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855B1 - Image sensor module - Google Patents
Image sensor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5855B1 KR101245855B1 KR1020060068247A KR20060068247A KR101245855B1 KR 101245855 B1 KR101245855 B1 KR 101245855B1 KR 1020060068247 A KR1020060068247 A KR 1020060068247A KR 20060068247 A KR20060068247 A KR 20060068247A KR 101245855 B1 KR101245855 B1 KR 101245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image sensor
- sensor
- light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이미지센서를 광로에 맞추어 얼라인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은 광이 출사되도록 일면에 광출사구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광출사구 주변의 상기 일면에 설치되는 센서고정부와, 상기 광출사구로 출사된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센서고정부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광출사구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센서 측으로 통과되도록 제1광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고정부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한다.
It provides an image sensor module that can align an image sensor to an optical path. The image sensor module senses an image by receiving a main frame having a light exit 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exit port, a sensor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one surface around the light exit port, and receiving the light exited from the light exit port. An image sensor and a first optical path interposed between the sensor fixing part and the image sensor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port passes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is aligned in a perspect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nsor fixing part; It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ensor fixing to enab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이미지센서 모듈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mage sensor modu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미지센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mage sensor module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고정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이미지센서 모듈100: image sensor module
110 : 메인 프레임110: main frame
130 : 제1고정부재130: first fixing member
150 : 제2고정부재150: second fixing member
170 : 센서 플레이트170: sensor plate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센서를 광로에 맞추어 얼라인먼트를 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nsor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sensor module capable of aligning an image sensor to an optical path.
통상, 스캐너, 잉크젯 복합기, 컬러 또는 모노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 등의 스캔기능이 구비된 사무기기에는 원고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장착된다. In general, an office equipment equipped with a scanning function such as a scanner, an inkjet multifunction printer, a color or a mono laser printer multifunction printer is equipped with an image sensor module capable of sensing an image of an original.
이러한 이미지센서 모듈은 원고에서 반사된 광을 광출사구로 출사시키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미러와 렌즈 등이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출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한다. Such an image sensor module senses an image of the document by receiving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mirrors and lenses therein so as to emit light reflected from the document to a light exit port, and receiving the emitted light coupled to the frame. It includes an image sensor.
따라서, 원고에서 반사된 광이 다수개의 미러와 렌즈를 통하여 상기 광출사구로 출사되면,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출사된 광을 수광하여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센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riginal is emitted to the light exit port through a plurality of mirrors and lenses, the image sensor receives the emitted light to sense the image of the original.
한편, 이미지 센싱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려면, 상기 광출사구를 통해 광이 출사되는 광로와 상기 광을 수광하는 이미지센서가 보다 정확하게 얼라인먼트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미지센서는 대량 생산되기 때문에 개별 부품마다 각각 서로 다른 생산 공차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대량 생산되는 프레임과 이미지센서를 단순히 결합만 시킬 경우에는 프레임의 광로와 이미지센서 사이에는 정확한 얼라인먼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sense the image, the optical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light exit port and the image sensor receiving the light should be more accurately aligned. However, since the frame and the image sensor coupled to the frame are mass-produced, the individual parts may have different production tolerances. Therefore, in the case of simply combining the mass-produced frame and the image sensor as described above, accurate alignment may not be performed between the optical path of the frame and the image sensor.
그러므로, 프레임에 이미지센서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광로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얼라인먼트가 병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미지센서를 프레임에 결합할 시 이미지센서를 광로에 맞추어 얼라인먼트를 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제안 및 개시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 image sensor to the frame, the alignment between the light path of the frame and the image sensor must be parallel. Therefore, recently, an image sensor module for aligning an image sensor to an optical path when the image sensor is coupled to a frame has been proposed and disclosed.
일예로, 미국특허 6,621,522호에는 이미지센서를 광로에 맞추어 얼라인먼트를 할 수 있도록 조정가능한 CCD 플레이트의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US Pat. No. 6,621,522 discloses a fixing device for a CCD plate that is adjustable to align an image sensor to an optical path.
개시된 미국특허 6,621,522호에 따르면, 조정가능한 CCD 플레이트의 고정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마스크 장치(11),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에 결합되는 중앙 지지대(14), 상기 중앙 지지대(14)에 결합되는 센서 마스크 장치(18) 및,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8)에 고정되며 CCD 소자(22)를 구비한 CCD 플레이트(21)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US Pat. No. 6,621,522, the
구체적으로,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의 내부에는 용지로부터 반사된 광을 다시 반사시키는 다수의 반사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의 후면에는 상기 반사된 광이 출사되는 렌즈(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12)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 지지대(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벽체(13)가 고정되며, 상기 벽체(13)에 대향되는 상기 중앙 지지대(14)의 일면에는 상기 중앙 지지대(14)를 상기 벽체(13)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소자(15)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eflectors (not shown) are provided inside the
또한, 상기 중앙 지지대(14)의 다른 면에는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8)가 결합되도록 홈들(16)과 클램핑 피스들(17)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8)에는 상기 홈들(16)에 끼워지는 필러(19)와 상기 클램핑 피스들(17) 사이로 끼워지는 손잡이들(2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따라서,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와 상기 중앙 지지대(14)는 상기 중앙 지지대(14)에 형성된 클램핑 소자(15)가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에 고정된 벽체(13)에 클램핑됨으로써 상호 결합되고, 상기 중앙 지지대(14)와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1)는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1)에 형성된 필러(19)와 손잡이들(20)이 상 기 중앙 지지대(14)에 형성된 홈들(16)과 클램핑 피스들(17)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Therefore, the
다음,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와 상기 중앙 지지대(14) 및, 상기 CCD 플레이트(21)가 고정된 센서 마스크 장치(18)가 결합되면, 유저는 이들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CCD 플레이트(21)에 구비된 CCD 소자(22)와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광로를 얼라인먼트한다. Next, when the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가 완료되면,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와 상기 중앙 지지대(14)가 접촉하는 면 및 상기 손잡이들(20)이 상기 클램핑 피스들(17)에 끼워지는 면에 소정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와 상기 중앙 지지대(14) 및 상기 CCD 플레이트(21)가 고정된 센서 마스크 장치(18)를 상호간 고정시키게 된다. When the alignment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adhesive is injected into a surface where the
하지만, 상기 CCD 플레이트의 고정장치(10)의 경우, 상기 스캐너 마스크 장치(11)와 상기 중앙 지지대(14)가 접촉하는 면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주입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이는 양단부간 접착력의 불균일화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또한, 상기 CCD 플레이트의 고정장치(10)의 경우, 상기 중앙 지지대(14)와 상기 센서 마스크 장치(18) 간의 고정이 상기 손잡이들(20)과 상기 클램핑 피스들(17) 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제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제가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면적이 너무 적어 두 부재들간의 접착력이 너무 약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미지센서와 광로 사이의 얼라인먼트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 간에 강한 접착력이 작용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erform alignment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optical path but also strong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An image sensor module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양단부간 접착력의 불균일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sensor modul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non-uniformity of adhesion between the two ends.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모듈은 광이 출사되도록 일면에 광출사구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광출사구 주변의 상기 일면에 설치되는 센서고정부와, 상기 광출사구로 출사된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센서고정부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광출사구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센서 측으로 통과되도록 제1광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고정부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고정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한다. The image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such a technical problem is a main frame formed with a light exit port on one surface so that light is emitted, a sensor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surface around the light exit port, and the light exit port An image sensor for receiving an emitted light to sense an image, and a first light path interposed between the sensor fixing part and the image sensor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port passes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a first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sensor fixing part to enable alignment in the perspect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nsor fixing part.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기 일면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센서고정부가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from the one surface. 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xing member so that the sensor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member.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삽입홈 내부로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접착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 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ix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dhesive injection hole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adhesive is injec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의 일면에는 축 역할을 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져 상기 끼움돌기를 축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의 미세 회전 얼라인먼트가 가능하게 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fitting protrusion that serves as an axi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fixing part. In this case, a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xing member to be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to enable fine rotational alignment of the first fixing member with the fitting protrusion as an axis.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광통로를 통과한 광이 상기 이미지센서 측으로 통과되도록 제2광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sensor modul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image sensor, and having a second light path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ight path is passed to the image sensor side and the The first fix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to enable align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하단으로부터 그 상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ix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The second fixing member may include a hook-shaped holder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and the holder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x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upward direction thereof.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의 상부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걸림부의 사이로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접착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member may include a plate-shape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econd adhesive injec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such that the adhesive is injec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는 상기 광출사구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fixing portion may be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ght exit port.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은 상기 광출사구 주변의 상기 일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광이 상기 광출사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sens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blocking film installed on the surface around the light exit port to block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the light exit port sid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being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미지센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고정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ag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mage sensor modul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different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at an angl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100)은 스캐너, 잉크젯 복합기, 컬러 또는 모노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 등의 스캔기능이 구비된 사무기기에 장착되어 원고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2 to 4, the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100)은 상기 사무기기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130),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150) 및,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결합되는 센서 플레이트(17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어느 일면, 예를 들면 상면에는 원고에서 반사된 광이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슬릿(11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다른 일면, 예를 들면 정면에는 광이 출사되도록 광출사구(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슬릿(111)을 통해 유입된 광을 상기 광출사구(114) 측으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미러와 렌즈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광출사구(114) 주변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 정면, 예를 들면 상기 광출사구(114) 상부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 정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가 결합되도록 센서고정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고정부(112)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정면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펼쳐진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고정부(112)의 상면에는 다수의 접착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 수용홈에는 접착제가 수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접착시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On one surface of the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상기 광출사구(114)로부터 출사된 광이 후술될 이미지센서(174) 측으로 통과되도록 제1광통로(1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광통로(132)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는 상기 센서고정부(11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3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상기 센서고정부(112)가 상기 삽입홈(137)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센서고정부(1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센서고정부(112)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부재(130)와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상호간 접착하기 전에는 상기 센서고정부(112)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 즉, 원근 방향(도 3의 Z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와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상호 고정시키기 전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130)를 원근 방향(Z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얼라인먼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한편, 상기 센서고정부(112)의 일면, 예를 들면 상면에는 축 역할을 하는 끼움돌기(1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는 상기 끼움돌기(113)에 대응되도록 끼움홈(135)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고정부(112)에 끼워진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상기 끼움돌기(113)를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도 3의 θy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저는 이 제1고정부재(130)의 미세 회전됨을 이용하여 제1고정부재(130)의 미세 회전 얼라인먼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113)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센서고정부(11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35)은 상기 끼움돌기(113)에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홈(137)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137)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137) 내부로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상기 삽입홈(137)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접착제 주입구(136)가 형성 된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센서고정부(112)와 상기 제1고정부재(130)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센서고정부(112)가 상기 삽입홈(137)에 삽입될 시 상기 제1접착제 주입구(136) 측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adhesive injection holes 136 communicating with the
또,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양단부에는 후술될 홀더(153)에 걸리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걸림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4)는 상기 홀더(153)에 상기 걸림부(134)가 걸릴 시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13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34)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할 시 상기 걸림부(134)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매우 단단하게 고정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상기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대하여 상하 방향(도 3의 Y 방향) 및 좌우 방향(도 3의 X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결합되며, 상기 제1광통로(132)를 통과한 광이 이미지센서(174) 측으로 통과되도록 제2광통로(15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광통로(151)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걸림부(134)에 걸리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홀더(153)가 포함된다. 상기 홀더(153)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134)의 두께만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다음 다시 그 상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34)는 상기 한쌍의 홀더(153) 상측으로 위치된 다음 상기 홀더(153)의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134)는 상기 홀더(153)의 내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대하여 상하 방향(도 3의 Y 방향) 및 좌우 방향(도 3의 X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를 상호 고정시키기 전, 상기 제2고정부재(150)를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대하여 상하 방향(Y 방향) 또는/및 좌우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얼라인먼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34)가 끼워지는 상기 홀더(153)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를 관통하는 광로(P)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된다(도 3의 θz 방향). 따라서, 유저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를 관통하는 광로(P)를 축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50)가 회전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미세 회전 얼라인먼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detail, the second fixing
한편, 상기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걸림부(134)에 접촉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접촉부(1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가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홀더(153)에 끼워질 시 상기 접촉부(154)는 상기 걸림부(134)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54)의 상부에는 상기 접촉부(154)와 상기 걸림부(134)의 사이로 접착제가 주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접착제 주입구(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가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30)가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홀 더(153)에 끼워질 시 상기 제2접착제 주입구(155) 측으로 접착제를 주입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촉부(154)와 상기 걸림부(134)의 사이로 주입되어 상기 접촉부(154)와 상기 걸림부(134)를 접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주는 가속 경화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ixing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190)을 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에 대향되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일면에는 고정홀(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190)은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고정홀(152)에 결합됨으로,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를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대향되는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의 일면에는 상기 광출사구(114)로 출사된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센서(174)와 상기 이미지센서(174)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7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17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72)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가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고정될 때 같이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센서(174)는 CCD(Charge Coupled Device)일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100)은 외부의 광이 상기 광출사구(114)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막(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차단막(115)은 상기 광출사구(114) 주변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 정면, 예를 들면, 상기 광출사구(114) 하부의 상기 메인 프레임(110) 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 서, 상기 광차단막(115)으로 인하여 외부의 광은 상기 광출사구(114)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미지센서 모듈(100)의 조립 및 고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ssembly and fixing method of the
먼저, 센서고정부(112)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110)이 마련되면, 유저는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제1고정부재(130)에 형성된 삽입홈(137)에 삽입시킴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130)를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고정부(112)의 상면에는 끼움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는 상기 끼움돌기(113)에 대응되도록 끼움홈(135)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센서고정부(112)를 상기 삽입홈(137)에 삽입시킬 때 상기 끼움돌기(113)도 상기 끼움홈(137)에 삽입된다. First, when the
이후, 유저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홀더(153)에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걸림부(134)를 끼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30)의 걸림부(134)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의 접촉부(154)에 면접촉된다. Thereafter, the user inserts the locking
이후, 유저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190)을 이용하여 이미지센서(174)가 설치된 센서 플레이트(170)를 상기 제2고정부재(15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고정부재(130)에 대한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의 고정작업은 사전에 미리 진행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user fixes the
이후,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제1고정부재(130) 및,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가 고정된 제2고정부재(150)가 모두 결합되면, 유저는 이들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및 이동시키며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에 설치된 이미지센서(174)와 상기 메인 프레임(110)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광로(P)를 얼라인먼트한다. Subsequently, when the
그리고, 상기 얼라인먼트가 완료되면, 상기 제1접착제 주입구(136)와 상기 제2접착제 주입구(155)에 소정 접착제를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제1고정부재(130) 및 상기 센서 플레이트(170)가 고정된 제2고정부재(150)는 상기 주입되는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하여 모두 단단하게 고정된다. When the alignment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adhesive is injected into the first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은 그 센서고정부가 제1고정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된 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센서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접착면은 매우 넓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호간 매우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mag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an adhesive after the sensor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fixing member,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ensor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member is very wide. do. Therefore, the sensor fixing part and the first fixing member can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a very strong adhesive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에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결 합될 시 상호간 매우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는 걸림부와 접촉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로 접착제를 주입하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는 그들의 접촉하는 넓은 면적만큼 매우 강하게 접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는 매우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주입된 접착제의 접착력은 충분히 작용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접착력의 불균일화 문제를 해소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engaging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are joined to each other, an adhesive is inject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then very strongly bonded by the large area in contact with them.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in contact with a very large area,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jected between the lock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can fully function, which solves the problem of non-uniformity of adhesive force. Don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8247A KR101245855B1 (en) | 2006-07-21 | 2006-07-21 | Image sensor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8247A KR101245855B1 (en) | 2006-07-21 | 2006-07-21 | Image sensor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8697A KR20080008697A (en) | 2008-01-24 |
KR101245855B1 true KR101245855B1 (en) | 2013-03-20 |
Family
ID=3922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8247A Active KR101245855B1 (en) | 2006-07-21 | 2006-07-21 | Image sensor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58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844B1 (en) | 2012-06-05 | 2014-04-01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Backside illuminatio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05531A (en) * | 1998-01-16 | 1999-07-30 | Nec Corp | Image reader |
JP2001326788A (en) * | 2000-03-09 | 2001-11-22 | Canon Inc | Image reading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
2006
- 2006-07-21 KR KR1020060068247A patent/KR1012458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05531A (en) * | 1998-01-16 | 1999-07-30 | Nec Corp | Image reader |
JP2001326788A (en) * | 2000-03-09 | 2001-11-22 | Canon Inc | Image reading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8697A (en) | 2008-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76649B (en) | Drive mechanism | |
US7441965B2 (en) | Connector | |
KR20150044363A (en) |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e of the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 |
JP3931476B2 (en) | Optical sensor and optical unit | |
KR102145916B1 (en) | Lens apparatus | |
KR101537442B1 (en) |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KR19980018845A (en) | APPARATUS FOR SECURING CCD BOARD AT A FIXED POSITION WIT HIN A RANGE OF MOTION | |
KR101245855B1 (en) | Image sensor module | |
KR20200032429A (en) | Dual camera module, jig and connecting method for dual camera module | |
CN104656250A (en) | Multibeam light source unit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 |
TW201930999A (en) | Camera device | |
US20230384567A1 (en) | Optical unit | |
JP4255684B2 (en) |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588764B1 (en) | Splice module for use in optical fiber alignment | |
JP3853318B2 (en) | Optical printer head | |
JP2002062459A (en) | Optical module device | |
JP3533069B2 (en) | Laser unit, optical writ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JP5505004B2 (en) | Surface emitting laser module,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2671493B1 (en) | Lens apparatus | |
JP2018093342A (en) | Prism unit,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 |
JP3533070B2 (en) | Laser unit, optical writ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KR20070064929A (en) | CD fixing device of optical scanning device | |
US20250164697A1 (en) | Align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copackaged optical connector | |
JP2894657B2 (en) | Albada-type inverted Galileo finder and instant camera using the same | |
JP2008009333A (en) | Optical wiring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