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0254B1 - 방화문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54B1
KR101250254B1 KR1020120004279A KR20120004279A KR101250254B1 KR 101250254 B1 KR101250254 B1 KR 101250254B1 KR 1020120004279 A KR1020120004279 A KR 1020120004279A KR 20120004279 A KR20120004279 A KR 20120004279A KR 101250254 B1 KR101250254 B1 KR 10125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rizontal plate
fire door
horizontal
f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손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민 filed Critical 손창민
Priority to KR102012000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각 모서리 단부에 측 수직 개방부와 수평 개방부로 구성되게 형성된 모서리 장홀과; 각각의 모서리 장홀에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수평 개방부에는 수평판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 수직 개방부에는 상기 수평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양측폭이 긴 다수의 위치조정장홀이 형성된 삽입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외면에 몸체부가 밀착되며, 몸체부의 일측에는 문틀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힌지축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위치조정장홀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내측 장착판과; 상기 각각의 볼트 조립홀과 위치조정장홀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축 연결부의 돌출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탭홀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의 힌지장치{hinge apparatus of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장홀에 호환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된다.
그리고 방화문은,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기 분리 형성하고 그 이격된 공간에 단열 방음재를 삽입하여 하중은 가볍게 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 방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방화문을 문틀에 고정할 경우에는, 방화문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힌지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방화문의 힌지장치는, 방화문의 상,하단의 측부에 다수의 탭홀을 형성하고, 다수의 탭홀에 힌지축 연결부가 구비된 도어 고정체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고정체에는 상기 다수의 탭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관통되는 양측 폭이 긴 장홀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 고정체의 측부의 돌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장홀에 삽입되는 볼트는, 볼트의 머리가 장홀의 둘레에 점접촉을 함에 따라, 방화문을 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볼트가 쉽게 풀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어 고정체에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방화문의 상하부에 장홀이 형성된 방화문 힌지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 종래에 알려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9175호의 "방화문의 힌지 고정구조"(이하, "종래의 방화문의 힌지 고정구조"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방화문의 힌지 고정구조는, 방화문의 상, 하부에 장착 고정되며, 몸체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구멍이 뚫려 있고, 양측단은 절곡되어 양측면을 형성하는 도어지지브라켓에 보강판을 삽입하여 이 보강판과 일단에 힌지가 설치된 도어고정판을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브라켓은 절곡 형성된 양측면의 안쪽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끼움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에는 삽입되는 보강판의 끝단을 지지하는 돌출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화문의 힌지구조는, 방화문의 상,하부를 막는 도어지지브라켓에 다수의 결합구멍이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화문의 제조단계에서, 방화문의 두께나 종류마다 방화문의 상,하부를 막는 도어지지브라켓을 종류별로 제작해야 함으로써, 방화문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고 방화문의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장홀에 장착되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방화문을 먼저 제작한 후 힌지장치를 방화문의 두께나 종류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의 일측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도어 고정체가 방화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함몰 장착되게 함으로써, 도어 고정체가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고정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임시적으로 고정한 다음, 도어 고정체를 내측 장착판에 최종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각 모서리 단부에 측 수직 개방부와 수평 개방부로 구성되게 형성된 모서리 장홀과; 각각의 모서리 장홀에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수평 개방부에는 수평판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 수직 개방부에는 상기 수평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양측폭이 긴 다수의 위치조정장홀이 형성된 삽입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외면에 몸체부가 밀착되며, 몸체부의 일측에는 문틀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힌지축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위치조정장홀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내측 장착판과; 상기 각각의 볼트 조립홀과 위치조정장홀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축 연결부의 돌출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탭홀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고정체는, 상기 수평판의 타측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 개방부의 측단부에 용접 고정되어 수평판을 수평 개방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함에 따라 상기 도어 고정체를 수평 개방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위치시키는 측 돌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고정체의 수평판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폭이 긴 임시 위치조정장홀과; 상기 내측 장착판에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임시고정탭홀과;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에 관통되어 임시 고정탭홀에 체결되는 임시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고정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도어 고정체는, 상기 임시고정장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간섭방지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장홀에 장착되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방화문을 먼저 제작한 후 힌지장치를 방화문의 두께나 종류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힌지장치를 호환되게 사용하여 방화문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일측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는 도어 고정체가 방화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문틀과 방화문의 상,하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고정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임시적으로 고정한 다음, 도어 고정체를 내측 장착판에 최종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도어 고정체의 돌출 위치를 미세하면서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1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2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를,
도 3b는 도 2b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체의 힌지축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4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1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2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를, 도 3b는 도 2b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문의 힌지장치는, 문틀(미도시됨)의 일측 상,하부에 방화문(1)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방화문(1)의 일측 상,하부의 각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장홀(2)과, 각각의 모서리 장홀(2)에 장착되어 상기 문틀 일측의 상,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힌지축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장홀(2)은, 방화문(1)의 일측 상,하부의 각 모서리 단부에 측 수직 개방부(21)와 수평 개방부(22)로 구성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 고정수단(3)은, 상기 각각의 모서리 장홀(2)에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수평 개방부(22)에는 수평판(41)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 수직 개방부(21)에는 상기 수평판(41)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42)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41)에는 양측 폭이 긴 다수의 위치조정장홀(411)이 형성된 삽입 고정체(4)와; 상기 상,하부 각각의 삽입 고정체(4)를 구성하는 수평판(41)의 외면에 몸체부(51)가 밀착되며, 몸체부(51)의 일측에는 문틀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힌지축 연결부(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51)에는 상기 위치조정장홀(411)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조립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고정체(5)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4)를 구성하는 수평판(41)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 조립홀(511)과 상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탭홀(61)이 형성된 내측 장착판(6)과; 상기 각각의 볼트 조립홀(511)과 위치조정장홀(411)에 관통되어 힌지축 연결부(52)의 돌출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탭홀(61)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7)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고정체(5)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축 연결부(52)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사용 중에 있는데, 힌지축 또는 힌지홀을 구비한 것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힌지축 연결부(52)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아울러 상기 힌지축 연결부(52)가 연결되는 문틀에 구비된 연결수단도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사용됨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문틀에 구비된 연결수단의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상기 다수의 고정볼트(7)를 내측 장착판(6)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풀은 상태에서 도어 고정체(5)의 돌출위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7)를 조임에 따라 도어 고정체(5)의 위치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1)의 일측 상,하부의 모서리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장홀(2)에 장착되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방화문(1)을 먼저 제작한 후 힌지장치를 방화문(1)의 두께나 종류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장치를 호환되게 사용하여 방화문(1)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삽입 고정체(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41)의 타측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 개방부(22)의 측단부에 용접 고정되어 수평판(41)을 수평 개방부(22)의 내부로 함몰되게 함에 따라 상기 수평판(4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상기 도어 고정체(5)를 수평 개방부(22)의 내부로 함몰되게 위치시키는 측 돌출판(4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측 돌출판(43)은, 상기 수평판(41)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도어 고정체(5)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 고정체(5)는, 방화문(1)의 상단 또는 하단에 함몰 장착되어 방화문(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문틀과 방화문(1)의 상,하부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고정체(4)의 수평판(41)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폭이 긴 임시 위치조정장홀(412)과, 상기 내측 장착판(6)에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412)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임시고정탭홀(62)과,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412)에 관통되어 임시 고정탭홀(61)에 체결되는 임시고정볼트(8)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고정체(4)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도어 고정체(5)에는,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4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간섭방지홈부(5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고정볼트(7)와 상기 임시고정볼트(8)를 내측 장착판(6)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풀은 상태에서, 도어 고정체(5)의 돌출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한 후 상기 임시고정볼트(8)를 임시적으로 체결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볼트(7)들을 내측 장착판(6)에 최종적으로 체결 고정함으로서, 도어 고정체(5)를 돌출 위치를 미세하면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 고정체(5)를 임시고정볼트(8)를 통해 임시적으로 고정하여 위치를 정밀하게 세팅한 다음, 상기 고정볼트(7)들을 강한 힘으로 조여 고정함으써, 고정볼트(7)를 조이는 과정에서 도어 고정체(5)가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 고정체(5)의 돌출 위치를 미세하면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체(5)의 힌지축 연결부(5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 4b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체의 힌지축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는, 도어 고정체(5)의 몸체부(5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실시예의 힌지축 연결부(52)는, 힌지축 또는 힌지홀을 구비한 것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다른 실시예의 힌지축 연결부(52)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의 힌지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방화문
2 : 모서리 장홀
21 : 측 수직 개방부
22 : 수평 개방부
3 : 힌지축 고정수단
4 : 삽입 고정체
41 : 수평판
411 : 위치조정장홀,
412 : 임시 위치조정장홀
42 : 수직판
43 : 측 돌출판
5 : 도어 고정체
51 : 몸체부
511 : 볼트 조립홀
52 : 힌지축 연결부
53 : 볼트 간섭방지홈부
6 : 내측 장착판
61 : 탭홀
62 : 임시고정탭홀
7 : 고정볼트
8 : 임시고정볼트

Claims (4)

  1.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의 각 모서리 단부에 측 수직 개방부와 수평 개방부로 구성되게 형성된 모서리 장홀과;
    각각의 모서리 장홀에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수평 개방부에는 수평판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측 수직 개방부에는 상기 수평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판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양측폭이 긴 다수의 위치조정장홀이 형성된 삽입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외면에 몸체부가 밀착되며, 몸체부의 일측에는 문틀에 회전되게 연결되는 힌지축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위치조정장홀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고정체와;
    상기 상,하부의 각각의 삽입 고정체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 내측 장착판과;
    상기 각각의 볼트 조립홀과 위치조정장홀에 관통되어 상기 힌지축 연결부의 돌출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탭홀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체는,
    상기 수평판의 타측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 개방부의 측단부에 용접 고정되어 수평판을 수평 개방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함에 따라 상기 도어 고정체를 수평 개방부의 내부로 함몰되게 위치시키는 측 돌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체의 수평판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폭이 긴 임시 위치조정장홀과;
    상기 내측 장착판에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의 중앙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임시고정탭홀과;
    상기 임시 위치조정장홀에 관통되어 임시 고정탭홀에 체결되는 임시고정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도어 고정체는,
    상기 임시고정장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 간섭방지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힌지장치.
KR1020120004279A 2012-01-13 2012-01-13 방화문의 힌지장치 Active KR10125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79A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2-01-13 방화문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79A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2-01-13 방화문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254B1 true KR101250254B1 (ko) 2013-04-03

Family

ID=4844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79A Active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2-01-13 방화문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8B1 (ko) * 2013-06-28 2014-12-12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용 문의 경첩 보강편 및 그 경첩 보강편이 조립된 방화문용 문
KR101791189B1 (ko) 2016-06-08 2017-10-27 주식회사 한국방화문 방화문
KR20170138850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한국방화문 방화문용 힌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00Y1 (ko) 1998-11-02 2002-11-22 조현식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KR100608465B1 (ko) 2005-06-25 2006-08-02 김영석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KR100800172B1 (ko) 2006-09-05 2008-01-31 김봉명 방화문
KR20090111237A (ko) * 2008-04-21 2009-10-26 김지명 방화문의 도어고정판 지지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00Y1 (ko) 1998-11-02 2002-11-22 조현식 피봇부의이송이가능한방화문
KR100608465B1 (ko) 2005-06-25 2006-08-02 김영석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KR100800172B1 (ko) 2006-09-05 2008-01-31 김봉명 방화문
KR20090111237A (ko) * 2008-04-21 2009-10-26 김지명 방화문의 도어고정판 지지용 스페이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8B1 (ko) * 2013-06-28 2014-12-12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용 문의 경첩 보강편 및 그 경첩 보강편이 조립된 방화문용 문
KR101791189B1 (ko) 2016-06-08 2017-10-27 주식회사 한국방화문 방화문
KR20170138850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한국방화문 방화문용 힌지
KR101863800B1 (ko) 2016-06-08 2018-06-01 주식회사 한국방화문 방화문용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JP2013522504A (ja) 隠蔽型ドアのヒンジ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KR101250254B1 (ko) 방화문의 힌지장치
KR20170133023A (ko) 코너 브라켓
JP5772664B2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KR20120115879A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451130Y1 (ko) 창틀 및 문틀 고정용 브래킷
US20090173022A1 (en) Aluminum door and window structure allowing curtains to be joined thereon
JP3178601U (ja) 間仕切板の取付金具
JP6411861B2 (ja) 方立の支持構造と方立
KR20110019231A (ko) 문틀 결합구조
JP7091126B2 (ja) 建物用ドアユニット及びパネルユニット
KR20090009734U (ko) 선반 고정장치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JP2017043902A (ja) 開閉体収容ケース、及び、開閉体収容ケースの取付方法
JP4611897B2 (ja) 化粧材の取付部材及び取付方法
ITPD20070392A1 (it) Armadio da incasso perfezionato
KR20140004646U (ko) 창틀용 지지 브라켓
JP7199316B2 (ja) 枠体の取付構造及び枠体の取付方法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0562863B1 (ko) 건축물의 창문틀 받침판 구조
JP7448432B2 (ja) ふかし枠取付構造および建具
KR100966173B1 (ko) 공동주택용 조립형 분전박스
JP2005061131A (ja) 引き戸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