부(210)로 전송된다(S330). 이때,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의 기구적 배열 불일치가 있거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서 전력 전달 효율이 저하되면서 송신 공진부(150)에서 전력 신호가 반사될 수 있다. The VCO 120 generates a power signal (S310), the power signal is amplified through the power amplifier 130 (S320), and the amplified power signal is a magnetic field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to the reception resonator 210 through a resonance coupling method by resonance (S330). In this cas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reflected by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due to a mechanical arrangement mismatch or other factors, such that the power signal may be reflected.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송신 공진부(150)에서의 반사 전압을 측정함으로써(S410), 송신 공진부(150)에서 반사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60 monitors the power reflected by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by measuring the reflected voltage at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S410).

제어부(160)는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를 출력한다(S420).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S420).

임피던스 정합부(140)는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에 따라서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를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킨다(S430). 여기서,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를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임피던스 정합부(140)는 전력 증폭기(130)와 송신 공진부(150) 사이에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가변 커패시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변 커패시터의 값은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에 대응하여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가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변경된다. 따라서, 가변 커패시터의 값이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에 따라서 변경됨으로써, 송신 공진부(150)의 출력 임피던스가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될 수 있다.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matches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nce unit 150 with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S430). Her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a method of matching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nce unit 150 with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For example,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riable capacitors (not shown)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amplifier 130 and the transmission resonator unit 150.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s changed to match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Therefore, since the value of the variable capaci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may be matched to the impedance at the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한편, 송신 공진부(150)의 반사 계수는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의 거리에도 영향을 받는다. 송신 공진부(150)와 수신 공진부(210)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반사 계수가 커져서 전력 전달 효율의 저하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그러나 임피던스 정합부(140)에 의한 임피던스 정합으로 저하된 전력 전달 효율을 보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is also aff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and the reception resonator 210 increases, a reflection coefficient may increase, thereby further deteriorat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However, there is a limit in compensating for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lowered by the impedance matching by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wer amplifier illustrated in FIG. 5.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송신 공진부(150)에서 반사되는 전력에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부(140)뿐만 아니라 전력 증폭기(130')도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60 ′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 controls not only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but also the power amplifier 130 ′ according to the power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

전력 증폭기(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증폭 이득 정도를 다르게 하여 전력 신호를 증폭한다. The power amplifier 130 'amplifies the power signal by varying the degree of amplification gai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도 6을 참고하면, 전력 증폭기(130')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 주 전력 증폭기(132) 및 커플러(133, 1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power amplifier 130 ′ includes a driving power amplifier 131, a main power amplifier 132, and couplers 133 and 134.

구동 전력 증폭기(131)는 전력 신호를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시킨다.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amplifies the power signal with a set gain.

커플러(133)는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에 따라서 주 전력 증폭기(132) 또는 커플러(134)로 스위칭하여 구동 전력 증폭기(131)에 의해 증폭된 전력 신호를 주 전력 증폭기(132) 또는 커플러(134)로 전달한다. The coupler 133 switches to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or the coupler 134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to convert the power signal amplified by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into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Or to a coupler 134.

주 전력 증폭기(132)는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설정된 이득(예를 들면, 30~40dB)으로 증폭시켜서 커플러(134)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전력 신호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에 의해 증폭된 전력 신호로, 구동 전력 증폭기(131)와 주 전력 증폭기(132)의 이득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amplifies the input power signal with a set gain (for example, 30 to 40 dB) and transfers the power signal to the coupler 134. Here, the input power signal is a power signal amplified by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and the gains of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and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커플러(134)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에 의해 증폭된 전력 신호 또는 주 전력 증폭기(132)에 의해 증폭된 전력 신호를 임피던스 정합부(140)로 전달한다. The coupler 134 transfers the power signal amplified by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or the power signal amplified by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to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커플러(133)는 기본적으로 커플러(134)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가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동작하여서 주 전력 증폭기(132)로 스위칭한다. 즉,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VCO(120)의 전력 신호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의 이득과 주 전력 증폭기(132)의 이득의 합만큼 증폭되어서 송신 공진부(150)로 전달된다. 반면,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가 일정 레벨 미만인 경우, VCO(120)의 전력 신호는 구동 전력 증폭기(131)의 이득만큼만 증폭되어 송신 공진부(150)로 전달된다. The coupler 133 is basically connected to the coupler 134, and operate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to switch to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signal of the VCO 120 is amplified by the sum of the gain of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and the gain of the main power amplifier 132, thereby transmitting resonance. It is delivered to the unit 150.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signal of the VCO 120 is amplified only by the gain of the driving power amplifier 131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이와 같이, 반사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의 차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송신 공진부(150)의 전단에서 전력 신호를 최대로 올려줌으로써, 임피던스 정합부(140)에 의한 전력 전달 효율의 보상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signal is raised to the maximum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150 to thereby limit the compensation of the power transfer efficiency by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40. It will be able to compl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3)

자기 공진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서,
무선으로 전송할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전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
공진 주파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의 공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력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공진부, 그리고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에 따라서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증폭기는,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상기 송신 공진부로 전달하는 제1 커플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제1 이득으로 증폭시키는 구동 전력 증폭기,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제2 이득으로 증폭시켜서 상기 제1 커플러로 출력하는 주 전력 증폭기, 그리고
상기 반사되는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가 설정된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득으로 증폭된 제어 신호를 상기 주 전력 증폭기로 전달하고, 상기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가 상기 설정된 전압 레벨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득으로 증폭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커플러로 전달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using magnetic resonance,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for transmission wirelessly,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power signal,
A transmission resonator for transmitting the power signal amplified by the power amplifi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using a resonance coupling method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t a resonant frequency; and
An impedance match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ccording to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The power amplifier,
A first coupler transferring an input power signal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A driving power amplifier connected to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mplifying the input power signal with a first gain;
A main power amplifier amplifying the input power signal with a second gain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power signal to the first coupler,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oltage level, the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gain is transmitted to the main power amplifier,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ed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less than the set voltage level. And a second coupl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amplified to the first gain to the first coupler.
제1항에서,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동작하여서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를 상기 송신 공진부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claim 1,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a reference voltage
More,
And the impedance matching section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to match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to an impedance 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공진부로부터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증폭시키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nd a variable gai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control signal.
제4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어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nd a low pass filter for remov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control signal amplified by the variable gain amplifier.
삭제delete 제2항에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는 상기 전력 증폭기와 상기 송신 공진부 사이에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커패시터의 값은 상기 송신 공진부에서 반사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공진부의 출력 임피던스가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변경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In claim 2,
The impedance match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variable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amplifier and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value of the at least one variable capacitor is changed so tha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is matched to the impedance at a corresponding resonance frequency in respons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reflected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82974A 2011-08-19 2011-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Active KR101252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74A KR101252282B1 (en) 2011-08-19 2011-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974A KR101252282B1 (en) 2011-08-19 2011-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72A KR20130020372A (en) 2013-02-27
KR101252282B1 true KR101252282B1 (en) 2013-04-08

Family

ID=4789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974A Active KR101252282B1 (en) 2011-08-19 2011-08-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83B1 (en) * 2017-07-11 2019-08-13 울산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N110890793A (en) * 2018-09-10 2020-03-17 捷佳科技股份有限公司 wireless power transfer unit
KR102531187B1 (en) * 2020-12-28 2023-05-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minimizing magnetic field exposures based on cavity resonance
WO2023136454A1 (en) * 2022-01-14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140A (en) * 2009-08-26 2011-03-10 Sony Corp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apparatus, non-contact power electric receiver receiving apparatus,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method, non-contact electric power receiving method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system
KR20110037728A (en) * 2009-10-07 2011-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ceive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140A (en) * 2009-08-26 2011-03-10 Sony Corp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apparatus, non-contact power electric receiver receiving apparatus,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method, non-contact electric power receiving method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system
KR20110037728A (en) * 2009-10-07 2011-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ceiv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72A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564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harmonic noise cancellation
US8855559B2 (en) Forward link signaling within a wireless power system
KR10119800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ceiver
KR10142340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930328B2 (en)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P2413451B1 (en) Wireless feeding system
US9812902B2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088508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resonant frequency used in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10163609A1 (en) Wireless power feed system
KR20120028779A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3441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un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CN102934324A (en) Wireless power distribution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KR20120066281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10298068B2 (en) Power wireless transmitter in magnetic resonance-bas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2522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a wireless power
US201401521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wireless power
KR2014012040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11223240B2 (en) Charging pad and a method for charging one or more receiver devices
US9419464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JP2012005207A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30029004A (en) Wireless electromagnetic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2039352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038340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and space efficiency based on impedance matching and relay resonance
KR2012008826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method thereof
KR1012353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ving a wireless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