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6556B1 -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556B1
KR101246556B1 KR20120152291A KR20120152291A KR101246556B1 KR 101246556 B1 KR101246556 B1 KR 101246556B1 KR 20120152291 A KR20120152291 A KR 20120152291A KR 20120152291 A KR20120152291 A KR 20120152291A KR 101246556 B1 KR101246556 B1 KR 10124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ste
polyurethane foam
waste polyureth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건웅
Original Assignee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5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08L2207/22Recycled aspha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산업폐기물인 폐폴리우레탄을 물질 재생(material recycle) 방법을 통해 재생시킨 후, 이를 폴리우레탄도막재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물성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생산단가가 저렴한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로 조성된 제 1 혼합액과;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로 조성된 제 2 혼합액;이 혼합되어 조성된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 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Poly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fine grinded waste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자동차 등을 포함한 산업폐기물에서 나오는 폐 폴리우레탄폼을 미분쇄방법을 통해 분말화 후, 이를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제조시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물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소재는 1980년대 초기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소재는 소재 자체로서의 특징인 이음새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잘 순응하는 시공상의 특성과 소지면과의 접착성, 내약품성, 내구성과 같은 화학적인 특성과 흡음성, 치수 안정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이 뛰어나며, 특히 신장율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하지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 외벽 및 바닥 방수재로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 소재 생산은 생산 공장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폴리올 혼합물로 구분하여 생산하며 이를 시공 현장에서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계량, 배합, 교반, 시공의 여러단계를 거쳐 시공하고 있다.
다만, 건축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소재는 비록 대량 생산에 의해 소재 생산 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그 사용처가 대부분 건설 현장의 방수도막재처럼 넓은 시공 면적에 대량으로 도포되어 사용되는 관계로 여전히 방수 시공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폴리올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재의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중의 하나로 폐자동차 등을 포함한 산업폐기물에서 나오는 폐 폴리우레탄의 재생을 통한 소재 공급이 하나의 방안이다.
한편, 산업이 발달 할수록 자동차를 포함한 공산품 또는 건축자재에 의한 환경오염도 증가하여 사회적으로 위협 요소로 인식되었다. 특히 자동차의 리싸이클링에 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점차 높아져 "total recycle" 개념으로 선진국들에 의하여 무역제제의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러한 "total recycle" 개념에 의한 자동차 생산을 준비하지 않으면 EU에 자동차 수출시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이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폐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폴리우레탄폼을 포함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폴리우레탄폼은 리싸이클링이 까다로운 소재 중의 하나이다.
그중 가장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는 발포체의 미세 분말화가 어려워 폴리우레탄폼의 리싸이클링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자원빈국으로서 석유화학수지인 폴리우레탄의 원재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유가 급등과 같은 대외적인 에너지 확보문제 때문이라도 폐폴리우레탄의 재생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에서 소요되는 전체 폴리우레탄은 약 20만톤 정도이고, 특히 국내 자동차에 소요되는 폴리우레탄은 1988년 2만톤, 1995년 5만톤, 2004년도 8만톤에 이르러 더욱더 증가 추세에 있으므로 폐폴리우레탄의 재생기술 확보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폐자동차를 포함한 산업폐기물로 발생되는 폐폴리우레탄폼의 처리를 살펴보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폐기물처리에서 밀도가 약 0.04 g/cc로 매우 낮기 때문에 그 부피가 매우 커 매립에 의한 처리는 불가능하여 환경적처리에서 연소처리가 매우 유용한데 폴리우레탄은 연소시 아민계통의 가스로 특히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 발생하여 이 역시 환경 문제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 이외의 방법 등이 고려되고 있다.
이하 지금까지 나온 폐자동차를 포함한 산업폐기물로 발생되는 폐폴리우레탄폼의 재생기술을 살펴본다.
폐 폴리우레탄폼을 재활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화학적 재생(chemical recycle)과 에너지 재생(energy recycle) 방법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화학적 재생(Chemical recycle)을 이루는 해중합법은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폴리올이 회수가 된다는 점에서 상당히 매력적인 방법이지만 폴리올 사용자의 고도화된 욕구와 폼 질의 사양을 폐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어떻게 관리하고 극복하여 나갈 수 있느냐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너지 재생법은 NOx 등 2차오염의 우려가 있고 시설 규모 및 투자 회수율에서 아직 다른 방법에 비하여 장점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폐폴리우레탄을 재생하는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1433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55420호가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14330호에서는 폴리우레탄 파사에 용제(THF, DMAC, DMF)를 첨가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진공 교반시켜 액상의 폴리우레탄으로 재생하고 폴리우레탄의 원사나 피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과 같이, 폐폴리우레탄을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재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는 유기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성 문제와 유기용제의 회수 및 처리에 따른 2차 환경오염의 가능성이 있고 작업자의 유기용제 중독 등과 같은 산업재해의 가능성이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55420호의 경우 폐폴리우레탄을 수거하여 1mm~5mm 분말상태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충전법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배합조에 투입한 다음, 여기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부피비 1:1이 되도록 충전하여 혼합 교반한 후, 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 대하여 중량비 1:1의 비율로 충전해서 교반하여 발포가 일어나게 하고, 이를 성형틀에 주입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을 함으로써 건축 패널용 우레탄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폐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재생하는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나 폴리우레탄 분쇄물의 함량이 많아질 경우 발포배율이 낮아지고 생성되는 셀의 형상이 불균일해 지는 단점이 있어 많은 양을 재활용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6-0105376(2006.10.11.)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3-0055420(2003.07.04.)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1998-014330(2000.03.06.)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2-0348727(2002.07.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폐기물인 폐폴리우레탄을 물질 재생(material recycle) 방법을 통해 재생시킨 후, 이를 폴리우레탄도막재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물성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생산단가가 저렴한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로 조성된 제 1 혼합액과;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로 조성된 제 2 혼합액;이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은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 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원료용 폐폴리우레탄폼은 폐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폐건설자재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제조 단계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3프로판디올,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2,3프로판트리올, 2-메틸-1,3프로판디올,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이후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화 단계는,
폐 폴리우레탄폼을 자동공급장치를 통하여 90 ~ 120mm의 크기로 1차 절단후 조분쇄기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단계와;
이후 투입된 폐폴리우레탄폼을 조분쇄기에서 입도크기 3 ~ 4mm로 분쇄하는 조분쇄단계와;
이후 조분쇄기에서 분쇄된 스크랩을 송풍기를 사용하여 중간포집기로 이송하여 포집하는 중간포집단계와;
이후 중간 포집된 폐폴리우레탄폼을 미분쇄기에서 입도크기 30㎛ 미만으로 미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미분쇄단계와;
이후 미분쇄된 폐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 분리분급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 92% 이상의 폴리우레탄 분말로 분급하여 최종포집기로 송풍하는 자동 분리 · 분급 단계와;
이후 송풍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최종포집기에서 포집하는 최종 포집 단계와;
이후 포집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포장기에서 일정 용량별로 포장하는 자동 포장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 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원료용 폐폴리우레탄폼은 폐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폐건설자재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폐폴리우레탄폼을 물질 재생(material recycle) 방법을 통해 분말 형태로 재생 후 이를 폴리우레탄 도막재 제조시 사용토록 함으로써 폐기물 자원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원유 수입량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폐폴리우레탄 분말을 포함한 전체 조성물간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물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도막재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이를 통해 국내 폴리우레탄 업계의 원료 재사용으로 의한 기업 경쟁력 재고와 더불어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total recycle"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선진국에 자동차의 수출시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화 공정단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는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로 조성된 제 1 혼합액과;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로 조성된 제 2 혼합액;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은 중량비로 1 : 1로 혼합된다.
상기 제 1 혼합액 중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1.8 미만이면 제 2 혼합액과의 반응성이 저하되고, 2,2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되어 시공성이 떨어진다.
또한 점도가 5000cps 미만이면 벽체 시공시 흘러내리고 6000cps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감소하여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분자량이 감소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자량이 너무 높아진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우레탄 부반응이 일어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발열 반응이 일어나 반응성을 조절 하기가 힘들어진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반응 시간이 길어지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급상승되어 교반 하기가 힘들어진다.
상기 제 2 혼합액은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 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미만이면 제 1 혼합액과의 반응성이 떨어지고, 2,2를 초과하면 미경화가 발생된다.
또한 점도가 7000cps 미만이면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이 침전되고, 8000cps를 초과하면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한다. 입도가 30㎛를 초과하면 도막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등의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첨가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전체 고형분이 감소하여 도막의 두께를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원료용 폐폴리우레탄폼의 공급은 폐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폐건설자재인 폐샌드위치패널 등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조성의 폐폴리우레탄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1,2,3프로판트리올의 함량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규정된 구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여 시공시 기포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그 범위를 지켜야 한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산화크롬과 수산화크롬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규정된 구간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의 색이 바뀐다.
상기 제 2 혼합액에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분산이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분산이 일어나 점도가 저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화 공정단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은,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제조 단계(S100)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3프로판디올,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0)와;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2,3프로판트리올, 2-메틸-1,3프로판디올,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와;
이후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화 단계(S100)는, 자동차 또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자동공급장치를 통하여 90 ~ 120mm의 크기로 1차 절단후 조분쇄기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단계(S101)와;
이후 투입된 폐폴리우레탄폼을 조분쇄기에서 입도 크기 3 ~ 4mm로 분쇄하는 조분쇄단계(S102)와;
이후 조분쇄기에서 분쇄된 스크랩을 송풍기를 사용하여 중간포집기로 이송하여 포집하는 중간포집단계(S103)와;
이후 중간 포집된 폐폴리우레탄폼을 미분쇄기에서 입도크기 30㎛ 미만으로 미분쇄하여 연질 또는 경질 폴리우레탄으로 분말화하는 미분쇄단계(S104)와;
이후 미분쇄된 폐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 분리분급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 92% 이상의 폴리우레탄 분말로 분급하여 송풍기를 사용하여 최종포집기로 송풍하고, 이물질과 먼지는 환경집진기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자동 분리·분급 단계(S105)와;
이후 분리 분급후 송풍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최종포집기에서 포집하는 최종 포집 단계(S106)와;
이후 포집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포장기에서 일정 용량별로 포장하는 자동 포장 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연질 폴리우레탄과 경질 폴리우레탄 2종류가 연질용 미분쇄기와 경질용 미분쇄기로 투입되는 원료에 따라 분류되어 투입된다.
상기에서 순도 92%는 자동 분리분급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92%순도로 만든다.
상기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0)는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반응조건은 반응기내에서 80 ~ 90℃에서 5 ~ 6시간 반응시킨다.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0)는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S400)는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를 통해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가 제조된다.
상기 제 1 혼합액 중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1.8 미만이면 제 2 혼합액과의 반응성이 저하되고, 2,2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되어 시공성이 떨어진다.
또한 점도가 5000cps 미만이면 벽체 시공시 흘러내리고 6000cps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감소하여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분자량이 감소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자량이 너무 높아진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우레탄 부반응이 일어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발열 반응이 일어나 반응성을 조절 하기가 힘들어진다
상기 제 1 혼합액에서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반응 시간이 길어지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급상승되어 교반 하기가 힘들어진다.
상기 제 2 혼합액은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미만이면 제 1 혼합액과의 반응성이 떨어지고, 2,2를 초과하면 미경화가 발생된다.
또한 점도가 7000cps 미만이면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이 침전되고, 8000cps를 초과하면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한다. 입도가 30㎛를 초과하면 도막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등의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첨가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전체 고형분이 감소하여 도막의 두께를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분쇄 폐폴리우레탄의 공급은 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건설자재인 샌드위치패널등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조성의 폐폴리우레탄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1,2,3프로판트리올의 함량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규정된 구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여 시공시 기포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그 범위를 지켜야 한다.
상기 제 2 혼합액에서 산화크롬과 수산화크롬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규정된 구간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의 색이 바뀐다.
상기 제 2 혼합액에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분산이 어렵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분산이 일어나 점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중량부,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중량부로 조성된 제 1 혼합액과;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중량부, 산화크롬 1 중량부, 수산화크롬 1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중량부로 조성된 제 2 혼합액;이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은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여 도막방수제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단지 제2혼합액에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막방수제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단지 제2혼합액에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막방수제를 제조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도막방수제를 KSF 3211 규격에 의거 물성을 측정한 결과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기존품 A 기존품 B
인장강도(N/mm2) 25 24 27 15 18
신장율(%) 560 580 550 450 400
인열강도(N/mm) 100 110 115 50 60
접착강도(N/mm2) 13 15 12 8 7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는 기존품에 비하여 물성이 매우 우수하게 측정 되었다.상기 기존 물품 A는 B는 현재 사용되고있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로서 A는 K사 제품이고, B는 N사 제품을 가지고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 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로 조성된 제 1 혼합액과;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로 조성된 제 2 혼합액;이 혼합되어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은 중량비로 1 : 1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 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원료용 폐폴리우레탄폼은 폐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폐건설자재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7.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제조 단계와;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3프로판디올,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2,3프로판트리올, 2-메틸-1,3프로판디올,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이후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폐 폴리우레탄폼의 미분쇄 분말화 단계는,
    폐 폴리우레탄폼을 자동공급장치를 통하여 90 ~ 120mm의 크기로 1차 절단후 조분쇄기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단계와;
    이후 투입된 폐폴리우레탄폼을 조분쇄기에서 입도크기 3 ~ 4mm로 분쇄하는 조분쇄단계와;
    이후 조분쇄기에서 분쇄된 스크랩을 송풍기를 사용하여 중간포집기로 이송하여 포집하는 중간포집단계와;
    이후 중간 포집된 폐폴리우레탄폼을 미분쇄기에서 입도크기 30㎛ 미만으로 미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미분쇄단계와;
    이후 미분쇄된 폐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 분리분급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 92% 이상의 폴리우레탄 분말로 분급하여 최종포집기로 송풍하는 자동 분리 · 분급 단계와;
    이후 송풍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최종포집기에서 포집하는 최종 포집 단계와;
    이후 포집된 폴리우레탄 분말을 자동포장기에서 일정 용량별로 포장하는 자동 포장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70중량부, 메틸렌비스N,N디뷰틸아닐린 20 ~ 30중량부, 1,2비스2-아미노페닐싸이오에탄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을 포함한 제 2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100중량부에 1,2,3프로판트리올 70 ~ 80중량부, 2-메틸-1,3프로판디올 50 ~ 60중량부,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 30 ~ 50중량부, 산화크롬 1 ~ 2중량부, 수산화크롬 1 ~ 2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계 분산제 0.5 ~ 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제 1 혼합액과 제 2 혼합액을 중량비로 1 : 1로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당량이 1.8 ~ 2.2, 점도가 5000 ~ 6000cp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7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당량이 1.8 ~ 2.2, 점도가 7000 ~ 8000cps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7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입도는 30㎛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7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미분쇄 분말의 원료용 폐폴리우레탄폼은 폐자동차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 또는 폐건설자재에서 나오는 폐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KR20120152291A 2012-12-24 2012-12-24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24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2291A KR101246556B1 (ko) 2012-12-24 2012-12-24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2291A KR101246556B1 (ko) 2012-12-24 2012-12-24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556B1 true KR101246556B1 (ko) 2013-04-03

Family

ID=4844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2291A Active KR101246556B1 (ko) 2012-12-24 2012-12-24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5992A (ko) * 2023-01-19 2024-07-29 엔에이치이룸건설(주) 고성능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609A (ja) 2001-11-21 2003-08-05 Nishi Nippon Gijutsu Kaihatsu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廃材の再生処理方法及び再生ポリウレタン成形体
KR20060110399A (ko) * 2005-04-19 2006-10-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폐폴리우레탄폼의 미세 분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609A (ja) 2001-11-21 2003-08-05 Nishi Nippon Gijutsu Kaihatsu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廃材の再生処理方法及び再生ポリウレタン成形体
KR20060110399A (ko) * 2005-04-19 2006-10-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폐폴리우레탄폼의 미세 분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5992A (ko) * 2023-01-19 2024-07-29 엔에이치이룸건설(주) 고성능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816591B1 (ko) 2023-01-19 2025-06-09 엔에이치이룸건설(주) 고성능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kje et al. Polyurethane waste reduction and recycling: From bench to pilot scales
Zia et al. Methods for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composites, recycling and recovery: A review
US6069182A (en) Recycling of plastic waste containing a mixture of polyurethanes with other plastics
CN104877338B (zh) 一种聚氨酯弹性体废料的回收利用方法
Modesti et al. Chemical recycling of reinforced polyurethane from the automotive industry
Beneš et al. Glycolysis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 in recycling of car seats
US20050096400A1 (en) Method for recycling polyurethane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olyurethane
CA2043057A1 (en) Compositions prepared using finely-divided isocyanate based thermoset polymers
Mao et al. Recycling polyurethane materials: A comparison of polyol from glycolysis with micronized polyurethane powder in particleboard applications
KR101246556B1 (ko) 미분쇄된 폐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839B1 (ko) 작용기가 증가된 재생폴리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WO2012091557A1 (en) Composite materials and shaped articles
CN101733893B (zh) 采用交联聚氯乙烯结构泡沫废料生产复合泡沫板材的方法
EP1072648B1 (en) Method for making semi-rigid energy-absorbing foam with polyurethane fillers
Sendijarevic Chemical recycling of mixed polyurethane foam stream recovered from shredder residue into polyurethane polyols
CN104710666B (zh) 一种硬质聚氨酯泡棉颗粒改性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050096399A1 (en) Method for recycling polyurethane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olyurethane
KR20040002678A (ko)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및 그들의 용도
KR101447247B1 (ko) 특정 촉매를 이용한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재생폴리올을 이용하여 색상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38255B1 (ko) 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194057A (zh) 废弃硬质聚氨酯泡沫的回收利用制备增强树脂泡沫的方法
CN103160024B (zh) 利用废聚氨酯泡沫塑料和非金属粉制备复合材料的方法
JPH04232729A (ja) 成形物品又はフィルムの製造方法
Marsole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 flexible foams provided from PET derivatives, fly ash, and glass wastes
CN112341588A (zh) 含可回收废旧颗粒的低密度聚氨酯中底组合料及中底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