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38B1 -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4838B1 KR101244838B1 KR1020110057805A KR20110057805A KR101244838B1 KR 101244838 B1 KR101244838 B1 KR 101244838B1 KR 1020110057805 A KR1020110057805 A KR 1020110057805A KR 20110057805 A KR20110057805 A KR 20110057805A KR 101244838 B1 KR101244838 B1 KR 101244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towing means
- belt
- waist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9174 Nerve compre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2 spin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3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on the horizontal part of a door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고정봉과; 사용자의 상체에 체결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견인수단(200)과; 상기 견인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봉(100)에 걸어지는 벨트수단(300)과; 상기 벨트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수단(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을 포함하는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견인하여 요추부에 가해진 체중부담을 감소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요추부가 압력을 받지 않으며 척추의 경직되고 약화된 근육을 척추간을 견인시킨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통하여 정상화 시켜 디스크 등을 재활훈련에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door frame, the fixed rod for supporting the user's weight; A towing means 200 fastened to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A belt means (300) provided on the towing means and hooked to the fixing rod (100); And a length adjust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elt means 30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mean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l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gravity to reduce the weight burden applied to the lumbar spine to relieve pain, the lumbar spine is stretched while pulling the stiffened and weakened muscles of the spine between the spine Through normalization through the disk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rehabilit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를 안전하게 수직 견인하여 본인의 체중에 의해 척추관절이 이완되어 척추가 정렬되도록 하는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ar disc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umbar disc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spine to be relaxed by vertically pulling the waist safely so that the spine is aligned.
일반적으로, 허리 디스크는 허리 기능이 약화되거나 생활속의 과다한 부하로 인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척추 신경의 압박 및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요추부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 약화로 척추의 지지력이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협착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게 된다.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수술을 하게 되지만 대부분의 요통에서는 안정과 요추부의 단순 견인, 근육을 이완시키는 물리치료, 스트레칭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운동치료 방법은 척추간을 넓혀주는 적절한 강도의 견인력, 유산소 운동 및 허리근력 강화의 부재 등으로 빈발하는 요통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허리디스크 환자가 바쁜 일상 중 병원에서 물리치료를 받거나 고가의 물리치료장비를 구입하는 사용하는 것은 여러가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the lumbar discs cause muscle and ligament stiffness in the lumbar spine due to weakened lumbar function or excessive loads in life. Accordingly, spinal nerve compression and inadequate blood circulation, weakening of the soft tissues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supporting the lumbar spin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tenosis and consequent nerve compression resulting from decreased support of the spine. If the degree is severe, surgery is performed, but most of the back pain will be exercise therapy consisting of stability, simple traction of the lumbar region, physical therapy to relax muscles, stretching exercises. Such exercise treatment methods have had a lot of difficulties in treating frequent low back pain due to lack of adequate traction,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ening of back muscles. In addition, it is a problem that the lumbar disc patient uses physical therapy or purchases expensive physical therapy equipment in a hospital during busy daily lif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를 안전하게 수직 견인하여 본인의 체중에 의해 척추관절이 이완되어 척추가 정확히 정렬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ims to ensure that the spine joint is relaxed by the weight of the person by vertically pulling the waist safely so that the spine is aligned correct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는, 문틀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고정봉과, 사용자의 상체에 체결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견인수단(200)과, 상기 견인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봉에 걸어지는 벨트수단과, 상기 벨트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수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aist disk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rod is provided between the door frames to support the user's weight, and fastened to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user Towing means 200, and the belt means is provided on the towing means and hooked to the fixed rod, and a length adjust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lt mean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means.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 한 쌍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상기 벨트수단이 고정되어 진다.A pair of locking jaws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and the belt means is fixed between the pair of locking jaws.
상기 견인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벨트수단을 보관하기 위한 벨트수용부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towing means includes a belt receiving portion for storing the belt means.
상기 견인수단의 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판을 포함한다.It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towing means, and includes a wai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waist.
상기 허리지지판은 사용자에 체형이 따라 변경이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ist suppor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본 발명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Lumbar disc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허리를 안전하게 수직 견인하여 본인의 체중에 의해 척추관절이 이완되어 척추가 정확히 정렬되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를 수직 견인하여 척추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해소와 재발을 방지하고, 또한 견인된 상태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재활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척추 치료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ebral joint is relaxed by the weight of the person so that the waist is safely vertically traction,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ebrae are vertically traction to prevent the disease caused by the vertebra and prevent recurrence. In addition, it is to increas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safely and comfortably in the towed state, and also to make it more convenient to use the spinal therap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구성을 보인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봉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ist disk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w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w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rod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umbar disc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봉(100)은 상기 견인수단(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문틀(10)에 장착된다. 상기 문틀(10) 상부 양측(도 4 참조)에는 걸림부재(102)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재(10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100)을 상기 문틀(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재(102)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나사홈(104)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104)에는 나사(103)가 체결되어 상기 걸림부재(102)가 상기 문틀(10)에 고정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고정봉(100)은, 양측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봉(106)과, 상기 길이조절봉(106)이 삽입되는 중간봉(108)과, 상기 길이조절봉(106)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110)과, 상기 중간봉(108)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12) 등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길이조절봉(106)은 상기 중간봉(108)과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중간봉(108)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상기 길이조절봉(106)이 회전하면 길이가 줄어들고 왼쪽으로 회전하면 길이가 늘어나므로 상기 고정봉(1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 진다. 상기 중간봉(108)의 양측면에는 상기 길이조절봉(106)이 결합된다. 상기 중간봉(108)에 상기 길이조절봉(106)이 회전하여 삽입되어 진다. The
상기 길이조절봉(106)의 양측면에는 원형으로 함몰되는 결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0)은 상기 걸림부재(102)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봉(100)을 상기 문틀(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봉(108)의 외주면 양측에는 돌출되는 한 쌍의 상기 걸림턱(11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걸림턱(1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끈(302)이 수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Both sides of the
상기 고정봉(100)의 하부에는 견인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견인수단(200)은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지한다. 상기 견인수단(200)의 전,후면 양측에는 보강테두리(202)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테두리(202)는 수평으로 2줄 재봉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테두리(202)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재(204)와 벨트수단(3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owing means 200 is installed below the
상기 견인수단(200)의 전면 양측에는 고정부재(20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04)의 일단은 상기 보강테두리(202)에 재봉되며 타단에는 연결고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04)는 상기 벨트수단(300)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수단(200)을 상기 고정봉(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 하부 양측에는 벨트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벨트수단(300)은, 길게 연장되는 연결끈(302)과 상기 연결끈(302)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고리(304)와, 상기 연결끈(302)의 중간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306) 등으로 구성된다. Belt means 300 are installed at both rear lower sides of the towing means 200. The belt means 300,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끈(302)의 일단은 상기 보강테두리(202)에 재봉되면 타단에는 재봉되어 고정되는 고정고리(304)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끈(302)은 길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204)와 연결되게 한다. 상기 연결끈(302)의 타단에는 고정고리(304)가 재봉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고리(304)는 상기 견인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재(204)와 체결된다. 상기 고정고리(304)는 상기 고정부재(204)와 상기 벨트수단(300)이 고정되게 한다. 상기 연결끈(302)의 중간에는 길이조절부재(306)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06)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연결끈(302)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즉, 상기 벨트수단(300)이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 양측(도 3 참조)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봉(10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2)에 걸어지고, 상기 견인수단(200)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재(204)에 상기 고정고리(304)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봉(100)에 상기 견인수단(200)이 상기 벨트수단(300)에 의해 지지된다.That is, the belt means 300 is extended from both sides (see Fig. 3) of the rear of the towing means 200 is hooked to the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 양측(도 3 참조)에는 벨트수용부(206)가 형성된다. 상기 벨트수용부(206)는 상기 보강테두리(202)에 재봉되어 설치되는 상기 연결끈(302)이 상기 벨트수용부(206)의 내측을 거쳐 상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벨트수용부(206)는 양측단이 재봉결합되며 상,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벨트수단(300)을 감아서 상기 벨트수용부(206)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 중앙 상,하부에는 주머니 형태의 수용부(210)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부(310)는 아래에서 설명할 허리지지판(208)을 수용 지지한다. 상기 수용부(310)에는 허리지지판(208)이 고정된다. 상기 허리지지판(208)은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허리지지판(208)은 사용자의 체형이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t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towing means 200,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umbar disc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를 사용자가 발판(20)에 올라선 후 견인수단(200)을 상체에 착용한다. 상기 견인수단(200)을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여 중앙에 형성되는 조임부재(201)을 당겨 사용자의 상체에 견고하게 밀착시킨다.First, the user wears the traction means 200 on the upper body after the user lifts up the scaffold exercise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 재봉되어 고정되는 벨트수단(300)을 사용자가 고정봉(100)에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턱(112) 사이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벨트수단(300)의 선단에 위치하는 고정고리(304)를 상기 견인수단(200)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04)에 체결한다. 상기 벨트수단(300)의 중간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306)를 이용하여 상기 벨트수단(300)을 팽팽하게 조절한다. 상기 벨트수단(300)의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발판(20)을 자신의 발을 이용하여 앞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체를 부양시킨 상태에서 척추를 이완시킬 수 있다.The belt means 300 is sewn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towing means 200 is a user walks between a pair of engaging
또한, 사용자가 상기 견인수단(200)을 착용하면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허리지지판(208)에 의해 허리가 지지되어 진다.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 수용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허리지지판(208)을 탈부착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허리지지판(208)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towing means 200, the waist is supported by the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는 벨트수용부(20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완료하면 상기 벨트수단(300)을 감아서 상기 벨트수용부(206)에 수용할 수 있다. A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토록 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부양시킨 상태에서 척추를 이완시켜 척추를 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regardless of the user's body shape, and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spine by relaxing the spine while supporting the user's body.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문틀 100. 고정봉
102. 걸림부재 104. 나사홈
106. 길이조절봉 108. 중간봉
110. 결합홈 112. 걸림턱
200. 견인수단 202.보강테두리
204. 고정부재 206. 벨트수용부
208. 허리지지판 210. 수용부
300. 벨트수단 302. 연결끈
304. 고정고리 306. 길이조절부재10.
102. Locking
106.
110. Coupling
200. Traction means 202. Reinforcement border
204. Fastening
208.
300. Belt means 302. Connecting straps
304.
Claims (5)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견인수단(200)과;
상기 견인수단(200)의 외주면에 재봉 결합되며, 전면 양측에 고정부재(204)가 재봉 결합되어 고정되는 보강테두리(202)와;
한 쌍의 상기 걸림턱(112)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끈(302)과, 상기 연결끈(302)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4)에 체결되는 고정고리(304)와, 상기 연결끈(302)의 중간에 설치되어 연결끈(30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06)로 이루어진 벨트수단(300)과;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 양측에 설치되며, 양측단이 재봉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연결끈(302)이 위치되며 상기 연결끈(302)이 감겨져 보관되는 벨트수용부(206)와;
굴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수단(200)의 후면에 부착된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용부(2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판(208);을 포함하는 허리디스크 운동장치.A fixing rod 100 provided between the door frames 10 and having a pair of locking jaws 11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fastened to surround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towing means 200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A reinforcing edge 202 which is sewn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wing means 200, and fixing members 204 are sew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 connection string 302 fixed between a pair of the locking jaws 112, a fixing ring 304 install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string 302 and fastened to the fixing member 204, and the connection string Belt means 30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302 made of a length adjusting member 306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trap 302;
A belt accommodating part 206 which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towing means 200 and both ends thereof are sewn and coupled so that the connection string 302 is located therein and the connection string 302 is wound and stored;
Waist support plate 208 formed in a curved plate shape, mounted on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210 made of a bag shap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owing means 200 to support the user's waist; Disk exercise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805A KR101244838B1 (en) | 2011-06-15 | 2011-06-15 |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805A KR101244838B1 (en) | 2011-06-15 | 2011-06-15 |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375A KR20120138375A (en) | 2012-12-26 |
KR101244838B1 true KR101244838B1 (en) | 2013-03-21 |
Family
ID=4790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805A Active KR101244838B1 (en) | 2011-06-15 | 2011-06-15 |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48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7231B1 (en) | 2016-02-22 | 2016-06-03 | 박종덕 | towing device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
KR102020565B1 (en) | 2018-10-29 | 2019-09-10 | 박종덕 | Body trac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0521A (en) * | 2000-09-09 | 2002-03-15 | 이근성 | A device of treatment the spine |
KR100572617B1 (en) | 2004-11-24 | 2006-04-24 | 안찬일 | Lumbar retractor |
KR20060075445A (en) * | 2004-12-28 | 2006-07-04 | 노인규 | Spinal therapy device |
KR100758751B1 (en) * | 2006-07-12 | 2007-09-14 | 박홍재 | Safety jacket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
-
2011
- 2011-06-15 KR KR1020110057805A patent/KR1012448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0521A (en) * | 2000-09-09 | 2002-03-15 | 이근성 | A device of treatment the spine |
KR100572617B1 (en) | 2004-11-24 | 2006-04-24 | 안찬일 | Lumbar retractor |
KR20060075445A (en) * | 2004-12-28 | 2006-07-04 | 노인규 | Spinal therapy device |
KR100758751B1 (en) * | 2006-07-12 | 2007-09-14 | 박홍재 | Safety jacket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375A (en) | 201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1104B1 (en) | Chiropractic Equipment | |
JP3180637U (en) | stretcher | |
KR101585110B1 (en) | Cervical vertebral self traction apparatus using muscular strength of lower limb | |
US20170027800A1 (en) | Spinal Therapy Apparatus | |
US3799156A (en) | Orthopedic traction device | |
KR20190115371A (en) | Self-restoring device for cervical vertebral | |
JP2013523288A (en) | Spinal traction device | |
KR101106021B1 (en) | Height Growth Aid | |
KR101214848B1 (en) | Chair for the posture correction | |
US6517506B1 (en) |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244838B1 (en) |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 |
KR20150025851A (en) | hanging apparatus for lumbar traction apparatus on seat | |
KR101097106B1 (en) |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 |
KR101297399B1 (en) |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 |
CN206372196U (en) | Orthopedic rehabilitation seat | |
KR100825405B1 (en) | Spine and growth plate clinic system devices | |
JP2000210318A (en) |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 |
CN210494342U (en) | Cervical vertebra tractor and headgear for same | |
KR20100080974A (en) | An treatment apparatus for the lumbar | |
CN209285874U (en) | A kind of horizontal cervical spine tractor and its traction table | |
KR100633735B1 (en) | Spinal therapy device | |
KR200361702Y1 (en) | Backbone correction equipment | |
KR20210001688U (en) | Portable neck care device | |
CN206964708U (en) | Multi-functional hanging type spinal distractor rehabilitation therapy machine with cervical traction | |
TWI743448B (en) | Vertebra tr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