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700B1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700B1 KR101247700B1 KR1020120077075A KR20120077075A KR101247700B1 KR 101247700 B1 KR101247700 B1 KR 101247700B1 KR 1020120077075 A KR1020120077075 A KR 1020120077075A KR 20120077075 A KR20120077075 A KR 20120077075A KR 101247700 B1 KR101247700 B1 KR 101247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scaping
- reservoir
- drain pipe
- present
- pla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조경용 화분 자체가 기본구조가 되어 별도의 지지장치나 구조물 없이 견고한 꽃탑이나 꽃벽 등 조경물이 설치되고, 원형 꽃탑, 직선형 및 곡선형의 꽃벽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조경물이 설치되도록 하며, 관수와 배수가 용이한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은 상부가 개구된 식재부; 상기 식재부와 연결되며, 하면에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 상기 식재부와 상기 저수부의 분리를 위한 격벽; 및 상기 배수홀에 밀착 삽입되며, 일단에는 상기 저수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식재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for landscaping, the potted plant itself is a basic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support device or structure is installed landscaping, such as a sturdy flower tower or flower wall, a variety of forms, such as circular flower tower, straight and curved flower wall The landscaping is to be installed, it is to provide a landscaping pots for easy watering and drainage.
Landscaping po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planting portion opening the top;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planting part and having a drainage hole at a lower surface thereof; A partition wall for separating the planting part and the reservoir part; And a drain pip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and having an inlet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servoir and having an outlet at the other end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for supplying the planting portion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한 적층 및 조합을 통해 별도의 구조물 없이 꽃탑이나 꽃벽 등 다양한 조경물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관수 등의 관리가 편리한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ndscaping pot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nstall a variety of landscaping, such as a flower tower or a flower wall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through easy lamination and combination, and relates to a landscaping pot for easy management of watering.
일반적으로 꽃탑이나 꽃벽은 체육행사, 지역축제 등과 같은 각종 행사를 홍보하기 위한 용도나 도심의 미관 개선 등을 위하여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꽃탑이나 꽃벽은 계단 형태로 구성된 받침대 위에 다수 개의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이러한 구조의 꽃탑이나 꽃벽은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flower towers and flower walls are installed and used to promote various events such as sports events and local festivals, or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Conventional flower towers or flower walls have been configured to place a plurality of pots on a pedestal in the form of stairs, but the flower towers or flower walls of such a structure are difficult to maintain and costly.
또한, 꽃탑이나 꽃벽의 화분에 설치된 화초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급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행사장에 설치된 꽃탑이나 도로 곳곳에 비치된 꽃벽의 수많은 화분에 대한 급수는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화분에 공급되는 수량 조절이 어려워 초과 공급된 물로 인해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거나 물의 낭비가 초래된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periodical water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smooth growth of flowers installed in flower towers or flower pots. The watering of numerous flower pots on flower towers or roads installed in the venue takes a lot of labor and work time. Since the quantity of water supplied to each flower pot is difficult to control,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coming dirty or waste of water due to the excess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이한 적층 및 조합을 통해 별도의 구조물 없이 꽃탑이나 꽃벽 등 다양한 조경물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관수 등의 관리가 편리한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nstall a variety of landscaping, such as flower towers or flower walls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through easy lamination and combination, and to provide a gardening pot for easy management of watering, etc. will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식재부; 상기 식재부와 연결되며, 하면에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 상기 식재부와 상기 저수부의 분리를 위한 격벽; 및 상기 배수홀에 밀착 삽입되며, 일단에는 상기 저수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식재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planting portion;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planting part and having a drainage hole at a lower surface thereof; A partition wall for separating the planting part and the reservoir part; And a drain pip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and having an inlet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servoir and having an outlet at the other end thereof. It provides a landscaping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for supplying the planting portion is formed.
이때, 상기 배수관은 직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 및 유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양 끝단에 형성되거나, 일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일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배출구는 상기 배수홀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부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저수부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ain pipe is formed in a right angle so that the outlet and the inle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drain pipe, or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inle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one end of the drain pipe.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of the drain pipe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drain hole to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the drain pipe may be prefer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y a fixtur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고정구의 외주연에는 결합턱이, 상기 저수부의 외벽 상부에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jaw may be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tur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jaw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또한 상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슬릿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유입구 하부는, 상기 슬릿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의 하부 끝단이 상기 저수부의 하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ll the above cases, the slits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and the lower part of the inlet of the drain pipe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slit, more 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slit is preferably formed to mat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나아가,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은 상기 식재부의 평단면이 사다리꼴 등의 전광후협(前廣後狹)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mnilateral narrowing shape such as a trapezoid.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에 따르면, 상단 화분 저면의 결합구에 형성된 결합턱과 하단 화분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 사이의 고정 결합을 통해 화분의 적층이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 안정적인 지지력이 확보된 다단 화분을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ndscap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the potted plant through a fixed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jaw form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bottom of the upper potted planter and the lower potted plant, the multi-stage secured stable support without a separate support device The effect is that you can make a pot.
또한, 상단의 화분에만 급수를 하더라도 각각의 화분 사이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균일한 급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된 꽃탑 및 꽃벽에 대한 편리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only the watering of the upper potted plant can be uniform water supply through the drain pipe connected between each po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t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stalled flower tower and flower wall.
나아가, 화분의 전체적인 형태가 사다리꼴 등의 전광후협 형태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떠한 배치 환경에서도 인접한 화분 사이의 밀착 배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미감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by configuring the overall shape of the pot to have an all-optical confinement form, such as trapezoidal, it is possible to close arrangement between adjacent pots in any arrangement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that provides a variety of addition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the overall aesthetic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을 다수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급수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을 이용해 꽃탑이나 꽃벽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t for landsca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pot for landsca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ing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ndscaping potted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water supply state of landscaping p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er tower or a flower wall is installed using a landscape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100)은, 상부가 개구된 식재부(10)와, 하면에 배수홀(21)이 형성된 저수부(20), 식재부(10)와 저수부(20)의 분리를 위해 형성된 격벽(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식재부(10)는 내부에 식생 공간이 형성되며, 식생 공간 내에 충전되는 토사에 다양한 꽃과 식물이 식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planting
저수부(20)는 적어도 일부의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하면에 배수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의 개구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The
여기서, 상기 식재부(10)와 저수부(20)는 서로 인접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격벽(30)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30)에는 저수부(20)로 유입된 물을 식재부(10)로 공급하기 위한 슬릿(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수부(20)는 상부의 개구부로 물을 공급받아 일부는 슬릿(31)을 통해 식재부(10)로 공급하고, 일부는 배수홀(21)을 통해 저수부(2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Here,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100)에 구비되는 식재부(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상 다단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조경용 화분의 특성상, 하단에 위치한 화분에 식재된 꽃이나 식물의 생장 공간 확보 및 외부로부터의 시야 확보 등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100)에 구비되는 식재부(10)는, 그 평단면이 사다리꼴 등의 전광후협(前廣後狹)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도 화분의 밀착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어 미감(美感)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절단 단면도, 도 4는 정면 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ndscaping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은 식재부(10), 저수부(20), 격벽(30) 및 배수관(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식재부(10)와 저수부(20)는 격벽(30)에 의해 분리되며, 격벽(30)에는 슬릿(31)이 형성되고 저수부(20)의 하면에는 배수홀(21)이 형성될 수 있음은 도 1의 설명을 통해 언급한 바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landscap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20) 내부에는 배수관(40)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관(40)은 하단이 상기 배수홀(21)에 밀착 삽입되고, 상단이 저수부(20) 내부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배수관(40) 상단의 유입구(41)로 물이 유입되기 위해 저수부(20)에 물이 저장되는 동안 상기 슬릿(31)을 통해 식재부(10)로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a
이때,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입구(41)를 통해 직접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40)을 직각 형태로 구성하여 그 단부에 유입구(41)를 형성하거나 또는 일자 형태로 구성된 배수관(40)의 측단부에 유입구(41)를 형성하는 등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flows directly to the lower through the
또한, 배출구(42)가 배수홀(21)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40)의 일정 위치에 걸림턱(4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43)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배출구(42)의 직경을 배수관(40) 몸체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배수홀(21)에 삽입되는 배수관(40)은 저수부(20)의 저면에서 결합되는 고정구(50)와의 결합을 통해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배수관(40)의 단부에는 고정구(50)와의 대응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수홀(21)에 삽입되는 배수관(40)의 이탈이나 유동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즉 저수부(20)의 저면으로부터 결합되는 고정구(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는 도면과 같이 나사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The
한편, 고정구(50)의 외주연에는 결합턱(5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화분은 통상 다단으로 적층하는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저수부(20)의 외벽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22)과 상기 결합턱(51) 사이의 끼움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화분의 적층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해, 도면에서와 같이 저수부(20)의 마주보는 장변(長邊) 등을 이용하여 결합홈(22)을 형성하고, 배수관(40)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50)의 외주연 등에 이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합턱(51)을 형성함으로써, 조경용 화분이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 이들 사이의 끼움 결합만으로 적층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3 및 도 4에 배수관(40)과 고정구(5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도를 나타내었다.3 and 4 illustrate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이때,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31)은, 그 하부가 저수부(20)의 하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저수부(20)에 유입된 물이 내부에 고임 없이 모두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슬릿(31)의 하부가 배수관(40) 유입구(41)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나아가, 저수부(20)의 하면이 식재부(10) 측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조경용 화분을 다수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조경용 화분의 급수 상태를 표시한 상태도로써,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적층 구조를 알 수 있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ation of landscaping potted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ndscaping potted plants,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water supply state of the landscaping potted plants, Figures 5 to Figure Referring to 7, it can be seen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은 결합턱(51)과 결합홈(22) 사이의 끼움 결합 등에 의해, 별도의 지지 장치에 의한 도움 없이, 화분들 사이에 마치 벽돌을 쌓듯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to Figure 7, the landscaping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이때, 맨 하단 화분의 경우 배수관(40)이나 결합구(50)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하단 화분의 경우 배수관(40)의 구비 대신 배수홀(21)에 삽입 가능한 물 배출 저감용 마개(23) 등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bottom potted plant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protrusion of the
즉, 화분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등의 경우, 맨 하단 화분은 평탄한 저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배수관(40)과 결합구(50)의 구성 대신 평탄한 저면을 위한 마개 등으로 배수홀(21)을 마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 배수홀(21)을 통해 적정 수준의 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마개(23)는 촘촘한 그물 모양이나,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형태 등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pot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bottom bottom po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flat bottom surface, and for this purpose, instead of the
이 외에도, 맨 하단 화분의 평탄한 저면 구성을 위해, 맨 하단 화분에 한해 저수부(20)의 저면과 평행한 깊이까지 삽입되는 별도의 배수관(40)을 구비하도록 하거나, 또는 일부 상면이 개구된 중공(中空)의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 맨 하단 화분의 안착이 가능며 평탄한 저면을 갖는 화분 지지대(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하는 등의 구성 역시 적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for a flat bottom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otted plant, only the bottom potted plant is provided with a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구성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배수홀(21)을 통한 적절한 배수 및 평탄한 저면의 구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방식도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any conventional method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can simultaneously satisfy the proper drainage and flat bottom configuration through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은 상하부 화분 사이의 안정적인 적층과 이에 대한 편리한 고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landscaping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stable lamin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ts and convenient fixing thereof.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설치된 조경물의 상부에 위치한 화분에 공급된 물은 배수관(40)을 통하여 하부에 위치한 화분의 저수부(20)로 공급됨으로써, 조경물의 최상단에 위치한 화분에만 물이 공급되어도 조경물에 설치된 모든 화분의 저수부(20)에 일시에 물 공급이 가능하고, 한번 물을 공급하면 각 화분의 저수부(20)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므로 지나친 물 공급으로 인한 물의 낭비 등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7,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ted plant located on the top of the installed landscape is supplied to the
특히, 적층된 구조에서 하부 화분에 공급된 물의 증발이 방지되므로 1회의 공급수 보충을 통해 장기간 지속적인 물 공급을 해결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력 낭비 등을 줄일 수 있다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evapor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pot is prevented in the stack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ong-term continuous water supply through one-time replenishment of water, thereby reducing additional manpower waste.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을 이용해 조경물을 설치한 참고도를 나타내었다.8 and 9 show a reference diagram in which the landscaping is installed using a landscaping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축제나 행사 현장에서 주로 쓰이는 원기둥 형태의 타워형 꽃탑으로써, 동일한 열로 적층 되어 구성된 일반 원기둥형 꽃탑에 비하여 화분이 보다 입체적이고 안정감 있게 설치되어 있어 보다 유려하고 세련된 타워형 꽃탑의 설치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8 is a columnar tower flower tower mainly used at festivals and events, the potted plant is installed more three-dimensional and stable compared to the general columnar flower tower is stacked in the same row it is possible to install a more elegant and stylish tower flower tower Shows.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조경용 화분이 꽃벽으로 설치되면 자연스럽게 쌓아 만들어진 벽돌담장 형태의 화분에 꽃이 식재됨으로써, 주변환경과 보다 조화롭고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Figure 9, when the landscaping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flower wall by the flowers planted in the form of a brick fence naturally stacked, it can be seen that a variety of configurations that harmonize more naturall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화분은, 그 식재부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단에 위치한 화분에 식재된 꽃이나 식물의 생장 공간 확보 및 외부로부터의 시야 확보 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 and 9, the landscaping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ing portion of the flower or plant planted in the potted plant located at the bottom by forming a structure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growth space and secure a view from the outside.
또한, 식재부의 평단면이 사다리꼴 등의 전광후협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분의 배치 환경 등에 따라 도 8과 같이 식재부 후면(後面) 사이의 밀착 배치를 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전면(前面) 사이의 밀착 배치를 하더라도, 관람객들은 빈 공간 없이 촘촘하게 배치된 상태만 확인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미감(美感) 향상 등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anar cross section of the planting part has an all-optical narrowing shape such as a trapezoi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nting part rear surface as shown in FIG. 8 or the front surface as shown in FIG. Even if the close arrangement, the viewers can only check the closely arranged state without the empty space,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aesthetics.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 범위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Do not.
100: 조경용 화분 10: 식재부
20: 저수부 21: 배수홀
22: 결합홈 30: 격벽
31: 슬릿 40: 배수관
41: 유입부 42: 배출부
43: 걸림턱 50: 결합구
51: 결합턱100: landscaping potted plant 10: planting department
20: reservoir 21: drainage hole
22: coupling groove 30: partition wall
31: slit 40: drain pipe
41: inlet 42: outlet
43: engaging jaw 50: coupling sphere
51: coupling chin
Claims (7)
상기 식재부와 연결되며, 하면에 배수홀이 형성된 저수부;
상기 식재부와 상기 저수부의 분리를 위한 격벽; 및
상기 배수홀에 밀착 삽입되며, 일단에는 상기 저수부 내부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식재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An upper portion of the planting portion;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planting part and having a drainage hole at a lower surface thereof;
A partition wall for separating the planting part and the reservoir part; And
It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one end having an inlet formed so as to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servoir and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having a discharge port; includes,
Landscaping p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is formed with a slit for supply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portion to the planting part.
상기 배수관은 직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 및 유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양 끝단에 형성되거나, 일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 pipe is configured in a right angle so that the discharge port and the inle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drain pipe, or in the form of a straight landscap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pipe.
상기 배수관의 배출구는 상기 배수홀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부의 저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저수부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2,
The outlet of the drain pip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drain hole to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the drain pip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y a fixture.
상기 고정구의 외주연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외벽 상부에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 결합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oupling ja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ture,
Landscaping p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coupled to the coupling jaw.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슬릿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유입구 하부는, 상기 슬릿의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lits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of the drain pipe, landscap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t.
상기 슬릿의 하부 끝단은 상기 저수부의 하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slit is landscap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mat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상기 식재부는 평단면이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anting part is a landscap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section has the form of an all-op strait (前 廣 後 狹).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075A KR101247700B1 (en) | 2012-07-16 | 2012-07-16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075A KR101247700B1 (en) | 2012-07-16 | 2012-07-16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7700B1 true KR101247700B1 (en) | 2013-03-26 |
Family
ID=4818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7075A Active KR101247700B1 (en) | 2012-07-16 | 2012-07-16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70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8283B1 (en) | 2013-07-30 | 2014-03-26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Wall mountable planter and wal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
KR20210157755A (en) | 2020-06-22 | 2021-12-29 | 고두헌 | A Device of Green-Plant Cultivation on Cylinderically Vertical Wall Employing Non-Soil Polymeric Vegetation And Plant Cultivation Pots Used For This |
US11317573B2 (en) * | 2018-02-12 | 2022-05-03 | Soochow University | Modular vertical water storage greening system |
US20220264807A1 (en) * | 2021-02-19 | 2022-08-25 | 4Naturesystem - Wertykalni Sp. Z O. O. |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4433Y1 (en) * | 1986-08-21 | 1989-07-05 | 박사흥 | Flower pot |
JPH0244955U (en) * | 1988-09-13 | 1990-03-28 | ||
JPH11113401A (en) | 1997-10-20 | 1999-04-27 | Makio Miyagi | Seedling-raising pot made of can and transplanting of plant |
-
2012
- 2012-07-16 KR KR1020120077075A patent/KR1012477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4433Y1 (en) * | 1986-08-21 | 1989-07-05 | 박사흥 | Flower pot |
JPH0244955U (en) * | 1988-09-13 | 1990-03-28 | ||
JPH11113401A (en) | 1997-10-20 | 1999-04-27 | Makio Miyagi | Seedling-raising pot made of can and transplanting of plan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8283B1 (en) | 2013-07-30 | 2014-03-26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Wall mountable planter and wall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
US11317573B2 (en) * | 2018-02-12 | 2022-05-03 | Soochow University | Modular vertical water storage greening system |
KR20210157755A (en) | 2020-06-22 | 2021-12-29 | 고두헌 | A Device of Green-Plant Cultivation on Cylinderically Vertical Wall Employing Non-Soil Polymeric Vegetation And Plant Cultivation Pots Used For This |
US20220264807A1 (en) * | 2021-02-19 | 2022-08-25 | 4Naturesystem - Wertykalni Sp. Z O. O. |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38781B2 (en) | Vertical planting module | |
US9521811B2 (en) | Plant tower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KR101234615B1 (en) | Planter for green wall | |
US20160353674A1 (en) |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 |
ES2434842B2 (en) | Vertical landscaping system | |
KR101247700B1 (en)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
AU2010258104A1 (en) | Vegetation support system | |
US8322087B1 (en) | Modular landscape border apparatuses and systems | |
US20200178480A1 (en) | Plant edging | |
JP3203083U (en) | Flowerpot structure | |
KR100923102B1 (en) | Multi-stage flower pot for easy water supply | |
JP5632666B2 (en) | Wall greening equipment | |
JP6998696B2 (en) | Wall greening device | |
KR100840966B1 (en) | Pedestal for installing vegetation mats | |
KR20120007203A (en) | Watering structure of flowerpots suitable for vertical lamination | |
KR101120112B1 (en) | A flower pot for guardrail | |
KR101188207B1 (en) | Multi stage culture system of solid plant | |
KR100817549B1 (en) | Multipurpose Prefab Planter | |
CN104871866B (en) | The integration flower case that can be applied on greening wall | |
KR20090090645A (en) | Water supply of street light pot | |
KR101835770B1 (en) | Flower pot assembly | |
KR200423501Y1 (en) | Supporting member for installing vegetation mat | |
KR10098580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for planting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
KR101099546B1 (en)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