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8472B1 - 지혈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지혈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472B1
KR101248472B1 KR1020130001201A KR20130001201A KR101248472B1 KR 101248472 B1 KR101248472 B1 KR 101248472B1 KR 1020130001201 A KR1020130001201 A KR 1020130001201A KR 20130001201 A KR20130001201 A KR 20130001201A KR 101248472 B1 KR101248472 B1 KR 10124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pressing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 정
Original Assignee
(주)휴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휴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3000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472B1/ko
Priority to US14/070,508 priority patent/US9005172B2/en
Priority to CN201310610277.1A priority patent/CN103721341B/zh
Priority to RU2013158063/14A priority patent/RU2013158063A/ru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39/061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seal opening 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심혈관 조영술(Cardiac Cathetherization)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시술시 대퇴동맥이나 팔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의 좌측 또는 우측의 관상동맥 내로 와이어(Wire) 또는 카테터(Cathether)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지혈 밸브에서 독립된 2개의 실링(Sealing)부재가 마개에 설치된 누름버튼의 누름 및 해제 동작과 체결관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각각 개폐제어되도록 하여 시술중 혈액의 누출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간단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 혈전(血栓) 용해제 등의 약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약제유입관이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상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지혈 밸브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지혈 밸브장치{Hemostasis valve}
본 발명은 지혈 밸브(Hemostasis valve)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혈관 조영술(Cardiac Cathetherization)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시술시 대퇴동맥이나 팔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의 좌측 또는 우측의 관상동맥 내로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Guide Wire) 또는 카테터(Cathether)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지혈 밸브에서, 독립된 2개소에 설치된 실링(Sealing)부재가 체결관에 결합된 누름버튼의 누름 및 해제 동작과 체결관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각각 개폐제어되도록 하여 시술중 혈액의 누출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간단하면서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 혈전(血栓) 용해제 등의 약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약제유입관이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상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지혈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 예를 들면 동맥 혈관 또는 정맥 혈관이나 복강(腹腔) 또는 다른 강(腔)내에 인위적으로 삽입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외과용 절차를 수행하는 시술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술방법의 전형적인 예로서,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흉통, 실신, 호흡곤란 등이 발생하였다고 의심되는 경우에 개흉(開胸)하지 않는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팔에 있는 요골동맥이나 다리의 대퇴동맥에 바늘구멍을 만들어 도관삽입관을 삽입하고, 가늘고 긴 도관(導管)을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 입구에 위치시킨 다음, 조영제(造影劑)를 관상동맥내로 주입하여 방사선촬영을 함으로써 혈관의 막힌 정도, 혈관의 형태,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심혈관 조영술(Cardiac Cathetherization)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심혈관 조영술에 의하여 관상동맥의 내강이 병적(病的)인 상태로 좁아진 것으로 확진되어 약물로써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가슴을 절개(開胸)하지 않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경피적 동맥을 통하여 관상동맥내로 카테터, 안내 와이어, 벌룬(Balloon), 스텐트(Stent) 같은 장치를 삽입하여 좁아진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을 들 수 있다(그림 1 참조).
Figure 112013001125917-pat00001
그림 1. PTCA 또는 심혈관 조영술의 시술방법을 나타내는 이미지
한편, 상기 심혈관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를 혈관 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별도의 지혈 밸브(Hemostasis valve)가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지혈 밸브는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가 경피 동맥이나 정맥 내부로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시술시 경피 동맥이나 정맥을 통하여 역류되는 혈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외부의 공기가 혈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혈전 용해제 같은 약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혈 밸브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2303호(명칭:의료용 유체 유동 제어밸브)가 제안되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01-0022303호의 선행기술은 "디스크 형상이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낮은 두로미터(30 쇼어 A 이하의 경도)의 열가소성 스티렌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밀봉 장치(26)는 밸브 본체(40) 내에 적합하게 포함되며, 밸브 본체(40) 내의 밸브 시트(48)와 밸브 본체(40)에 연결된 캡(56)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밀봉 장치(26)는 이러한 압축에 의해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34)을 구비하는 한편, 이러한 압축은 또한 밀봉 장치(26)에 기부 또는 상류 오목표면(30)을 제공하며, 밸브(10)를 통과하는 삽입 장치의 반복적인 제거 및 작동 중에 반전에 매우 잘 견디도록 구성된다."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한 종래의 지혈 밸브에서는 밀봉장치가 캡의 회전동작에 따라 압축 및 신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것은 물론, 밀봉장치가 한곳에만 설치되어 있어 시술시 역류되는 혈액이 외부로 쉽게 누출될 우려가 있으며,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상기 도관, 안내 와이어, 카테터를 이하에서는, '카테터류'라 함)의 삽입시 외부의 적합하지 않은 공기가 혈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색전증(空氣塞栓症:Air embolism)을 유발시킬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지혈 밸브에서는 시술시 필요에 따라 혈전 용해제 같은 약제가 주입되는 약제유입관이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되지 못하고, 지혈 밸브를 구성하는 삽입관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심혈관 조영술(Cardiac Cathetherization)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시술시 대퇴동맥이나 팔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의 좌측 또는 우측의 관상동맥 내로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Guide Wire) 또는 카테터(Cathether)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지혈 밸브에서 독립된 2개소에 설치된 실링(Sealing)부재가 체결관 외측에 설치된 누름버튼의 누름 및 해제 동작과 체결관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각각 개폐되도록 하여 시술중 혈액의 누출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간단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지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심혈관 조영술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혈전(血栓) 용해제 등의 약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약제유입관이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상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지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와이어 또는 카테터가 끼워지는 안내공이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카테터류가 끼워진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가 결합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져 안착되며,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제1실링부재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삽입관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도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공의 상부에 확장된 직경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도입공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스프링받이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받이부의 내주면에는 삽입관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또 다른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되며, 상부면상에 원형 또는 "+"형의 절개공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제2실링부재와; 상기 체결관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스프링받이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는 스프링과; 상부면의 중심부에 상기 제2실링부재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의 둘레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공이 돌출·형성되고, 상단부의 가장자리면에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항상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가압편과; 상기 가압편의 마주하는 양쪽에 설치되고,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편상의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가압편상의 경사면을 따라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되면서 가압편을 아랫쪽으로 눌러주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이 끼워져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가압편상의 가압공과 연통되는 또 다른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삽입관의 중간부분에서 외측으로 원판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상에는 일정 각도 범위에 걸쳐 기어부가 형성되는 한편, 내부 일측에는 상기 삽입관 내부의 안내공과 연통되는 약제가이드공이 형성된 회동안내편과; 상기 회동안내편의 외측에 감싸여지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안내편상의 기어부와 대응되는 내주면에는 또 다른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안내편상의 약제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약제유입관이 형성된 회동조절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안내편상의 약제가이드공은 회동조절편상의 약제유입관의 회동범위에 대응하여 바깥쪽이 넓고, 삽입관쪽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심혈관 조영술(Cardiac Cathetherization)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의 시술시 대퇴동맥이나 팔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의 좌측 또는 우측의 관상동맥 내로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Guide Wire) 또는 카테터(Cathether)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지혈 밸브에서 2개의 실링부재가 독립된 2곳의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체결관 외측에 설치된 누름버튼의 누름 및 해제 동작과 체결관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각각 개폐 제어됨에 따라 시술중 혈액의 누출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간단하면서도 완벽하게 차단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한 심혈관 조영술 또는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혈전(血栓) 용해제 등의 약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약제유입관이 환자의 신체조건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조정되기 때문에 시술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한층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밸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밸브장치에서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의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밸브장치에서 약제유입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약제유입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밸브장치(10)에서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 등의 카테터류(12)가 끼워지는 안내공(14)이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카테터류(12)가 끼워진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6)가 결합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8)가 형성된 삽입관(20)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관(20)의 상단부 내측에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관통공(22)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의 제1실링부재(24)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20)의 상부에는 별도의 체결관(26)이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체결관(26)은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삽입관(20)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도입공(28)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공(28)의 상부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걸림턱(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도입공(28)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스프링받이부(3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받이부(32)의 내주면에는 삽입관(2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8)에 결합되는 또 다른 나사부(3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관(26)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0)에는 상부면상에 원형 또는 "+"형의 절개공(36)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실리콘재의 제2실링부재(38)가 끼워져 안착되며, 상기 체결관(26)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스프링받이부(32)에는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는 스프링(4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관(26)의 상부에는 외력에 따라 아랫쪽으로 눌리면서 상기 제2실링부재(38)에 형성된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가압편(42)이 결합된다.
상기 가압편(42)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38)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의 둘레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공(4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편(42)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면에는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경사면(46)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스프링(40)의 상부와 항상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압편(42)의 마주하는 양쪽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을 따라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되면서 가압편(42)을 아랫쪽으로 눌러주는 누름버튼(48)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누름버튼(48)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면(5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버튼(48)은 중심부에 가압편(42)상의 가압공(44)과 연통되는 또 다른 관통공(52)이 형성된 몸체(54)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관(20)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는 원판형태의 회동안내편(56)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안내편(56)의 외주면상에는 일정 각도 범위에 걸쳐 기어부(58)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삽입관(20)의 내부의 안내공(14)과 연통되는 약제가이드공(6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회동안내편(56)의 외측에는 별도의 회동조절편(62)이 감싸여지게 결합되는데, 상기 회동조절편(62)의 내주면에는 회동안내편(56)상의 기어부(58)와 맞물리는 다른 기어부(6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안내편(56)상의 약제가이드공(6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약제유입관(66)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안내편(56)상의 약제가이드공(60)은 회동조절편(62)상의 약제유입관(66)의 회동범위에 대응하여 바깥쪽이 넓고, 상기 삽입관(20)쪽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심혈관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 등의 카테터류(12)를 혈관 내로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 삽입관(20) 하단부에 결합된 호스연결부(16)에 니들(Angio needle)이나 카테터류(12)를 결합하여 경피 동맥이나 정맥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삽입관(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8)와 결합된 체결관(26)상의 나사부(34)를 풀어 제1실링부재(24)상의 관통공(22)이 크게 확장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관(26)의 외측에 결합된 누름버튼(48)을 눌러 누름버튼(48)의 테이퍼면(50)이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압편(42)을 눌러 가압편(42)상의 가압공(44)이 제2실링부재(38)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의 주변을 가압하도록 하여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이 크게 확장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부 외측으로부터 상기 몸체(54)상의 관통공(52)을 통하여 카테터류(12)를 끼워 넣으면, 그 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 등의 카테터류(12)의 선단이 제2실링부재(38)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 체결관(26)상의 도입공(28), 제1실링부재(24)상의 관통공(22)을 통하여 삽입관(20)내부의 안내공(14)으로 진입되고, 계속하여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니들의 선단을 통과한 후 경피 동맥이나 정맥을 경유하여 목표로 하는 관상동맥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테터류(12)가 경피 동맥이나 정맥 및 관상동맥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혈액이 역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카테터(12)의 삽입동작이 지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역류되는 혈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관(26)을 다시 반대로 회전시키면 삽입관(20)과 체결관(26)상의 나사부(18)(34)의 조임력에 의하여 제1실링부재(24)상의 관통공(22)이 점차적으로 다시 좁혀진다.
상기 제2실링부재(38)의 경우 누름버튼(48)의 작용에 의하여 가압편(42)이 하강되면 스프링(40)이 압축되고, 누름버튼(48)에 작용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편(42) 및 가압공(44)이 상승됨과 동시에 누름버튼(48)상의 테이퍼면(50)이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을 따라 다시 아랫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실링부재(38)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닫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테터류(12)의 삽입동작시 역류되는 혈액은 제1실링부재(24) 및 제2실링부재(38)에 의하여 완벽하게 차단된다.
한편, 상기한 심혈관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필요에 따라 혈전 용해제와 같은 약제를 주입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약제를 공급하는 호스를 회동조절편(62)상에 형성된 약제유입관(66)에 삽입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혈전 용해제 등의 약제는 약제유입관(66) 및 회동안내편(56)의 내부에 형성된 약제가이드공(60)을 통하여 삽입관(20) 내부의 안내공(14)으로 유입된 후 경피 동맥이나 정맥을 경유하여 관상동맥상의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제를 주입시키는 과정에서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약제유입관(66)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동조절편(62)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회동조절편(62)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64)가 회동안내편(56)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8)와 맞물린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약제유입관(66)의 형성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심혈관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의 시술시 약제의 주입을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2 : 카테터류 18,34 : 나사부
20 : 삽입관 22,52 : 관통공
24 : 제1실링부재 26 : 체결관
28 : 도입공 30 : 걸림턱
32 : 스프링받이 36 : 원형 또는 "+"형 절개공
38 : 제2실링부재 40 : 스프링
42 : 가압편 44 : 가압공
46 : 경사면 48 : 누름버튼
50 : 테이퍼면 54 : 몸체
56 : 회동안내편 58,64 : 기어부
60 : 약제가이드공 62 : 회동조절편
66 : 약제유입관.

Claims (3)

  1.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도관이나 안내 와이어 또는 카테터의 카테터류(12)가 끼워지는 안내공(14)이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니들(Needle)이나 카테터류가 끼워진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6)가 결합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8)가 형성된 삽입관(20)과;
    상기 삽입관(20)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져 안착되며,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관통공(22)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제1실링부재(24)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삽입관(20)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도입공(28)이 형성되고, 상기 도입공(28)의 상부에 확장된 직경을 갖는 걸림턱(30)이 형성되며, 상기 도입공(28)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스프링받이부(3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받이부(32)의 내주면에는 삽입관(2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8)와 결합되는 또 다른 나사부(34)가 형성된 체결관(26)과;
    상기 체결관(26)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0)에 끼워져 안착되며, 상부면상에 원형 또는 "+"형의 절개공(36)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갖는 실리콘재의 제2실링부재(38)와;
    상기 체결관(26)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스프링받이부(32)에 끼워져 결합되어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는 스프링(40)과;
    상부면의 중심부에 상기 제2실링부재(38)상의 원형 또는 "+"형 절개공(36)의 둘레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공(44)이 돌출·형성되고, 상단부의 가장자리면에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의 경사면(46)이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스프링(40)의 상부와 항상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가압편(42)과;
    상기 가압편(42)의 마주하는 양쪽에 설치되고,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면(50)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가압편(42)상의 경사면(46)을 따라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되면서 가압편(42)을 아랫쪽으로 눌러주는 누름버튼(48)과;
    상기 누름버튼(48)가 끼워져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가압편(42)상의 가압공(44)과 연통되는 또 다른 관통공(52)이 형성된 몸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20)의 중간부분에서 외측으로 원판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상에는 일정 각도 범위에 걸쳐 기어부(58)가 형성되는 한편, 내부 일측에는 상기 삽입관(20) 내부의 안내공(14)과 연통되는 약제가이드공(60)이 형성된 회동안내편(56)과;
    상기 회동안내편(56)의 외측에 감싸여지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안내편(56)상의 기어부(58)와 대응되는 내주면에는 서로 맞물려 회동되는 또 다른 기어부(6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안내편(56)상의 약제가이드공(6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약제유입관(66)이 형성된 회동조절편(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밸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편(56)상의 약제가이드공(60)은 회동조절편(62)상의 약제유입관(66)의 회동범위에 대응하여 바깥쪽이 넓고, 삽입관쪽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밸브장치.
KR1020130001201A 2013-01-04 2013-01-04 지혈 밸브장치 Active KR101248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01A KR101248472B1 (ko) 2013-01-04 2013-01-04 지혈 밸브장치
US14/070,508 US9005172B2 (en) 2013-01-04 2013-11-02 Hemostasis valve device
CN201310610277.1A CN103721341B (zh) 2013-01-04 2013-11-27 止血阀装置
RU2013158063/14A RU2013158063A (ru) 2013-01-04 2013-12-26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01A KR101248472B1 (ko) 2013-01-04 2013-01-04 지혈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472B1 true KR101248472B1 (ko) 2013-04-03

Family

ID=4844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201A Active KR101248472B1 (ko) 2013-01-04 2013-01-04 지혈 밸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05172B2 (ko)
KR (1) KR101248472B1 (ko)
CN (1) CN103721341B (ko)
RU (1) RU20131580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06A (ko) * 2018-11-30 2020-06-09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KR20200065790A (ko) * 2018-11-30 2020-06-09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WO2021034026A1 (ko) * 2019-08-21 2021-02-25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WO2022133438A1 (en) * 2020-12-14 2022-06-23 Merit Medical Systems, Inc. Hemostasis valv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6825B2 (en) 2004-03-25 2010-03-30 Hauser David L Vascular filter device
WO2012118852A2 (en) 2011-02-28 2012-09-07 Normedix Llc Hemostasis sealing device
ES2823583T3 (es) 2012-09-24 2021-05-07 Inari Medical Inc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la oclusión vascular
US8784434B2 (en) 2012-11-20 2014-07-22 Inceptus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embolism
WO2015061365A1 (en) 2013-10-21 2015-04-30 Inceptus Medica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embolism
US9526864B2 (en) 2014-06-09 2016-12-27 Inceptus Medical, Llc Retraction and aspiration device for treating embolism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342571B2 (en) 2015-10-23 2019-07-09 Inari Medical, Inc. Intravascular treatment of vascular occlusion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A3002154A1 (en) 2015-10-23 2017-04-27 Inari Medical, Inc. Intravascular treatment of vascular occlusion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700332B2 (en) 2015-10-23 2017-07-11 Inari Medical, Inc. Intravascular treatment of vascular occlusion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389757A4 (en) 2015-12-18 2019-08-21 Inari Medical, Inc. CATHETERSHIP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5748054B (zh) * 2016-02-23 2018-08-17 广州涞富医疗设备有限公司 组装推动式止血阀动脉留置针
CN113017767A (zh) * 2016-06-08 2021-06-25 深圳市科奕顿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介入医疗器械输送系统及输送方法
US10391292B2 (en) 2016-06-15 2019-08-27 Surmodics, Inc. Hemostasis sealing device with constriction ring
EP3528717B1 (en) 2016-10-24 2024-07-10 Inari Medical, Inc. Devices for treating vascular occlusion
US10758719B2 (en) 2016-12-15 2020-09-01 Surmodics, Inc. Low-friction sealing devices
CN111295221B (zh) 2017-09-06 2023-04-11 伊纳里医疗有限公司 止血阀及其使用方法
CN111601635B (zh) * 2017-09-12 2023-01-10 波士顿科学有限公司 止血阀以及用于制造和使用止血阀的方法
US11154314B2 (en) 2018-01-26 2021-10-26 Inari Medical, Inc. Single insertion delivery system for treating embolism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0036809A1 (en) 2018-08-13 2020-02-20 Inari Medical, Inc. System for treating embolism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WO2021076954A1 (en) 2019-10-16 2021-04-22 Inari Medical,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ascular occlusions
CN112932557B (zh) * 2021-02-25 2025-05-1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便捷封堵式活检针
CN113350597B (zh) * 2021-07-28 2025-06-10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原位透析导管更换的多功能辅助装置
CN114259265B (zh) * 2022-01-11 2023-10-31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六四医院 多功能消化内镜治疗装置
CN118252553A (zh) * 2022-12-27 2024-06-28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输送器和输送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7072A1 (de) * 1980-03-28 1981-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Längswasserdichtes Kabel, insbesondere Nachrichtenkabel
US5176652A (en) * 1989-12-22 1993-01-05 Cordis Corporation Hemostasis valve
US20050192537A1 (en) 1992-05-06 2005-09-01 Osborne Thomas A. Hemostasis cannul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7400A (en) * 1974-11-29 1976-08-31 Deseret Pharmaceutical Co., Inc. Catheter placement unit with resilient sleeve and manual sleeve closure
US5228452A (en) * 1992-02-19 1993-07-20 Target Therapeutics Inc. Proximal end fitting with an improved seal for use in a catheter guidewire assembly
US5405330A (en) * 1994-04-15 1995-04-11 Zunitch; Daniel Syringe needle holder
US5693025A (en) * 1995-07-14 1997-12-02 Merit Medical Systems, Inc. Adapter with hemostasis valve and rotatable connector
EP1007146B1 (en) 1997-07-30 2009-10-21 Cook Incorporated Medical fluid flow control valve
US8262622B2 (en) * 2003-10-28 2012-09-1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gel seal
JP4308677B2 (ja) * 2004-01-14 2009-08-05 有限会社ティーアイメック 側注装置
US7104982B2 (en) * 2004-06-14 2006-09-12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grip
US20100036329A1 (en) * 2008-08-07 2010-02-11 Nasser Razack Hemostasis valve
US7967790B2 (en) * 2009-09-01 2011-06-28 Pacesetter, Inc. Hemostasis valve with iris seal
CN201643402U (zh) * 2009-11-03 2010-11-24 张华� 旋转式止血阀
CN201564979U (zh) * 2009-11-03 2010-09-01 张华� 按压式止血阀
CN201572436U (zh) * 2009-12-31 2010-09-08 深圳市昕力医疗设备开发有限公司 分档式y型止血阀
CN101837162B (zh) * 2010-03-26 2011-12-28 北京迪玛克医药科技有限公司 医用y型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7072A1 (de) * 1980-03-28 1981-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Längswasserdichtes Kabel, insbesondere Nachrichtenkabel
US5176652A (en) * 1989-12-22 1993-01-05 Cordis Corporation Hemostasis valve
US20050192537A1 (en) 1992-05-06 2005-09-01 Osborne Thomas A. Hemostasis cannul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06A (ko) * 2018-11-30 2020-06-09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KR20200065790A (ko) * 2018-11-30 2020-06-09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KR102245714B1 (ko) * 2018-11-30 2021-04-28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KR102246870B1 (ko) * 2018-11-30 2021-05-24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WO2021034026A1 (ko) * 2019-08-21 2021-02-25 (주)휴바이오메드 지혈 밸브 장치
WO2022133438A1 (en) * 2020-12-14 2022-06-23 Merit Medical Systems, Inc. Hemostasis val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4831A1 (en) 2014-07-10
CN103721341B (zh) 2016-01-06
CN103721341A (zh) 2014-04-16
US9005172B2 (en) 2015-04-14
RU2013158063A (ru)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472B1 (ko) 지혈 밸브장치
RU2763749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через установленный периферический внутривенный катетер
JP2736902B2 (ja) チューブ体および血液潅流装置
JP2888990B2 (ja) 植え込み可能なアクセス装置
US66022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intaining a seal
US6500166B1 (en) Method of emboli protection using a low profile catheter
US9155863B2 (en) Multiple use stretching and non-penetrating blood control valves
JP4995278B2 (ja) 容積変化バスキュラーアクセス器具
US5669881A (en) Vascular introducer system incorporating inflatable occlusion balloon
JP2024099840A (ja) 血栓凝血塊の液圧変位および除去、ならびに液圧変位を実施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
JP5332048B2 (ja) 止血弁
US20080200871A1 (en) Valve System For a Medical Device Having an Inflatable Member
KR20080082687A (ko) 약물 용출성 혈관 폐색 장치 및 방법
JP2003522545A (ja) 弁装置
CN105007973A (zh) 具有导丝阀调的输注导管
JP2010110648A (ja) 血管穿刺に止血促進物質を送達して止血を促進するシステム
CN106620944A (zh) 提供导管抗扭结性的导管适配器
CN113017767A (zh) 一种介入医疗器械输送系统及输送方法
JP2009544452A (ja) 容積変位型血管用アクセスデバイス
JPH1134220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18121345A1 (zh) 左心耳封堵器的输送系统
JP3685509B2 (ja) 皮下埋込型薬液注入ポートスリーブ用キャップ
US10010344B2 (en) Self-dilating catheter introducer with obturator and method of use
WO2015168522A1 (en) Bidirectional intravascular access sheath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on blood vessel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3508163A (ja) カテーテル付近の流体の流れが阻止されている静脈の中の隔離した部位に薬剤を投与するためのマルチカニューレ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