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1182B1 -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182B1
KR101251182B1 KR1020060069751A KR20060069751A KR101251182B1 KR 101251182 B1 KR101251182 B1 KR 101251182B1 KR 1020060069751 A KR1020060069751 A KR 1020060069751A KR 20060069751 A KR20060069751 A KR 20060069751A KR 101251182 B1 KR101251182 B1 KR 10125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registration
location
registration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9934A (en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182B1/en
Publication of KR2008000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8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정확히 유지하여 착신 호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Figure R1020060069751

셀룰러 시스템, 위치등록, 등록영역, VL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fo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stration area in a location information list stored by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first registration area, and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gistration area. Entering a second registration area, stor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starting the first timer f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starting the first timer. Remov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when it expires,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If n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coming call success rate by accurately maintain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tate of the terminal.

Figure R1020060069751

Cellular System, Location Registration, Registration Area, VLR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Location registr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for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when the terminal moves on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

도 3은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등록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도.3 is a signaling flowchart related to location registration of a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등록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그널링 흐름도.4 is a signaling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gistering a loca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for.

전체 서비스영역을 복수의 셀들로 분할하고 상기 셀들 각각을 기지국으로 커버하는 셀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셀들 간을 이동하는 단말로의 착신통화를 성공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하는데, 이러한 동작을 위치등록이라 칭한다. 특히 단말은 통상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등록영역(registration zone: 이하 REG_ZONE이라 칭함)들 간을 이동할 때 위치등록을 수행하거나, 혹은 하나의 등록영역 내에서 미리 정해지는 타이머(이하 ZONE_TIMER라 칭함)가 만기될 때마다 위치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In a cell-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divides an entire service area into a plurality of cells and covers each of the cells with a base stati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order to successfully connect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Manage. To this end, the terminal reports its loc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is operation is called location registration. In particular, the UE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when moving between registration zo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G_ZONEs) that are typ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or a timer that is predetermined within one registration z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ZONE_TIMER). Whenever is expired, location registration can be performed.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등록 상태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는 시스템과 단말 간에 공유되어 관리된다. 시스템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하여 단말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페이징을 통하여 착신통화를 전달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이때 단말이 새로운 위치의 기지국에 접근하게 되면 기지국에 위치등록(zone based Registration)을 수행하여 단말의 상태를 알려 주어야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registration state of a terminal is shared and managed between the system and the terminal. The system main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or a certain time to determin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nd is used to deliver the incoming call through paging. At this time, when the terminal approaches the base station of the new location, the base station should perform a zone based registration to inform the status of the terminal.

한편, 단말이 등록영역들의 경계에서 이동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유휴(IDLE) 상태를 유지할 때 단말은 두 등록지역들에 차례로 진입하여 상기 두 등록영역들을 모두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게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어느 한 등록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과 단말에서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이 어느 한 등록영역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단말 및 기지국이 이전에 유지했던 위치정보가 제거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는 이후에 상기 단말을 위한 페이징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해당 등록영역에 단말이 위치함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단말은 자신에게 걸려오는 착신 호에 대한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에서 시스템 액세스를 통해서 현재 위치의 기지국에 접속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단말이 발신 호를 시도하지 않는 한 착신 호를 수신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moves at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s and maintains the IDLE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may sequentially enter the two registration areas and store both of the registration areas in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list. After that, even though the terminal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stration areas, the system and the terminal remo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n, even though the terminal exists in any one registration area,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maintained by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removed, the base station normally processes the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registration area when processing paging for the terminal. It does not recognize, and thus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paging for the incoming call. In order to solve this case, the terminal needs to access the base st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system acces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n incoming call could not be received unless the terminal attempted to make an outgoing call.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등록에 있어서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for accurately maintaining the position registration state of the terminal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 in the posi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위치정보를 시스템에 정확히 등록하여 단말의 착신통화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incoming call success rate of a terminal by accurately regist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registering a lo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a terminal enters a first registration area,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stration area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stored by the terminal. Stor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by includ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stor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Starting the first timer with respect to the first timer and remov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when the first timer expir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이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며,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 리스트 관리부와,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 등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entering a first registration area,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stration area is stored in a location information list stored by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moves away from the first registration area and enters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stored, and the first timer f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 location information list manager for remov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determining wheth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when the first timer expire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location registration unit for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등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등록영역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를 시스템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to provide location registra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method for match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state of a terminal located at the boundary of registration areas with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단말(Mobile Station: MS)(110),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ubsystem: BTS)(120, 122)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130, 132)로 이루어진 기지국(125, 135),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40, 142), 방문자 위치등록기(Visiter Location Register: VLR)(150, 152),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60)가 도시되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관련된 중요 노드들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110, a base transceiver subsystem (BTS) 120, 122,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30, 132 consisting of 130, 132,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40, 142,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150, 152 ),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60 is shown. In the following, only important nodes related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BTS(120, 122)와 무선으로 접속하며, BSC(130, 132)는 상기 무선 접속을 관리하고 단말(110)을 위한 호 제어를 수행한다. MSC(140, 142)는 해당 하위의 기지국(125, 135)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110)의 호를 해당 하위의 다른 단말 혹은 다른 시스템으로 연결한다. 이때 MSC(140, 142)는 단말(110)의 호를 연결하기 위해 VLR(150, 152)에 저장된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참조한다. HLR(16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단말들, 특히 상기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며, 단말(110)이 위치하는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125, 135)에 연결된 MSC(140, 142)의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110)의 가입자 정보를 해당 MSC(140, 142)의 VLR(150, 152)에게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10 wirelessly connects to the BTSs 120 and 122, and the BSCs 130 and 132 manage the wireless connection and perform call control for the terminal 110. The MSCs 140 and 142 connect a call of the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base stations 125 and 135 of the lower level to another terminal or another system of the lower level. In this case, the MSCs 140 and 142 refer to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stored in the VLRs 150 and 152 to connect the call of the terminal 110. The HLR 160 manag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terminal 110, and the MSC 140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s 125 and 135 covering the cell where the terminal 110 is locat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142,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s provided to the VLRs 150 and 152 of the corresponding MSCs 140 and 142.

상기 가입자 정보에는 단말(110)을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인증 정보를 비롯하여 특히 단말(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는 단말(110)의 위치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단말(110)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type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servicing the terminal 110, and in particula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can be continuously updated.

단말(110)은 새로운 등록영역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전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단말(110)이 이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terminal 110 continuously manages th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in a new registration area. The terminal 110 manages th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as follows.

1. 일정 개수의 이전 위치정보들을 위치정보 리스트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 예로서 상기 위치정보는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S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NID) 및 등록영역(REG_ZONE) 식별자를 포함한다.1. Store and manage a certain number of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as a location information list. As an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system ID (SID), a network ID (NID), and a registration area (REG_ZONE) identifier.

2. 각 등록영역의 위치정보에 대해 타이머(ZONE_TIMER)를 두어서 해당 위치정보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기지국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은 ZONE_TIMER 값을 단말에게 시그널링하고, 단말은 이를 이용하여 각 위치정보를 관리한다.2. A timer ZONE_TIMER is provide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egistration area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the timer. The base station signals a ZONE_TIMER value as shown in Table 1 below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nages each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3.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Access)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위치등록, 발신호 등의 경우에 한하여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의 관리 및 상기 ZONE_TIMER의 관리를 수행한다. 3.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system (Access), for example, only in case of location registration, call signal, etc.,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is managed and the ZONE_TIMER is managed.

4.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ZONE_TIMER는 현재 단말이 접속하고 있지 않고 이전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등록영역의 위치정보 모두에 대해서 시동된다.4. ZONE_TIMER for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s started for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registration area which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is previously connected.

5. ZONE_TIMER가 만기되면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해당 위치정보가 제거된다.5. When ZONE_TIMER exp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mo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ZOME_TIMER Value
(binary)
ZOME_TIMER Value
(binary)
Timer Length
(Minutes)
Timer length
(Minutes)
000000 1One 001001 22 010010 55 011011 1010 100100 2020 101101 3030 110110 4545 111111 6060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단말(110)의 위치등록 여부를 관리한다.The system manages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110 as follows.

1. 단말(110)의 위치등록시 HLR(160)에서는 단말(110)이 정상적으로 인증되었는지를 확인한다.1. When register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10, the HLR 160 checks whether the terminal 110 is normally authenticated.

2. VLR(150, 152)에서는 HLR(160)을 통하여 인증된 정상적인 단말(110)이 셀간을 이동하는 경우, 단말(110)이 어느 기지국에서 관리되고 있는지를 MSC(140, 142)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VLR(150, 152)에 저장된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단말(110)의 타이머(ZONE_TIMER)와는 별도로 동작하는 타이머(이하 VLR_TIMER라 칭함)가 사용된다. 즉 VLR(150, 152)는 해당 VLR_TIMER가 만기되면 저장되어 있는 단말(110)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단말(110)로 향하는 착신 호(Incoming Call)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125, 135)은 등록영역별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110)에게 상기 착신 호가 존재함을 알려주게 된다. 2. In the VLRs 150 and 152, when the normal terminal 110 authenticated through the HLR 160 moves between cells, the MSCs 140 and 142 may check in which base station the terminal 110 is manag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is stored. In order to man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stored in the VLRs 150 and 152, a ti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LR_TIMER) that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timer ZONE_TIMER of the terminal 110 is used. That is, the VLRs 150 and 152 remove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0 when the corresponding VLR_TIMER expires.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directed to the terminal 110, the base stations 125 and 135 transmit a paging message for each registration area to inform the terminal 110 that the incoming call exists.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이 등록영역들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이 실제로 시스템 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moves at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deleted from the system even though the terminal is actually present in the system.

예를 들어 단말이 REG_ZONE#1과 REG_ZONE#2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말이 REG_ZONE#1의 기지국에 접속한 이후에 REG_ZONE#2로 이동한 경우 단말은 REG_ZONE#1, #2에 모두 등록된 상태이고 REG_ZONE#1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가 시동된다. 이후에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기 이전에 단말이 REG_ZONE#1로 다시 이동한 경우, 단말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므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으며, 단말이 위치등록이나 발신 호 등을 위해 시스템에 액세스하지 않는 한 REG_ZONE#1의 타이머, 즉 ZONE#1_TIMER는 이전 상태로 유지된다. 즉 계속 동작한다.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boundary between REG_ZONE # 1 and REG_ZONE # 2 will be described. When the terminal moves to REG_ZONE # 2 after accessing the base station of REG_ZONE # 1, the terminal is registered in both REG_ZONE # 1 and # 2, and the timer for REG_ZONE # 1, that is, ZONE # 1_TIMER is started. Thereafter, if the terminal moves back to REG_ZONE # 1 before the ZONE # 1_TIMER expires, the terminal still has location information of REG_ZONE # 1 and thus does not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and the terminal does not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or originating call. The timer in REG_ZONE # 1, that is, ZONE # 1_TIMER, remains in its previous state unless the system is accessed. That is, it continues to operate.

이 경우에 단말이 시스템에 엑세스하기 이전에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의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REG_ZONE#1은 제거되지만, 단말은 여전히 REG_ZONE#1에 속해 있다. 따라서 이후 REG_ZONE#1에 속한 상기 기지국의 VLR에서 VLR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제거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ZONE_TIMER의 시간이 VLR_TIMER의 시간보다 길지 않은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VLR_TIMER의 시간은 사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므로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In this case, if the ZONE # 1_TIMER expires before the terminal accesses the system, REG_ZONE # 1 is remo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of the terminal, but the terminal still belongs to REG_ZONE # 1. Therefor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moved as the VLR_TIMER expires in the VLR of the base station belonging to REG_ZONE # 1, the terminal cannot receive a paging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On the other hand, a similar problem may occur when the time of ZONE_TIMER is not longer than the time of VLR_TIMER, but the time of VLR_TIMER can be changed by the operator and thus does not cause a big problem.

도 2를 참조하여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An operation when the terminal moves on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먼저 단말(210)이 REG_ZONE#1(220)에 속한 BS#1(230)에 위치한 경우(A) BS#1(230)이 접속된 VLR#1(250)에서는 단말(210)의 위치정보와 함께 HLR(26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210)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부터 VLR#1(250)에서는 단말(210)의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타이머, 즉 VLR#1_TIMER를 시동하고 관리한다.First, when the terminal 210 is located in the BS # 1 230 belonging to the REG_ZONE # 1 220 (A) In the VLR # 1 250 to which the BS # 1 230 is connect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10 and Togeth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10 received from the HLR 260 is managed. From this point, the VLR # 1 250 starts and manages a timer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10, that is, VLR # 1_TIMER.

단말(210)이 REG_ZONE#2(222)에 속한 BS#2(232)로 진입하는 경우(B) 단말은 BS#2(232)를 통해 VLR#2(252)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대한 위치정보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When the terminal 210 enters the BS # 2 232 belonging to the REG_ZONE # 2 222 (B) The terminal registers it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VLR # 2 252 through the BS # 2 232. . At this time, the terminal 210 starts a timer for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G_ZONE # 1 220, that is, ZONE # 1_TIMER.

단말(210)이 REG_ZONE#1(220)로 다시 돌아오게 되면(C)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대한 위치정보를 아직 가지고 있으므로 BS#1(230)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210)에서 REG_ZONE#1의 ZONE#1_TIMER는 계속 동작하게 되며, 상기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210)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제거한다. 이때 만일 단말(210)이 BS#1(230)에게 다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VLR#1(250)에서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단말(2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거하게 되면, 단말(210)은 REG_ZONE#1(2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실제로는 REG_ZONE#1(220)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BS#1(230)을 통해 착신 호를 요청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When the terminal 210 returns to the REG_ZONE # 1 220 again (C), since the terminal 210 still ha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REG_ZONE # 1 220, the terminal 210 does not perform the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BS # 1 230. Do not. At this time, the ZONE # 1_TIMER of the REG_ZONE # 1 continues to operate in the terminal 210. When the ZONE # 1_TIMER expires, the terminal 210 remo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G_ZONE # 1 from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this case, if the terminal 210 remo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erminal 210 as the VLR # 1_TIMER expires in the VLR # 1 250 without perfo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again to the BS # 1 230, Since the terminal 210 is not registered in the REG_ZONE # 1 220, the terminal 210 receives a paging message for requesting an incoming call through the BS # 1 230 despite being located in the REG_ZONE # 1 220. Can not.

즉 도 2와 같은 상황에서는 A 지역이나 B 지역에서는 착신에 성공하나, BS#1(230)에 속한 C 지역에서는 착신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That is,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2, the reception is successful in the region A or the region B, but the reception is often failed in the region C belonging to the BS # 1230.

도 3은 단말이 등록영역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등록에 관련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signaling flow related to location registration of a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stration area.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단말(MS)은 REG_ZONE#1에 속하는 BS#1에게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며, 304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306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어 308단계에서 HLR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VLR#1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VLR#1_TIMER가 시동된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MS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BS # 1 belonging to REG_ZONE # 1 in step 302,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mitted from BS # 1 to VLR # 1 in step 304. In step 306, the VLR # 1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nd reques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HLR. When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HLR in step 308, the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n incoming call normally. At this time, VLR # 1_TIMER for the UE is started in VLR # 1.

310단계에서 단말은 REG_ZONE#2에 속하는 BS#2의 셀로 이동하게 되어 VLR#2에 접속하고 BS#2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한 후 REG_ZONE#1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312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2로부터 VLR#2로 전달되고, 314단계와 316단계에서 VLR#2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 후 전달받아 저장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등록을 완료한다. In step 310, the UE moves to a cell of BS # 2 belonging to REG_ZONE # 2, accesses VLR # 2, and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BS # 2. At this time, the terminal add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EG_ZONE # 1 to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starts the timer for REG_ZONE # 1, that is, ZONE # 1_TIMER. In step 312,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ferred from BS # 2 to VLR # 2, and in steps 314 and 316, VLR # 2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reques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HLR. The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by storing.

단말이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 등)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 상기 ZONE#1_TIMER는 업데이트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이 BS#1의 셀로 다시 돌아오면, 318 단계에서 단말은 BS#1이 속한 REG_ZONE#1이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므로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단말이 ZONE#2_TIMER를 개시하지 않는다. 한편 320단계에서 VLR#1에서 관리하고 있는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따라서 단말은 위치등록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가 된다.If the terminal does not attempt to access the system (outgoing call or location registration, etc.), the ZONE # 1_TIMER continues to operate without being updated. In this situation, when the UE returns to the cell of BS # 1, the UE does not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to BS # 1 since REG_ZONE # 1 to which BS # 1 belongs already exists in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step 318. At this time, the terminal does not start ZONE # 2_TIMER. On the other hand, as the VLR # 1_TIMER managed by the VLR # 1 expires in step 320, the VLR # 1 remo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is in a state where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not made.

이후 322단계에서 단말의 REG_ZONE#1에 대한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삭제하지만, 324단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전히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이는 REG_ZONE#1의 위치정보가 삭제된 이후, 등록영역간의 이동이나 시스템 액세스와 같은 위치등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Thereafter, when the ZONE # 1_TIMER for the REG_ZONE # 1 of the terminal expires in step 322, the terminal dele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_ZONE # 1 from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but still registers the location to BS # 1 as shown in step 324. It doesn't work. This is because, af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EG_ZONE # 1 is deleted, location registration events such as movement between registration areas or system access have not occurred.

위와 같은 경우 326단계에서 BS#1에게 상기 단말로의 착신 호 요청이 수신된다 하더라도, BS#1이 속한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328단계에서와 같이 BS#1은 상기 단말에게 페이징을 전송하지 않으며, 따라서 330 단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신 호 연결이 실패하게 된다.In the above case, even if an incoming call request to the terminal is received by the BS # 1 in step 326, the VLR # 1 to which the BS # 1 belongs does not ha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paging is no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us,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fails as shown in step 330.

이후 332단계에서 단말이 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을 비롯한 시스템 액세스를 시도하게 되면, 334단계에서 단말은 BS#1로 위치등록을 수행하게 되고, 336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에 따른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1을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키고 ZONE#2에 대한 ZONE#2_TIMER를 재시작한다. 338단계와 340단계에서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에게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로써 342단계에서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after, if the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system including an outgoing call or location registration in step 332, the terminal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in BS # 1 in step 33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in step 336 Transfer from BS # 1 to VLR # 1. At this time, the terminal includes REG_ZONE # 1 in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restarts ZONE # 2_TIMER for ZONE # 2. In steps 338 and 340, the VLR # 1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requests and recei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HLR. Thus, in step 342, the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n incoming call normally.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ZONE_TIMER가 만기되기 전에 단말이 해당 REG_ZONE로 돌아오게 되면 단말이 시스템 액세스를 시도하기 이전까지 위치등록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착신 호를 위한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이전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관리한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현재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형태가 아니라 별도의 형태, 예를 들어 현재위치 리스트로서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위치 리스트는 현재 위치의 SID, NID, REG_ZONE ID를 포함하며, 단말은 ZONE_TIMER가 만기될 시 현재 위치를 상기 현재위치 리스트와 비교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REG_ZONE before the ZONE_TIMER expires, the terminal is not registered until the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system, thereby failing to receive paging for an incoming call. Therefo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clud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in its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s another exampl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managed as a separate form, for example, a current location list, rather than a form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this case, the current location list includes the SID, NID, and REG_ZONE ID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terminal compares the current location with the current location list when the ZONE_TIMER expires.

단말이 REG_ZONE들 사이의 경계에서 이동하는 경우, REG_ZONE의 관리를 위한 ZONE_TIMER가 만기되면 항상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와 현재 접속한 REG_ZONE을 비교함으로써, 만일 현재 접속한 REG_ZONE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VLR에서 단말의 실제 위치정보가 제거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단말이 이후에 발생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terminal moves in the boundary between REG_ZONEs, the ZONE_TIMER for managing the REG_ZONE expires and always compar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list with the currently connected REG_ZONE, so that the currently connected REG_ZONE may not be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this case, location registration should be performed at the current location. This prevents the problem that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moved from the VLR, so that the terminal can normally receive the paging message generat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등록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4 is a signaling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단말(MS)은 새로운 등록영역인 REG_ZONE#1에 속하는 BS#1에게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며, 404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이때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REG_ZONE#1의 BS#1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406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어 408단계에서 HLR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VLR#1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VLR#1_TIMER가 시동된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02, the MS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BS # 1 belonging to a new registration area REG_ZONE # 1. In step 404,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mitted from BS # 1 to VLR # 1. Delivered. At this time, the terminal sto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BS # 1 of REG_ZONE # 1 in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step 406, the VLR # 1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nd reques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HLR. When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HLR in step 408, the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n incoming call normally. At this time, VLR # 1_TIMER for the UE is started in VLR # 1.

410단계에서 단말은 REG_ZONE#1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등록영역인 REG_ZONE#2에 속하는 BS#2의 셀로 이동하게 되어 VLR#2에 접속하고 BS#2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은 REG_ZONE#2의 BS#2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리스트에 추가하여 저장하고,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된 REG_ZONE#1의 위치정보에 대한 타이머, 즉 ZONE#1_TIMER를 시동한다. 이때 REG_ZONE#2에 대한 타이머는 시동되지 않는다. 412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2로부터 VLR#2로 전달되고, 414단계와 416단계에서 VLR#2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 후 전달받아 저장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등록을 완료한다. In step 410, the UE moves away from REG_ZONE # 1 to the cell of BS # 2 belonging to the new registration area REG_ZONE # 2, accesses VLR # 2, and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BS # 2. At this time, the terminal adds and stor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BS # 2 of REG_ZONE # 2 to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starts a timer for location information of REG_ZONE # 1 stored in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that is, ZONE # 1_TIMER. At this time, the timer for REG_ZONE # 2 is not started. In step 412,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ferred from BS # 2 to VLR # 2, and in steps 414 and 416, VLR # 2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n recei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HLR. The locati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by storing.

단말이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발신 호 혹은 위치등록 등)를 시도하지 않는 경우 상기 ZONE#1_TIMER는 업데이트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이 BS#1의 셀로 다시 돌아오면, 418 단계에서 단말은 BS#1이 속한 REG_ZONE#1이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므로 BS#1로의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으며 ZONE#1_TIMER는 여전히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420단계에서 VLR#1에서 관리하고 있는 VLR#1_TIMER가 만기됨에 따라 VLR#1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거한다. 따라서 단말은 위치등록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가 된다.If the terminal does not attempt to access the system (outgoing call or location registration, etc.), the ZONE # 1_TIMER continues to operate without being updated. In this situation, when the UE returns to the cell of BS # 1, the UE does not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to BS # 1 because REG_ZONE # 1 to which BS # 1 belongs already exists in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in step 418 and ZONE # 1_TIMER. Still continues operation. Meanwhile, as the VLR # 1_TIMER managed by the VLR # 1 expires in step 420, the VLR # 1 remo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is in a state where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not made.

이후 422단계에서 단말의 REG_ZONE#1에 대한 ZONE#1_TIMER가 만기되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REG_ZONE#1의 위치정보를 삭제하고, 42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BS#1)에 관련된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위치에서의 시스템 식별자(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REG_ZONE ID)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모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After the ZONE # 1_TIMER for the REG_ZONE # 1 of the terminal expires in step 422, the terminal dele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_ZONE # 1 from its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proceeds to step 424 where the base station (BS # 1) is currently conn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exists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both the system identifier (SID), the network identifier (NID), and the registration area identifier (REG_ZONE ID) at the current location are presen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한다면, 현재 위치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고 436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426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현재 접속하고 있는 BS#1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428단계에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BS#1로부터 VLR#1로 전달된다. 그러면 430단계와 432단계에서 VLR#1은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HLR로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로써 단말은 정상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xists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36 without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In contrast,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oes not exis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426 and the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BS # 1 currently connected. In step 428,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ferred from BS # 1 to VLR # 1. Then, in steps 430 and 432, the VLR # 1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nd requests and recei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HLR. As a result, the terminal is normally able to receive an incoming call.

이후 434단계에서 BS#1에게 상기 단말로의 착신 호 요청이 수신되면, 436단계에서 BS#1은 상기 단말에게 정상적으로 상기 착신 호를 요청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며, 438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한 후 착신 호 연결에 성공한다.Thereafter, when the incoming call request to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BS # 1 in step 434, the BS # 1 transmits a paging message for requesting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station in step 436. After answering the message,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is successful.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등록 상태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착신 호의 수신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ception success rate of the incoming call by ensuring that the location registration state of the terminal is correctly maintai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laims (1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단말이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When the terminal enters a first registration area, stor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stration area in a location information list stored by the terminal;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는 과정과,When the terminal exits from the first registration area and enters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nd stored, and the first timer f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The process of starting up,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Remov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when the first timer expires, and determining wheth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위치등록 방법.And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with a system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들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And at least one of a system identifier (SID), a network identifier (NID), and a registration area ident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is performed. 상기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시스템 식별자와 네트워크 식별자 및 등록영역의 식별자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when a system identifier, a network identifier, and a registration area identifier are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이머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mer value of the first timer is signaled from a base st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In the terminal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1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등록영역의 제1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이 제1 등록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등록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2 등록영역의 제2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위치정보에 대한 제1 타이머를 시동하며, 상기 제1 타이머가 만기되면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서 상기 제1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 리스트 관리부와, When entering the first registration area,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stration area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stored by the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is moved away from the first registration area to enter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Stor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registration area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starting the first timer f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first timer expires, the first loc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A location information list manager to remove information and determine wheth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시스템으로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 등록부를 포함하는 단말.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terminal comprising a location registration unit for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및 제2 위치정보들 각각은,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SID)와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NID) 및 등록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And at least one of a system identifier (SID), a network identifier (NID), and a registration area identifier. 제 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 관리부는,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management unit, 상기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시스템 식별자와 네트워크 식별자 및 등록영역의 식별자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위치정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And when a system identifier, a network identifier, and an identifier of a registration area of the terminal are currently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determin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list. 제 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타이머의 타이머 값은, The timer value of the first timer is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Terminal signaled from the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상기 제1등록영역으로 재진입한 경우, 상기 제1위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등록 방법.And reentering the first registration area of the terminal,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상기 제1등록영역으로 재진입한 경우, 상기 제1위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And reentering the first registration area of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KR1020060069751A 2006-07-25 2006-07-25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Active KR101251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51A KR101251182B1 (en) 2006-07-25 2006-07-25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51A KR101251182B1 (en) 2006-07-25 2006-07-25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34A KR20080009934A (en) 2008-01-30
KR101251182B1 true KR101251182B1 (en) 2013-04-08

Family

ID=392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51A Active KR101251182B1 (en) 2006-07-25 2006-07-25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1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13B1 (en) * 2008-11-28 2011-02-09 주식회사 케이티 Location registration device and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92A (en)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aging using a home location register
KR20050008273A (en) * 2003-07-15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imer-Based Regist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2005072709A (en) 2003-08-28 2005-03-17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device,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KR20050093284A (en) * 2004-03-18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renewal of discord of location regist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492A (en) * 2001-06-25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aging using a home location register
KR20050008273A (en) * 2003-07-15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imer-Based Regist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2005072709A (en) 2003-08-28 2005-03-17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device,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an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KR20050093284A (en) * 2004-03-18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renewal of discord of location regist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934A (en)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14235B2 (en) Short Message service ability updat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US6463284B2 (en) Control of storage of subscriber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968196B1 (en) Location area upd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0586218C (en) A method for updat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850760B2 (en) Method and devices for improved location upda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088770A (en) Method for transmitting small-flow wireless data and base station system
US7826823B1 (en) Tracing of signalling messages
KR101251182B1 (en) Method for regist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herfor system
US99307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ing connection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CN103379450A (en) Missed call inform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4599067B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network reselection
US20070232280A1 (en) Method for Setting up a Link with Prepaging While Optimizing Use of Resources
EP41253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CN101466107A (en)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for providing business
CN10132573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fault of mobile communication core network register
CN101640872B (en) Method for upd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EP2382825B1 (en) An accidental roaming prevention and correction system
CN103188728A (en) Network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network congestion control system
CN103108305A (en) Terminal triggering message effective tim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KR1010021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6321110B (en) Service subscription method, device, service providing network element and storage medium
CN102958036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terminal triggering
KR20120028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ocation registration of outbound roaming subscriber
KR100491873B1 (en) Method for enhancement of subscriber profile data sameness HLR between VLR in mobile station center system
KR100248088B1 (en) Implicit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for Pedestrian Radio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