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150B1 -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Google Patents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9150B1 KR101249150B1 KR1020090097098A KR20090097098A KR101249150B1 KR 101249150 B1 KR101249150 B1 KR 101249150B1 KR 1020090097098 A KR1020090097098 A KR 1020090097098A KR 20090097098 A KR20090097098 A KR 20090097098A KR 101249150 B1 KR101249150 B1 KR 101249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window
- locking
- rotation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키고, 창호의 개방 시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본체부의 구동모터를 역구동시키더라도 후크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 locked state when the window is made of a window frame and a window that is slidably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nd maintains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so that the window can be opened by unlocking the window. A window lock digital lock device, comprising: a locking unit assembly of a window lock digital lock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hook from rotating even when the driving motor of the main body is reversed by unknowing or malfunction. will be.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striker)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된 후크 걸림홈을 포함하고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 및 상기 잠금수단의 후크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후크의 회동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후크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 striker (striker) and the hook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riker and the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window engaged with the locking means; Anti-rotation means for fix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nd a hook stopper part for interlocking with the hook rotation of the locking means to fix or release the rotation state of the hook.
창호, 디지털, 잠금장치, 스트라이커, 후크 Windows, digital, locks, strikers, hook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키고, 창호의 개방 시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본체부의 구동모터를 역구동시키더라도 후크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lock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and in particular,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locked state when the window is made of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lidably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and lock when the window is opened. In the digital lock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in which the state is released and the windows can be opened, windows for preventing the hook from rotating even when the driving motor of the main body is reversed by unknowing or malfunction. And a locking part assembly of a digital lock devic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이 있다.In general, the type of window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house window or living room may include a sliding window, a secretary window, a sliding window, a rotating window, a built-in window, a double window, and other special windows depending on the opening / closing method.
여기서,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Here, the double sliding window has a structure in which window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are opened / closed left and right.
이러한 미서기 창은 일반적으로 창문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내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외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Such a small window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consisting of 2 pairs, 4 pairs, etc., depending on the number of windows, when the pair is composed of two, usually the inner window is located close to the user side, the outer window is far away from the user side d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미서기 창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10)의 창틀(11)에 창문(30)이 설치되되, 상기 창문(30)은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내부 창문(36) 또는 외부 창문(31)을 개/폐하기 위한 창호용 핸들(37, 3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창호용 핸들(37, 32)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이 창틀(11)에 잠금/해제된다.As shown in FIG. 1, the small window having the structure and shap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미서기 창의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에는 통상 창호용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창틀에 창문을 닫은 후 상기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미서기 창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sliding therein are usually provided with a lock device for a window, and after closing the window to the window frame to operate the lock device for the window lock to set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서기 창을 잠금 상태로 설정할 경우, 실내 거주자의 외출 시 거주자가 실내의 모든 미서기 창을 닫은 후 별도로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거주자가 미서기 창을 닫은 후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키지 않고 외출을 할 경우,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retary window is set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occupant goes out, the occupant has to close all the secretary windows in the room and operate the lock for the window and door separately. If you go out without operating the lock device for the window lock after closing the US window,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ft accidents.
또한, 미서기 창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공간 및 틈새가 발생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소음이나, 미세 먼지 등이 실내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풍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lock window is not set in the closed state, a space and a gap are generated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so that noise, fine dust, etc. can b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as well as soundproofing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indbreak function is reduc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감지센서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window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sensor detects the closed state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window. Was proposed.
상기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는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locking)부; 및 상기 록킹부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동구동부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ndow lock digital locking device includes a locking means including a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a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window coupled to the locking means, and an anti-rotation means for fix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 And a main body unit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for driving the rotation preventing means of the lock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상기 록킹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미도시)에 구비되는 걸림수단(110)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미도시)을 잠그는 잠금수단(130)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상기 걸림수단(110)은 상기 창틀의 일측면에서 상기 잠금수단(130)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Striker, 111)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113)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110 includes a
상기 잠금수단(130)은 상기 창문의 외부에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창 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 가이드(hook guide)(131)와, 상기 후크 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hook)(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13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window is provided with a hook guide (hook guide 131)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window door, a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guide, the cen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hook) 135 made to be rotatable about the
이때, 상기 후크 가이드(131)는 일측면에 스프링(도면 부호 미도시)이 구비되고,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13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재부재(136)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132)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13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후크 가이드(1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상기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후크(135)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139)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수단(110)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되는 후크(135)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139)이 요입(凹入)형성된다.Here, the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은 상기 후크(135)의 하부에 위치하되, 후크의 회동 시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를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 스토퍼(stopper)(151)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153)와,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ti-rotation means 150 is located below the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151)는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이 맞닿는 그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15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일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155)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하여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이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은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크(135)와 후크 스토퍼(151)의 걸림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회동된 상태의 후크(135) 후측면을 지지하여 후크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은 후크 스토퍼(151)의 경사홈(152)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159)이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159)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159a)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해제편(159a)이 상기 경사홈(152)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후크(135)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151)를 해제한다.To this end, the
이때,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외면 양 단부에는 반원형상의 레일편(158)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일편(158)에 의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수직방향 이동이 마찰을 줄인 상태로서 부드럽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의 고정기어(15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고정 기어홈(157)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가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고정 기어홈(157)에 치합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록킹부(100)의 회전방지수단(150)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구동부(210)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전동구동부(210)는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에 연결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와,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되는 수동조절부(Knob, 214) 와, 상기 수동조절부(2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는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에 연결바(212)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haft
또한,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후면에는 수동구동 평기어(215)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는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치합되며, 이에 따라 수동조절부(214) 및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된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구동모터(217)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는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 시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치합되는 수동구동 평기어(215)가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에 따라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회전할 경우, 상기 수동조절부(214) 및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 하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회전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된다.When the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잠금 동작을 설명하면(이때, 창틀상에 창문이 개방된 상태임), 사용자가 상기 창문을 창틀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후크 가이드(131)가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으면서 창문의 내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explaining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window lock digital lock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window is open on the window frame), as the user slides the window toward the end of the window frame hook guide 131 )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while contacting the
이때, 상기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후크 스토퍼(151)의 단부가 상기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회동된 후크(135)를 고정시키면서 후크의 회동이 정지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hook stopper 151 for pressing the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 및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되면, 상기 해제편(159a)이 경사홈(15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151)를 후크(135)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회동시켜 후크(135)와 후크 스토퍼(151)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135)의 회전이 유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구동모터(217)의 역구동에 따라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 및 샤프트 기어(153)가 역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후크(135)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haft driving
한편, 상기 후크(135)의 회전 유발 과정에서 상기 후크 가이드(131)의 일측면에 구비된 스프링(도면 부호 미도시)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후크(135)의 회전 복귀 동작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러한 과정에서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7)를 역구동시키면,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15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크(135)의 회동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return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본체부의 구동모터가 역구동되더라도 후크 스토퍼부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회전 방지블럭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후크의 회동을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열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verse drive the motor of the main body by unknowing or malfunction in the course of using the window lock. Even if the hook stopper part is kept upright, the hook stopper part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prevent the hook from rotating while the anti-rotation block move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hook from rotating. It is to provide a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that can eliminate the phenomenon of opening.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라이커(striker)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된 후크 걸림홈을 포함하고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 및 상기 잠금수단의 후크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후크의 회동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후크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striker (striker), including a hook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riker and the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window engaged with the locking means; Anti-rotation means for fix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And a hook stopper portion for locking or releasing the pivoting state of the hook in conjunction with the hook rotation of the locking means.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 가이드와; 상기 후크 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 기 후크의 내면에는 돌출편이 일체로서 형성된다.The lock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guid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indow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terior of the window;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guide, and includes a hook to rotate around the hinge member provided in the center,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is formed as a protruding piece integrally.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 가이드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후크 가이드의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In this invention, a spring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k guide,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ear grooves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ok guide.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힌재부재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가 돌출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cking gears which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gear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inge member.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ok.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후크의 회동과 연동하여 후크의 회동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후크 스토퍼부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부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preventing means, the hook stopper portion for fixing or releas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hook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ook; A shaft gear configured to be rotatabl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aft gear comprises a rotation preventing block made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stopper portion.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부는,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에 연결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본체는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이 형성되고, 스토퍼 본체의 외면 일측에는 사각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 중앙에 상기 결합편과 연결되는 돌기가 일체로서 형성된다.The hook stopper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body; It includes a coupling piece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wherein the stopper body is formed with an inclined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edge, a groove portion of a square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the coupling piece in the center of the groove portion The projection connected with is formed as one body.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편은, 제 1결합편과; 상기 제 1결합편의 외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결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편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iece,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a second coupling piec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iece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passes.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은, 그 일측에 상기 스토퍼 본체의 경사홈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이 돌출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otation block, a sliding rail for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groove of the stopper body is formed on one side, the release piece protrudes on one end of the sliding rail.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외면 양 단부에는, 회전 방지블럭의 수직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레일편이 돌출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emicircular rail piec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nti-rotation block to smoothly move the anti-rotation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 기어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홈에 치합되는 고정기어가 다수개 돌출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gear, a plurality of fixed gears that ar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fixed gear grooves sequenti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nti-rotation block is formed protru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에 따르면,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본체부의 구동모터가 역구동되더라도 후크 스토퍼부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회전 방지블럭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후크의 회동을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열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king part assembly of the window lock digital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ook stopper even if the driving motor of the main body part is driven back by unknowing or malfunc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window lock digital lock device. Since the part maintains the upright state, the hook stopper par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rotation preventing block is mov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hook from rotating. Accordingly, the window cannot be opened from the window frame. The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locking unit assembly of a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가 걸림수단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록킹부 조립체에 있어 서의 후크 스토퍼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ans,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stopper in the locking unit assembly shown in FIG. 7A to 7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the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400)는 창틀(미도시)에 구비되는 걸림수단(410)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미도시)을 잠그는 잠금수단(420)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430)을 포함한다.5 and 6, the locking
상기 걸림수단(410)은 창틀의 일측면에서 상기 잠금수단(420)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412)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414)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410 includes a
상기 잠금수단(420)은 상기 창문에 구비되되, 창문의 외부에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창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 가이드(422)와, 상기 후크 가이드(422)의 하부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424)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4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420 is provided in the window, the
이때, 상기 후크(426)의 내면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후크 스토퍼부(440)와 접촉하는 사각 형상의 돌출편(426a)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후크 가이드(422)는 일측면에 스프링(미도시, 도 2 참조)이 구비되고,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미도시, 도 2의 132 참조)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재부재(424)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42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후크 가이드(422)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후크(426)가 상기 힌지부재(42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When the
즉, 창문의 일측면에서 외부를 향하여 일정부분 노출된 후크 가이드(422)가 창문의 폐쇄 시 창틀의 스트라이커(412)에 맞닿으면서 창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후크(426)가 힌지부재(424)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크(426)가 상기 걸림수단(410)의 후크 걸림홈(414)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창문의 개방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후크 가이드(422)가 외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That is, when the
여기서, 상기 후크(426)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426b)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수단(410)의 후크 걸림홈(414)에 걸림결합되는 후크(426)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426b)이 요입(凹入)형성된다.Here, the locking
상기 회전방지수단(430)은 상기 후크(426)의 하부에 위치하되, 후크의 회동과 연동하여 후크(426)의 회동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후크 스토퍼(stopper)부(440)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432)와, 상기 샤프트 기어(4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4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ti-rotation means 430 is located below the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본체(442)와, 결합편(444)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본체(442)는 상기 후크(426)의 일측면이 맞닿는 그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442a)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상기 스토퍼 본체(442)의 외면 일측에는 사각 형상의 홈부(442b)가 형성되고, 이 홈부(442b) 중앙에 상기 결합편(444)과 연결되는 돌기(442c)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스토퍼 본체(442)의 일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미도시, 도 2의 155 참조)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스토퍼 본체(442)의 내측면이 상기 후크(426)의 일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상기 결합편(444)은 'ㄱ'자형 단면을 구비한 제 1결합편(444a)과, 상기 제 1결합편(444a)의 외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ㄴ'자형 단면을 구비한 제 2결합편(444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편(444a)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442c)가 관통되는 관통공(444a-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결합편(444a)은 상기 스토퍼 본체(442)의 돌기(442c)가 삽입된 후, 이 돌기가 관통공(444a-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돌기(442c) 선단부에 링(ring)(미도시)등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결합편(444)은 상기 스토퍼 본체(442)에 대해 상기 돌기(442c)를 축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돌기(442c)와 관통공(444a-1) 사이의 유역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gaging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은 상기 스토퍼 본체(442)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크(426)와 후크 스토퍼부(440)의 걸림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회동된 상태의 후크(426) 후측면을 지지하여 후크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은 스토퍼 본체(442)의 경사홈(442a)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434a)이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434a)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434b)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해제편(434b)이 상기 경사홈(442a)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후크(426)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부(440)를 해제한다.To this end, the
즉,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수직방향 이동 시 상기 해제편(434b)이 경사홈(442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크(426)의 걸림홈(426b)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부(440)를 후크(426)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회동시켜 후크(426)와 후크 스토퍼부(440)의 걸림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후크 스토퍼부(440)에 의한 후크(426)의 고정 및 지지를 해제시킨다.That is, the hook stopper part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ing
이때,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외면 양 단부에는 반원형상의 레일편(434c)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일편(434c)에 의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수직방향 이동이 마찰을 줄인 상태로서 부드럽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한편, 상기 샤프트 기어(432)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의 고정기어(432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고정 기어홈(미도시, 도 2의 157 참조)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432)의 고정기어(432a)가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고정 기어홈에 치합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ixed gears (432a)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샤프트 기어(432)가 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 기어(432)의 고정기어(432a)에 고정 기어홈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미설명 부호 450은 상기 후크 가이드(422), 후크(426), 샤프트 기어(432),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납되는 하우징이다.When the
이하, 첨부된 도면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a locking unit assembly of a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D.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410)에 대해 잠금수단(420) 및 회전방지수단(430)이 분리된 상태이며,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상기 후크(426)의 돌출편(426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locking means 420 and the rotation preventing means 430 are separated from the locking means 410, and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창틀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후크 가이드(422)가 걸림수단(410)의 스트라이커(412)에 맞닿으면서, 창문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후크 가이드(422)가 창문의 내부로 수평방향 이동됨과 동시에 후크 가이드(422)의 걸림 기어홈에 걸림기어(424a)로 치합되는 후크(426)가 힌지부재(42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slides the window toward the end of the window frame. At this time, while the
상기 창문을 계속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틀에 맞닿게 폐쇄시킬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412)에 맞닿은 후크 가이드(422)가 계속적으로 창문의 내부로 수평이동됨과 동시에 후크(426)가 힌지부재(424)를 중심으로 계속적으로 회동되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26)가 후크 걸림홈(414)에 걸림결합되며,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하우징(450)의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When the window is slid continuously to close the window frame, the
이때, 전술한 스프링(미도시, 도 2의 155참조)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426)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후크 스토퍼부(440)의 단부가 상기 후크(426)의 걸림 홈(426b)에 걸림결합되어 회동된 후크(426)를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자력감지센서(미도시)가 창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석(magnet)을 감지하여 창틀에 창문이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감지한 후 전동구동부(도 4의 210)의 구동모터(도 4의 217)를 구동시켜 회전방지수단(430)을 동작시킨다.In this state, the magnetic force sensor (not shown) detects a magn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to detect that the window is completely closed on the window frame, and then the driving motor of the
즉, 상기 후크 가이드(422)가 스트라이커(412)에 맞닿음과 동시에 창문에 설치되는 본체부(도 4의 200)가 창틀의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창틀에 창문이 맞닿을 경우, 상기 자력감지센서가 창틀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자력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도 4의 231)가 창틀에 창문이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모터(217)를 구동시켜 회전방지수단(430)을 동작시킨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PCB(231)가 구동모터(217)를 작동시킬 경우, 도 4에 도시된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수동구동 평기어(215)로 치합되는 수동조절부(214)가 회전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4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 기어(432)의 고정기어(432a)에 전술한 고정 기어홈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크 걸림홈(414)에 걸림결합된 후크(426)의 후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회동된 상태의 후크(426)를 고정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여기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의 슬라이딩 레일(434a)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돌출형성된 해제편(434b)이 스토퍼 본체(442)에 형성된 경사홈(442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후크(426)를 가압하고 있던 후크 스토퍼부(44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서 후크(426)와의 결합을 해제시킨다(도 7c 참조).Here,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도 7b와 달리 직립 상태를 갖게 되며, 이때, 상기 결합편(444)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434a)의 상단부와 접촉하면서 제 1결합편(444a)은 스토퍼 본체(442)의 홈부(442b)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돌기(442c)를 힌지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서 회동됨과 아울러, 제 2결합편(444b) 또한, 일단부가 들린 상태를 갖게 된다.In this state, the
이후, 상기 구동모터(217)의 역구동에 따라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 및 샤프트 기어(432)가 역회전하면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당초 회동된 상태가 고정되어 있던 후크(42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후크(426)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도 7d 참조).Subsequently, when the shaft
즉, 부지불식(不知不識), 또는 오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7)를 역구동시키더라도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전 방지블럭(434)이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후크(426)의 회동을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창문을 창틀로부터 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driving
한편, 상기 후크(426)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사용자가 회동된 상태의 상기 결합편(444)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도 7a와 같은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후크 스토퍼부(440)는 상기 후크(426)의 돌출편(426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skilled person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secretary window,
도 2는 종래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록킹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locking part in a conventional digital lock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부를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cking unit shown in FIG.
도 4는 종래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in the conventional digital lock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가 걸림수단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locking means;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록킹부 조립체에 있어서의 후크 스토퍼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stopper portion in the locking portion assembly shown in FIG. 5;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7A to 7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locking unit assembly of the digital lock devic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32 : 걸림 기어홈 155 : 스프링132: locking gear groove 155: spring
200 : 본체부 210 : 전동구동부200: main body 210: electric drive unit
211 : 샤프트 구동 평기어 212 : 연결바211: shaft drive spur gear 212: connecting bar
214 : 수동조절부 215 : 수동구동 평기어214: manual adjustment unit 215: manual driving spur gear
217 : 구동모터 218 : 모터용 베벨기어217: drive motor 218: bevel gear for motor
219: 전원공급부 230 : 제어부219: power supply unit 230: control unit
231 : PCB 400 : 록킹부 조립체231: PCB 400: locking unit assembly
410 : 걸림수단 412 : 스트라이커410: locking means 412: striker
414 : 후크 걸림홈 420 : 잠금수단414: hook locking groove 420: locking means
422 : 후크 가이드 424 : 힌지부재422: hook guide 424: hinge member
426 : 후크 430 : 회전방지수단426: hook 430: rotation prevention means
434 : 회전 방지블럭 440 : 후크 스토퍼부434: anti-rotation block 440: hook stopper
442 : 스토퍼 본체 444 : 결합편442: stopper body 444: coupling piece
450 : 하우징450: housing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098A KR101249150B1 (en) | 2009-10-13 | 2009-10-13 |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098A KR101249150B1 (en) | 2009-10-13 | 2009-10-13 |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9994A KR20110039994A (en) | 2011-04-20 |
KR101249150B1 true KR101249150B1 (en) | 2013-04-02 |
Family
ID=4404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7098A Active KR101249150B1 (en) | 2009-10-13 | 2009-10-13 |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91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00596A (en) | 2010-11-25 | 2014-01-09 | ウク チョイ | Polarized illumination system |
JP6356024B2 (en) * | 2014-09-17 | 2018-07-11 | Ykk Ap株式会社 | Joinery |
CN113719199B (en) * | 2020-05-25 | 2023-03-10 | 稳多企业股份有限公司 | Locks for sliding door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5886A (en) * | 1999-02-05 | 1999-06-25 | 김건철 | Magnet window door lock |
KR200409479Y1 (en) | 2005-12-13 | 2006-02-24 | 이판대 | Automatic lock for button window |
KR200440269Y1 (en) | 2007-03-28 | 2008-06-03 | 이재민 | Window lock |
KR20090093224A (en) * | 2008-02-29 | 2009-09-02 | 이재민 | Window digital lock |
-
2009
- 2009-10-13 KR KR1020090097098A patent/KR1012491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5886A (en) * | 1999-02-05 | 1999-06-25 | 김건철 | Magnet window door lock |
KR200409479Y1 (en) | 2005-12-13 | 2006-02-24 | 이판대 | Automatic lock for button window |
KR200440269Y1 (en) | 2007-03-28 | 2008-06-03 | 이재민 | Window lock |
KR20090093224A (en) * | 2008-02-29 | 2009-09-02 | 이재민 | Window digital 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9994A (en) | 2011-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1392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 |
JP5108358B2 (en) | Lid opening / closing device | |
CA2824909C (en) |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 |
US10648195B2 (en) |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030127954A1 (en) | Retractable appliance control and method for using | |
KR101145971B1 (en) |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
KR101249150B1 (en) | Locking section assembly of 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 |
KR101663162B1 (en) | Door Lock having Rotatable Latch Bolt | |
EP1891292A1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 |
KR102003113B1 (en) | Handle assembly for window having function for confirming the open and close state | |
CA3064591C (en) |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2012007464A (en) | Indoor-outdoor differential pressure dissolution device | |
KR101777640B1 (en) | Digital door rock | |
JP5108626B2 (en) | Door device | |
JP5653075B2 (en) | Front panel device | |
JP2009102856A (en) | Locking device | |
JP4220540B2 (en) | Locking device and joinery | |
JP5122928B2 (en) | Locking device for latch lock | |
JP3075412U (en) | Door locking device | |
JP4587141B2 (en) | Locking / unlocking mechanism | |
JP2008208524A (en) | Locking implement for fittings, and opening/closing body lock utilizing the same | |
KR200391810Y1 (en) | A digital doorlock | |
KR200418943Y1 (en) | Sliding Door Locks | |
JP4251381B2 (en) | Sliding door lock | |
JP2007070932A (en) | Electric door lock with h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