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88B1 -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1088B1 KR101251088B1 KR1020070128759A KR20070128759A KR101251088B1 KR 101251088 B1 KR101251088 B1 KR 101251088B1 KR 1020070128759 A KR1020070128759 A KR 1020070128759A KR 20070128759 A KR20070128759 A KR 20070128759A KR 101251088 B1 KR101251088 B1 KR 101251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housing
- vibration
- connector
- insertion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 양측 벽면에는 상기 삽입되는 터미널의 양측 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터미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부분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상기 터미널의 삽입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상기 삽입부와 터미널 간의 유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 특성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진동 방지형 커넥터를 제공한다.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ion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ousing, and both side walls of the insertion portion contact guides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to be inserted, and guide guide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termina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rovided over a predetermined portion, thereby providing a vibration preventing connector which can satisf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since the inser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o a minimum while simplifying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커넥터, 메일 하우징, 피메일 하우징, 터미널, 진동, 가이드돌기 Connector, mail housing, female housing, terminal, vibration, guide protru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 방지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의 삽입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하우징과 터미널 사이의 틈으로 인한 터미널의 유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 방지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vibration connector,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sertion force of the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s well as the vibration prevention type that can prevent the flow phenomenon of the terminal due to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Relates to a connector.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각종 전장품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바, 엔진의 시동 및 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엔진 전장품과, 전조등 및 방향 지시등과 같이 조명에 이용되는 전장품으로 대별되는 차량의 전장품은 전선의 집합이라 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및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기능화되고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us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enable the operation of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e engine electronic components that enable the starting and ignition of the engine,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used for lighting, such as headlights and direction indicators, are roughly classified. The electrical equipment of a vehicle is functionaliz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a wire harness and a connector, which can be called a set of electric wir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과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터미널의 유동에 의한 접촉부의 마모과정을 나타낸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Figure 3 shows the wear process of the contact by the flow of the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0)는 내부에 다수의 삽입부(111)가 형성된 메일 하우징(110)과, 상기 메일 하우징(110)에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메일 하우징(110)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삽입부(112)가 형성된 피메일 하우징(120) 및, 상기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120)의 삽입부(112)(121) 내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130)(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메일 하우징(110)에는 피메일 하우징(120)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착탈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미널(130)(140)의 끝단에는 케이블(150)이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커넥터(100)는 터미널(130)(140)을 케이블(150)에 연결한 상태에서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120)에 구비된 삽입부(111)(121) 내에 삽입하고, 다시 피메일 하우징의 선단을 메일 하우징(110)의 착탈부(113)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상기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120) 간이 통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120)의 삽입부(111)(121)는 터미널(130)(140)의 삽입력 확보를 위해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터미널(130)(14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터미널(130)(140)의 외 측면 중앙에는 상기 터미널(130)(140)의 지지를 위하여 지지돌기(131)(14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130)(140)과 삽입부(111)(121) 사이에는 일정 유격(GAP)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터미널(130)(140)과 삽입부(111)(121)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면 상기 터미널(130)(140)의 삽입이 어렵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그러나, 종래에는 터미널(130)(140)의 삽입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삽입부(111)(121)의 크기를 조금더 크게 형성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부(111)(121)와 터미널(130)(140) 간의 유격이 발생되고, 이 유격으로 인해 터미널(130)(140)의 유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실차에 적용시 차량의 진동에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size of the
즉, 차량은 주행시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이 있고, 이와 같은 진동은 그대로 터미널(130)(140)에 전달되며, 이때 상기 터미널(130)(140)과 삽입부(111)(121)의 유격으로 인하여 터미널(130)(140)이 유동 되면서 지지돌기(131)(141)가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접촉부위가 마모되기 때문이다.That is, the vehicle has a characteristic that vibration is generated when driving, such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마모는 두 개의 표면 사이에 작은 진폭의 마찰운동을 의미한다. 상기 터미널(130)(140)의 유동에 의해 도 3의 도시와 같이 마모 부식이 진행되며, 마모 부식은 저항증가, 순간 단락 등을 일으켜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Wear means a small amplitude frictional movement between two surfaces. The wear corrosion proceeds as shown in FIG. 3 by the flow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삽입력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삽입부와 터미널 사이의 유격을 줄여 상기 터미널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 방지형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related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ider the insertion force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clearance between the insert and the terminal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An anti-vibration connector is provided.
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 양측 벽면에는 상기 삽입되는 터미널의 양측 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터미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ion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ousing, and both side walls of the insertion portion contact guides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to be inserted, and guide guide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termina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ver a certain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삽입부 내의 일정 부분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터미널의 삽입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상기 삽입부와 터미널 간의 유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 특성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nti-vibr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guide protrusion in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ousing to simplify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while reduc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terminal to a minimum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atisf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터미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i-vibr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anti-vibr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 는 것이나,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10)과 터미널(20)의 접촉구조 개선을 통해 터미널(20)을 하우징(10) 내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anti-vibr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는 하우징(10)의 삽입부(11) 양측 면에 상기 터미널(20)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30)를 구비하여 상기 터미널(20)의 유동을 방지한다.To this end,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즉,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삽입부(11)의 크기를 기존과 같이 터미널(20)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여 상기 터미널(20)의 삽입력을 확보하고, 상기 삽입부(11)의 내부 양측 벽면에 일정 부분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돌기(30)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20)의 양 측면이 상기 가이드돌기(30)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터미널(20)과 삽입부(11) 간의 유격이 발생 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돌기(30)에 의해 터미널(2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That is, the size of the
이러한 가이드돌기(30)는 상기 터미널(20)의 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상기 삽입부(11)의 끝단 터미널(20)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20)과의 접촉 면적이 크지 아니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부(11)의 양측 벽면 상단과 하단의 두 부분에서 돌출되며, 이때 상기 터미널(20)과의 접촉되는 부분인 가이드돌기(30)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20)과 점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20)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터미널(20) 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잇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30)의 선단(터미널이 삽입되는 부분)부분은 상기 삽입되는 터미널(20)이 상기 가이드돌기(30)에 걸림 없이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부(11)의 벽면에서 완만하게 경사지는 경사면(30a)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2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the tip (part of the terminal is inserted)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터미널(20)은 하우징(10)의 삽입부(11) 내부 양측면에 돌출된 가이드돌기(30)에 의해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터미널(20)을 삽입부(11) 내에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20)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돌기(30)가 피메일 하우징에 형성된 것에 대하여만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이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기 때문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 적용된 상태만 도시하고 있을 뿐 메일 커넥터에도 동일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하우징과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도 3은 상기 터미널의 유동에 의한 접촉부의 마모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wear process of the contact portion by the flow of th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preven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터미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vibration-proof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 - 커넥터 10 - 하우징A-Connector 10-Housing
11 - 삽입부 20 - 터미널11-Insertion 20-Terminal
30 - 가이드돌기 30a - 경사면30-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759A KR101251088B1 (en) | 2007-12-12 | 2007-12-12 |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759A KR101251088B1 (en) | 2007-12-12 | 2007-12-12 |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1807A KR20090061807A (en) | 2009-06-17 |
KR101251088B1 true KR101251088B1 (en) | 2013-04-04 |
Family
ID=4099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8759A KR101251088B1 (en) | 2007-12-12 | 2007-12-12 |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108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0474A (en) * | 2003-04-16 | 2004-10-25 |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 contact and housing of plug connector |
KR100466240B1 (en) | 2002-12-04 | 2005-01-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of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flat cables |
KR100770995B1 (en) * | 2006-09-14 | 2007-10-2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Spacer |
-
2007
- 2007-12-12 KR KR1020070128759A patent/KR1012510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6240B1 (en) | 2002-12-04 | 2005-01-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ructure of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flat cables |
KR20040090474A (en) * | 2003-04-16 | 2004-10-25 |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 contact and housing of plug connector |
KR100770995B1 (en) * | 2006-09-14 | 2007-10-2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Spac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1807A (en) | 2009-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80949A1 (en) | Connector | |
KR101637721B1 (en) | Housing and connector for door using the same | |
KR100966225B1 (en) | Electrical socket terminal with contact stabilizer | |
JP6365392B2 (en) | Joint connector | |
JP6741213B2 (en) | connector | |
JP6448925B2 (en) | connector | |
KR100993105B1 (en) | Elastic piece for energization and shielded connector set with same | |
KR100799883B1 (en) | Female terminal assembly | |
KR20130067308A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having an upstream contact terminal | |
KR101251088B1 (en) | Preventing vibration type connector | |
WO2019230468A1 (en) | Connector | |
KR101479056B1 (en) | Shielded Connector | |
CN108370112B (en) | Female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ion assemblies | |
CN114447664B (en) | Connector and connector with electric wire comprising the same | |
JP6141451B2 (en) | Shield connector | |
US791431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001886B1 (en) | terminal | |
US7641492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vibration-resisting structure | |
KR100988794B1 (en) | Connector | |
JP2021150149A (en) | Electric connection component | |
KR200418225Y1 (en) | Bracket and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 |
JP7211995B2 (en) | Fixing structure of connector | |
JP2012028084A (en) | Connector | |
KR100731297B1 (en) | Bracket and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 |
KR100849029B1 (en) |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