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244B1 - Air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Airtight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6244B1 KR101246244B1 KR1020110097519A KR20110097519A KR101246244B1 KR 101246244 B1 KR101246244 B1 KR 101246244B1 KR 1020110097519 A KR1020110097519 A KR 1020110097519A KR 20110097519 A KR20110097519 A KR 20110097519A KR 101246244 B1 KR101246244 B1 KR 101246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wing
- protrusion
- check valve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진공밀폐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에 체크밸브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의 주위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공기연락공들이 형성되며, 하면 주위를 따라 링형의 테두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돌기의 바깥면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된 용기뚜껑; 상기 테두리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돌기와, 상기 링부의 바깥면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된 제1날개와 제2날개와 제3날개로 구성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팩킹; 및 상면에 손잡이돌기가 구비되며, 하면 중심부에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형성하는 둘레면은 평면이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용기뚜껑의 하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2날개는 상기 둘레면에 면 접촉되며, 상기 제3날개는 위로 꺽여진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과 면 접촉된다.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air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A container lid having a ring-shaped edg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rotrusion; A ring portion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dge protrusion,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nd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rst wings and a second blad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 packing consisting of a wing and a third wing,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And a handle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at a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heck valve made of a flexible silicone material. The peripheral surface form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ncludes: The first wing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the second wing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hird wing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n a bent upward stat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ealed container.
진공밀폐용기는, 용기의 공기를 뺀 상태에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어, 일반적인 밀폐용기보다 음식물을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The vacuum sealed container can store food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deflated, so that food can be stored longer than a normal sealed container.
이러한 진공밀폐용기로 한국공개특허 10-2008-0014536에 개시된 진공밀폐용기가 있다. (이하, "종래 진공밀폐용기"라 칭함)Such a vacuum sealed container is a vacuum sealed container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4536.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vacuum sealing container")
본 출원인은, 종래 진공밀폐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종래 진공밀폐용기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창안하였다.The present applicant, as a user using a conventional vacuum sealed container, invent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ed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vacuum sealed container.
도 1은, 종래 진공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cuum sealing container.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진공밀폐용기(1)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1, various problems which occur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첫째, 뚜껑몸체(20)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뚜껑몸체(20)로부터 팩킹(40)을 분리해야 한다. 뚜껑몸체(20) 세척 후에는, 뚜껑몸체(20)의 팩킹장착홈(28-1)에 팩킹(40)의 압입돌출부(42-1)를 올려놓고 팩킹(40)을 눌러서, 팩킹장착홈(28-1)에 압입돌출부(42-1)를 수직방향으로 삽입시켜야 한다.First, in order to wash the
이때, 사용자가 팩킹장착홈(28-1)을 따라 팩킹(40)을 균일한 힘으로 누르지 않으면, 팩킹장착홈(29-1)에 압입돌출부(42-1)가 삽입되는 깊이가 팩킹장착홈(28-1)을 따라 제각각 달라져 팩킹(40)이 주름지게 된다. 팩킹(40)이 주름지게 되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와 팩킹(40)의 밀착부(44)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러한 틈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든다.At this time,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그러므로, 뚜껑몸체(20)에 팩킹(40)을 장착할 때, 사용자는 팩킹장착홈(28-1)을 따라 압입돌출부(42-1)를 균일한 힘으로 누르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이러한 점이 사용자에게 어렵고 불편하다.Therefore, when mounting the
둘째,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가 곡면이어서, 입구부(12)와 밀착부(44)가 선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와 뚜껑몸체(20)의 결합위치가 조그만 틀어져도, 입구부(12)와 밀착부(44)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틈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든다.Second, since the
셋째, 저진공표시부(36a)의 반구형부분(36a-1)은, 용기본체(10)의 내부가 진공상태일 때 함몰된다. 반구형부분(36a-1)이 함몰될 때, 반구형부분(36a-1)이 중앙돌출부(22-2)와 접촉하면서, 체크밸브(30)의 외곽을 들어올린다. 이로 인해, 체크밸브(30)의 외곽과 밸브안착홈(22)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러한 틈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든다.Third, the
한편, 반구형부분(36a-1)은 용기본체(10)의 내부가 진공상태일 때 쉽게 함몰되도록, 그 두께가 체크밸브(36)의 다른 부분보다 얇다. 이로 인해, 함몰되는 도중에 쉽게 찢어질 수 있다. 이렇게 찢어진 부분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든다.On the other hand, the
넷째, 중앙돌출부(22-2) 외주면에 공기연락공(24)이 형성되므로, 중앙돌출부(22-1)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로 인해, 뚜껑몸체(20)를 단순한 형상으로 만들기 어렵다.Fourth, since the
다섯째, 팩킹장착홈(28-1)에 압입돌출부(42-1)가 수직 상방향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에 저장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뚜껑몸체(2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때, 용기본체(10)의 내부에 걸린 진공압으로 인해, 압입돌출부(42-1)가 팩킹장착홈(29-1)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조금씩 빠져 팩킹(40)이 주름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팩킹(40)이 주름진 것을 모른 체 용기본체(10)에 뚜껑몸체(20)를 다시 결합시키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와 팩킹(40)의 밀착부(44)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틈을 통해, 외부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든다.Fifth, since the indentation protrusion 42-1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mounting groove 28-1 i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몸체에 팩킹을 주름지지 않게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외부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지 못하며, 반구형부분의 함몰로 인해 체크밸브의 외곽이 들리거나 반구형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막고, 중앙돌출부로 인해 뚜껑몸체가 복잡해지는 것을 막은 진공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id body without wrinkles, the outside air does not easily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hemispherical portion, the outer edge of the check valve is lifted or the hemispherical portion is torn It is to provide a vacuum-sealing container that prevents the loss and prevents the lid body from being complicated by the central protru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밀폐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에 체크밸브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의 주위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공기연락공들이 형성되며, 하면 주위를 따라 링형의 테두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돌기의 바깥면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된 용기뚜껑; 상기 테두리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돌기와, 상기 링부의 바깥면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된 제1날개와 제2날개와 제3날개로 구성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팩킹; 및 상면에 손잡이돌기가 구비되며, 하면 중심부에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체크밸브;를 포함한다.Vacuum sealed contain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body;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air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A container lid having a ring-shaped edg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rotrusion; A ring portion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dge protrusion,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nd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rst wings and a second blad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 packing consisting of a wing and a third wing,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And a handle protrusion at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at a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heck valve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본 발명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뚜껑몸체에 팩킹을 주름지지 않게 장착할 수 있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quickly and simply mount the packing on the lid body without wrinkles.
또한, 용기본체의 입구 둘레면과 팩킹의 제2날개가 면 접촉하고 있으므로, 그 접촉면적이 넓어져, 용기본체와 뚜껑몸체의 결합위치가 조금 틀어지더라도, 용기본체의 입구 둘레면과 제2날개 사이에 틈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공기가 용기본체 내부로 침투하여 음식물을 상하게 만들기 어렵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wing of the packing are in surface contact, the contact area is widened, and even if the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are slightly misaligned, the inlet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wing There is no easy gap between the wing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external air to penetrate inside the container body to spoil food.
또한, 용기본체의 입구 둘레면을 따라 테두리가 더 구비되면, 입구 둘레면 뿐만 아니라 테두리의 상면에도 팩킹의 제2날개가 면 접촉하게 되므로, 외부공기가 용기본체 내부로 침투하기 더 어려워진다.In addition, if the rim is further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he second wing of the packing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as well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he outside air becomes more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container body.
또한, 제2날개뿐만 아니라, 용기본체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제1날개 및 제3날개가 팩킹에 더 구비되므로, 외부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침투하기 어렵다.In addition, not only the second wing, but also the first wing and the third wing that prevents the penetration of external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is further provided in the packing, it is difficult for the outside air to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체크밸브의 저진공표시부를 없앰으로써, 체크밸브의 외곽 들림 현상이나, 저진공표시부의 찢김 현상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low vacuum display portion of the check val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lifting of the check valve and the tearing of the low vacuum display portion.
또한, 중앙돌출부를 없애고, 안착부의 상면에 공기연락공을 직접 뚫어, 뚜껑몸체의 형상을 단순화시켰다.In addition, the center projection is removed, and the air contact hole is directly dri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o simplify the shape of the lid body.
또한, 장착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장착돌기로 인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진공압이 걸려 있더라도, 뚜껑몸체를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할 때, 압입돌출부가 팩킹장착홈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빠지지 못한다.In addition, due to the mounting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n when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lid body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indentation protrusion does not fall out from the packing mount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은, 종래 진공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Ⅳ-Ⅳ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착홈에 장착돌기를 탄력적으로 삽입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용기본체에 용기뚜껑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내부를 진공화장치로 진공화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cuum sealing container.
2 is a view show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V-IV shown in FIG. 2.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elastically inserting the mounting protrusion in the mounting groove shown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the container lid to the container body.
8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ntainer lid from the container body.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2 is evacuated with a vacuum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폐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밀폐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Ⅳ-Ⅳ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vacuum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sealing container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V-IV shown in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밀폐용기(100)는, 용기본체(110), 용기뚜껑(120), 팩킹(130), 체크밸브(1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는, 바닥면(111)에서 입구(112)로 갈수록 그 면적이 넓어지는 사각그릇이다. 물론, 용기본체(110)는, 바닥면(111)과 입구(112)의 면적이 동일한 사각그릇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를 사각그릇이 아닌 원형그릇으로 만들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용기본체(110)는, 플라스틱재질 또는 유리재질로 만들어진다.The
용기본체(110)의 입구(112)를 형성하는 둘레면(112a)은 곡면이 아닌 평면이다. 이로 인해, 팩킹(130)의 제2날개(134)가 입구(112) 둘레면(112a)과 면 접촉한다.Th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용기본체(110')는, 입구(112')의 둘레면(112a')을 따라 테두리(112b')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팩킹(130, 도 4참조)의 제2날개(134, 도 4참조)가 입구(112')의 둘레면(112a') 뿐만 아니라 테두리(112b')의 상면에도 면 접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120)은, 용기본체(110)의 입구(112)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120)의 중심부에는 함몰된 안착부(121)가 형성된다. 안착부(121)는, 원형이다. 물론, 안착부(121)는, 사각형일 수 있다.3 and 4, a recessed
안착부(121)의 중심부에는 체크밸브결합공(121a)이 형성된다. 체크밸브결합공(121a)은, 안착부(121)의 상면을 관통한다.The check
체크밸브결합공(121a)의 주위로 공기연락공(121b)이 2개 형성된다. 물론, 더 많은 공기연락공(12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연락공(121b)은, 안착부(121)의 상면을 관통한다.Two air contact holes 121b are formed around the check
체크밸브(140)가 안착부(121)에 결합되면, 공기연락공(121b)은 체크밸브(140)에 의해 덮이게 된다.When the
용기뚜껑(120)의 하면 주위를 따라 테두리돌기(122)가 구비된다. 테두리돌기(122)는 링형이다. 테두리돌기(122)의 바깥면을 따라 장착홈(122a)이 형성된다. 용기본체(110)의 입구(112)에 용기뚜껑(120)이 결합되면, 테두리돌기(122)는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팩킹(130)은, 링부(131), 장착돌기(132), 제1날개(133), 제2날개(134), 제3날개(135)로 구성된다. 팩킹(130)은,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다. 장착돌기(132)는, 링부(131)의 안쪽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날개(133), 제2날개(134), 제3날개(135)는, 링부(131)의 바깥면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된다.The packing 130 is composed of a
이하, 용기뚜껑에 구비된 테두리돌기의 장착홈에, 팩킹의 장착돌기를 탄력적으로 삽입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lastically inserting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packing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rim protrus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lid.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장착홈에 장착돌기를 탄력적으로 삽입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선화살표는 사용자가 링부를 늘리는 방향인 수평방향을 나타내고, 점선화살표는 사용자가 늘린 링부를 테두리돌기에 삽입시키는 방향인 수직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은 늘려진 링부를 나타내고, 점선은 늘려지기 전 링부를 나타낸다.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elastically inserting the mounting protrusion in the mounting groove shown in FIG. The solid arrow shown in FIG. 6 indicates a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user extends the ring part, and the dotted arrow indicates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extended ring part into the rim. Also, the solid line indicates the extended ring portion,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e ring portion before stretch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131)을 손가락으로 늘린 후, 테두리돌기(122)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장착돌기(132)를 장착홈(122a)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링부(131)를 놓으면, 링부(131)가 원래대로 수축되면서, 장착돌기(131)가 장착홈(122a)에 균일한 깊이로 신속하게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착홈(122a)을 따라 장착돌기(131)를 균일한 힘으로 주의를 기우려 누르지 않아도 된다.As shown in FIG. 6,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132)는, 용기뚜껑(120)의 하면과 면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1날개(132)와 용기뚜껑(120)의 하면 사이로 외부공기가 침투하지 못한다.As shown in FIG. 4, the
제2날개(134)는, 제1날개(133)와 제3날개(135) 사이에 위치한다. 용기본체(110)에 용기뚜껑(120)이 결합되면, 제2날개(134)는 둘레면(112a)에 면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2날개(133)와 둘레면(112a) 사이로 외부공기가 침투하지 못한다.The
제3날개(135)는, 제2날개(134)의 하측에 위치한다. 용기본체(110)에 용기뚜껑(120)이 결합되면, 제3날개(135)는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제3날개(135)는 위로 꺽여져 용기본체(110)의 내주면과 면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2날개(133)와 둘레면(112a) 사이로 외부공기가 침투하더라도, 제3날개(135)로 인해, 용기본체(110)의 내부까지 유입되지 못한다.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체크밸브(140)는, 신축성 있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다. 체크밸브(140)의 하면 중심부에는 결합돌기(141)가 구비된다.3 and 4, the
결합돌기(141) 몸체의 직경은 체크밸브결합공(121a)의 직경보다 작으나, 결합돌기(141) 끝 부분의 직경은 체크밸브결합공(121a)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결합돌기(141)의 끝 부분이 체크밸브결합공(121a)에 삽입되면, 체크밸브(140)를 힘을 주어 당기지 않는 한, 체크밸브(140)가 체크밸브결합공(121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체크밸브(140)의 상면에는 손잡이돌기(142)가 구비된다.A
한편, 체크밸브(140)에는, 종래의 저진공표시부(36a, 도 1참조)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진공표시부(36a, 도 1참조)로 인해 발생하는, 체크밸브(140)의 외곽 들림 현상이나, 반구형부분(36a-1, 도 1참조)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용기본체에 용기뚜껑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upling the container lid to the container body will be described.
도 7은, 용기본체에 용기뚜껑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선화살표는 용기본체에 올려진 용기뚜껑을 누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용기뚜껑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전 용기본체에 올려진 용기뚜껑을 나타낸다.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the container lid to the container body. The solid arrow shown in FIG. 7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lid is pressed on the container body. The dotted arrows shown in FIG. 7 represent a state in which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escapes to the outside. The container lid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7 represents the container lid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before being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에 용기뚜껑(120)을 올려놓고 용기뚜껑(120)을 누른다. 그러면, 제2날개(134)는 용기본체(110)의 입구(112) 둘레면(112a)에 놓여지고, 제3날개(135)는 위로 꺽이면서 용기본체(110)의 내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는 공기연락공(121b)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체크밸브(140)의 외곽을 순간적으로 들어올려 틈을 만든다. 이러한 틈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용기본체(110)의 내부를 저 진공상태로 만든다.As shown in FIG. 7, the
이하,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ntainer lid from the container body will be described.
도 8은,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분리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외부공기가 체크밸브의 외곽과 안착부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해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8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ntainer li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dotted arrows shown in FIG. 8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check valve and the seating portion.
사용자가 손잡이돌기(142)를 잡고 체크밸브의 외곽을 들어올려, 체크밸브(140)의 외곽과 안착부(121) 사이에 틈을 만든다.The user grasps the
외부공기가 이러한 틈과 공기연락공(121b)을 통해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들어와, 용기본체(110)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러면, 사용자는 용기본체(110)로부터 용기뚜껑(12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External air enters the interior of the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의 내부를 진공화장치로 진공화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2 is evacuated with a vacuuming apparatus.
이하, 도 9에 도시된 진공화장치로 용기본체의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vacuumizer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진공화장치(200)의 돌기(210)를 안착부(121)에 삽입시킨다.The
진공화장치(200)의 피가압체(220)를 누르고 놓음을 반복한다.Press and release the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용기본체(110) 내부가 진공화된다.As the air inside the
도 9에 도시된 진공화장치(200)를 사용하면,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의 단순히 결합시켜 용기본체(110)의 내부를 진공화시킬 때보다, 용기본체(110) 내부의 진공도를 더 높일 수 있다.9, the
진공화장치(200)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등록실용신안(20-0343148)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pecific operation principle of the
Claims (2)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에 체크밸브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의 주위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공기연락공들이 형성되며, 하면 주위를 따라 링형의 테두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돌기의 바깥면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된 용기뚜껑;
상기 테두리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돌기와, 상기 링부의 바깥면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된 제1날개와 제2날개와 제3날개로 구성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팩킹; 및
상면에 손잡이돌기가 구비되며, 하면 중심부에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형성하는 둘레면은 평면이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용기뚜껑의 하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2날개는 상기 둘레면에 면 접촉되며, 상기 제3날개는 위로 꺽여진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과 면 접촉된 진공밀폐용기.Container body;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air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A container lid having a ring-shaped edg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rotrusion;
A ring portion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dge protrusion,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nd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rst wings and a second blad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 packing consisting of a wing and a third wing,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And
A handle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provided at a center of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heck valve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s flat, the first wing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the second wing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wing is bent upward Vacuum sealed container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n a state.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에 체크밸브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의 주위로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공기연락공들이 형성되며, 하면 주위를 따라 링형의 테두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돌기의 바깥면을 따라 장착홈이 형성된 용기뚜껑;
상기 테두리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 탄력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돌기와, 상기 링부의 바깥면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된 제1날개와 제2날개와 제3날개로 구성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팩킹; 및
상면에 손잡이돌기가 구비되며, 하면 중심부에 상기 체크밸브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신축성 있는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형성하는 둘레면은 평면이며, 상기 둘레면을 따라 테두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날개는 상기 용기뚜껑의 하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2날개는 상기 둘레면 및 상기 테두리의 상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3날개는 위로 꺽여진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과 면 접촉된 진공밀폐용기.Container body;
It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air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formed A container lid having a ring-shaped edg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rotrusion;
A ring portion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dge protrusion,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nd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rst wings and a second blad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 packing consisting of a wing and a third wing,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And
A handle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heck valve coupling hole is provided at a center of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heck valve made of an elastic silicone material.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s flat, the edge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wing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the second wing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im, the third blade is bent upwar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Vacuum sealed container in conta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519A KR101246244B1 (en) | 2011-09-27 | 2011-09-27 | Airtight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519A KR101246244B1 (en) | 2011-09-27 | 2011-09-27 | Airtight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6244B1 true KR101246244B1 (en) | 2013-03-26 |
Family
ID=4818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75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6244B1 (en) | 2011-09-27 | 2011-09-27 | Airtight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624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483B1 (en) * | 2014-03-25 | 2014-10-02 | 주식회사 로이첸 | Vacuum bottle prevent Lid of arbitrary closed and possess a sealed function |
KR101459106B1 (en) * | 2013-10-21 | 2014-11-12 | 기상호 | Airtight Container |
KR101524412B1 (en) * | 2014-09-24 | 2015-05-29 | 이상규 | Can optionally use the vacuum and sealing check valve is equipped with an airtight container |
KR20160139454A (en) * | 2015-05-27 | 2016-12-07 | 박다혜 | The compressed storage box having multiple layer |
US11077980B2 (en) | 2016-07-04 | 2021-08-03 | Jchiglobal Co., Ltd. | Vacuum-sealed contain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655Y1 (en) | 2010-01-21 | 2010-05-06 | (주)코덱스 | The vacuum vessel cover whose shutting tightly is easy |
-
2011
- 2011-09-27 KR KR1020110097519A patent/KR1012462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655Y1 (en) | 2010-01-21 | 2010-05-06 | (주)코덱스 | The vacuum vessel cover whose shutting tightly is easy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106B1 (en) * | 2013-10-21 | 2014-11-12 | 기상호 | Airtight Container |
KR101446483B1 (en) * | 2014-03-25 | 2014-10-02 | 주식회사 로이첸 | Vacuum bottle prevent Lid of arbitrary closed and possess a sealed function |
KR101524412B1 (en) * | 2014-09-24 | 2015-05-29 | 이상규 | Can optionally use the vacuum and sealing check valve is equipped with an airtight container |
KR20160139454A (en) * | 2015-05-27 | 2016-12-07 | 박다혜 | The compressed storage box having multiple layer |
KR101718730B1 (en) * | 2015-05-27 | 2017-03-22 | 박윤아 | The compressed storage box having multiple layer |
US11077980B2 (en) | 2016-07-04 | 2021-08-03 | Jchiglobal Co., Ltd. | Vacuum-sealed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6244B1 (en) | Airtight container | |
USD895370S1 (en) | Beverage container | |
AU2006277515C1 (en) | Milking device | |
CA2683373C (en) |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flexible diaphragm | |
CA2899766C (en) | Releasable vacuum holding device | |
US9724454B2 (en) | Manual breast pump | |
KR200488469Y1 (en) | Lid for vessel | |
KR101240577B1 (en) | Cover of airtight container | |
KR101214817B1 (en) | Cover of airtight container | |
JP6644739B2 (en) | Sucker and equipment using the sucker | |
JP5550531B2 (en) | Vacuum storage container | |
WO2009033313A1 (en) | Air release valve | |
KR101430721B1 (en) | Airtight container for food storage | |
KR20190002991A (en) | detachable vacuum tumbler | |
JP3118216U (en) | One-way air valve in sealed bag | |
WO2008131583A1 (en) | Sealed container of vacuum-pumping | |
JP3124084U (en) | Air vent structure for containers | |
CN105078262B (en) | Automatic powder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offee powder filter cup | |
CN207795820U (en) | Pressing suction cup | |
KR101554107B1 (en) | Lid of container for storing food | |
CN206617421U (en) | Vacuum generator | |
JP7343726B1 (en) | compression storage bag | |
JP7566446B1 (en) | Air supply and exhaust equipment | |
CN201180009Y (en) | a crisper | |
KR101925060B1 (en) | Cupping Cup having enhanced Compression rati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