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5800B1 -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800B1
KR101245800B1 KR1020100118852A KR20100118852A KR101245800B1 KR 101245800 B1 KR101245800 B1 KR 101245800B1 KR 1020100118852 A KR1020100118852 A KR 1020100118852A KR 20100118852 A KR20100118852 A KR 20100118852A KR 101245800 B1 KR101245800 B1 KR 10124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phrase
container
patter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210A (ko
Inventor
송하영
Original Assignee
송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영 filed Critical 송하영
Priority to KR102010011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8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with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을 표시할 수 있는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겨지는 내층과, 상기 내층과 그 사이에 빈 공간을 두고 바깥쪽에 구성되는 외층 그리고 상기 빈 공간에 고정되게 끼워지는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상기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과 이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용기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색깔과 독특한 분위기의 문구와 문양을 용기 표면에 나타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과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Description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VESSEL ENABLING TO DISPLAY LETTER OR PATTERN WITH CONTENTS THEREIN}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안에 채워지는 액체형 내용물로 원하는 문구나 문양을 표시할 수 있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담는 맥주잔, 와인잔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잔들은 대게 투명하고 안에 맥주나 와인과 같은 액체형 내용물을 넣었을 때 외부에서도 내용물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잔들은 그 가치나 품격을 높이기 위해 외부에 문구나 문양들을 인쇠하거나 새기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리잔들은 내용물의 종류나 색깔에 상관없이 항상 같은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독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종 기념일이나 나만의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지를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액체형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의 벽 사이에 내용물이 채워지는 투명관을 원하는 문구 또는 문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에 내용물을 넣을 때 내용물이 투명관에도 들어가 내용물의 종류와 색깔에 따라 다양한 문구 또는 문양이 표시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겨지는 내층; 내층과 그 사이에 빈 공간을 두고 바깥쪽에 구성되는 외층; 빈 공간에 고정되게 끼워지는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을 포함하고, 내층은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과 이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외층, 내층 및 가는 관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층과 내층은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공은 내층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따르면, 용기에 채워지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색깔과 독특한 분위기의 문구와 문양을 용기 표면에 표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용기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 또는 도 3의 용기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투명한 유리잔이다. 유리잔(100)은 내용물담김부(110), 파지부(130) 및 받침부(150)를 포함한다.
내용물담김부(110)는 액체형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내층(111)과 외층 (112)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빈 공간 (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 공간(113)에는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축결혼"이라는 문구(114)가 고정되게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결혼"이라는 문구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 빈 공간(113)에는 다른 원하는 다양한 문구나 문양을 만들어 끼워 넣을 수 있다.
내층(111)은 중앙에 내용물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15)이 형성되어 있고,이 관통공(115)은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진 "축결혼"이라는 문구와 이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유리잔(100)에 내용물이 담기기 시작하면 내용물의 일부가 내층(111)에 형성된 관통공(115)을 통해 문구로 흘러가면서 문구에도 내용물이 채워지게 된다.
유리잔(100)의 상단 테두리인 내층(111)과 외층(112)이 상단이 접촉하는 두리는 하나로 붙어있다.
파지부(13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거으로, 외층(112)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형성된다.
받침부(150)는 바닥면에 얹기 위한 것으로, 파지부(130)의 말단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형성된다.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투명한 유리잔이다. 유리잔(100')은 내용물담김부(110'), 파지부(130') 및 받침부(150')를 포함한다.
내용물담김부(110')는 액체형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내층 (111')과 외층(112')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빈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 공간(113')에는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축결혼"이라는 문구(114')가 고정되게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결혼"이라는 문구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 빈 공간(113')에는 다른 원하는 다양한 문구나 문양을 만들어 끼워 넣을 수 있다.
내층(111')은 중앙에 내용물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15')은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진 "축결혼"이라는 문구와 이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유리잔(100')에 내용물이 담기기 시작하면 내용물의 일부가 내층(111')에 형성된 관통공(115')을 통해 문구로 흘러가면서 내용물이 채워지는 수준에 맞게 문구에도 내용물이 채워지게 된다.
유리잔(100')의 상단 테두리인 내층(111')과 외층(112')이 상단이 접촉하는 테두리는 하나로 붙어 있다.
파지부(13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외층(112')의 하단 중앙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형성된다.
받침부(150)는 바닥면에 얹기 위한 것으로, 파지부(130)의 말단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의 유리잔의 변경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경예에 따른 유리잔 (100")은 내층(111")과 외층(112")이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외층(112")은 그 안쪽면에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축결혼"이라는 문구(114")가 고정되게 마련되고, 내층(111")은 중앙에 내용물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15')은 외층(112") 속에 내층(111")이 끼워질 때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진 "축결혼"이라는 문구(114")와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양한 유리잔이나 플라스틱잔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병, 플라스틱병과 같은 각종 병류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 구성이 투명한 유리병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 4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병(200)은 내용물담김부(21) 및 목부(230)를 포함한다.
내용물담김부(21)는 액체형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내층(211)과 외층 (212)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빈 공간(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 공간(213)에는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나비모양의 문양(214)이 고정되게 끼워진다.
내층(211)은 주앙에 내용물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215)은 투명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나비모양의 문양(214)과 이어져있다. 다시 말해서, 유리병(200)에 내용물이 담기기 시작하면 내용물의 일부가 내층(211)에 형성된 관통공(215)을 통해 문구로 흘러가면서 내용물이 채워지는 수준에 맞게 문양에도 내용물이 채워지게 된다.
목부(230)는 내용물담김부(210)의 상단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목부(230)에는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도 7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용물담김부(310) 및 이 내용물담김부(310)와 파지부(330)로 연결되는 받침부(350)로 이루어진 용기(3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300)는 내용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35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문구나 문양으로 된 표식부(355)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표식부(355)에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담김부(310)는 상기 파지부(330)가 연결되는 부분에 관통공(3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30)는 내부에 상기 관통공(315)과 상기 받침부(350)의 표식부(35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로(33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내용물담김부(310)에 음료 등을 붓게 되면, 그 일부가 관통공(315)을 통해 상기 파지부(330)의 연결관로(335)를 경유하여 상기 받침부(350)의 표식부(355)로 유입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독특한 문구나 문양을 구현할 수 있어 자기만의 것을 갖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상품이 될 수 있다.
100, 100', 100": 유리잔 110, 110' : 내용물담김부
111, 111', 111" : 내층 112, 112', 112" : 외층
113, 113' : 빈 공간 114, 114', 114" : 문구
115, 115', 115" : 관통공 130 : 파지부
150 : 받침부

Claims (5)

  1.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체와;
    상기 내체와 그 사이에 빈 공간을 두고 바깥쪽에 구비되는 외체와;
    상기 빈 공간에 고정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내체는 상기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과 이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와 내체 및 가는 관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와 내체는 분리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내층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5.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용물담김부 및 이 내용물 담김부와 파지부로 연결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담김부는 파지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는 연결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것으로 가는 관으로 만들어지는 문구 또는 문양으로 된 표식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KR1020100118852A 2010-11-26 2010-11-26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KR10124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52A KR101245800B1 (ko) 2010-11-26 2010-11-26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52A KR101245800B1 (ko) 2010-11-26 2010-11-26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210A KR20120057210A (ko) 2012-06-05
KR101245800B1 true KR101245800B1 (ko) 2013-03-25

Family

ID=4660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852A KR101245800B1 (ko) 2010-11-26 2010-11-26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8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463U (ja) * 1999-06-01 2000-01-21 池本刷子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用透明容器およびその装飾体
JP3091023U (ja) * 2002-06-27 2003-01-17 佳鴒 黄 多層式容器
US7975872B2 (en) * 2008-02-21 2011-07-12 Lardino Frank A Aerating wine gl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463U (ja) * 1999-06-01 2000-01-21 池本刷子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用透明容器およびその装飾体
JP3091023U (ja) * 2002-06-27 2003-01-17 佳鴒 黄 多層式容器
US7975872B2 (en) * 2008-02-21 2011-07-12 Lardino Frank A Aerating wine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210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95B2 (en) Single serve beverage container
EP2579749B1 (en) Liquid container
US10390640B2 (en) Drinking vessel products
US20130075356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vessel with a resealable lid
KR101245800B1 (ko) 내용물로 문구나 문양이 표시되는 용기
US11389021B1 (en) Tasting flight kits
JP3206476U (ja) ボトル用衛生スパウト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JP2006111268A (ja) 容器
JP3178408U (ja) アルコール飲料調製容器
EP4273061A1 (en) Glass container for food liquids
CN214986846U (zh) 一种自调和酒瓶
JP3218230U (ja) 飲料水容器
JP6981598B1 (ja) 液体の容器
KR100880052B1 (ko) 용기
US20130240548A1 (en) Stacking Container
KR20110111819A (ko) 눈금 표시가 형성된 맥주잔
CN201770188U (zh) 一种饰有民族服饰的酒瓶
KR200371221Y1 (ko) 용기의 뚜껑
JP3160029U (ja) 台座付き飲用容器
US20150246295A1 (en) Spill-Proof Bubble Solution Container
KR200342249Y1 (ko) 일회용 커피컵
CN202130671U (zh) 具有显著、多彩标示的酒瓶
CN204548791U (zh) 一种酒水瓶
JP2021166711A (ja) 液体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