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48B1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6048B1 KR101246048B1 KR1020110076105A KR20110076105A KR101246048B1 KR 101246048 B1 KR101246048 B1 KR 101246048B1 KR 1020110076105 A KR1020110076105 A KR 1020110076105A KR 20110076105 A KR20110076105 A KR 20110076105A KR 101246048 B1 KR101246048 B1 KR 101246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supply
- switch
- uninterruptible power
- variable imped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56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semiconductor device, e.g. BIMOS, composite devices such as IGB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배터리부, 외부 입력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회로부, 외부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임피던스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연결 노드와 외부 입력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부하기기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에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or example,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with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 rectifier unit for rectifying the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nd an inverter unit for converting the power rectified by the rectifier unit into AC power; A first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 variable impedance un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 third switch connected betwee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impedanc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oad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a peak power usage time perio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so that external input power is cut off at a set power usage peak tim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무정전 전원장치는 상용 전원의 정전, 순간 전압 및 주파수 변동 등의 전원 장애가 있을 때, 양질의 전원을 부하기기에 중단 없이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장치는 크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 device for supplying high-quality power without interruption when there is a power failure such as power failure, instantaneous voltage and frequency fluctuation of commercial power. Such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can be classified into online and offline methods.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충전부, 배터리부, 인버터와 바이패스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평상시에는 상용 전원을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부하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정전시에는 절환 스위치가 바이패스 라인에서 인버터부로 절환된다. 그리고, 충전부에 의하여, 배터리부에 충전된 직류 전원(DC)을 인버터부를 통해 부하기기에 교류 전원(AC)으로 공급한다. 다만,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평상시에서 정전시로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모드 전환 즉, 절환 스위치의 제어에 시간이 걸려서, 전원 공급이 단절되는 시간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출력 전원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안정된 출력 전압과 주파수를 요구하는 정밀기기에는 그 사용이 적합하지 않았다.The conventional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composed of a charging unit, a battery unit, an inverter and a bypass line. Such a conventional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normally supplies power to load commercial power through a bypass line. In the conventional offline UPS, the switching switch is switched from the bypass line to the inverter unit during a power failure. Then, the charging unit supplies the DC power DC charged in the battery unit to the AC power supply AC by loading the inverter unit. However, the conventional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s a problem in that the mode switching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rom normal to power failure, that is,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switch takes a long time, so that the power supply is disconnec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s irregular output power, and therefore, its use is not suitable for precision equipment requiring a stabl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정류부, 충전부, 절환 스위치, 배터리부, 인버터부, 바이패스 라인, 바이패스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평상시에는 바이패스 스위치가 열려있고, 절환 스위치는 충전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어, 정류부, 인버터부 및 충전부가 항상 작동한다. 그리고,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정전시에는 상용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정류부와 충전부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절환 스위치는 인버터부와 배터리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터리부와 인버터부의 동작으로 부하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만,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는 평상시에 상용 전원의 100%가 무정전 전원장치를 통하여 부하기기 측에 공급되어 무정전 전원장치에서의 손실을 감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composed of a rectifier, a charging unit, a switching switch, a battery unit, an inverter unit, a bypass line, and a bypass switch. In the conventional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 bypass switch is normally opened, and the switching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unit, so that the rectifying unit, the inverter unit, and the charging unit are always operated.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 state in which commercial power cannot be supplied during a power failure, the rectifying unit and the charging unit do not operate, and the switching switch connects the inverter unit and the battery unit to operate the battery unit and the inverter unit. Supply power to the loa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re is a problem that 100% of commercial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load device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o that the loss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ust be considered.
또한,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는 입력신호 대 출력신호를 1:1로 출력 제어하지 못하여, 출력단 변압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출력단 변압기는 전력 손실 및 낮은 직류전압에 의한 스위치의 도통 전류 증가를 야기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oes not control the input signal to the output signal 1: 1, and therefore, an output transformer is required. However, the output stage transformer causes an increase in the conduction current of the switch due to power loss and a low DC voltage,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system.
한편,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에는 수전설비에 과부하를 일으켜 화재 및 정전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수전설비의 용량초과 시 부족한 전력은 인접 지역의 전력을 끌어와 사용함으로써 전력품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디지털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오래된 목조건물에서는 과열로 인한 화재, 노후화된 배전설비의 폭발 및 화재 등의 재산 및 인명피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ring peak hours of power consumption, which consumes the most power, the power plant may be overloaded, resulting in fire and power outages. 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faucet exceeds capacity, the insufficient power affects the power quality by drawing power from the adjacent area. This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shorten the life of the device. In old wood condition, it may cause property damage and injury such as fire due to overheating, explosion of old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fire.
본 발명은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전력 운영을 하며 고효율, 고역률 및 소형화된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stable and economical power operation and provides a high efficiency, high power factor and miniaturiz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배터리부, 외부 입력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회로부, 외부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임피던스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연결 노드와 외부 입력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부하기기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에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한다.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with an external input power,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external input power and the power rectified in the rectifier is converted into AC powe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n inverter unit; A first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 variable impedance un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 third switch connected betwee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impedanc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oad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a peak power usage time perio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so that external input power is cut off at a set peak power usage tim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unit.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보호를 위한 휴즈부; 및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 필터의 역할을 하는 LC 필터부; 출력단의 교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기 위한 리액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fuse unit for protecting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n LC filter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and serving as an output filter. The react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actor unit for preventing a sudden change in the AC current at the output terminal.
또한, 상기 인버터부는 IGBT에 의한 순시 전압 제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verter unit may operate in an instantaneous voltage control method by the IGB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입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입력단 측정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출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출력단 측정부; 상기 입력단 측정부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상기 가변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키는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입력단 신호와 출력단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 상기 PLL 회로부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되는 시간 설정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이상을 판단하는 안전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witch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An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measuring an input terminal voltage, a current, and a phas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 output s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voltage, current, and phas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n impedance value of the variable impedance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by the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measuring unit; A PLL circuit unit generating a signal for synchronizing an input terminal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signal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inverter un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PLL circuit unit;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peak power use time zone; And it may include a safety device for detecting the current flow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전류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respective amounts of current output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또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 측정부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을 통해 측정된 값과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based on a value measured by the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a value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unit may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impedanc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또한, 상기 시간 설정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time setting unit may adjust the total time of the self-power-use time zone based o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unit.
또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동일한 임피던스로 제어할 수 있다.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ariable impedance unit to have the same impedance as that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시간 설정부에서는, 외부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입력 및 직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으로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ime setting unit, the peak power time zone may be set by at least one of an input method and a direct inpu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xternal system.
또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간 설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f-power-use time zone from an external system, transmit the wireless control signal to the time setting unit,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control unit. .
또한,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 및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lf-power time zone may be set to at least one time zone of the peak power use time zone and the use time zone according to the electric charge differenti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제 3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according to a normal mode, a power failure mode, a self power providing mode, and an apparatus abnormality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상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켜,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거쳐 부하기기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in the normal mode to allow external input power to be delivered to the load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first switch and turn off the second switch in the power failure mode, such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is supplied to the loa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설정된 피크전력 사용 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nd turn off the second switch in the self-power providing mode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during a set peak power usage time.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이상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오프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켜,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거쳐 부하기기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turn off the first switch and turn on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n the device abnormal mode so that external input power is delivered to the load unit throug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전력 운영을 하며 고효율, 고역률 및 소형화된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economical power operation and to provide a high efficiency, high power factor and miniaturiz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평상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전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장치 이상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회로도 및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전 장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normal mode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n electrostatic mode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elf power providing mode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n apparatus abnormal mod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afety device of FIG. 4.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ninterruptib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은 입력 필터부(110),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제 1 스위치(SW1), 가변 임피던스부(130), 제 2 스위치(SW2), 제 3 스위치(SW3), 제어부(140), 무선 통신부(150) 및 검출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는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uninterruptible
상기 입력 필터부(110)는 상용 전원(1) 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필터부(110)는 상용 전원(1) 즉, 교류(AC) 전원의 전기적 노이즈를 필터링한다.The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상용 전원(1) 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는 입력 필터부(110)를 통과한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제 1 스위치(SW1)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스위치(SW1)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온/오프 동작이 제어된다.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상용 전원(1)에 이상이 생기거나,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부하기기(6)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uninterruptible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제 1 스위치(SW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에는 제 2 스위치(SW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스위치(SW2)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온/오프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동일한 임피던스로 제어된다.The
상기 제 3 스위치(SW3)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연결 노드 A와 입력 필터부(11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hird switch SW3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uninterruptible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동일한 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 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를 제어한다. The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140)의 상기 시간 설정부(148)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출력되는 전류량도 검출 가능하다.
The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제어부(140)의 상기 제 1 스위치(SW1) 내지 제 3 스위치(SW3) 제어에 따른 각 모드 별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도 2a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평상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정전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의 장치 이상 모드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the normal mode of the uninterruptible
하기의 표 1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의 각 모드 별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n operation state of each mode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SW1, SW2, and SW3 under the control of the
제공모드 Self power
Offer mode
평상 모드는 상용 전원(1)과 무정전 전원장치부(120)가 모두 이상 없이 동작할 때의 모드이다. 평상 모드시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지(SW1, SW2, SW3)가 모두 턴온 된다. 이에 따라 상용 전원(1)은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거쳐 부하기기(6)에 전달된다. 이때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임피던스가 같게 유지되므로, 각각에 흐르는 전류(Ia, Ib)는 같게 된다. 그리고, 부하기기(6)에 전달되는 전류(Ic)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과한 전류(Ia)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통과한 전류(Ib)의 합이 된다. 한편, 평상 모드 시, 후술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해 흐르는 전류(Ia)에 의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The normal mode is a mode when both the
정전 모드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가 정상이고, 상용 전원(1)이 공급되지 않는 때의 모드이다. 정전 모드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제 1 스위치(SW1)는 턴온되고, 제 2 스위치(SW2)는 턴오프 된다. 이때, 상용 전원(1)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 3 스위치(SW3)의 상태는 정전 모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전 모드에서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에 저장된 전원이 부하기기(6)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전 시에도 부하기기(6)는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The power failure mode is a mode when the uninterruptible
자체전력 제공모드는 상용 전원(1)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120)가 모두 정상 상태이지만, 상기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 동안에 상용 전원(1)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120)의 배터리부(127)에서 부하기기(6)로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가 턴오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에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 동안에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이 부하기기(6)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 또는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self-power supply mode, both the
장치 이상 모드는 상용 전원(1)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이상이 생겼을 때의 동작 모드이다. 장치 이상 모드시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위치(SW1)는 턴오프 되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는 턴온 된다. 이에 따라 상용 전원(1)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거쳐 부하기기(6)로 전달되게 된다. The device error mode is an operation mode when the
상기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제어가 가능하여, 모드 전환 때 절체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나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사용요금이 낮은 시간대)에 자동적으로 자체전력을 사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전설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이고, 전기 사용료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control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도 3을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정류부(122), 인버터부(123), 배터리 충전회로부(126) 및 배터리부(127)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휴즈부(121), LC 필터부(124) 및 리액터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uninterruptible
휴즈부(121)는 휴즈(fus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즈부(121)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끊어져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할 수 있다.The
정류부(122)는 입력되는 교류 형태의 상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한다.The
인버터부(123)는 평상 모드시에는 정류부(122)를 거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정전 모드 시 인버터부(123)는 배터리부(127)에 축적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기기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LC 필터부(124)는 인버터부(123)와 부하기기(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LC 필터부(124)는 인버터부(123)를 통과한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The
리액터부(125)는 인버터부(123)와 부하기기(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액터부(125)는 큰 유도성인 리액턴스를 갖는 리액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액터부(125)는 출력단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모듈러 형식으로 병렬 연결하게 될 때 유용할 수 있다.The
배터리 충전회로부(126)는 상용 전원과 배터리부(127)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충전회로부(126)는 상용 전원(1)의 공급 중단 또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사용할 공급전력 등에 대비하여, 상용 전원(1)을 배터리부(127)에 충전하는 회로이다.The battery
배터리부(127)는 다수개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부(127)에는 상용 전원(1)의 공급 중단 및 자제전력 사용 시간대에 사용할 공급전력 등에 대비하여, 배터리 충전회로부(126)를 통해 전원이 충전되어 있다. 정전 시 배터리부(127)는 인버터부(123)를 통해 부하기기(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구성 및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대한 제어부(140)의 동작 및 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회로도 및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the uninterruptibl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입력측에 연결되는 휴즈부(121), 휴즈부(121)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정류부(122), 정류부(122)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인버터부(123), 인버터부(123)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LC 필터부(124), LC 필터부(124)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리액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입력 Line 및 입력 Neutral에 연결되며 인버터부(123)의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회로(126) 및 배터리(12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ninterruptible
정류부(122)는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를 입력 Neutral 단자에 대해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커패시터(C1)과 직렬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 및 제 2 커패시터(C2)와 직렬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2)를 입력 Line 단자에 대해 병렬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류부(122)에 의해, 입력 전원은 반파 정류된다.The
인버터부(123)는 다수개의 직병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Q1, Q2, Q3, Q4)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부(123)는 IGBT에 의한 순시 전압 제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1, Q2, Q3, Q4)의 게이트 단자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인버터 제어부(147)의 신호가 전달되어 입력측과 동기화된 교류 출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The
LC 필터부(124)는 인버터부(123)에 대하여 직렬로 연결된 제 2 인덕터(L2)와 제 2 인덕터(L2)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리액터부(125)는 LC 필터부(124)의 제 2 인덕터(L2)와 직렬 연결된 리액터(L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제어부(140)는 스위치 제어부(141),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단 측정부(143),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 안전 장치부(145), PLL 회로부(146), 인버터 제어부(147) 및 시간 설정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어부(140)가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제어부(140)는 가변 임피던스부(130) 및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에도 연결되어 있다.The
스위치 제어부(141)는 후술하는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부 측정부(143) 및 안전 장치부(145)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여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141)는 시간 설정부(148)에 설정된 시간대에 따른 자체전력 제공모드도 인식하여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입력단 측정부(142)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단 측정부(142)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입력단의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The input
출력단 측정부(143)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출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단 측정부(143)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출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출력단의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The output
입력단 측정부(142) 및 출력단 측정부(143)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되어, 스위치 제어부(141)에서 평상 모드, 정전 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게 된다. The values measured by the input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입력단 측정부(142) 및 출력단 측정부(143)에서 측정한 수치를 토대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임피던스 값을 계산하고,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 값을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임피던스 값과 동일하게 제어한다. 이에 따라, 평상 모드 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에 흐르는 전류량이 동일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127)의 기본 충전량은 상원전원(1)의 총 공급량의 50%가 된다.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144 calculates the impedance value of the uninterruptible
또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상기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어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용전원(1)의 총 공급량이 100%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상기 총 공급량 중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10% 내지 90%이 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값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흐르는 전류량이 원하는 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가변 임피던부(13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은 10% 내지 90%로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144 may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ninterruptible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와 검출부(160)가 동작하는 이유는, 설정된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과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해 줄 있는 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배터리부(127)는 설정된 충전량보다 더 많은 양의 전원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기본 충전량보다 증가시켜야 한다. 그리고,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해 줄 있는 시간보다 작을 경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감소시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흐르는 전류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그 만큼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도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에 맞게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을 감지한다. 안전 장치부(145)에 의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이 감지되면, 안전장치부(145)는 장치 이상 모드임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141)는 제 1 스위치(SW1)를 닫고, 제 2 스위치(SW2)를 열게 된다. 안전 장치부(145)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The reason why 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144 and the
PLL 회로부(146)는 입력단 측정부(142)에서 측정된 입력 위상을 기준으로 이에 동기화시킨 인버터 기준 주파수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인버터 제어부(147)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신호의 동기화를 위하여, PLL 회로부(146)에서 발생된 인버터 기준 주파수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인버터부(123) 스위칭 소자(Q1, Q2, Q3, Q4)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한다. 상기의 PLL 회로부(146) 및 인버터 제어부(147)의 동작에 의하여, 입력 위상과 출력 위상은 동기화된다. 특히, 본 발명은 PLL 회로부(146) 및 인버터 제어부(147)의 동작에 의하여, 입력 위상과 출력 위상을 정확히 동기화시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모듈러 형식으로 병렬 연결할 때 유용할 수 있다.The
시간 설정부(148)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로 진입하면, 자체전력 제공모드임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141)는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스위치(SW1)를 턴온 시키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를 턴오프 시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에 충전된 전원이 부하기기(6)에 공급되도록 한다. When the
또한, 시간 설정부(148)는 설정된 시간대가 끝나면 자체전력 제공모드가 종료됨을 스위치 제어부(141)로 전달한다. 이때, 스위치 제어부(141)는 자체전력 제공모드에 따른 제어를 종료하고,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부 측정부(143) 및 안전 장치부(145)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여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00)이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시간 설정부(148)는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따라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맞게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보다 클 경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늘릴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시간 설정부(148)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따라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조절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를 통해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에 따라 미리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As such, the self-power-use time zo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of the
시간 설정부(148)의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제어부(140)에 직접 입력하여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어플 등을 이용하는 휴대기기 혹은 전력 관리 서버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설정도 가능하다. 이때, 외부 시스템과 상기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므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는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시간 설정부(148)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lf-power-use time zone of the
또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시간대별뿐만 아니라 지역별로도 전력 예비율이 떨어지는 곳을 파악하여 지역 단위별로 적절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라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간대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어플 등을 탑재한 휴대기기를 이용하거나, 관리자는 관리 서버를 통해서 시간 설정부(148)을 직접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power-use time zone may be set in association with a program that can determine the time zone when the power usage is the most. The program may identify a place where the power reserve rate falls not only for each time zone but also for each region, and set an appropriate self-use time zone for each region. In addition, the program may automatically set its own power use time zone according to the electric charge differential system, and may select and set any time zone desir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smart application, or the administrator may directly control the
한편, 제어부(140)는 부하기기(6)로 출력되는 전력량을 약 10% 내지 90%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기기(6)에서 사용하는 전력이 6KW라면, 상용전원(1)에서 제공하는 전력으로 100% 사용해도 되고,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전력만을 사용해도 되지만,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전력을 100% 사용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상용전원(1)을 사용할 때 보다 줄어들게 됨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5KW(50%)를 사용하고, 나머지 4KW는 상용전원(1)에서 제공하는 전력과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안전 장치부(14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도 5는 도 4의 안전 장치부(14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출력 Line 단자 및 출력 Neutral 단자에 대한 입력 Line 단자 및 입력 Neutral 단자의 안전 장치부(14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 장치부(120)의 입력단의 일측에 병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장애가 발생하여,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내부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안전 장치부(145)는 PWM IN 단자에서 스위칭 소자(Qp1)를 단락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Qp1)를 통과하여 CT 소자를 통과한 전류를 전류감지 단자에서 검출하게 된다. 평상 모드 즉, 무정전 전원장치부(1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전류감지 단자에서는 전류가 검출되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정상 작동을 확정 짓는다. 그리고, 장치 이상 모드 즉,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장애가 발생하여 휴즈부(121)가 끊어졌을 경우에는 전류감지 단자에서는 전류가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여,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를 제어하게 된다.
4 and 5,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가 상용 전원의 100%를 무정전 전원장치를 통하여 부하기기에 전달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평상 시에 상용 전원의 50%만이 무정전 전원장치부를 통과하여 부하기기에 전달됨으로써, 무정전 전원장치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이 감소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ercial power sourc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deliver 100% o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loading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ince only 50% of the power is passed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to the load, power transmission loss inevitably generat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is reduced.
그리고, 종래의 오프라인 무정전 전원장치에서 평상 시에서 정전 시로의 모드 변환 시 절체 시간이 걸리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모드 변환에 절체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Further,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hich takes a transition time during mode conversion from normal to power failur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transition time in mode conver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고,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출력을 조절 가능하여, 전력 전달 손실이 적고 효율이 좋다. In addi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output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without using a transformer, thereby reducing power transmission loss and improv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평상 시에는 전력의 절반은 무정전 전원장치부를 통과하고, 나머지 절반은 가변 임피던스부를 통과하므로, 부하기기에 전달될 용량의 절반의 용량 크기의 무정전 전원장치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보다 더 소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alf of the power passes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normally and the other half passes throug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having a capacity size of half the capacity to be delivered to the load. As a result, the system can be further miniatur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입/출력단의 위상 동기화가 정확히 이루어지고, 리액터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모듈러 형식 즉, 병렬 연결에 유리하며, 고역률의 운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hase synchronization of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is precisely made, and includes a reactor unit, it is advantageous for the modular typ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that is, parallel connection, operation of high power factor This is possible.
또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대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저장된 전원을 부하기기(6)로 제공함으로써,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를 분산시켜 수전설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급전력량 대비 피크 시간대의 예비 전력량 확보를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power time zone is set to the peak power time zone, and when entering the set time zone automatically provides the power stored in the uninterruptible
또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로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대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저장된 전원을 부하기기(6)로 제공함으로써, 전기 사용료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etting the self-use time zone to the use time zone according to the electric tariff differential system, when entering the set time zone automatically provides the power stored in the uninterrupt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ractic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110: 입력 필터부
120: 무정전 전원장치부
130: 가변 임피던스부
140: 제어부
150: 무선 통신부
160: 검출부
SW1: 제 1 스위치
SW2: 제 2 스위치
SW3: 제 3 스위치100: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110: input filter unit
120: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130: variable impedance unit
140:
15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detection unit
SW1: first switch
SW2: second switch
SW3: third switch
Claims (16)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임피던스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연결 노드와 외부 입력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부하기기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 및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with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nd an inverter unit for converting the power rectified in the rectifying unit into AC power;
A first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 variable impedance un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switch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 third switch connected betwee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impedanc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d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oad uni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t a self-power-use time zone, and control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to cut off an external input power in a set self-power-use time zone and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
The self-power usage time zon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at least one time zone of the peak power use time zone and the use time zone according to the electric charge differential system.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보호를 위한 휴즈부; 및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 필터의 역할을 하는 LC 필터부;
출력단의 교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기 위한 리액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 fuse unit for protecting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An LC filter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unit and serving as an output filte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actor unit for preventing a sudden change in the alternating current of the output stage.
상기 인버터부는 IGBT에 의한 순시 전압 제어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rter unit i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an instantaneous voltage control method by the IGB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입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입력단 측정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출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출력단 측정부;
상기 입력단 측정부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상기 가변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키는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입력단 신호와 출력단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
상기 PLL 회로부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되는 시간 설정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이상을 판단하는 안전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switch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An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measuring an input terminal voltage, a current, and a phas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n output stage measuring unit measuring voltage, current, and phas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A variable impedance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n impedance value of the variable impedance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by the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measuring unit;
A PLL circuit unit generating a signal for synchronizing an input terminal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signal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 inverter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inverter un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PLL circuit unit;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peak power use time zone;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fety device for detecting the current flow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전류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e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입력단 측정부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을 통해 측정된 값과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 unit,
The impedance of the variable impedance unit is controlled to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based on the value measured by the in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the output terminal measuring unit and the value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unit.
상기 시간 설정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ime setting unit,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uni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total time of the self-power-use time zone.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동일한 임피던스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ariable impedance control unit,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controlling the same impedance as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상기 시간 설정부에서는,
외부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입력 및 직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으로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time setting sec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ak power use time period is set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method and the direct input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xternal system.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간 설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f-power usage time zone from an external system, transmits the wireless control signal to the time setting unit,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system through the control uni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상기 제어부는,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normal mode, power failure mode, self-power providing mode and the device fault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상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켜,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거쳐 부하기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And turning on the first switch to the third switch in the normal mode so that external inpu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the variable impedance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in the power failure mode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설정된 피크전력 사용 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기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n the self-power providing mode,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is supplied to the load for the set peak power usage time. Feeding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이상 모드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오프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시켜, 외부 입력 전원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를 거쳐 부하기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And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and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n the device abnormal mode, such that external inpu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the variable impedanc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105A KR101246048B1 (en) | 2011-07-29 | 2011-07-29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6105A KR101246048B1 (en) | 2011-07-29 | 2011-07-29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4156A KR20130014156A (en) | 2013-02-07 |
KR101246048B1 true KR101246048B1 (en) | 2013-04-03 |
Family
ID=4789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61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6048B1 (en) | 2011-07-29 | 2011-07-29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60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61583B2 (en) | 2015-11-10 | 2019-10-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7673A (en) * | 2002-12-26 | 2004-07-02 | 주식회사 엔시스 | N+1 Module Type UPS Having Self-Support Control Structure |
KR100830351B1 (en) * | 2007-09-12 | 2008-05-20 |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 IGVIS UPS System |
-
2011
- 2011-07-29 KR KR1020110076105A patent/KR1012460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7673A (en) * | 2002-12-26 | 2004-07-02 | 주식회사 엔시스 | N+1 Module Type UPS Having Self-Support Control Structure |
KR100830351B1 (en) * | 2007-09-12 | 2008-05-20 |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 IGVIS UPS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4156A (en) | 2013-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375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US745651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US793996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US727411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US9634512B1 (en) | Battery backup with bi-directional converter | |
US20160285267A1 (en) | Power peak shaving system | |
CN104247240A (en) | UPS having a delta converter utilized as input power regulator in a double conversion system | |
CN111987792B (en) |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 |
CN106911185A (en) | UPS with integrated bypass switch | |
US20240113552A1 (en) | Method to detect back-feed and mis-wiring events by a ups system | |
EP228799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KR101104457B1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1017391B1 (en) | Battery charge / discharge control circuit using micom | |
KR20150106838A (en) | Peak power managing UPS equipped with dibirectional DC/AC inverter | |
KR101246048B1 (en) |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US11876401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with dynamic bypass-power sharing | |
EP3591801B1 (en) | Adaptive charger | |
JP2006223050A (en) | Power supply system | |
KR101058351B1 (en) | Battery charge / discharge control circuit with regulator and inverter | |
KR101254982B1 (en) |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apparatus | |
KR101498981B1 (en) | Bus bar connecting power supply apparatus by transforming magnetic field | |
KR101740944B1 (en) | Uninterrutible power supply equipped with zero-phase harmonic reduction function | |
KR20090006287A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HK1110441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 |
TW201334365A (en) |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