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18B1 -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 Google Patents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4818B1 KR101244818B1 KR1020110028839A KR20110028839A KR101244818B1 KR 101244818 B1 KR101244818 B1 KR 101244818B1 KR 1020110028839 A KR1020110028839 A KR 1020110028839A KR 20110028839 A KR20110028839 A KR 20110028839A KR 101244818 B1 KR101244818 B1 KR 1012448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gnitive impairment
- evaluation
- information
-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08000028698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57 neuropsyc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96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333 Brain Concu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97 verbal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한다.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by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erver, one or more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problems stored in advance to a user terminal logged in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erver provides the answer information on the one or mor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blems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answer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information, and the scoring is performed, and the scoring is performed. Implementing th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wherein th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bl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lems are classified into the subjects of coordination and concentration, execution and memo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지기능 장애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기반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인지기능은 일상 생활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는 환자로 하여금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한 활동수행이 가능한지 또는 사회생활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Cognitive function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in the daily living environment, to judge and determine the situation, and to adap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you are. This disability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patient can perform activities for independent daily life or social life.
이러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를 위한 기술로는 KCNT(Korea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NT(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3D 가상현실 인지기능 장애평가 프로그램, Internet based Cognitive stability index 기술 등이 있다.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impairment include KCNT (Korea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NT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3D virtual reality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gram, Internet based Cognitive stability index technology.
상기한 KCNT는 자극의 제시와 반응과정을 표준화한 것으로, 검사-재검사의 객관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른 영향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컴퓨터 자판에 대한 경험도가 반응시간에 영향을 받으므로, 손 조작 능력(hand dexterity)에 의해 결과가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 The above-mentioned KCNT standardizes the presentation of the stimulus and the reaction process, and provides the objectivity of test-retesting and has little advantage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tester. However, since the experience of computer keyboard is affected by the reaction time, However,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results were affected by hand dexterity.
그리고 CNT 검사는 언어성 기억력 평가, 시공간 기억력 평가, 주의력 기능 평가, 시각운동 협응기능 평가(Visuo-motor coordination), 고위 인지기능 검사(Visuo-motor cognitive capacity test)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CNT는 국소적 진단능력이 뛰어난 신경심리검사를 전산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인지 기능장애를 정확하게 진단가능하며, 검사 실시 조건의 통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피검사자가 마우스를 조작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난이도가 너무 높아 다수 뇌손상 환자에서 비정상적 소견이 나타나며, 검사 수행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The CNT test consists of verbal memory test, spatiotemporal memory test, attention function test, visual-motor coordination, and visual-motor cognitive capacity test. The CNTs can computerize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s with excellent local diagnostic ability, can accurately diagnose various cognitive dysfunctions, and can control the test conditions, but the test subject responds by manipulating the mouse. The difficulty was so high that abnormalities were found in many brain injury patients, and the test was required for a long time.
그리고 상기 3D 가상현실 인지기능 장애평가 프로그램은 실생활과 검사환경의 차이를 최소화한 것으로, 신체적 장애에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나, 사이버 시크니스(cyber sickness)에 의해 또는 일시적으로 지남력 장애 판단이 정확하지 않으며, 지하철 이용의 경험자만을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자의 개입이 지속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3D virtual reality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gram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life and the test environment, there is a free advantage to physical disabilities, but it is not accurate to determine the coordination disorder by cyber sickness or temporarily Only the experienced user of the subway can be inspected,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intervention of the inspector should be continued.
그리고 상기 Cognitive stability index는 알츠하이머(Alzheimer), ADHD와 가벼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인지기능 검사로서 타당한 장점이 있으나, 인터넷 제공 속도나 IBM PC와 Mac PC 등 컴퓨터 사양에 따른 웹 브라우저의 속도차이 등을 고려하지 않고 반응시간을 측정함에 따라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The Cognitive Stability Index has a reasonable advantage as a cognitive test in Alzheimer's, ADHD and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was low as the reaction time was measured.
상기한 인지기능에 대한 장애평가는 검사 또는 재검사시의 객관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하며, 검사자의 참여를 최소화하여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 정보 교류 및 통신 가능,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여야 할 것이 요구되었다.Disability assessment for the above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ensured objectivity in the examination or re-examination, the examination process is easy and simple, non-expert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minimizing the participation of the examiner, and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It was requi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and to be able to perform the same inspection anytime, anywhere.
더구나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은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이 필요하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었다. Moreover, conventional paper-based systems and computer-base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systems require continuous supervision of administrators to learn how to use them, and hardware or software installat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participation of the inspector, but also the inspection process is easy and simple, non-professional can be easily carried out, the execution time of the test is short, anytime and anywhere the same inspection and online-based recognition that enables 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unctional failure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per-based system and computer-base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system is not required for the continuous supervision of the administrator to learn how to us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that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It is to provide an evalu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하게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historical data on the evaluation of the patient's cognitive impairment, to enable continuous patient observation, and to manage and supervise the remote medical online 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To provide a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답정보와 미리 저장된 정답정보를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는 지남력 및 집중력 및 실행력 및 기억력의 주제로 분류된 문제들임을 특징으로 한다.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erver, at least one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problem stored in advance to the user terminal logged in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When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erver provides the answer information on the one or mor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blems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answer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re-stored correct answer information, and the scoring is performed, and the scoring is performed. Implementing th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wherein the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probl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lems are classified into the subjects of coordination and concentration, execution and memory.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participation of the inspector but also the inspection process is easy and simple so that non-professional can be easily carried out, the execution time of the test is short, the same test can be performed anytime and anywhere, and the medical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여, 관리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per-based system and computer-base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continuous supervision of the administrator to learn how to use, and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administrator. Caus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historical data on the assessment of the cognitive impairment of the patient, enabling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patient, and brings about the effect that can be managed and supervised by telemedici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 구조도.
도 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an online 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rogram structure diagram for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8 illustrate screens for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며 의료정보의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participation of the inspector but also the inspection process is easy and simple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non-professional, the test execution time is short, anytime and anywhere the same inspection is possible and 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종이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시스템과 달리 사용법의 숙지를 위한 관리자의 지속적인 감독 요구되지 않으며,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인스톨이 요구되지 않게 하여, 관리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per-based system and computer-base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continuous supervision of the administrator to learn how to use, and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administrator. To be.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평가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지속적인 환자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며, 원격 의료로의 관리 및 감독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historical data on the assessment of the cognitive impairment of the patient, enabling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patient, and enables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to telemedicine.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Online 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은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02)로 구성된다. The online 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is composed of a cognitive impairment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104N)와 연결되어 통신을 이행하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관리자 모드 또는 사용자 모드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에 대한 구성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함은 물론이며, 문제관리, 그림관리, 주제관리, 사용자 관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이행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한다. 그리고 사용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에 대응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를 제공하여 안내함과 아울러,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제공받아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장애평가정보는, 40-32점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평가하고, 31-25점인 경우에는 가벼운 인지기능 장애로 평가하고, 24점 이하인 경우에는 인지기능 장애로 평가할 수 있다. The cognitive impairment
그리고 상기 주제는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실행력, 언어기능으로 나뉘며, 상기 지남력은 시간, 공간, 사람을 인지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상기 집중력은 주의력 산만, 충동성, 시각적 산만한 가운데 질의에 응답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상기 기억력은 정보를 습득 보유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실행력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언어기능은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The subject is divided into lasting power, concentration, memory, execution, and language function, the lasting power represents time, space, and ability to recognize a person, and the concentration power is the ability to respond to questions in distraction, impulsiveness, and visual distraction. The memory represents the ability to acquire and retain information, the execution represent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using new information, and the language function represents the ability to speak the language.
여기서, 인지는 우리의 환경에서 행동하고 알아가는 과정으로서, 과거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존재의식을 향상시키며,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되는 일련의 복합적인 사고과정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인지기능은 일상생활 환경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인지기능의 장애는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도 수행과 사회 생활에 매우 큰 걸림돌이 된다. 상기한 인지기능은 집중과 기억의 기본적인 영역이 있고, 그 상위 수준으로는 기획, 체계화, 문제해결 및 추상화 등이 포함되며 감각, 언어 및 시-지각 정보의 통합능력이 그 기초를 이루어고 있다. 인지기능은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과 같은 하위 인지기능과 하위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상위 인지기능인 관리기능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지기능의 주요 영역인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실행력과 언어를 구사하는 언어기능을 측정하여 인지기능 장애를 판별한다. Here, cognition is defined as a process of acting and learning in our environment, a series of complex thinking processes that learn from the past experiences,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existence, and give new thinking. And cognitive func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in daily living environment, to judge and decide the situation, and to adap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one is faced. This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s a very big obstacle to independent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social life. Becomes The above-mentioned cognitive function has a basic area of concentration and memory, and the upper level includes planning, systemization, problem solving, and abstraction, and the foundation of integration of sensory, linguistic, and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Cognitive functions are divided into lower cogni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language, space-time, and memory, and management functions, which are higher cognitive functions that control lower cognitive functio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cognitive impairment by measuring the ability of the main areas of cognitive function such as long-term, concentration, memory, execution and language.
이러한 본 발명을 위해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Web My SQL 5.0.67, PHP 5.2.6, Xpress engine, training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For this invention, the cognitive impairment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정보와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풀이 이력정보 및 채점결과, 채점결과에 따르는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 컴퓨터 조작 능력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관리자에 의해 구성된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정보 및 정답정보를 저장한다.
The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이제 상기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ow,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pplicable to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상기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에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41~104N) 중 어느 하나가 접속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여 로그인을 안내한다.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상기 로그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이 수행되면(200,202단계),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관리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사용자 모드로 진입한다(204단계).When the login is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ogin screen (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6에 도시한 관리자 모드에서의 기본창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관리자에 의해 주제별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기 위한 문제정보 및 정답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206단계). In the manager mode, the cognitive impairment
또한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관리자 요청에 따라 문제관리, 그림관리, 주제관리, 사용자관리 요청을 제공받아 그 요청에 따라 문제 및 그림, 주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처리를 이행하고, 그 처리결과를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안내한다(206단계). 여기서, 상기 문제관리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제의 유형, 제한 시간 등에 대한 상세정보의 설정, 수정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림관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그림에 대한 수정, 추가, 삭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주제관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별 문제 구성, 주제의 수정, 추가 삭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관리는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풀이이력정보 및 채점결과, 채점결과에 따르는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nager mode, the cognitive impairment
상기 사용자 모드에서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도 5에 도시한 주제 선택 안내화면을 제공한다(208단계). 상기 주제 선택 안내화면을 토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주제를 선택하면(210단계), 상기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선택된 주제에 대응되는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위한 문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답정보를 수신받아 정답정보와 비교하여 채점을 이행하고, 그 채점결과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212단계).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는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장애여부를 판별하며, 사용자에 의한 컴퓨터 조작능력 및 시험횟수 등에 따라 상기 기준 점수를 변경하여, 인지기능 장애평가의 신뢰도를 높인다. In the user mode, the cognitive impairment
상기 종류별 문제정보 출력화면은 도 10 내지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다. 도 10 및 도 11은 지남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내에 표시된 그림에 관련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The problem information output screen for each type is as illustrated in FIGS. 10 to 18. 10 and 11 are for measuring the bearing force, which is a problem of selecting items related to the displayed pictu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도 12 및 도 14는 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에 해당되는 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12 and 14 ar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presenting a problem composed of tex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lecting the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그리고 도 15 및 도 17 및 도 18은 실행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내에 삽입된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작업 순서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단순 연산을 이행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15, 17, and 18 are for measuring execution power, and problems of selecting text inserted in a problem composed of text for a predetermined time, selecting a work order, or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
그리고 도 16은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수의 이미지를 뷰잉한 후에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이전에 뷰잉하였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들이다. In addition, FIG. 16 is a measure for measuring memory, and problems of selecting images previously view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viewing a few imag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정해둔 시간내에 그림 또는 텍스트의 문제들을 표시하고,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선택하도록 하여, 검사자의 참여가 적음은 물론이고 검사과정이 쉽고 간단해서 비전문인도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 수행 시간이 짧으며,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검사가 가능하게 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problems of pictures or text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selects an answer to the problems, so that the inspection process is easy and simple, and non-experts can be easily implemented. The test time is short, and the same test can be performed anytime and anywhe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에 대한 채점결과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지기능 장애평가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온라인을 통한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coring results for the above problems as a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in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share via online.
또한 본 발명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문제 풀이 시간을 사용자에 의한 컴퓨터 조작 능력 및 시험 횟수 등에 따라 변경하여, 인지기능 장애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In addition, the cognitive impairment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한 후에, 관리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In addition,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100 :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서버
102 : 데이터베이스100: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erver
102: Database
Claims (10)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관리자 모드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사용자 모드를 이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서버가, 문제, 그림, 주제, 사용자에 대한 관리요청을 제공받으면, 상기 관리 요청에 따라 문제의 유형, 제한 시간 등에 대한 상세정보의 설정 및 수정을 처리하는 문제관리와,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그림에 대한 수정, 추가, 삭제를 처리하는 그림 관리와, 주제별 문제 구성, 주제의 수정이나 추가 및 삭제를 처리하는 주제 관리와, 문제풀이 이력정보, 채점결과 및 채점결과에 따른 평가정보를 처리하는 사용자 관리를 이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모드에서, 상기 서버가, 지남력, 집중력, 실행력, 기억력, 언어기능으로 분류된 주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받으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받아 채점을 이행하고,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장애평가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In a system where one or more user terminals are networked with a server,
Transitioning, by the server, to the administrator mode if the user logs i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o the user mode if the user logs i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dministrator mode, if the server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request for a problem, picture, subject, user, the problem management to handle the setting and correction of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ype of problem, time limit, etc. according to the management request, Picture management to handle the correction, addition, and deletion of the pictures included in the problem, topic management to configure the problem for each subject, the topic to handle the correction or addition and deletion of the topic, problem solving history information, scoring results and scoring results Implementing user management for processing evaluation information;
In the user mode, when the server is selected one or more of the subjects classified into long-term, concentration, execution, memory, language function, provides a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problem to the logged-in user terminal, 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answer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performing scoring, and performing a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based on the scoring result;
And storing, by the server, the failure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sult information of performing the cognitive function failure evalu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상기 서버가,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며, 상기 기준 점수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performs an evalu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scoring result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and the reference score is varied according to the user's computer ability and the number of problem solving. Evaluation service method.
상기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문제풀이시간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lem solving tim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tored computer ability and the number of problem solving for the user logged in wit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지남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표시된 그림에 관련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집중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를 제시하고, 상기 문제에 해당되는 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실행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 내에 삽입된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작업 순서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단순 연산을 이행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기억력에 대한 평가는, 소수의 이미지를 뷰잉한 후에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이전에 뷰잉하였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of the bearing force consists of a problem of selecting an item related to the displayed pic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ssessment of concentration consists of a problem of presenting a textual problem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lecting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The evaluation of the execution power is composed of a problem of selecting text inserted in a problem composed of text for a predetermined time, selecting a work order, or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The evaluation of the memory capacity, the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oblem to select a previously viewed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viewing a small number of images.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 및 정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관리자 모드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한 로그인이면 사용자 모드를 이행하고,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문제, 그림, 주제, 사용자에 대한 관리요청을 제공받으면, 상기 관리 요청에 따라 문제의 유형, 제한 시간 등에 대한 상세정보의 설정 및 수정을 처리하는 문제관리와, 상기 문제에 포함되는 그림에 대한 수정, 추가, 삭제를 처리하는 그림 관리와, 주제별 문제 구성, 주제의 수정이나 추가 및 삭제를 처리하는 주제 관리와, 문제풀이 이력정보, 채점결과 및 채점결과에 따른 평가정보를 처리하는 사용자 관리를 이행하고,
상기 사용자 모드에서, 지남력, 집중력, 실행력, 기억력, 언어기능으로 분류된 주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받으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인지기능 장애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정보가 제공받아 채점을 이행하고, 채점결과를 토대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고,
장애평가 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한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In a system where one or more user terminals are networked with a server,
Includes; database for storing the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problem and correct answer information,
The server, if the logi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the administrator mode, if the login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mode transitions,
In the administrator mode, when a management request for a problem, a picture, a subject, or a user is provided, problem management for processing setting and correction of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ype of a problem, a time limit, etc. according to the management request, and included in the problem. It manages the picture management that handles the correction, addition, and deletion of the pictures, the topic management that handles the composition of the topics, the correction, addition, and deletion of the topics,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history information, the scoring results, and the scoring results. Implement user management,
In the user mode, if one or more of the subjects classified into lasting, concentration, execution, memory, and language functions are selected, the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problem is provided to the logged-in user terminal, and the answer is made through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perform grading, based on grading results, to conduct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s,
On-line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store the failure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in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 failure evalu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ault Assessment Service System.
상기 서버가, 미리 정해둔 기준 점수를 기준으로 상기 채점결과에 따른 인지기능 장애평가를 이행하며, 상기 기준 점수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가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rver performs the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score, wherein the reference scor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user's computer ability and the number of problem solving. Fault Assessment Service System.
상기 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컴퓨터 사용능력 및 문제풀이 횟수에 따라 문제풀이시간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rver changes the problem solv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tored computer use ability and the number of problem solving for the user logged in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지남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표시된 그림에 관련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집중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를 제시하고, 상기 문제에 해당되는 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실행력에 대한 평가는, 미리 정해둔 시간 동안 텍스트로 구성된 문제 내에 삽입된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작업 순서를 선택하도록 하거나, 단순 연산을 이행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기억력에 대한 평가는, 소수의 이미지를 뷰잉한 후에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이전에 뷰잉하였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 인지기능 장애평가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The evaluation of the bearing force consists of a problem of selecting an item related to the displayed pic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ssessment of concentration consists of a problem of presenting a textual problem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lecting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The evaluation of the execution power is composed of a problem of selecting text inserted in a problem composed of text for a predetermined time, selecting a work order, or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The evaluation of the memory is an onlin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problem of selecting a previously viewed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viewing a small number of imag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839A KR101244818B1 (en) | 2011-03-30 | 2011-03-30 |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839A KR101244818B1 (en) | 2011-03-30 | 2011-03-30 |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762A KR20120110762A (en) | 2012-10-10 |
KR101244818B1 true KR101244818B1 (en) | 2013-03-18 |
Family
ID=4728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8839A Active KR101244818B1 (en) | 2011-03-30 | 2011-03-30 |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4818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0016A1 (en) * | 2018-03-26 | 2019-10-03 | 주식회사 에임메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cognitive function |
KR102122545B1 (en) * | 2019-02-18 | 2020-06-12 | 주식회사 뉴로공간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20200137536A (en) * | 2019-05-30 | 2020-12-09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analysis system for picture for cognitive ability test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WO2021010725A1 (en) * | 2019-07-16 | 2021-01-21 | 주식회사 뉴로공간 | Mental health management device,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20240078075A (en) | 2022-11-25 | 2024-06-03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izing personalized cognitive function test |
KR20240140256A (en) | 2023-03-16 | 2024-09-2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alysis and solution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831B1 (en) * | 2013-05-14 | 2015-07-08 | 주식회사 넷블루 |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estimating dementia |
KR101684424B1 (en) * | 2015-07-01 | 2016-12-2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Social Languag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R102002508B1 (en) * | 2017-06-30 | 2019-10-01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Language-based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gnitive abilities data |
KR102097188B1 (en) * | 2017-08-03 | 2020-04-10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
CN114724714A (en) * | 2019-05-20 | 2022-07-08 | 合肥工业大学 | Patient cognitive abi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space |
KR102225353B1 (en) * | 2019-05-29 | 2021-03-08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test result through detection of angle number |
KR102240228B1 (en) * | 2019-05-29 | 2021-04-13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scoring drawing test results through object closure determination |
CN110895971A (en) * | 2019-12-20 | 2020-03-20 | 蒙斯雅 |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of diseas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erminal |
KR102299031B1 (en) * | 2020-10-26 | 2021-09-07 | 김강무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agnostic Service of cognitive bias and decision rationality |
CN114694803A (en) * | 2020-12-31 | 2022-07-01 | 浙江凡聚科技有限公司 | Cognitive dysfunction evalu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KR102431261B1 (en) * | 2022-01-05 | 2022-08-10 | 주식회사 하이 | A technique for training a dementia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a test result data |
KR102773353B1 (en) | 2022-10-31 | 2025-02-27 | (주)이모티브 | An apparatus of game-based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
CN117476208B (en) * | 2023-11-06 | 2024-07-30 | 无锡市惠山区人民医院 | Intelligent auxiliary recognition system for cognitive dysfunction based on medical images of time sequen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8192A (en) * | 2000-05-26 | 2001-07-23 | 김현국 | An optometry method used internet |
KR20020092399A (en) * | 2000-03-27 | 2002-12-11 | 팬메딕스 인코포레이티드 | Measuring cognitive impairment |
KR20110015541A (en) * | 2008-05-08 | 2011-02-16 |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and / or training vision and cognition under stress conditions |
-
2011
- 2011-03-30 KR KR1020110028839A patent/KR1012448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2399A (en) * | 2000-03-27 | 2002-12-11 | 팬메딕스 인코포레이티드 | Measuring cognitive impairment |
KR20010068192A (en) * | 2000-05-26 | 2001-07-23 | 김현국 | An optometry method used internet |
KR20110015541A (en) * | 2008-05-08 | 2011-02-16 |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and / or training vision and cognition under stress conditions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0016A1 (en) * | 2018-03-26 | 2019-10-03 | 주식회사 에임메드 |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cognitive function |
KR102122545B1 (en) * | 2019-02-18 | 2020-06-12 | 주식회사 뉴로공간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WO2020171337A1 (en) * | 2019-02-18 | 2020-08-27 | 주식회사 뉴로공간 | Memory augmentation apparatus, memory augment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US11918903B2 (en) | 2019-02-18 | 2024-03-05 | Neurospace Inc.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nhancing memory |
KR20200137536A (en) * | 2019-05-30 | 2020-12-09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analysis system for picture for cognitive ability test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KR102252851B1 (en) * | 2019-05-30 | 2021-05-14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analysis system for picture for cognitive ability test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WO2021010725A1 (en) * | 2019-07-16 | 2021-01-21 | 주식회사 뉴로공간 | Mental health management device,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20240078075A (en) | 2022-11-25 | 2024-06-03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izing personalized cognitive function test |
KR20240140256A (en) | 2023-03-16 | 2024-09-24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alysis and solution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762A (en) | 2012-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4818B1 (en) |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 |
Szulewski et al. | The use of task-evoked pupillary response as an objective measure of cognitive load in novices and trained physicians: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expertise | |
Zheng et al. | Solving complex problems: A convergent approach to cognitive load measurement | |
AU2017272190A1 (en) | Interactive and adaptive learning and neurocognitive disorder diagnosis systems using face tracking and emotion detection with associated methods | |
Garner et al. | The soul of supervision: Counselor spirituality | |
Barria-Pineda et al. | A fine-grained open learner model for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 |
Kok et al. | Re‐viewing performance: Showing eye‐tracking data as feedback to improve performance monitoring in a complex visual task | |
Fairbairn et al. | Eye-tracking in map use, map user and map usability research: what are we looking for? | |
Langenfeld et al. | Integrating multipl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for an assessment‐based cognitive model | |
Wang et al. | Exploring medical students’ metacognitive and regulatory dimensions of diagnostic problem solving | |
Wei et al. |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am dynamics in predicting effective teamwork behaviors | |
Altieri et al. | A decade of nursing leadership research | |
Shin et al. | Impact of heat stress on individual cognitive states: Utilizing EEG metrics in immersive VR–based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 |
Khedher et al. | Predicting user learning performance from eye movements during interaction with a serious game | |
Alanazi |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of Using Assistive TECHNOLOGY with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
Parisi et al. | Impact of Experience Corps® participation on school climate | |
Liao et al. | Impacts of safety capacity and personalized safety training on construction workers’ hazard recognition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 |
Thomas et al. | Value added feedback for the purpose of school selfevaluation | |
RU2579725C1 (en) | Automated system for evaluating and training professionally important qualities of engineers | |
Kharbanda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Hope among Individuals using Vision Boards | |
Falschlunger et al. | Deriving a holistic cognitive fit model for an optimal visualization of data for management decisions | |
Pierce et al. | Evalu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expert visual analysis and quantitative methods. | |
Ballmer et al. |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Danish version of the management of everday technology assessment for use with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COPD | |
Rehman et al. | Mental Health in the Digital Age: Comparing AI Counseling with Traditional Counse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
RU119155U1 (en) | AUTOMATED SYSTEM OF ASSESSMENT AND TRAINING OF PROFESSIONALLY IMPORTANT QUALITIES OF WORK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