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093B1 -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 Google Patents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8093B1 KR101248093B1 KR1020110017792A KR20110017792A KR101248093B1 KR 101248093 B1 KR101248093 B1 KR 101248093B1 KR 1020110017792 A KR1020110017792 A KR 1020110017792A KR 20110017792 A KR20110017792 A KR 20110017792A KR 101248093 B1 KR101248093 B1 KR 101248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tring
- wall
- smart wear
- injection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5/00—Dress forms; Bust forms; Stands
- A41H5/02—Inflatable form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4—Heat retention or warming infla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신축성 재질의 에어 스트링; 상기 에어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스트레치 원단;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상기 에어 스트링을 선택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입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트링은, 제 1 벽체와 제 2 벽체로 구분이 되되, 상기 제 1 벽체는 상기 제 2 벽체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제 1,2 벽체의 두께 편차에 의하여 신축성을 달리 함으로써 상기 에어 스트링이 일 측 방향으로 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a b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tring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tate having an internal hollow space so that the air flows; Stretch fabri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air string; An air inlet / outlet devic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tr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ir in / out device to select the air string to inject and discharge air, wherein the air string is divided into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It is thicker than the second wall, and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tring has the flexibility in one direction by varying the elasticity by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Description
본 발명은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환경에 따라 일 측으로 휘어지는 스마트웨어를 제공하되 이러한 휨성을 스마트웨어 내에 장착된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여 실현하도록 하고, 이 에어 스트링의 다양한 구조를 제안함으로 이에 상응한 다양한 휨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웨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injectable smart wear having a warp, and to provide a smart wear that is bent to one side according to a specific environment to realize this warp by injecting air into the air string mounted in the smart wear, this air string By suggesting a variety of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ear that can implement a variety of corresponding bendability.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산물인 스마트 웨어(smart wear)는 일생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의복 속에 통합시킨 차세대 의류로서, 신 섬유 기술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의류 제품이다.Smart wear, a product of the ubiquitous era, is a next-generation garment that integrates various digital devices necessary for life, and is a clothing product incorporating new textile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현재 새로운 기술을 시도한 기능성 의류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의복이 존재하고 있는바, 특히 여러 목적을 가진 기능성 의복 중에서 자체적인 변형이 가능한 의복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As the demand for functional clothing, which attempts new technology, is increasing gradually, there are various kinds of functional clothing. In particular, research on clothing that can be modified by itself among functional clothing having various purposes is ongoing.
자체적 변형이 가능한 의복이라 함은, 체형 보정, 사이즈 조절,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기능, 디자인 변화 등의 목적에 의하여 의복의 특정 부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Clothing that can be deformed by itself is to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a specific part of the clothing to be changed by the purpose of body shape correction, size adjustment, protection from external impact, design change, and the like.
이 중에서 특히 의복의 특정 부위를 휘어지거나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변화 내지 특수 기능을 제공하는 의복에 대해서도 역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Among these, in particular,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clothes that provide various design changes or special functions by bending or stretching specific areas of the clothes.
이와 같이 의복의 특정 부위에 대한 휨성을 제공하는 의복에 대한 공개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 제 10-01985-0004625호 '휨성이 있는 신장부재'는 다수 개의 봉은 꼬아 휨성을 제공하는 원단 또는 사를 제공하는 것이나, 이는 휨성이 제공되는 부위를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선택할 수 없고 이러한 원단으로 제작된 부위에서 항시 휨성이 제공된다는 수동적 기능만을 제공하는데 그친다.Looking at the disclosed technology for a garment that provides the bendability to a specific part of the clothes a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1985-0004625 'bending stretchable member' is a plurality of rods twisted to provide a fabric or yarn However, this provides only a passive function that the part provided with the warp cannot b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like, and the warp is always provided in the part made of such fabric.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5-0039124호 '의류용 밴드직물 및 이의 직조방법'은 스판텍스사로 이루어진 커버링사와 위사 및 매치사가 엮어짐에 의하여 신축성과 휨성을 제공하는 것인바, 이 기술 역시 이러한 복수 개의 사가 장착된 부위에는 휘어지는 성질을 제공할지 몰라도 휨성 제공 부위를 가변적으로 선택을 하거나 휨성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따른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9124 'clothing band fabric and weaving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the elasticity and warp by weaving a covering yarn and a weft and match yarn made of spantex yarn, this technology also The site where a plurality of yarns are mounted may be provided with a bending property, but a problem of failing to provide a function of variably selecting a warp providing part or providing a change in warpage is provided.
따라서 휨성이 제공되는 의복 부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휘어지는 정도 역시 조절이 가능한 신규하고 진보한 스마트웨어의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technology of smart wear, which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art of clothing provided with warpage and also adjusts the degree of bendin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의복의 부위에서 휨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성 에어 스트링을 제공하되 에어 스트링은 공기 주입 방식에 의하여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벽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스마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o provide a flexible air string to be able to provide flexibility in the various parts of the garment, but the air string is bent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air injection metho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wear wall formed with different thickness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스트링을 구성하는 벽체를 2개의 재질로 구성하되 이러한 2개의 재질에 대한 팽창계수의 차이를 두어 에어 스트링 내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wall constituting the air string of two materials, but to bend in one direction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by the difference in expansion coefficient for these two material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스트링의 직경 차를 두거나 테이퍼 처리를 하여 다양한 휨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ety of warpages by placing or tapering the diameter difference of the air string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에어 스트링의 벽체의 두께를 가변 처리함과 동시에 벽체 내에 별도의 중공공간을 형성하여 에어 스트링이 원활하면서 다양한 휨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ary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the air string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separate hollow space in the wall so that the air string can have a variety of flexibility and smooth.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공기를 주입,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및 컨트롤러를 스마트웨어와 분리된 별도의 악세사리에 장착하여 의복 자체의 무게를 줄일 뿐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창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unt the air inlet and outlet controller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 a separate accessory separate from the smart wea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garment itself and to perform various desig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스트링; 상기 에어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의 스트레치 원단;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입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트링은, 제 1 벽체와 제 2 벽체로 구분이 되되, 상기 제 1 벽체는 상기 제 2 벽체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제 1,2 벽체의 두께 편차에 의하여 신축성을 달리 함으로써 상기 에어 스트링이 일 측 방향으로 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injecting smart wear with a b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tring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tate having an internal hollow space so that air flows; Stretch fabric of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air string; An air inlet / outlet devic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tr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air in / out device to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the air string, wherein the air string is divided into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wherein the first wall is the second wall. It is thicker than the wall, and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tring has the flexibility in one direction by varying the elasticity by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또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신축성 재질의 에어 스트링; 상기 에어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스트레치 원단;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상기 에어 스트링을 선택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입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트링은, 제 1 벽체와 제 2 벽체로 구분이 되되, 상기 제 1 벽체는 상기 제 2 벽체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제 1,2 벽체의 탄성계수의 편차에 의하여 신축성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에어 스트링이 일 측 방향으로 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tring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tate having an internal hollow space to allow air to flow; Stretch fabri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air string; An air inlet / outlet devic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tr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ir in / out device to select the air string to inject and discharge air, wherein the air string is divided into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second wall, so that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by varying the elasticity by the variation of the elastic coefficient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the air string has a bending in on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더불어, 상기 에어 스트링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전체 부위 중 일 부위가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tring further includes a recess in which a portion of the entir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cessed inwardly.
추가적으로, 상기 에어 스트링의 내측 면 연장 라인은, 상기 제 2 벽체 방향 측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휘어져 있되, 상기 제 1 벽체의 일 부위에는 중공공간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스;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extension line of the air string, the convex arched convex toward the second wall direction side, a space consisting of a hollow space in one portion of the first wall;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formed.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air-injecting smart wear with the bend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 선택 주입 방식에 의하여 의복 착용자 등이 휨성이 제공되는 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될 수 있고,1)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allowing the wearer of the garment to select the area to be provided by the air selection injection method, etc.
2) 휘어지는 정도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보다 폭넓은 적용 분야를 제시할 수 있으며,2) It can present a wider range of applications by pursuing a variety of bends.
3) 공기를 주입/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내지 컨트롤러를 의복에서 분리한 악세사리 스타일의 하우징에 장착을 하여 의복 자체의 무게를 줄이고 세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clothing itself and provide convenience of washing by attaching the air inlet / outlet controller that injects / discharges air in the accessory style housing separated from clothes.
4) 휘어지기 시작하는 부위를 특정하여 휨성을 강화함으로써 역시 보다 폭넓은 분야에 적용되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4) It provides the effect that it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of fields by identifying the part that starts to bend and strengthens the bending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입출장치 및 부속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injection-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ir inlet and 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injecting smart wear with a bend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는 스마트웨어(10)를 구성하는 직물 중 투 웨이/포 웨이 스트레치 원단(two-way/four-way stretch fabric)(40)에 연결된 에어 스트링(20)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방식을 취하되, 공기가 주입된 에어 스트링(20)이 자체 구조의 특성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 즉 디자인을 변화하거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기능 제공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웨어(10)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The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jects air to th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본 발명에서는 이를 의복 또는 지능형 의복으로 표현하기도 함)(10)는 기본적으로 공기 주입에 따라 휨성을 구비한 에어 스트링(20) 및 상기 에어 스트링(20)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 장치(30)를 포함한다.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clothing or intelligent clothes) 10 is basically injecting air to the
더불어, 에어 스트링(20)은 스트레치 원단(40)에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지면서 이에 부착된 스트레치 원단(40)을 늘이는 역할을 하는바, 스트레치 원단(40)은 2 방향(투 웨이) 또는 4 방향(포 웨이) 방향으로 스트레칭이 될 수 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져 후술하겠지만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질 때 그 휨성을 전달받아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입출 장치 및 부속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ir intake apparatus and an accesso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입출 장치(30)는 연결관(50)(또는 연결장치(60)까지)을 매개로 에어 스트링(20)에 공기를 주입함 및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스마트웨어(10)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거나 아니면 스마트웨어(10)에 악세사리(하우징(90)) 등의 매개로 탈부착 되는 방식에 의해 1:1 방식으로 각각의 에어 스트링(20)에 연결되거나 1:n(1개의 에어 입출 장치 : n개의 에어 스트링) 방식으로 에어 스트링(2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에서는 에어 스트링(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에어 입출 장치(30)가 장착되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ir inlet and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개수의 에어 입출 장치(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와 같이 예를 들어 1개의 에어 입출 장치(30)를 통하여 복수 개의 에어 스트링(20)을 적절하게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에어 입출장치(30)와 에어 스트링(20)을 연결하는 연결관(50) 내지 연결장치(60)의 관로(62)의 분기 지점에 체크 밸브(70)를 형성하여 체크 밸브(70)의 개폐를 제어(개폐각 내지 밸브의 회전각 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에어 스트링(20)에 공기 주입/배출을 수행하거나 각각의 에어 스트링(20)과 복수 개의 연결관(50)을 1:1 방식으로 연결하여 특정 연결관(50)에 공기를 주입/배출할 경우 해당 연결관(50)이 담당하는 에어 스트링(20)에 공기가 주입/배출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특히, 1:1 방식으로 연결관(50)과 에어 스트링(20)을 연결할 경우에는 스마트웨어(10) 내에 연결관(50)이 복잡하게 얽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연결관(50)을 스마트웨어(10)의 측부 라인 또는 일 라인을 따라 연장되도록 한 다음 그 단부가 스마트웨어(10)의 일 부위(도면에서는 스마트웨어의 하단 부위)로 집중 노출되도록 하고, 각각의 연결관(50)의 단부는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 가능한 체크밸브(70)를 구비한 연결장치(60)를 매개로 에어 입출장치(30)와 연결되는 방식을 추구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connecting the
도 2는 에어 입출장치(30)가 스마트웨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연결장치(60)를 매개로 에어 스트링(20)에 1:1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연결관(60)과 연결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 자체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세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어 입출장치(이를 포함하여 컨트롤러)는 허리에 착용되는 악세사리, 즉 벨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90) 내에 장착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2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더불어 스마트웨어(10)의 연결관(50)은 각각의 에어 스트링(20)에 1:1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웨어(10)의 일 측 부위를 따라 연장되어 연장 끝단이 연결장치(6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는 물에 취약한 전자장치를 자체 보유하지 않도록 하여 가벼운 무게를 지향함과 아울러 세탁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연결장치(60)는, 각각의 연결관(50)의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단자(61)와 이 연결단자(61)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통로인 관로(62)로 이루어지는데, 연결관(60)의 개수에 맞게 연결단자(61)와 관로(6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브랜치 형식으로 이루어진 관로(62)는 특정 개수를 1 묶음으로 하여 체크밸브(70)와 연결되어 있다.The connecting
체크 밸브(70)는 특정 관로(62)에만 공기 주입/배출되도록 개폐 제어(또는 회전 제어) 내지 연결관 선택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가 된다.The
더불어, 체크 밸브(70)를 기준으로 관로(62)의 대향 측에서 연장된 통로는 에어 입출장치(30)와 연결이 된다.In addition, the passage extend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에어 입출장치(30)가 공기 공급을 위해 구동되어 연결장치(60)의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면 체크밸브(70)에서 특정 관로(62)를 선택하여 개폐 제어된 다음 특정 관로(62)에 공기를 공급하여 해당 관로(62)에 연결된 연결관(50)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해당 연결관(50)에 연결된 에어 스트링(20)에 공기가 주입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의 배출은 이와 반대의 원리로 실행할 수 있다.That is, by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air inlet /
또한, 에어 입출 장치(30)는 압축공기 주입방식과 팬 구동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in / out
압축공기 주입방식은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 에어 펌프를 작동하여 용적변화에 따른 압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대기 중 에어가 압축 상태로 공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축 에어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관로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에어 펌프는 구동 모터의 역 방향(reverse) 구동 방식에 의하여 에어 흡입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상기 에어 주입 방식과 반대의 프로세스로서 에어 스트링(20)에 주입되어 있는 에어를 배출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Compressed air injection method operates the air pump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to induce pressur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so that the air in the air is stored in the compressed state in the air storage, and the stored compressed air controls the flow of the solenoid valve. The air pump serves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to the pi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pump has a function as an air inhaler by the reverse driving method of the drive motor, and the air as a process opposite to the air injection method. It also performs a function to discharge the air injected into the
이러한 에어 펌프는 신속한 에어 주입 능력이 일정 수준으로 보장되어야 하는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ml/sec 속도로 에어 스트링(20) 내에 에어(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에어 스트링(20)이 목적한 대로 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 스트링(20) 내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Such an air pump is required to ensure a certain level of rapid air injection capability, preferably allowing air (air) to be injected into the
또한, 팬 구동방식은 팬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팬의 정/역 회전 방향에 따라 공기 주입/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에어 스트링(20)에는 그다지 많은 공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팬을 구동하여 에어를 에어 스트링(20)에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an driving method may be configured to enable air injection / discharge according to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by supplying air through the outside air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fan. That is, since the
이러한 에어 입출 장치(30)에 의하여 에어 스트링(30) 내에 자동으로 에어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The air inlet /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 입출 장치(30)는 반드시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와 방식을 가진 에어 주입 및 배출 장치가 사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However, the air inlet 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20)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중공 공간을 구비한 파이프 또는 빨대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원 형상을 기본으로 하되 상황에 따라 납작한 타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에어 스트링(20)은 가늘고 길게 연장이 된 스트링 형상을 가지되 파이프와 같이 내부 중공 공간을 구비하여 이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에어 스트링(20)은 스마트웨어(10)에서 휨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부위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바, 예를 들어 스트레치 원단(40)의 사이에 끼워지거나 스트레치 원단(40)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예를 들어, 에어 스트링(20)의 상하 단은 스트레치 원단(40)에 접착 고정되어 있되 그 중간 부위는 스트레치 원단(40) 사이에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위치하고 있어,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질 때 이 주변의 스트레치 원단(40) 역시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한다.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20)은 에어 스트링(20)을 구성하는 벽체(즉, 에어 스트링 내 중공공간과 스트레치 원단을 구분하면서 에어 스트링 고유의 형상을 표출하는 물리적 벽체)를 2가지의 다른 성질로 구성하고 에어 스트링(20) 내에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이 성질의 차이를 기반으로 양자가 팽창되는 정도를 차별화하여 일 측으로 에어 스트링(20)이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에어 스트링(20)은 기본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 팽창되는 성질을 가진다. 다만, 팽창되는 정도에 한계를 갖도록 하여 무한 팽창됨으로 그 체적이 과도해져 착용감을 저해하거나 보기 흉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구체적으로 에어 스트링(20)의 종단(즉, 길게 연장된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은 원형, 타원형의 벽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벽체의 일 측을 제 1 벽체(21), 타 측을 제 2 벽체(22)로 구분한다.Specifically, the end of the air string 20 (that is, a cross sec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mposed of a circular or elliptical wall, one side of which is the
도 3을 참조하면, 에어 스트링(20)의 왼쪽 벽체 부위를 제 1 벽체(21)로 명명하고, 에어 스트링(20)의 오른쪽 벽체 부위를 제 2 벽체(21)로 명명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left wall portion of the
이와 같은 도 3에 따른 제 1,2 벽체(21,22)는 에어 스트링(20)을 수직 종단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좌우측을 각각 구분한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벽체(21)와 제 2 벽체(22)는 필요에 따라 그 체적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휨성의 구현 정도에 따라 제 1,2 벽체(21,2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큰 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and
도 3을 기반으로 한 에어 스트링(20)의 제 1 실시예는, 제 1 벽체(21)의 두께가 제 2 벽체(22)의 두께보다 크게(두껍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에어 스트링(20)의 단면 형상에서 제 1 벽체(21)가 제 2벽체(22)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에어 스트링 내부 중공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면 에어 스트링(20)이 기본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팽창이 되려 하나, 제 1 벽체(21)는 상대적으로 제 2 벽체(22)보다 두껍기 때문에 제 1 벽체(21) 측보다 제 2 벽체(22) 측이 상대적으로 더 팽창이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3, when the
이와 같이, 제 2 벽체(22) 측이 제 1 벽체(21) 측보다 더 팽창이 되면, 앞서 말했듯이 에어 스트링(20) 자체의 형상이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게 때문에 에어 스트링(20)은 제 2 벽체(22)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대한 에어 스트링의 제 2 실시예는 제 1,2 벽체(21,22)의 재질을 달리 처리하는 것인바, 구체적으로 제 1 벽체(21)의 탄성계수가 제 2 벽체(22)의 탄성계수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제 1 벽체(21)의 재질이 제 2 벽체(22)의 재질보다 덜 신축적이라는 의미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string for Figure 4 is to treat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21, 22) differently, specifically,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wall (21) of the second wall (22) It is made larger than elastic modulus. In other words, the material of the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제 1,2 벽체(21,22)는 양자의 재질이 다른바, 이 경우 양자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견고하게 부착을 한다. 아니면 양자가 접착이 되어 상호 영향을 받는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제 1,2 벽체(21,22) 사이에 비탄성물질로 이루어진 완충 벽체(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nd
이에 따르면, 에어 스트링(20)의 제 1,2 벽체(21,22)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 중공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면 제 2 벽체(22)가 더 신축성이 크므로 상대적으로 제 1 벽체(21)측 방향보다 제 2 벽체(22)측 방향으로 공기가 팽창되는 성질을 갖게 되고, 에어 스트링(20)이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에어 스트링(20)은 제 2 벽체(22)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According to this,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nal hollow space generated by the first a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트링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ir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대한 에어 스트링(20)의 제 3 실시예(도 5의 (a) 참조)는 상기 제 1,2 벽체(21,22)가 두께가 다르거나 탄성계수가 다른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에어 스트링(20)의 특정 부위에 대한 직경을 보다 작게 구성한 함입부(25)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즉, 예를 들어 제 1 벽체(21)가 제 2 벽체(22)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 1 실시예에서 함입부(25)는 제 1,2 벽체(21,22)가 동일한 비율로 두께를 얇게 처리하거나 아니면 다른 부위의 두께와 같은 두께(즉 도 5의 (a))로서 전체적으로 에어 스트링(20)의 내부 중공 공간 및 외부 직경을 작게 처리한 부위, 즉 도 5에서 내측으로 합입되어 있는 에이 스트링 부위를 의미한다.That is, 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이러한 함입부(25)에 의하면, 공기가 주입되는 내부 주입공간의 체적의 차이를 설정할 수 있어 에어 스트링(20)이 팽창되는 정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바, 다시 말해 함입부(25)를 기준으로 휘어지는 성질을 강화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이러한 함입부(25)는 비단 에어 스트링(20)이 길이를 따라 연장된 방향의 일부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장될 때 제 1,2 벽체(21,22)의 두께 감소율을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아니면 같은 두께(도 5의 b)로서 상태에서 점차 직경이 얇아지게 테이퍼 처리된 테이퍼 처리부(26)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러한 테이퍼 처리부(26) 또는 함입부(25)에 의하면 에어 스트링(20)의 직경 차이에 의하여 휨성 정도 내지 방향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어 스마트웨어(10)의 특정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적용 환경을 창출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또한, 도 5의 (c)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에어 스트링(20)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제 1,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제 1,2 벽체(21,22)의 내측면의 연장 라인이 제 2 벽체(22) 방향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휘어져 있음과 동시에 제 1 벽체(21)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2 벽체(22)가 아치형으로 휘면서 가장 얇아진 부위에 수평하게 대응되는 부위에 스페이스(2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즉, 이러한 제 5 실시예는 휘어지는 곡도를 의도적으로 보다 크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제 1,2 실시예에서 에어 스트링(20)은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제 2 벽체(22) 방향으로 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휘어지는 방향 측으로 볼록하게 제 1,2 벽체(21,22)의 내측면 연장 라인 자체를 휘도록 처리하여 제 2 벽체(22) 방향으로 보다 더 휘어지게 하는 기능(에어 스트링의 중간 부위에서 의도적으로 제 2 벽체 방향으로 더 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에어 스트링(20)의 외부 형상은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게 원통 형상으로 연장된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is fifth embodiment is intended to intentionally increase the curved curvature,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더 나아가, 이 경우 제 2 벽체(22)의 가장 얇은 벽체 부위(도 5에서 에어 스트링의 연장 라인 중 대략 중간 부위)에 수평 방향 측에 대응되는 제 1 벽체(21)의 부위는 상대적으로 가장 두꺼운 부위가 되는데 이 경우 이 부위가 잘 휘어지지 않아 목적한 바대로 휨성을 제공할 수 없을 우려가 따르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벽체(21)의 일 부위(즉 아치형으로 연장되면서 가장 두껍게 처리된 부위)에는 중공공간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스(29)가 형성되어 휨성에 따른 반발을 줄이면서 제 2 벽체(22)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more, 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에어 입출장치(30)는 컨트롤러(100)에 의하여 구동 제어가 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 방식에 의해 특정 에어 스트링(2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해당 에어 스트링(20)과 연결이 된 스트레치 원단(40)의 신장이 일어나도록 에어 입출 장치(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컨트롤러(100)는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마트웨어(10)와 연결 가능한 특정 악세서리, 예를 들어 벨트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90) 내에 장착되어 스마트웨어(10)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inlet / out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0)는 조작부(110), 식별 저장모듈(120), 에어입출 제어모듈(130)을 구비한다.In detail, the
조작부(110)는 복수 개의 키(key)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특정 에어 스트링(20)을 선택하여 이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신호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휨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에어 스트링(20)을 선택하여 이에 공기 주입/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수동 기능을 제공한다.The
식별 저장모듈(120)은 공기가 주입되어야 할 에어 스트링(20)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각각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예를 들어, 식별 저장모듈(120)은 왼쪽 허리에 밀착되는 스트레치 원단(40)에 연결된 에어 스트링(20)을 1번으로 식별 저장 처리하고, 오른쪽 허리에 밀착되는 스트레치 원단(40)을 감싸는 에어 스트링(20)을 2번으로 식별 저장 처리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이와 연관되어, 조작부(110)는 복수 개의 조작키를 구비하여 예를 들어 1번 조작 키는 왼쪽 허리라인에 휨성을 제공하도록 설정되고 2번 조작키는 오른쪽 허리라인에 휨성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각각의 에어 스트링(20)에 부여된 식별번호가 각각의 조작키에 매칭되도록 한다.In connection with this, the
에어 입출 제어모듈(130)은 조작부(110)를 통해 특정 에어 스트링(20)에 공기 주입/배출하라는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해당 에어 스트링(20)에 공기를 주입/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 입출장치(30)의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When the air inlet /
더 나아가, 에어 입출 제어모듈(130)은 특정한 에어 스트링(3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 체크밸브(70)의 개폐 제어 또는 회동 제어를 수행하도록 체크밸브 제어부(131)를 구비한다.Furthermore, the air inlet /
즉, 에어 입출 제어모듈(130)은 조작부(110)에 의해 선택된 에어 터널(3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에어 입출장치(30)는 물론 체크밸브(70)의 구동 제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air inlet /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injecting smart wear with the bending proper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웨어 20: 에어 스트링
21: 제 1 벽체 22: 제 2 벽체
25: 함입부 26: 테이퍼 처리부
29: 스페이스 30: 에어 입출장치
40 : 스트레치 원단 50: 연결관
60: 연결장치 61: 연결 단자
62: 관로 70: 체크 밸브
90: 하우징 100: 컨트롤러
110: 조작부 120: 식별 저장모듈
130: 에어 입출제어모듈 131: 체크밸브 제어부10: smart wear 20: air string
21: the first wall 22: the second wall
25: depression 26: taper treatment
29: space 30: air in / out device
40: stretch fabric 50: connector
60: connecting device 61: connecting terminal
62: pipeline 70: check valve
90: housing 100: controller
110: operation unit 120: identification storage module
130: air inlet / outlet control module 131: check valve control unit
Claims (6)
공기가 유통되도록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스트링;
상기 에어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의 스트레치 원단;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입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트링은,
제 1 벽체와 제 2 벽체로 구분이 되되, 상기 제 1 벽체는 상기 제 2 벽체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제 1,2 벽체의 두께 편차에 의하여 신축성을 달리 함으로써 상기 에어 스트링이 일 측 방향으로 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As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An air st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with an internal hollow space to allow air to flow;
Stretch fabric of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air string;
An air inlet / outlet devic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tring;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ir in / out device to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the air string.
The air string is,
It is divided into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the first wall is made thicker than the second wall,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by varying th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the air st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tring having a warp in one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
공기가 유통되도록 내부 중공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신축성 재질의 에어 스트링;
상기 에어 스트링에 연결되어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스트레치 원단;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에어 입출장치;
상기 에어 스트링을 선택하여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에어 입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트링은,
제 1 벽체와 제 2 벽체로 구분이 되되, 상기 제 1 벽체는 상기 제 2 벽체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 스트링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상기 제 1,2 벽체의 탄성계수의 편차에 의하여 신축성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에어 스트링이 일 측 방향으로 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As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An air string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with an internal hollow space to allow air to flow;
Stretch fabri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air string;
An air inlet / outlet devic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air str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air in / out device to select the air string to inject and discharge air.
The air string is,
It is divided into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the first wal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second wall,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tring by vary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coefficient of the first and second walls by varying the elasti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tring has a bend in one direction, air injection type with bendability Smart wear.
상기 에어 입출장치는,
연결관에 연결장치를 매개로 공기 주입 가능하도록 연결이 되되,
상기 연결장치는,
각각의 상기 연결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관로 및 상기 관로를 선택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개폐 및 회동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 개의 관로 중 특정 관로를 선택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체크밸브의 개폐 및 회동각을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inlet and outlet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so that air can be injected through the connector.
The connecting device,
And a connection terminal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and a check valve opened and rotated so as to inject air by selecting the pipe line and the pipe lin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The controller,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check valve to inject air by selecting a specific pipe of a plurality of pipes.
상기 에어 스트링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전체 부위 중 일 부위가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string is,
Air-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essed portion in which one portion of the entir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ward.
상기 에어 스트링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테이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string is,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ape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에어 스트링의 내측면 연장 라인은,
상기 제 2 벽체 방향 측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휘어져 있되,
상기 제 1 벽체의 일 부위에는 중공공간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스;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성을 구비한 공기 주입형 스마트웨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ner side extension line of the air string,
Curved convexly convex toward the second wall direction,
One portion of the first wall; a space consisting of a hollow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type smart wear with be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7792A KR101248093B1 (en) | 2011-02-28 | 2011-02-28 |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7792A KR101248093B1 (en) | 2011-02-28 | 2011-02-28 |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8085A KR20120098085A (en) | 2012-09-05 |
KR101248093B1 true KR101248093B1 (en) | 2013-03-27 |
Family
ID=4710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7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8093B1 (en) | 2011-02-28 | 2011-02-28 |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809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20694A (en) * | 2014-06-16 | 2014-09-03 | 法视网络传媒技术(北京)有限公司 | Energy-saving wearable device capable of being triggered through one key, mobile terminal, and triggering method and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3519A (en) * | 2001-10-02 | 2003-04-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hape-changing clothes, shape-changing clothes system, and costume shape data supply method |
KR100626866B1 (en) * | 2005-07-26 | 2006-09-25 | 권진일 | Original form for wrinkle pants and wrinkle pants manrfacturing method utilizing it |
KR100677999B1 (en) * | 2001-12-06 | 2007-02-02 |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트 지엠비에치 | Inflatable mechanism including pressure regulating means |
KR100941945B1 (en) * | 2009-07-16 | 2010-02-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tailored smart wear system with air tunnel controlled by external factors |
-
2011
- 2011-02-28 KR KR1020110017792A patent/KR1012480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3519A (en) * | 2001-10-02 | 2003-04-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hape-changing clothes, shape-changing clothes system, and costume shape data supply method |
KR100677999B1 (en) * | 2001-12-06 | 2007-02-02 |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트 지엠비에치 | Inflatable mechanism including pressure regulating means |
KR100626866B1 (en) * | 2005-07-26 | 2006-09-25 | 권진일 | Original form for wrinkle pants and wrinkle pants manrfacturing method utilizing it |
KR100941945B1 (en) * | 2009-07-16 | 2010-02-1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User-tailored smart wear system with air tunnel controlled by external facto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20694A (en) * | 2014-06-16 | 2014-09-03 | 法视网络传媒技术(北京)有限公司 | Energy-saving wearable device capable of being triggered through one key, mobile terminal, and triggering method and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8085A (en) | 2012-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145082A1 (en) | Brassiere with storage compartment | |
JP6953477B2 (en) | Moldable headgear and masks | |
US20190195427A1 (en) | Inflatable structural member | |
JP2014210176A (en) | Upper | |
KR101248093B1 (en) | Aeration smart wear having deflection characteristic | |
CN102926073B (en) | Shito cotton and knit thereof | |
CN106574410B (en) | Three-dimensional fabric | |
KR20170011848A (en) | Wearable electric fan | |
ES2442854T3 (en) | Knitted bandage | |
CN101238958A (en) | Multifunctional towel | |
KR101248094B1 (en) | Aeration smart wear changing silhouette for air string assembly | |
ATE552742T1 (en) | FABRIC FOR PROTECTIVE CLOTHING AGAINST ARC FLASH | |
ES2345360T3 (en) | ELASTIC BELT OF SILICONIC RUBBER. | |
CN220354694U (en) | Novel telescopic water pipe | |
CN208293200U (en) | A stretched and deformed mesh webbing | |
KR20100085473A (en) | A functional fabric with good flexibility | |
JP2005264416A5 (en) | ||
CN216733271U (en) | Double-sided soft heat-storage warm-keeping knitted fabric | |
JP5485717B2 (en) | Composite fiber fabric of carbon fiber and silk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CN108103658A (en) | A kind of netted ribbon of stretcher strain | |
CN218701765U (en) | High-elastic breathable chemical fiber fabric | |
CN218430367U (en) | High-toughness tensile wear-resistant woven fabric | |
CN215992769U (en) | A new type of elastic shirt | |
CN220180312U (en) | Wear-resistant stretch-resistant fabric | |
CN220429538U (en) | Wear-resistant crease-resistant knitted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