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82B1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0482B1 KR101250482B1 KR1020100055953A KR20100055953A KR101250482B1 KR 101250482 B1 KR101250482 B1 KR 101250482B1 KR 1020100055953 A KR1020100055953 A KR 1020100055953A KR 20100055953 A KR20100055953 A KR 20100055953A KR 101250482 B1 KR101250482 B1 KR 101250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support frame
- wire
- bottom plate
- formwork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거푸집 지지프레임이 상층 지하바닥판에 단순이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지 않고, 건축물의 골조에 해당하는 파일을 관통하여 파일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바닥판 거푸집의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세팅할 수 있도록 바닥판 거푸집을 지하는 부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지하바닥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프레임의 설치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바닥판 시공순서도이다.
110: 횡방향 지지 프레임
120: 거푸집 지지틀
121: 하부 종방향수평재
122: 하부수직관
123: 상부삽입관
124: 상부 종방향수평재
125: 중간경사재
126: 고정볼트
127: 횡방향 관통홀
130: 바닥판 거푸집
200: 와이어
300,310,320,330,340,350,360: 파일
400a,400b: 상층 및 하층 지하바닥판
410,420: 바닥판 콘크리트(상층 및 하층)
500: 거푸집 지지브라켓
510: 수평 지지브라켓, 520: 경사 지지브라켓푸집
Claims (3)
- H형강을 포함하는 파일에 미리 설치된 거푸집 지지브라켓(500)에 파일(3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에 하단이 고정되며 바닥판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바닥판 콘크리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와이어(200)를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시켜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이 와이어에 의하여 매달려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거푸집 지지브라켓(500)을 제거하고,
상기 와이어 하강장치에 장착된 와이어를 풀어주면서 파일을 따라 거푸집 지지프레임(100)을 하강시켜 위치를 세팅한 후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지하바닥판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연속 형성시키며,
상기 파일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거푸집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된 지하바닥판 사이에는 추가로 바닥판 거푸집을 설치하고,상기 추가 바닥판 거푸집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지하바닥판 사이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하여 지하바닥판 전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프레임은
와이어의 하단이 고정되며 종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된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들의 양 측단 저면이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기 하부 종방향수평재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재 사이사이에 종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되며 수평 관통홀이 상하로 형성된 하부지지관; 상기 하부지지관에 삽입되며 하부수직관의 수평관통홀에 대응하여 형성된 수평관통홀에 체결된 고정볼트에 의하여 높이 조절되는 상부삽입관; 상기 상부삽입관 상면에 지지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종방향수평재; 및 상부 종방향수평재(124)와 하부 종방향수평재(121) 사이에 종방향으로 하부수직관과 상부삽입관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중간경사재(125)를 포함하는 거푸집지지틀; 및
상기 거푸집 지지틀과 횡방향 지지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며 와이어가 관통되어 설치된 바닥판 거푸집;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수직관 내부에 상부삽입관의 상하 삽입길이에 따라 바닥판 거푸집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953A KR101250482B1 (ko) | 2010-06-14 | 2010-06-14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953A KR101250482B1 (ko) | 2010-06-14 | 2010-06-14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138A KR20110136138A (ko) | 2011-12-21 |
KR101250482B1 true KR101250482B1 (ko) | 2013-04-03 |
Family
ID=455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953A Active KR101250482B1 (ko) | 2010-06-14 | 2010-06-14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04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066B1 (ko) * | 2014-03-12 | 2014-10-15 |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2324B1 (ko) * | 2017-01-12 | 2018-11-2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천정 리프트 업 시공 방법 |
CN112921821B (zh) * | 2021-03-25 | 2022-08-16 |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 盖梁分节预制拼装湿接缝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
KR102490025B1 (ko) * | 2021-05-11 | 2023-01-17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4493B1 (ko) * | 2005-07-27 | 2007-03-16 | 황기수 |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
-
2010
- 2010-06-14 KR KR1020100055953A patent/KR10125048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4493B1 (ko) * | 2005-07-27 | 2007-03-16 | 황기수 |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066B1 (ko) * | 2014-03-12 | 2014-10-15 |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138A (ko) | 2011-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679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 |
JP2017210840A (ja) | 仮締切方法、仮締切構造 | |
US20150322635A1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KR100812722B1 (ko) |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1107567B1 (ko) |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250482B1 (ko) |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 |
JP6151337B2 (ja) |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 |
CN212956136U (zh) | 一种陡坡上现浇桥梁支撑结构 | |
KR102560642B1 (ko) |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55541B1 (ko) |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414155B1 (ko) |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77813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2197106B1 (ko) |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골기둥 시공방법 | |
KR101171746B1 (ko) | 사일로 시공 방법 | |
US20170247843A1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KR101106799B1 (ko) |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 |
CN215367367U (zh) | 一种高边坡上建筑工程的桩基础结构 | |
KR101335796B1 (ko) |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 |
KR101298399B1 (ko) | 철근받침구조체 | |
CN112779923A (zh) | 一种高边坡上建筑工程的桩基础结构及其施工工艺 | |
KR101534058B1 (ko) |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627658B1 (ko) | 전단키 일체형 파일빔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교량 시공방법 | |
JP5056534B2 (ja) |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 |
KR100799336B1 (ko) | 상·하 분리형 지지방식의 무지주 역타설 거푸집공법용거푸집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 역타설 거푸집공법 | |
KR100679986B1 (ko) |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