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8904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904B1
KR101248904B1 KR1020100101466A KR20100101466A KR101248904B1 KR 101248904 B1 KR101248904 B1 KR 101248904B1 KR 1020100101466 A KR1020100101466 A KR 1020100101466A KR 20100101466 A KR20100101466 A KR 20100101466A KR 101248904 B1 KR101248904 B1 KR 10124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lens array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9983A (en
Inventor
유승협
고태욱
최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0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04B1/en
Publication of KR2012003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microlens array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illumination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 apparatu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의 전자정보디바이스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10035573-2010-01, 과제명: 디스플레이 구조 혁신을 통한 선택적 투명 디스플레이 연구]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industrial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Task Management No .: 10035573-2010-01, Title: Selective Transparent Display Research through Display Structure Innovation]

또한, 본 발명은 교육과학기술부 및 한국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의 기초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100009867, 과제명: 플렉시블 투명 유기발광 소자의 특성 향상 연구]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arried out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project (leading research center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Task Management No .: 20100009867, Title: Study on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flexibl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발광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두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위치시켜, 한쪽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다른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고, 이때의 결합을 통해 발광층의 발광 분자가 여기 된 후 기저 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발광시키는 발광 소자이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wo opposing electrodes, and electrons injected from one electrode and holes injected from the other electrode are comb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molecule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re excited through the bonding. It is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energy emitted by light while returning to the ground state.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은 일반적으로 발광층 내 모든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는데, 일정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방사되는 빛은 전반사 현상에 의하여 소자 내부에 갇히게 되어 소자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 내에서 생성된 총 광자(photon) 수 대비 소모되지 않고 실제 관측자에게 도달하는 광자 수의 비율, 즉, 외부 광 추출 효율(Outcoupling Efficiency;ηout)은,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굴절률의 값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대략 15~20% 미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generally emitted in all directions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light emitted at an angle greater than a certain critical angle is trapped inside the device by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 For this reas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photons reaching the actual observer without being consumed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photons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at is, the outcoupling efficiency (η out ), is determin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lthough there may b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ayer constituting, it is usually the situation is limited to less than about 15-20%.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광 추출 효율은 전반적인 외부 양자 효율 및 전력 효율을 제한하고, 외부 양자 효율이나 전력 효율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을 결정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이를 증대시키고자 여러 방면으로 노력이 있어 왔다.Since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mits the overall ex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power efficiency, and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r power efficiency determines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us greatly affects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re have been efforts in many ways to increas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그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microlens array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투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ubstrate may comprise a translucen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may comprise a translucen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주기적 패턴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may have a periodic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주기적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eriodic pattern may be great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비주기적인 패턴을 갖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may have an aperiodic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제1 전극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form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first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물, 질화물, 실리콘 화합물, 황화물, 및 고분자 유기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crolens array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oxides, nitrides, silicon compounds, sulfides, and polymer organic materials that are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사이에 중간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an intermediat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층의 굴절률은 상기 제1 전극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층의 굴절륭은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사이의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막, 평탄화막,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접착을 강화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intermediate layer to enhance the adhesion of the protective film, the planarization film o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It can be to.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중간층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form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의 외측에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microlens array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은 상기 기판의 굴절률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microlens array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주기적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주기적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second microlens array may have a periodic pattern, the periodic pattern may be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비주기적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second microlens array may have an aperiodic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기판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form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 상기 기판 사이에 중간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icrolens array and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에 따르면, 투명 전극과 투명 기판 사이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삽입함으로써, 광도파 모드의 빛을 전반사 없이 소자 외부로 추출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microlens array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extracting the light of the light guide mode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without total reflection. .

또한, 투명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광도파 모드뿐만 아니라, 기판 갇힘 모드의 빛까지 소자 외부로 추출하여 광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Further, by additionally disposing a microlens array out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not only the light guide mode but also the light in the substrate trapped mode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일부 굴절률에 따른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일부 굴절률에 따른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index,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 first microlens array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som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of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index,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 first microlens array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som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기판(110),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 중간층(170), 제1 전극(130), 유기 발광층(140), 및 제2 전극(150)을 포함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10, a first microlens array 120, an intermediate layer 170, a first electrode 130, an organic emission layer 140, And a second electrode 150.

기판(110)은 본 실시예와 같이 기판(110) 측으로 빛이 방출되는 배면 발광형(bottom-emitting type) 유기 발광 소자(100)의 경우 투명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투명한 기판으로 글라스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is transparently formed in the case of the bottom-emitting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in which light is emitted toward the substrate 1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uch a transparent substrate, a glass substrate can be used.

기판(110) 상에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50)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50)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의 경우, 적어도 제1 전극(130)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되고, 제2 전극(150)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130)은 ITO(Indium Tim Oxide), IZO(Indume Zinc Oxide), ZnO, 및 In2O3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 제2 전극(150)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Cs2CO3 및 이들의 화합물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ubstrate 11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is formed to be transparent. In the cas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130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provided as a reflective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130 is a transparent electrode including a material selected from indium timing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ZnO, and In 2 O 3,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includes Li, Ca, LiF / Ca, and LiF. / Al, Al, Mg, Ag, Cs 2 CO 3 It may be provided as a reflective electrode containing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compound.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50) 사이에 유기 발광층(140)이 구비된다. 유기 발광층(140)은 여러 물질들이 사용된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기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층(14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40)에서 발광되는 빛은 반사 전극인 제2 전극(150)에서 반사 되고, 투명 전극인 제1 전극(130)을 통하여 투명 기판(110) 측으로 방출된다.The organic emission layer 1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using various materials,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material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may be formed of a low molecular or high molecular organic material.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140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50, which is a reflective electrode, and is emitt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30, which is a transparent electrode.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에서, 일정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방사되는 빛은 전반사 현상에 의해 (i) 유기 발광 소자 내의 유기 발광층과 투명 전극(예: ITO) 층에 갇혀 궁극적으로 소모되는 광도파 모드 (waveguided mode)와, (ii) 기판과 공기층 사이의 전반사에 의해 기판에 갇히게 되는 기판 갇힘 모드 (substrate-confined mode)에 의해 소자 내부에 갇히게 되어 소자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배면 발광형의 경우, 유기 발광 소자 내에서 생성된 총 광 전력 대비 실제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광 전력의 비율은 대략 16% 정도로서, 나머지 84%는 소자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소모되어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In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light emitted at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critical angle is trapp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eg, ITO)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total reflection and ultimately consumed in a waveguided mode. And (ii) are trapped inside the device by a substrate- confined mode, which is trapped on the substrate by total reflect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ir layer and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the ratio of the optical power reaching the actual user to the total optical power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about 16%, and the remaining 84% is consumed because it cannot be extracted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t is a major cause of lowering the efficiency of th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빛이 방출되는 측 투명 기판의 외측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적용된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되었다. 다만, 이러한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갇힘 모드의 빛을 추출할 수는 있으나, 광도파 모드의 빛을 추출하지는 못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 microlens array is applied to an outside of a sid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light is emitted is provided. Howe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can extract light in the substrate trapped mode, but does not extract light in the light guide mode.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투명한 기판(110)과 투명한 제1 전극(130) 사이에 복수의 마이크로렌즈가 구비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를 구비함으로써, 광도파 모드의 빛을 소자 밖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icrolens array 120 having a plurality of microlenses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transparent first electrode 130, thereby providing optical waveguide. It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light of the mode out of the device.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렌즈가 평면 상에 주기적 패턴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갖도록 나열된 것으로, 육방조밀구조, 정방격자구조 등 다양한 분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 내의 개별 렌즈는 반구, 피라미드 / 역피라미드, 원뿔 등의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개별 렌즈의 크기는 대략 수 마이크로미터(㎛)부터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상까지 실사용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가 주기적 패턴을 가질 경우, 그 주기성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에서의 빛의 파장 의존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typically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lenses have a periodic pattern or an aperiodic pattern on a plan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distributions such as hexagonal dense structure and tetragonal lattice structure. In addition, the individual lenses in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hemispheres, pyramids / inverted pyramids, cones, etc., and the sizes of the individual lenses range from about several micrometers (μm) to several hundred micrometers (μm).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actual use. When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has a periodic pattern, the periodicity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emitted light, thereby reducing the wavelength dependency of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는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높은 굴절률이란,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굴절률이 투명한 기판(110)의 굴절률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굴절률은 투명한 제1 전극(130) 및 유기 발광층(140)의 굴절률에 비하여 작을 수 있으나, 유기 발광층(140)의 굴절률과 유사하거나 클 경우 광추출 효율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해당되는 높은 굴절률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120)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 티타늄 또는 산화 아연 등을 포함하는 산화물, 질화물, 황화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솔-젤, 에폭시, 레진 등의 다양한 물질로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preferably has a high refractive index. Here, the high refractive index means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first electrode 13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but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s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It contributes a lot. The corresponding high refractive index first microlens array 120 may utilize oxides, nitrides, sulfides, or compounds containing them, including titanium oxide or zinc oxide, which is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It can be produce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gel, epoxy, resin.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와 투명한 제1 전극(130) 사이에 중간층(170)이 구비될 수 있다. 중간층(170)은 제1 전극(130)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 사이의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막, 평탄화막, 또는 제1 전극(130)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접착을 강화하기 위한 박막 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중간층(170)의 굴절률은 제1 전극(130)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거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An intermediate layer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and the transparent first electrode 130. The intermediate layer 170 may include a passivation layer, a planarization layer, or a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that prevents penetration of a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t can function as a thin film for enhancing adhes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ayer 17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130 or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한편, 반구 형상의 렌즈가 적용되었을 때,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들은 중간층(170)에 일정한 제1 접촉각(θ1)으로 접촉한다. 제1 접촉각(θ1)은 중간층(170)의 표면과 반구형 렌즈의 접선이 이루는 각으로서, 반구형 레즈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때 중간층(170) 표면에 대한 렌즈의 제1 접촉각(θ1)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가 중간층(170)에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었으나, 중간층(170)이 생략되거나, 중간층(170) 이외에 다른 층이 더 구비된 경우, 제1 접촉각(θ1)은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와 직접 접촉하는 층의 표면과 렌즈의 접선이 이루는 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mispherical lens is applie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contacts the intermediate layer 170 at a constant first contact angle θ1. The first contact angle θ1 is an angle formed by a tangent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70 and the hemispherical lens. When the hemispherical legs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he first contact angle θ1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70 is Stays constant.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form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layer 170. However, when the intermediate layer 170 is omitted or another layer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intermediate layer 170, the first contact angle θ1 may be defined as an angle formed by the tangent of the lens and the surface of the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에 따르면, 투명한 기판(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를 기판(110)과 제1 전극(13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제1 전극(130)과 유기 발광층(140) 내부에서 전반사를 통해 진행하는 광도파 모드의 빛을 전반사 없이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로 전달된 빛은 렌즈 구조가 갖는 곡률로 인하여 거의 전반사 없이 투명한 기판(110) 측으로 추출된다. 물론,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로 전달된 빛 중 일부는 다시 기판 갇힘 모드로 갇히기도 하지만,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 없이 원래 소자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광추출 효율이 증가된다. Accord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microlens array 120 having a relatively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130. By inserting, the light of the optical waveguide mode propagating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inside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0 may proceed to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without total reflection. Light transmitted to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extracted toward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with almost no total reflection due to the curvature of the lens structure. Of course, some of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again trapped in the substrate trapping mode, but the overal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original device without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increas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로서, 유기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전산모사 결과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일부 굴절률에 따른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2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the contact angle,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som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of FIG. 2.

도 2의 그래프에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굴절률이 x축, 사용된 반구 형태의 마이크로렌즈들의 제1 접촉각(contact angle)(θ1)이 y축으로 전산모사의 변수로 이용되었다. In the graph of FIG. 2,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is the x-axis, and the first contact angle θ1 of the hemispherical microlenses used is used as the y-axis as a parameter of the computer simulation.

상기 전산모사에 이용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120)의 렌즈 반지름은 4 마이크로미터(㎛)이며 육방조밀구조로 배치되었다. 종래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 대비 최대 3배까지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당해 전산모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종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에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투명 기판의 외측 표면에 사용된 경우의 이론적인 상승 값인 2.2배보다 월등히 향상된 수치이다.The lens radius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120 used in the computer simulation was 4 micrometers (μm) and arranged in a hexagonal dense structure. It can be seen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up to 3 times compared to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is is much higher than the theoretical rise of 2.2 times when the first microlens array is u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는 순서대로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 기판(210),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 중간층(270), 제1 전극(230), 유기 발광층(240),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the substrate 210,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the intermediate layer 270, and the first layer. The electrode 230, the organic emission layer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re included.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210) 외측에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가 더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 260)가 기판(210)의 외측과 내측에 동시에 적용된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의 기판(210)은 투명 기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 전극(230)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되고, 제2 전극(250)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23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유기 발광층(240)이 구비되고, 유기 발광층(240)에서 방출된 빛이 진행하는 제1 전극(230)과 기판(210) 사이에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가 구비된다. 제1 전극(230)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 사이에 중간층(270)이 구비되고, 기판(210)의 외측에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가 구비된다. 중간층(270)의 굴절률은 제1 전극(230)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거나,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Compar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cond microlens array 260 outside the substrate 210. 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2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icrolens arrays 220 and 260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substrate 210. Therefore, the substrate 21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provid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230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provided as a reflective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50, an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substrate 210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0 propagates. One microlens array 220 is provided. The intermediate layer 27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is provided outside the substrate 210.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ayer 27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230 or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기판(2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를 기판(320)과 제1 전극(23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제1 전극(230)과 유기 발광층(240) 내부에서 전반사를 통해 진행하는 광도파 모드의 빛이 전반사 없이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로 진행한다.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를 통과한 후, 기판(210)에 도달한 모드 중 일부는 기판(210)에 다시 갇히는 모드가 되는데, 기판(210) 외측에 구비된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는 기판(210)에 갇힌 모드를 기판(210) 외부로 추출하는 역할을 하므로, 광도파 모드뿐만 아니라, 기판 갇힘 모드의 빛까지 거의 모든 빛을 소자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having a relatively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210, as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320. )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first electrode 230, the light of the optical waveguide mode, which propagates through the total reflection inside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organic emission layer 240, proceeds to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without total reflection. do.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some of the modes reaching the substrate 210 become a mode in which the substrate 210 is again trapped in the substrate 210,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provided outside the substrate 210. ) Extracts a mode confined to the substrate 210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210, and thus, almost all light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not only the optical waveguide mode but also light of the substrate confined mode.

이와 같은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의 굴절률은 기판(210)과 같거나 약간 더 높은 물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는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렌즈가 평면 상에 주기적 패턴 또는 비주기적 패턴을 갖도록 나열된 것으로, 육방조밀구조, 정방격자구조 등 다양한 분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 내의 개별 렌즈는 반구, 피라미드 / 역피라미드, 원뿔 등의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반구 형상의 렌즈가 적용되었을 때,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는 중간층(270)에 일정한 제1 접촉각(θ1)으로 접촉하고,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는 기판(210)에 일정한 제2 접촉각(θ2)으로 접촉한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equal to or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210. Also, like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lenses have a periodic pattern or an aperiodic pattern on a plane. Can be formed. In addition, individual lenses in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hemispheres, pyramids / inverse pyramids, cones, and the like. When the hemispherical lens is applied,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contacts the intermediate layer 270 at a constant first contact angle θ1,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is fixed to the substrate 210. 2 Contact is made at the contact angle θ2.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와 기판(210) 사이에, 기판(210)과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 사이의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막, 평탄화막, 또는 기판(210)과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의 접착을 강화하기 위한 박막 등으로 기능할 수 있는 중간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간층(미도시)의 굴절률은 기판(210)과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200)의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protective film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material between the substrate 210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between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and the substrate 210, planarization An intermediate layer (not shown) which may function as a film or a thin film for enhancing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210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ayer (not show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ubstrate 210 and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so that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not be degrad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로서, 유기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전산모사 결과이고, 도 6은 도 5의 제3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일부 굴절률에 따른 접촉각 및 광 추출 효율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the contact angle,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ntact angle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part of a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microlens array of FIG. 5.

상기 전산모사에 이용된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60)로는 제2 접촉각(θ2)이 90도, 굴절률 1.7을 갖는 반지름 50 마이크로미터(㎛)의 반구형 육발조밀구조로 배열된 렌즈들이 사용되었고, 제1 전극(230)과 기판(210) 사이에 구비된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20)의 굴절률과, 사용된 반구 형태의 마이크로렌즈들의 제1 접촉각(θ1)이 전산모사의 변수로 이용되었다. 최적화된 조건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과 소자(200)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에 비하여 광추출 효율이 최대 4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음을 당해 전산모사를 통해 알 수 있다. As the second microlens array 260 used in the simulation, lenses arranged in a hemispherical hexagonal dense structure having a radius of 50 micrometers (μm) having a second contact angle θ2 of 90 degrees and a refractive index of 1.7 were use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220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substrate 210 and the first contact angle θ1 of the used hemispherical microlenses were used as parameters of the computer simulation. In the case of optimized conditions, it can be seen from the computer simulation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p to 4 tim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상술한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과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in detail,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nventiona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Judgment should be made including scope and equivalence.

100,200: 유기 발광 소자
110, 210: 기판
120, 220: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군
130, 230: 제1 전극
140, 240: 유기 발광층
150, 250: 제2 전극
170, 270: 중간층
260: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군
100,20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210: substrate
120 and 220: first microlens array group
130, 230: first electrode
140 and 240: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0, 250: second electrode
170, 270: middle layer
260: second microlens array group

Claims (2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은 굴절률을 갖는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극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같은 굴절률을 갖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Board;
A first electrode locat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first microlens array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the intermediate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microlens array.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주기적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has an organic patter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보다 큰 유기 발광 소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eriodic pattern is great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비주기적인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has an aperiodic patter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제1 전극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forms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first electr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물, 질화물, 실리콘 화합물, 황화물, 및 고분자 유기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icrolens array includ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oxides, nitrides, silicon compounds, sulfides, and polymer organic materials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사이의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막, 평탄화막,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접착을 강화하기 위한 박막인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a passivation layer, a planarization layer, or a thin film for enhancing adhes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to prevent penetration of a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microlens arr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중간층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first microlens array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form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intermediate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측에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더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microlens array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굴절률은 상기 상기 기판의 굴절률과 동일하거나 더 큰 유기 발광 소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microlens array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주기적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주기적 패턴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보다 큰 유기 발광 소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second microlens array has a periodic pattern, the periodic pattern is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비주기적인 패턴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second microlens array has an aperiodic pattern.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는 상기 기판과 일정한 접촉각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소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constituting the second microlens array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form a constant contact angle with the substrat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 상기 기판 사이에 중간층이 더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second microlens array and the substrate.
제1 항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An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제1 항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KR1020100101466A 2010-10-18 2010-10-1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1248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466A KR101248904B1 (en) 2010-10-18 2010-10-1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466A KR101248904B1 (en) 2010-10-18 2010-10-1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83A KR20120039983A (en) 2012-04-26
KR101248904B1 true KR101248904B1 (en) 2013-03-28

Family

ID=4614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466A Active KR101248904B1 (en) 2010-10-18 2010-10-1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0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756B2 (en) 2012-10-12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82725B2 (en) 2020-12-01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2213365B2 (en) 2021-01-21 2025-0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hotomask for defining opening in th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41B1 (en) * 2017-12-05 2022-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oled panel for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756A (en) * 1996-12-13 1998-06-26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light emitting device
KR20050101425A (en) * 2004-04-19 2005-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JP2008112592A (en) * 2006-10-28 2008-05-15 Aitesu:Kk Organic EL device with fine structure
KR20100073228A (en) * 2008-12-23 2010-07-01 한국광기술원 Luminous element having improvement of external lighting effici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756A (en) * 1996-12-13 1998-06-26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light emitting device
KR20050101425A (en) * 2004-04-19 2005-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JP2008112592A (en) * 2006-10-28 2008-05-15 Aitesu:Kk Organic EL device with fine structure
KR20100073228A (en) * 2008-12-23 2010-07-01 한국광기술원 Luminous element having improvement of external lighting efficienc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756B2 (en) 2012-10-12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82725B2 (en) 2020-12-01 2024-0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2213365B2 (en) 2021-01-21 2025-0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hotomask for defining opening in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983A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7767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S20040217702A1 (en) Light extraction desig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JP5307307B1 (en) Sheet and light emitting device
RU2008136403A (en) LIGHT-RADIATING DEVICE
EP2333864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same
CN107689426B (en)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US94316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70018417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base material, and light emitting device
CN101176214A (en) Electroluminescence light source
KR20150141955A (en) Light-emitting device
KR1012489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4752618B (en)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5144118A (en) Optical sheet and light emitting device
JP5179392B2 (en) Organic EL light emitting device
KR101466831B1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le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and oled including the same
CN104409657A (en) Encapsulating cover plate and application thereof i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N204067363U (en) A kind of organic LED display panel, display unit
JP5138569B2 (en) Organic EL light emitting device
JP2008010245A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110024720A1 (en) High-efficiency LED
CN104600093A (en) Display panel
JP2011159394A (en) Optical member,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t lighting device
CN106716670A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rising same
JP4830746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4179112U (en) Organic illuminating element and display unit,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