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9270B1 -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미디어 분리기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미디어 분리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70B1
KR101249270B1 KR1020060042364A KR20060042364A KR101249270B1 KR 101249270 B1 KR101249270 B1 KR 101249270B1 KR 1020060042364 A KR1020060042364 A KR 1020060042364A KR 20060042364 A KR20060042364 A KR 20060042364A KR 101249270 B1 KR101249270 B1 KR 10124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separation pad
nip
fri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230A (ko
Inventor
나다니엘 디. 긴즈턴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3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 B65H2404/531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 coefficient of friction
    • B65H2404/5311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처리 시스템의 공급 경로에서 닙을 형성하기 위해 미디어 픽과 협력하는 미디어 분리기는 편향력에 대하여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방향으로 미디어 분리기에 대해 이동하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을 포함하는 분리 패드를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마찰 영역은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저지 및 제어하고,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닙을 통해 한번에 하나씩 공급하기 위하여 편향력에 의해 결정되는 저지/분리력으로 닙을 통과하는 미디어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미디어 분리기, 분리 패드, 브라켓, 제1마찰 영역, 제2마찰 영역

Description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 미디어 분리기 장치{DUAL FRICTION REGION SEPARATION PAD, AND MEDIA SEPARATOR AND MEDIA SEPARATOR MECHANISM USING SAME}
도1 및 도2는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로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분리 패드를 지지하는 미디어 분리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1은 분리 패드의 제1마찰 영역은 노출되며 상기 분리 패드의 제2마찰 영역은 미디어 분리기의 웹 연장부에 의해 차폐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는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분리 패드의 제1마찰 영역은 노출되며 상기 분리 패드의 제2마찰 영역도 노출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는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의 지지 구조의 일실시예로서,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를 나타낸 후방 분해사시도.
도4는 제1위치에 배치조립된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의 지지 구조로서, 도3의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5는 제2위치에 배치된 지지 구조로서, 도3 및 도4의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를 도4의 화살표 5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낸 단부 사시도.
도6은 제1위치에 배치된 지지 구조로서, 도3 및 도4의 미디어 분리기와 분리 패드를 도4의 6-6라인에 따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7은 분리 패드가 제1위치에 배치되며 미디어 픽과 협력하는 도3 내지 도6의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의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분리 패드가 제2위치에 배치되는 도7의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미디어 분리기 12: 브라켓
14: 분리 패드 16: 제1마찰 영역
18: 제2마찰 영역 26: 텅 영역
본 발명은 미디어의 시트(sheet)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을 포함하는 분리 패드와 상기 미디어 분리기(media separator)에 의해 형성된 닙(nip)을 통해 미디어 분리기에 대해 시트 공급방향으로 이동하는 분리 패드를 지지하는 미디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마찰 영역은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저지 및 제어하기 위하여, 그리고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닙을 통해 차 례로 하나의 시트씩 공급하기 위하여 편향력에 의해 결정된 저지/분리력으로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의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픽(media pick),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를 포함하는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타입을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 시스템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미디어 시트를 처리하는 소정의 장치에서 유용할 수 있다.
미디어 처리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다. 그 예로는 리더기, 스캐너, 프린터, 복사기, 팩스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미디어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물리적 특징을 가진 다양한 미디어를 처리한다. 종이 미디어의 예로는 가벼운 용지, 표준용지, 본드지, 카드스탁지(card stock), 광택지, 및 봉투 등을 포함한다. 다른 미디어의 예로는 투명지, 필름, 및 라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미디어는 강도, 두께, 및 표면마찰계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리적 특징 또는 특성을 가지며,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할 수 있다. 시스템 설계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물리적 특징을 수용하는 미디어 처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미디어 분리기는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분리기는 미디어 처리 장치의 공급 경로에 닙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디어 픽과 협력하고, 상기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분리기와 미디어 픽은 미디어 트레이에 적재된 미디어에서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공급하고 동시에 하나의 시트를 고르기 위한 미디어 픽과 분리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미디어 픽은 일반적으로 공급 경로에서 닙을 통해 닙 안으로 미디어 시트의 상면을 마찰에 의해 결합시키며 미디어 시트를 구동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미디어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하면을 마찰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나 장치이다. 공급 동작 동안,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충분히 제어하기 위하여 미디어 픽과 접촉하는 미디어 시트에 저지/분리력을 가하고;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닙안으로 동시에 공급되는 북수의 미디어 시트를 충분히 분리하며 한번에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공급하기 위하여 미디어 픽과 접촉하는 미디어 시트와 다른 미디어 시트에 저지/분리력을 가한다.
종래의 미디어 분리기는 두 형태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제1형태에서,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마찰면을 포함하는 고정 접촉면 또는 상기 미디어 픽과 대향하는 분리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은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저지 및 제어하기 위하여 닙에서 각 미디어 시트를 마찰적으로 결합시킨다. 제2형태에서,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회전면을 갖는 저지 롤러 또는 상기 미디어 픽과 대향하는 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저지 롤러는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저지 및 제어하기 위하여 역편향 토크에 대하여 닙을 통해 회전시킨다. 상기 저지 롤러는 미디어 픽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구동(능동) 또는 피구동(수동)될 수 있다.
단순화된 미디어 픽과 분리 시스템의 설계 기준은 다음의 예로 설명한다. 상기 미디어의 상부 시트를 닙을 통해 전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디어 픽은 미디어 분리기의 저지/분리력(Fret/sep)보다 큰 구동력(Fdrive)을 발생시켜야 한다. 닙을 통해 복수 시트의 동시 공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각 미디어 시트 사이의 잠재 마찰력(Fsheet-sheet)보다 큰 미디어 하부 시트상에서 저지/분리력(Fret/sep)을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되어야 한다.
Fdrive > Fret / sep > Fsheet - sheet (1)
구동력 Fdrive은 상기 닙력(Fnip)과 미디어 시트상의 미디어 픽의 마찰계수(μpick-media)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며, 상기 미디어 시트에서 다음과 같다:
Fdrive = Fnip x μpick - media (2)
상기 미디어 픽으로 이용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는 이용가능한 구동력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재료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우레탄, 및 라텍스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픽의 마찰계수용의 통상적인 값은 대략 2.0이다. 그러나, 오염 및 마모에 의해 이 값은 1.5 또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러한 적용에서 이용되는 마찰계수 값(μ)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에 따라 결정된 값을 참조한다. 당업자는 마찰계수가 탐지방법 및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상기 시트와 시트의 마찰력(Fsheet - sheet)은 닙력(Fnip)과 미디어 시트 사이에서의 마찰계수(μsheet - sheet)에 의존하고, 이는 다음과 같다:
Fsheet - sheet = Fnip x μsheet - sheet (3)
시스템 설계자는 시트와 시트의 마찰력 이상으로 제어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 이용자는 각각의 적용을 위한 미디어를 선택한다. 사무 미디어의 표준 마찰계수는 약 0.5이다. 그러나, 미디어 코팅, 정적인 부담 증가, 및 다른 요인에 의해 이 값은 1.0 또는 그 이상으로 효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시스템 설계자는 두 한계, 즉 구동력과 시트와 시트의 마찰력 사이의 윈도우 내에 적절한 저지/분리력을 발생시키며 닙안으로 동시에 공급되는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신뢰성 있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미디어 분리기를 설계해야 한다. 상기 저지/분리력이 마찰 구동력에 가까운 경우, 그 때의 미디어 픽은 에러/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저지/분리력이 시트와 시트의 마찰력에 가까운 경우, 그 때 복수의 시트 픽은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저지/분리력에 대한 구동력의 최적 관계는 각 미디어마다 다르고, 수용가능한 셋팅 사이의 겹치는 부분은 작을 수 있다.
분리 패드는 값싸며 컴팩트한 미디어 분리기이다. 일반적인 분리 패드는 미디어 픽으로 닙을 형성하는 정적 마찰면을 이용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상기 저지/분리력(Fret/sep)은 닙력(Fnip)과 미디어와 분리 패드의 마찰계수(μpad-media)에 직접적으로 관계되고, 이는 다음과 같다:
Fret / sep = Fnip x μpad - media (4)
이러한 분리 패드 장치에서, 상기 닙력은 각 구동력, 저지/분리력, 및 시트와 시트의 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분리 패드 장치가 많은 적용에 있어서 유용성이 있을지라도, 시스템 설계자가 잘 조작할 수 있는 분리력에 별개의 가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분리 패드의 마찰계수라는 점에서 상기 분리 패드 장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이러한 장치는 수용가능한 마찰계수의 협소한 윈도우를 제공한다. 시스템 설계자는 표준적인 시스템 형성을 위한 분리 패드용 재료를 찾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마모 및 오염은 시간에 따라 재료의 마찰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시스템 성능은 감소하거나 또는 시스템이 파손될 수 있다.
저지 롤러(retard roller)는 보다 신뢰가능한 미디어 분리기이다. 저지 롤러는 일반적으로 닙을 형성하는 미디어 픽과 협력하는 롤러이고, 공지된 소정의 토크양(Tretard)에 의해 미디어 픽/미디어 시트에 대한 변환을 저지한다. 이러한 장치는 설계자에게 저지/분리력을 조정하는 추가적인 값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장치에서의 저지/분리력(Fret/sep)은 하기 식 (5) 및 (6)중에서 적은 쪽과 같다:
Fret / sep = Tretard / rroller (5)
Fret / sep = Fnip x μroller - media (6)
여기에서, rroller는 저지 롤러의 반경이고, μroller - media는 저지 롤러와 미디어 시트 사이의 마찰계수이다.
시스템 설계자는 제1식을 적용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저지 롤러 재료를 이용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지/분리력(Fret/ sep)과 닙력은 별개이며, 시스템 설계자는 미디어 픽 구동력과 저지/분리력을 별개로 조작할 수 있다.
비록, 저지 롤러 장치가 많은 적용에 있어서 유용성이 있을지라도, 구동 모터, 제어기, 및 클러치 장치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며, 추가적인 공간, 기술적인 유지보수, 및 비용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상기 저지 롤러 장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분리 패드 및 저지 롤러를 이용하는 다양한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한번에 하나씩 용이하고 신뢰가능하게 분리 및 공급하는 개선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다른 마찰계수를 갖는 다른 타입의 미디어를 용이하고 신뢰가능하게 분리 및 공급하는 개선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디자인 면에서 간결하며 단순하고 저비용으로 이루어지는 개선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닙을 통한 복수의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한번에 하나의 시트씩 제어하는 미디어 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타입의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에 있어서 간결하며 단순하고 저비용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분리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분리 패드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분리기는 편향력에 대하여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로 편행력에 의해 결정되는 저지/분리력으로 제1 및 제2마찰 영역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미디어 분리기에 의해 형성되는 닙을 통해 공급방향으로 미디어 분리기에 대하여 이동하는 분리 패드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의 지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분리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리더기, 스캐너, 프린터,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미디어 처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일실시예는 제로그래픽 사(XerographicTM)의 프린팅/복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를 나타낸 전방사시도이고, 상기 분리 패드는 제1 및 제2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단순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미디어 분리기(10)는 브라켓(12) 및 분리 패드(14)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패드(14)는 제1마찰 영역(16) 및 제2마찰 영역(18)을 포함하는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제1마찰 영역(16)은 제2마찰 영역(18)보다 큰 마찰계수를 갖고, 상기 제2마찰 영역(18)은 공급방향(화살표 A 참조)에서 제1마찰 영역(16)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12)과 분리 패드(14)는 후술할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하는 요소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과 분리 패드(14)는 라이브(live)힌지를 갖는 하나의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작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편향력에 대해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도록 공급방향을 따라 브라켓(12)에 대하여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패드(14)는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브라켓(12)에 대하여 이동하는데, 상기 제1위치는 제1마찰 영역(16)이 나타나며(노출되며) 제2마찰 영역(18)은 브라켓(12)에 의해 차폐되는 위치이고(도1), 상기 제2위치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 모두가 나타나는 위치이다(도2). 보다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은 편향력 에 의해 결정되는 저지/분리력으로 미디어 분리기(10)에 의해 형성되는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선택적인 결합은 브라켓(12)에 대하여 공급방향을 따라 분리 패드(14)를 왕복 이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제어한다.
도1 및 도2, 도3 내지 도6, 도7 및 도8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12)은 L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12)은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 암(20)(예를 들어, 제1/우측 및 제2/좌측 브라켓 암(20R, 20L)), 웹(web)(22)(예를 들어, 제1 및 제2브라켓 암(20R, 20L) 사이의 연장), 및 상기 웹(22)의 선단부에서의 웹 연장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웹 연장부(24)는 보강 구조(25)(예를 들어, 상기 웹 연장부(24)의 높이/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세로방향 리브(25R, 25L))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웹 연장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텅(tongue) 영역(26) 및 조(jaw)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브라켓 암(20R, 20L)은 공통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브라켓(12)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 지지 조인트(28)(예를 들어, C자 형상의 베어링(28R, 28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은 미디어 시트를 처리하기에 적절한 소정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브라켓(12)은 플라스틱재,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PC/ABS 혼합물, 아세탈, 및 나일론등으로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2)의 구성은 간결하며, 상기 닙의 입구(후술할 도7 및 도8 참조)를 형성하는 미디어 픽과 협력하는 조 및 텅 영역(26)과 함께 미디어 픽으로 닙을 형성하는 분리 패드(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벼운 구조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를 나타낸 것이고, 편향력에 대하여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미디어 분리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3 내지 도6은 슬라이딩 장치 지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후방 분해사시도이고, 상기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슬라이딩 장치 지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제1위치에 배치조립되는 도3의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후방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3과 도4의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단부도와 부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3 내지 도6의 실시예에서, 상기 웹 연장부(24)는 브라켓(12)에 대하여 이동하는 분리 패드(14)를 지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장치 지지 구조는 웹 연장부(24)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브라켓(12)의 웹 연장부(24)에 대하여 이동하는 분리 패드(14)를 지지하는 가이드빔(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빔(30)과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 모두는 웹 연장부(24) 원위단의 조 및 텅 영역(26)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빔(30)은 웹(22)/웹 연장부(24)와 일체로 하나의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빔(30)은 세로방향 리브(25R, 25L)의 가로방향 연장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30)은 분리되게 형성 및 고정, 예를 들어 커넥터 또는 다른 일반적인 부착/고정수단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각 빔발(beam feet;32R, 32L)에서 리브(25R, 25L)에 분리 형성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자의 구성에서, 상기 빔(30)은 후술할 바와 같은 다양한 슬라이딩 지지 기능을 위한 적절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빔(30)은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30)은 브라켓(1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분리 패드(14)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빔(30)은 브라켓(1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분리 패드(14)를 지지하고 결합하는 제1가이드면(상측면)(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빔(30)은 분리 패드(14)를 포획하고 상기 가이드면(34)과 슬라이딩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향/쌍을 이루는 방식으로 분리 패드(14)의 보완유지 슬라이딩 면과 결합하는 제2가이드면(36)[예를 들어, 각 단부에서 빔(30)의 하면측에 위치되는 유지 가이드면(36R, 36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은 특별한 적용을 위해 추가적으로 협력하는 적절한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6, 도7 및 도8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상기 빔(30)은 닙력으로 닙을 향해 회전하는 브라켓(12)을 편향시키도록(총체적인 브라켓 편향수단; 아래의 도7 및 도8 참조) 수용하는 미디어 처리 시스템을 결합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40)을 수용하는 제1스프링 수용돌출부(38)를 포함한다. 상기 빔(30)은 닙에서 브라켓(12)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총체적인 브라켓 유지수단 또는 회전 멈춤수단; 아래의 도7 및 도8 참조) 수용하는 미디어 처리 시스템을 결합하기 위하여 빔(30)의 하측에 위치되는 유지멈춤쇠(42R, 42L) 같은 회전 멈춤돌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은 제1위치를 향하는 분리 패드(14)를 편향시키도록(총체적인 분리 패드 편향수단) 스프링 편향수단(46)(예를 들어, 인장스프링(46R, 46L))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2스프링 수용돌출부(44)(예를 들어, 웹 연장부(24)에 위치되는 스프링후크 수용돌출부(44R, 44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 수용돌출부(44)는 스프링 편향수단(46)(인장스프링(46R, 46L))의 스프링 편향(인장)력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스텝 노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및 도2, 도3 내지 도6, 도7 및 도8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다른 마찰계수를 갖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을 포함한다. 도1 내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 패드(14)는 다른 마찰계수를 가지며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패드(14)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 패드(52)를 수용하기 위하여 분리 패드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채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패드(14)와 마찰 패드(52)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예의 구성에서,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채널(50)과 마찰 패드(52)는 채널(50)내의 마찰 패드(52)를 용이하게 포획하기 위하여, 그리고 매끈한 굽은 접촉면(16, 18)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보완하는 굽은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구성(미도시)에서, 상기 채널(50)과 마찰 패드(52)는 마찰 패드(52)와 분리 패드(14)를 저비용으로 제조가 용이하도록 서로 보완하는 평탄면(예를 들어, 마찰 패드(52)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 패드(14)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2마찰 영역(18)은 이용되는 미디어에 따라 0.05에서 0.70의 마찰계수를 갖거나 또는 0.05에서 0.2의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찰 패드(52)는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EPDM, 우레탄, 라텍스, 폴리소프렌 등), 코르크 제품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혼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마찰 패드(52)는 이용되는 미디어에 따라 0.75에서 2.0의 마찰계수를 갖거나 또는 1.0에서 1.5의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 중의 적어도 하나는 분리 패드(14)의 상측면을 사용하는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조/절차를 사용하는 면의 예로는 세로방향 또는 측방향/가로방향 리지나 돌출부, 세로방향 또는 측방향/가로방향 홈이나 슬롯, 전진 또는 역 경사진 리지(ridge)나 홈, 및 요철면(dimple or knobbed surfa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패드는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서로 보완하는 적절한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6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분리 패드의 하측면, 슬라이딩면(54), 슬라이딩 멈춤부(56), 및 유지 슬라이딩수단(58)(예를 들어, 우측 및 좌측유지 슬라이딩 수단(58R, 58L))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각 유지 슬라이딩부재(58R, 58L)는 빔(30)의 가이드면(36R, 36L)을 결합하기 위한 각 가이드 종동부(60)(예를 들어, 우측 및 좌측 슬라이딩면(60R, 60L)), 및 각 편향 스프링(46R, 46L)을 수용하기 위한 편향 스프링 수용수단(62)(예를 들어, 슬롯(62R, 62L))을 포함한다.
도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 경우, 서로 보완하는 구조는 브라켓(12)과 분리 패드(14) 사이의 이동에 대하여 제어되도록 협력한다. 상기 슬라이딩면(54)과 유지 슬라이딩부재(58R, 58L)의 슬라이딩면(60R, 60L)은 제1가이드면(34)과 제2가이드면(36R, 36L)과 각각 결합하고, 이에 의하여 이들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해 가이드빔(30)을 포획한다. 각 편향스프링(46R, 46L)의 하나의 후크는 각 돌출부(44R, 44L) 주위에 후크되고, 각 편향스프링(46R, 46L)의 다른 후크는 유지 슬라이딩부재(58R, 58L)의 각 슬롯(62R, 62L)을 통해 후크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편향력에 대하여 브라켓(12)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빔(30)에 지지되고; 즉, 상기 분리 패드(14)는 편향스프링(46R, 46L)의 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제1위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편향된다. 상기 분리 패드(14)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분리 패드의 과도한 회전을 닙을 통해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멈춤부(56)는 웹 연장부(24) 또는 빔(30)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 편향스프링(40)은 돌출부(38)를 포획하고, 상기 미디어 분리기의 닙력에 대응하는 압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돌출부에 지지된다.
도5 및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슬라이딩 장치의 세부 및 특징을 추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도4의 화살표 5에서 본 경우의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단부로서, 제2위치에서 슬라이딩 장치 및 편향수단의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도4의 6-6라인에 따라 나타낸 미디어 분리기 및 분리 패드의 부분단면도이고, 제1위치에서 슬라이딩 장치 및 편향수단의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장치는 분리 패드(14)의 제1마찰 영역(16) 및 제2마찰 영역(18)을 선택적으로 나타낸다. 도4 내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 패드(14)가 제1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마찰 영역(16)(마찰 패드(52))은 웹 연장부(24)의 조 및 텅 영역(26)에 대하여 나타나고/노출되고, 상기 제2마찰 영역(18)은 웹 연장부(24)의 조 및 텅 영역(26)에 의하여 차폐된다. 도5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상기 분리 패드(14)가 제2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제1마찰 영역(16)(마찰 패드(52)) 및 제2마찰 영역(18) 모두는 웹 연장부(24)의 조 및 텅 영역(26)에 대하여 나타나고/노출된다.
도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빔(30)의 가이드면(34) 및 분리 패드(14)의 슬라이딩면(54)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매끄러운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보완하는 면 구성(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3 내지 도6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면(34) 및 슬라이딩면(54)은 서로 보완하는 커브(굽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리 패드(14)(제1 및 제2마찰 영역(16, 18)을 포함)의 접촉면과 상기 미디어 분리기(10)에 의해 형성되는 닙을 통과하는 미디어 시트 사이에서 대략적인 접촉 일치점 및/또는 접촉범위가 제공 및 유지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면(34) 및 슬라이딩면(54)은 굽은 커브(C)(예를 들어, 40°+/- 5°) 및 반경(R)(예를 들어, 9.5 +/- 0.1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가이드면(36) 및 제2슬라이딩면(60)은 상기 가이드빔(30)과 매끄러운 슬라이딩 접촉으로 분리 패드(14)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면(34) 및 슬라이딩면(54)과 협력하는 서로 보완하는 구성(예를 들어, 커브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분리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닙을 형성하기 위해 미디어 픽(64)(예를 들어, 일반적인 D자 형상의 픽 롤러)과 협력하는 도3 내지 도6의 미디어 분리기(10) 및 분리 패드(14)를 포함한다. 도7은 분리 패드가 제1위 치에 있는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8은 분리 패드가 제2위치에 있는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7 및 도8은 픽 사이클 동안에 미디어 시트,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픽(64)은 회전하고, 트레이(66)의 미디어 스택(MS)으로부터 미디어 시트(S)를 고르고, 상기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를 제로그래픽사의 프린팅/복사 장치와 같은 미디어 처리 시스템의 공급 경로(68)로 공급한다. 상기 미디어 분리기(10)는 시스템 하우징(H)의 공통적인 축/액슬에 대하여 피벗 이동하도록 피벗 지지 조인트(28R. 28L)에서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12)의 편향스프링(40)은 닙에서 미디어 픽(64)과 분리 패드(14)를 닙력(Fnip)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시스템 하우징(H)의 일부분(도번 없음; 단면으로 도시함)과 결합한다. 상기 미디어 픽이 잼처리를 위한 경우처럼 제거되는 경우에 닙에서 미디어 분리기(10) 및 분리 패드(14)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유지멈춤쇠(42)는 미디어 처리 시스템 하우징(H)의 멈춤면(도번 없음; 단면으로 도시함)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픽 사이클 동안에 상기 미디어 픽(64)은 미디어 픽(64)과 미디어 분리기(10) 사이에 형성되는 닙을 통해서 미디어 시트(S)와 마찰력으로 결합 및 미디어 시트를 당기거나/구동시킨다.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각 미디어 시트(S)는 웹 연장부(24)의 조 및 텅 영역(26)과 결합하고,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 52)과 결합하도록 닙에서 가이드된다(도 7). 상기 미디어 시트(S)는 미디어 시트(S)의 공급방향(A)으로 브라켓(12)의 빔(3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분리 패드(14)를 충분히 구동시키기 위하여 마찰력으로 분리 패드(14)의 높은 마찰 영역(16, 52)과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시트(S)는 편향스프링(46R, 46L)의 편향력(스프링 편향력)에 대하여 작동하고, 분리 패드(14)를 제2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도8).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분리 패드(14)는 픽 사이클을 통해서 편향스프링(46R, 46L)의 편향력과 동등하도록 미디어 시트에 대하여 저지/분리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의 이중 마찰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용 표준 형성은 저지 롤러와 유사하다.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와 분리 패드와 접촉하는 사이의 저지/분리력(Fret/sep)은 다음의 (7) 또는 (8)중에서 적은 쪽과 같다.
Fret / sep = Fspringbias (7)
또는
Fret / sep = Fnip x μpad - media (8)
여기에서, Fspringbias은 스프링 편향수단(46)(인장스프링(46R, 46L))의 스프링 편향력이고, μpad - media은 높은 마찰 영역(16)과 미디어 시트 사이의 마찰계수이다. 저지 롤러의 경우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서의 설계자는 제1식에 충분히 높게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패드의 제1마찰 영역(16)의 마찰계수(μpad - media)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Fret / sep은 Fnip과 별개이고, 설계자는 최대 성능을 위해 구동력 및 분리력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적절하게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편향력(저지 스프링력)은 제1(높은)마찰 영역과 미디어 시트 사이의 잠재 마찰력(μhfr - media)보다 작게 셋팅하고, 제2(낮은)마찰 영역과 미디어 시트 사이의 잠재 마찰력(μlfr - media)보다 크게 셋팅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Fnip x μhfr - media > Fspringbias > Fnip x μlfr - media (9)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분리 패드는 자기 조정(self-adjust)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골라진 시트는 제1(높은)마찰 영역과 제2(낮은)마찰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분리 패드는 픽 사이클 동안에 저지스프링의 편향력과 동등하도록 항상 미디어 시트에 저지/분리력을 가할 것이다. 상기 편향력(저지 스프링력)은 닙에서 동시에 공급되는 다수의 미디어 시트가 충분히 분리되도록 셋팅되지만, 상기 미디어 시트의 구동력 하에서 닙을 통과하는 하나의 미디어 시트를 허용할 만큼 충분하지는 않다. 이러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닙력(Fnip)은 2.0에서 3.0 newtons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저지/분리력(Fret/sep)은 2.0에서 3.0 newton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분리기 장치의 동작은 다음의 몇가지 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경우에서, 하나의 미디어 시트(S)는 미디어 픽(64)과 미디어 시트(S) 사이의 마찰력(Fpick-sheet)과 동등한 구동력(Fdrive)으로 닙에서 미디어 픽(64)에 의해 공급된다. 초기의 미디어 시트(S)는 저지/분리력(Fret/sep)(스프링의 편향력(46R, 46L)과 동등)을 충분히 극복하기 위한 마찰력(Fpad-sheet)으로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접촉할 것이고, 이에 의하여 상기 분리 패드(14)는 공급방향(A)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닙을 통해서 미디어 픽(64)에 의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S)는 미디어 시트(S)의 하측면이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 및 제2(낮은)마찰 영역(18)과 연결될 때까지 상기 분리 패드(14)를 전방으로 계속 구동시킬 것이다. 그때 상기 미디어 시트(S)는 닙을 통해 전진할 때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제2(낮은)마찰 영역(18)의 결합위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계속될 것이다.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은 미디어 시트(S)의 후방 단부가 닙을 통과할 때까지 미디어 시트(S)에 저지/분리력(Fret/sep)(스프링의 편향력(46R, 46L)과 동등)을 계속 가할 것이다. 상기 미디어 시트(S)의 후방 가장자리가 닙에서 멀어지는 경우, 더 이상 마찰력(Fpad-sheet)은 분리 패드(14)를 공급방향(A)으로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분리 패드(14)는 새로운 픽 사이클(pick cycle)을 위한 준비를 위해 제1위치로 재차 슬라이딩할 것이다.
제2경우에서, 두개의 미디어 시트는 미디어 픽(64)을 통해 닙에서 공급된다. 초기의 미디어 하측 시트(Sbot)의 하측면은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접촉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미디어 하측 시트(Sbot)를 위한 구동력(Fdbot)은 미디어 시트 사이의 마찰력(Fsheet-sheet)이다. 상기 마찰력(Fsheet-sheet)은 저지/분리력(Fret/sep)(스프링의 편향력(46R, 46L)과 동등)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하측 시트(Sbot)는 제1(높은)마찰 영역(16)에서 멈출 것이다. 상기 미디어 픽(64)과 접촉하는 미디어 상측 시트(Stop)는 미디어 픽(64)과 미디어 상측 시트(Stop) 사이의 마찰력(Fpick-sheet)과 동등한 구동력(Fdbot)으로 닙을 통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Stop)는 계속적으로 닙을 통과하고, 저지/분리력(Fret/sep)을 충분히 극복하기 위한 마찰력(Fpad-sheet)으로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접촉하고; 그때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Stop)는 미디어 상측 시트(Stop)의 하측면이 제1(높은)마찰 영역(16) 및 미디어 하측 시트(Sbot)와 연결되는 제2위치를 향해 공급방향으로 분리 패드(14)를 구동시킬 것이다. 그 때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Stop)는 닙을 통해 전진할 때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미디어 하측 시트(Sbot)의 과도한 결합위로 슬라이딩될 것이다.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은 미디어 상측 시트(Stop)의 후방 단부가 닙을 통과할 때까지 미디어 상측 시트(Stop)에 저지/분리력(Fret/sep)(스프링의 편향력(46R, 46L)과 동등)을 계속 가할 것이다.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Stop)의 후방 가장자리가 닙에서 멀어지는 경우, 더 이상 마찰력(Fpad-sheet)은 분리 패드(14)를 공급방향(A)으로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분리 패드(14)는 새로운 픽 사이클을 위한 준비를 위해 이동의 한계 내에서 닙 외에서 미디어 하측 시트(Sbot)를 밀고, 제1위치로 재차 슬라이딩할 것이다.
두개의 미디어 시트 이상인 경우는 닙에서 마찰 구동력에 의해 공급되고, 동작은 대략 두개의 시트와 유사하다. 상기 마찰력에 의한 미디어 픽(64)은 닙의 입구에서 미디어 상측 시트를 당기고;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는 웹 연장부(24)의 조 및 텅 영역(26)과 결합하며 닙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는 닙을 통해 미디어 상측 시트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마찰력으로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결합한다. 상기 마찰력(Fsheet-sheet)에 의한 미디어 상측 시트는 닙의 입구에서 인접한 다음 미디어 시트(제2시트)를 차례로 당기고; 상기 미디어의 제2시트는 조 및 텅 영역(26)과 결합하며 닙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미디어 제2시트는 닙을 통해 제2시트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마찰력으로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결합한다. 시트와 시트의 마찰력에 의해 당겨지는 각 미디어 시트는 유사한 마찰력을 가하고 미디어 스택에서 미디어 시트를 연속적으로 당긴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미디어 픽(64)은 닙의 입구에서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당기고,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과 마찰 결합으로 복수의 미디어 시트를 당긴다. 상기 미디어 픽과 접촉하는 미디어 상측 시트의 구동력은 분리 패드(14)의 저지/분리력에 대해 닙을 통해서 미디어 상측 시트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상기 분리 패드(14)의 제1(높은)마찰 영역(16)의 저지/분리력은 미디어 픽(64)과 접촉하는 미디어 시트와 다른 각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저지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미디어 상측 시트의 가로방향 가장자리가 닙에서 멀어지는 경우, 더 이상 마찰력(Fpick-sheet)은 분리 패드를 공급방향(A)으로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분리 패드는 새로운 픽 사이클을 위한 준비를 위해 이동의 한계 내에서 닙 으로부터 남아 있는 복수의 미디어 시트 각각을 밀고, 제1위치로 재차 슬라이딩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중 마찰 영역을 갖는 분리 패드를 설명하였다. 상기 분리 패드는 복수 마찰 영역의 각각이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마찰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편향력에 의해 결정되는 저지/분리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마찰 영역을 포함하는 분리 패드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는 다양하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일반적인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 이상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미디어 분리기, 및 미디어 분리기 장치에서, 상기 저지/분리력은, 예를 들어 저지 스프링력 및 비율(편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쉽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는 일반적인 미디어 분리기보다 보다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수명은 연장되는데, 이는 상기 분리력이 분리 패드의 마찰계수에 덜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의 형성은 보다 간결하게 이루어지고, 일반적인 저지 롤러보다 적은 부품을 가지면서도 유사한 분리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 및 미디어 분리기는 일반적인 분리 패드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서 재설치나 개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패드/미디어 분리기의 비용은 일반적인 분리 패드와 유사하고, 그 성능은 저지 롤러와 유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닙을 통해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닙을 통한 복수의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한번에 하나의 시트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타입의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에 있어서 간결하며 단순하고 저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공급 경로에서 닙을 형성하기 위해 미디어 픽과 협력하고, 닙을 통해 공급방향으로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미디어 분리기용 분리 패드로서:
    상기 닙을 형성하는 분리 패드의 접촉면상의 제1마찰 영역으로서,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제1마찰계수를 갖는 제1마찰 영역;
    상기 닙을 형성하는 상기 분리 패드의 상기 접촉면상의 제2마찰 영역으로서, 공급방향으로 상기 제1마찰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찰계수보다 작은 제2마찰계수를 가지는 상기 제2마찰 영역; 및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공급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닙 안의 상기 분리패드를 지지하는 상기 브라켓으로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가 상기 제1마찰 영역과 마찰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분리패드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공급방향으로 상기 분리패드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가 상기 제1마찰 영역 및 제2마찰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분리패드가 편향력과 동등한 저지/분리력으로 상기 닙을 통해 공급되는 미디어 시트와 마찰에 의해 결합하는 위치이며,
    상기 분리패드는 상기 분리패드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마찰 영역이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미디어 시트로부터 차폐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moun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분리 패드.
KR1020060042364A 2005-05-13 2006-05-11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미디어 분리기 장치 KR101249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28,241 US7401774B2 (en) 2005-05-13 2005-05-13 Dual friction region separation pad, and media separator and media separator mechanism using same
US11/128,241 200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30A KR20060117230A (ko) 2006-11-16
KR101249270B1 true KR101249270B1 (ko) 2013-04-01

Family

ID=3682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364A KR101249270B1 (ko) 2005-05-13 2006-05-11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미디어 분리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1774B2 (ko)
EP (1) EP1721846B1 (ko)
JP (1) JP2006315863A (ko)
KR (1) KR101249270B1 (ko)
DE (1) DE60200601902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7158B2 (en) * 2004-05-14 2008-08-05 Seiko Epson Corporation Sheet feeding device with variable faced roller and integrated sheet guides
US20060255528A1 (en) * 2005-05-13 2006-11-16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separating/conveying mechanism and sheet conveying apparatus therewith
KR100636246B1 (ko) * 2005-09-06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의 중송이 방지되는 급지장치
JP2007137559A (ja) * 2005-11-16 2007-06-07 Ricoh Co Ltd 給紙装置
JP2008120577A (ja) * 2006-11-15 2008-05-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308314A (ja) * 2007-06-18 2008-12-2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7866658B2 (en) * 2007-09-24 2011-0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ick system and method
US7806398B2 (en) * 2007-10-03 2010-10-05 Pitney Bowes Inc. Ingestion guide assembly for augmenting sheet material separation in a singulating apparatus
JP5089468B2 (ja) * 2008-04-09 2012-12-05 株式会社Pfu 給送装置
US20090256307A1 (en) * 2008-04-15 2009-10-15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Sheet separating mechanism of an auto sheet feeder and auto sheet feeder incorporating the same
JP4752873B2 (ja) 2008-06-20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さらに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5484017B2 (ja) * 2009-11-27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62558B2 (ja) * 2009-12-28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
JP5505788B2 (ja) * 2010-03-24 2014-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59670B2 (ja) * 2010-10-05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79979B2 (ja) * 2011-11-30 2016-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分離片ユニット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
JP5372190B2 (ja) * 2012-03-01 2013-12-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分離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9573779B2 (en) * 2014-02-19 2017-02-21 Canon Kabushiki Kaisha Feed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6079684B2 (ja) * 2014-03-31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6695763B2 (ja) * 2015-10-14 2020-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549937B2 (en) 2016-01-29 2020-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including sepa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4935A (ja) 1982-06-18 1983-12-27 Ricoh Co Ltd 用紙の重送防止装置
JPH08282868A (ja) * 1995-04-18 1996-10-29 Tohoku Ricoh Co Ltd 給紙分離装置
JPH11349167A (ja) 1998-06-08 1999-12-21 Fuji Xerox Co Ltd シート材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206A (fr) 1972-02-11 1973-08-09 Xerox Corp Alimentation en feuilles d'appareils xerographiques
GB1460345A (en) * 1974-01-24 1977-01-06 Gestetner Ltd Inclined paper feed
US4397542A (en) * 1982-03-03 1983-08-09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envelope printing
US5163668A (en) * 1991-08-29 1992-11-17 Xerox Corporation Retard pad assembly with movable compliant entrance guide
JPH069089A (ja) 1992-06-29 1994-01-18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2571311Y2 (ja) 1992-09-24 1998-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US5435538A (en) 1994-01-03 1995-07-25 Xerox Corporation Retard roll with integral torque limiting slip clutch with reversing bias
JP3448097B2 (ja) * 1994-05-19 2003-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3354362B2 (ja) * 1995-11-02 2002-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3618659B2 (ja) * 2000-11-08 2005-02-09 ニスカ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における原稿シートの分離構造
US6880822B2 (en) * 2001-08-28 2005-04-19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edge of a recording material in the recording apparatus
JP3669437B2 (ja) * 2002-07-19 2005-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の給紙装置を搭載した印字装置
JP3908991B2 (ja) * 2002-07-23 2007-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3736528B2 (ja) * 2002-12-27 2006-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4935A (ja) 1982-06-18 1983-12-27 Ricoh Co Ltd 用紙の重送防止装置
JPH08282868A (ja) * 1995-04-18 1996-10-29 Tohoku Ricoh Co Ltd 給紙分離装置
JPH11349167A (ja) 1998-06-08 1999-12-21 Fuji Xerox Co Ltd シート材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5526A1 (en) 2006-11-16
DE602006019022D1 (de) 2011-02-03
KR20060117230A (ko) 2006-11-16
US7401774B2 (en) 2008-07-22
EP1721846B1 (en) 2010-12-22
EP1721846A3 (en) 2007-06-13
EP1721846A2 (en) 2006-11-15
JP2006315863A (ja)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270B1 (ko) 이중 마찰 영역 분리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미디어 분리기와미디어 분리기 장치
JP4997170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201508A (en) Self-adjusting closed-loop friction feeder
US20070108696A1 (en) Sheet feeder capable of reducing multi feed
EP0704395B1 (en) Sheet feeder
EP0786426A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US20140197591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8241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nd effectively performing sheet feeding using a sheet feed roller and a tilt member
US6170817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3908728B2 (ja) 用紙搬送装置
US9850083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590824B1 (en) Paper pick-up systems for printers
JP7039944B2 (ja) 媒体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
JP3668003B2 (ja) 給紙装置
US694552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405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37077B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46912B2 (en) Recording media separat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US5441250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2003026347A (ja) 原稿自動分離装置
US5503385A (en) Paper feeding cassette
JP3833451B2 (ja) 原稿自動分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069272A (zh) 片材输送设备和施压构件
CN110467020A (zh) 片材输送装置和图像形成设备
JPH04251048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