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4297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297B1
KR101244297B1 KR1020100085004A KR20100085004A KR101244297B1 KR 101244297 B1 KR101244297 B1 KR 101244297B1 KR 1020100085004 A KR1020100085004 A KR 1020100085004A KR 20100085004 A KR20100085004 A KR 20100085004A KR 101244297 B1 KR101244297 B1 KR 10124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rier
distance
image
ob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842A (ko
Inventor
야스히로 다이쿠
Original Assignee
렘센 이노베이션,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렘센 이노베이션, 엘엘씨 filed Critical 렘센 이노베이션,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forward-backward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ongitudinal mov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복수개의 수직으로 연장된 줄무늬 이미지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일치하는, 공간적으로 다른 포인트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소정 패턴의 복수개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및 디스플레이 유닛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유닛;을 포함하되, 여기서 배리어 형성 유닛은 거리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일치하도록 패럴랙스 배리어내에 있는 슬릿들의 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럴랙스 배리어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패럴랙스 배리어 시스템은 특수한 안경 없이도 3차원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패럴랙스 배리어 시스템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모든 각각의 수직 줄무늬에 대해 좌안(左眼)) 이미지와 우안(右眼) 이미지를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방출된 빛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앞에 위치한 패럴랙스 배리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의 각 배리어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좌안 이미지는 단지 관찰자의 좌안으로만 볼 수 있고 우안 이미지는 단지 우안으로만 볼 수 있게 만듦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3차원 이미지를 볼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9-197344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수직으로 뻗어나간 배리어들이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LCD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서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정렬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여준다. 게다가, 패럴랙스 배리어는 지정된 양만큼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3차원 이미지의 가시 범위를 LCD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은 배리어 이동을 최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 사이에서의 전환을 최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종래의 구조에서는, 3차원 이미지들이 측면 방향으로 확장될수 있는 문제가 있고, 관찰자의 눈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LCD 패널과 같은) 사이에서의 거리가 사전 프로그램된 거리에서 벗어날 때에는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우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LCD 패널상의 부분과 패럴랙스 배리어의 슬릿들을 통하여 관찰자의 우측 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는 LCD 패널상의 부분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사한 이유로, 우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LCD 패널상의 부분이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는 LCD 패널상의 부분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련기술의 한계점이나 불이익에 의해 유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들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이미지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개선된 가시성으로 이미지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찰자가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관찰자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사이의 가시 거리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이거나 별도의 특징들과 유리한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내에 기재되어 있을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발명의 실시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과 유리한 효과들은 특히, 첨부된 도면 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들에서 제시된 구조에 명백해질 될 것이다.
여러 유리한 효과들을 얻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구체화되고 폭넓게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은, 우선,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얻게 하는 거리정보 획득 유닛, 그리고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거리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거리와 일치되게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슬릿폭을 제어하는 슬릿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최소한 얼굴부분을 포함한 기등록된 사용자의 등록된 이미지와 기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피사체로서의 관찰자의 이미지를 찍는 이미징 유닛, 이미징 유닛에 의해 찍힌 피사체 이미지상의 얼굴부분과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등록된 이미지 사이의 비교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절차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관찰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확인유닛, 확인유닛에 의해 기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된 관찰자에 대한 정정정보를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유닛, 그리고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정정정보에 따라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슬릿폭을 제어하는 슬릿폭 제어 유닛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얻게 하는 거리정보 획득 유닛, 그리고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거리정보에 의해 지시된 거리에 일치하는 슬릿폭을 갖도록 지정된 배리어 패턴이 되도록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는 배리어 패턴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얻게 하는 거리정보 획득 유닛, 그리고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거리정보에 의해 지시된 거리에 대한 배리어 폭이 되도록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폭을 제어하는 배리어 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거리정보에 의해 지시된 거리에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형성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슬릿폭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패럴랙스 배리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과 일치하는 공간적으로 각각 다른 포인트로 선택적으로 전이시키는 일정 패턴의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패럴랙스 배리어,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배리어 형성 유닛은 거리 특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일치되도록 패럴랙스 배리어내에 있는 슬릿들의 패턴을 변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이미지선들로 분할하고 그리고 분할된 좌안 이미지와 분할된 우안 이미지를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과 일치하는 공간적으로 각각 다른 포인트로 선택적으로 전송시키는 소정 패턴의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패럴랙스 배리어,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배리어 형성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거리 및 패럴랙스 배리어내의 슬릿들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거리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된 관찰자에 대한 거리에 일치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의하면,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서브픽셀에 동일한 색이 할당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 중 하나의 서브픽셀은 우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은 좌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마련되고, 빛을 투과하는 슬릿과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를 갖고, 상기 슬릿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슬릿 폭과 상기 배리어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배리어 폭을 가변으로 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와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거리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 및 상기 배리어 폭을 제어하는 슬릿 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하나의 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늘어선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으로 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의하면,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서브픽셀에 동일한 색이 할당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 중 하나의 서브픽셀은 우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은 좌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마련되고, 빛을 투과하는 슬릿과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를 갖고, 상기 슬릿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슬릿 폭과 상기 배리어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배리어 폭을 가변으로 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선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안면 부분을 포함하는 등록 이미지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에 고유한 정정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관찰자를 피사체로 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찍는 이미징 유닛;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이미지와 상기 이미징 유닛에 의해 찍힌 상기 피사체 이미지 상의 상기 관찰자의 안면 부분 사이의 비교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확인 유닛;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라고 결정할 때, 상기 확인 유닛에 의해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된 상기 관찰자에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를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유닛; 및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 및 상기 배리어 폭을,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슬릿 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하나의 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늘어선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으로 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관찰자 사이의 거리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3차원적 보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의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범예와 설명적인 것들이며 그리고 청구된 발명에 대해 더 많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개선된 가시성으로 이미지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찰자가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관찰자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사이의 가시 거리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이거나 별도의 특징들과 유리한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내에 있거나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들은 특히, 첨부된 도면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들에서 제시된 구조에 의해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배리어 제어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3a는 디스플레이 모듈 픽셀의 칼라 패턴에 대한 구성도,
도 3b는 배리어 요소의 구성도,
도 4a는 2차원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3차원 이미자와 패럴랙스 배리어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2차원 이미지가 보여질 때 시야 선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3차원 이미지가 보여질 때 시야 선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적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의 메모리 데이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8은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9는 배리어 패턴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다른 가시 거리들에 대한 패럴랙스 배리어와 시야 선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사용자 등록 정보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12는 사용자 등록 프로세싱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3a는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에 의해 찍힌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b는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에 의해 찍힌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가시거리 획득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싱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6은 패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싱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1은 패럴랙스 배리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실현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1은 도 1에 보여지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2), 디스플레이 모듈(2) 앞에 배열된 배리어 제어장치(3),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 이미지 메모리(5), 그리고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기능함으로써 노멀한 이미지, 또는 한쌍의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와 같은 준비된 이미지가 관찰자에 의해 3차원 이미지로 인식되도록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이미지"라는 단어는 "사진"이라는 단어와 동의어로 사용되고 정지 이미지들 또는 움직이는 이미지들을 나타낸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앞서 언급한 보통 이미지는 2D(2차원) 이미지로 간주되고, 쌍을 이루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는 3D(3차원) 이미지로 간주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투과형 또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그것은 액정 요소들, 전자 발광 요소들(Electroluminescence; EL)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요소들(이하, 서브픽셀들이라 칭한다)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안에서 수많은 디스플레이 요소들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도트 매트릭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각 서브픽셀에 있어서, 빨강(R), 초록(G), 그리고 파랑(B)를 포함하는 3색 중의 하나는 정해진 색 패턴에 따라 예를 들어, 색 필터 등을 사용하여 각각 할당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도 3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각 서브픽셀 (2a)을 위한 색조합은 표준 도트 매트릭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조합과는 다르다. 디스플레이 모듈(2)의 각 서브픽셀에 있어서, 같은 색이 두개의 수평으로 인접한 서브픽셀들, 즉, (2a, 2a)에 할당된다. 다시 말해, 도 3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빨강(R)은 R1, R2로 표시된 두개의 서브픽셀들(2a, 2a)에 할당되고, 초록(G)는 G1, G2로 표시된 두개의 서브픽셀(2a, 2a)에 할당되고, 그리고 파랑(B)는 B1, B2로 표시된 두개의 서브픽셀(2a, 2a)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2D 이미지를 색-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도 4a에 보여지는 것처럼 여섯 개의 서브픽셀들(2a), 즉, R1, R2, G1, G2, B1, B2들은 한 세트로 그룹화되며; 2D 이미지의 한 픽셀은 그와 같은 세트의 서브픽셀들 각각에 할당되며; 그리고 RGB 공간 분할 방법에 바탕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전체 스크린상에 2D 이미지의 색-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모듈(2)에 따라, 2D 이미지의 색-디스플레이는 각각 R1, R2, G1, G2, B1, B2를 포함하는 서브-픽셀들 각 세트의 그라데이션(gradation) 레벨(밝기 레벨)을 서브픽셀들 세트가 일치하는 2D 이미지의 픽셀의 색에 따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동시에, 같은 색이 할당된 세트 내에 있는 두개의 인접한 서브픽셀들(2a, 2a)의 각 쌍에 대해 같은 그라데이션 레벨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3D 이미지의 색-디스플레이는 아래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도 4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는 수직으로 연장된 선들로 분할된다, 수직으로 연장된 선들은 그때 교대로 모든 서브픽셀(2a)에 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중간에 하나의 서브픽셀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다른 색을 가진 3개의 서브픽셀들의 하위세트는 - 즉, 도 3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R1, G1, B1 - 우안 이미지(또는 좌안 이미지)의 하나의 픽셀에 일치한다. 또한, 도 3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좌안 이미지(또는 우안 이미지)의 하나의 픽셀은 3개의 다른 색 즉, R2, G2, B2를 가진 3개의 서브픽셀들의 다른 하위세트에 일치한다. 그것은 중간에 하나의 서브픽셀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RGB 공간 분할 방법에 바탕을 두고, 세개의 다른 색(R1, G1, B1)을 가진 3개의 서브픽셀들(2a)의 하나의 하위세트의 그라데이션 레벨은 우안 이미지(또는 좌안 이미지)의 하나의 상응하는 픽셀의 색에 따라 제어된다. 그리고 동시에, 3개의 다른 색(R2, G2, B2)를 가진 3개의 서브픽셀들(2a)의 다른 하위세트의 그라데이션 레벨은 좌안 이미지(또는 우안 이미지)의 하나의 상응하는 픽셀의 색에 따라 제어된다.
배리어 제어 장치(3)는 본 실시예의 배리어 형성유닛으로 기능하는 것에 의해, 3D 이미지(우안 이미지 그리고 좌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2)에 의해 방출된 빛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배리어 제어 장치(3)는 도 2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예를 들어, 정적 액정 패널이고 그리고 하부층(3a), 액정층(3b), 그리고 상부층(3c)을 포함한다. 하부층(3a)내에는 편광자(31a) 그리고 투명기판(32a)이 형성된다. 투명기판(32a)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선형 투명전극들(33a)이 디스플레이 모듈(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배향막(alignment film)(34a)로 코팅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투명 전극들(33a)은 배열 피치에서 선들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그것들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있는 서브픽셀들(2a)의 수평 배열 피치보다 더 가늘다. 하부층(3a)에 대하여 거꾸로 된 횡단면의 구조를 갖는 상부층(3c)은 하부층(3a)으로부터 봤을 때의 순서대로 배향막(34c), 투명 전극들(33c)의 비패턴화된 필름들, 투명기판(32c), 그리고 편광자(31c)를 포함한다. 배리어 제어 장치(3)는 수동형 액정 패널 또는 능동형 액정 패널에 의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에서 보여지지는 않지만, 납 배선들이 하부층(3a)과 상부층(3c)의 투명전극들(33a, 33c)로부터 각각 끌어 당겨지고, 그리고 하부층(3a)(또는 상부층(3c))의 한쪽면에 위치한 투명기판(32a(또는 32c))에 연결된다. 게다가, 액정층(3b)의 액정을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버 요소는 예를 들어, 칩온글래스(Chip On Glass;COG) 방법을 이용하여 위에 언급된 투명기판(32a(또는 32b))에 부착된다.
배리어 제어 장치(3)는 2개의 작동 모드를 가지고 있다. 빛 전달 모드에서, 투명전극들(33a, 33c)을 매개로 하여 정해진 드라이브 신호들을 가진 액정을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버 요소의 결과로, 액정층(3b)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의해 방출된 전체 빛을 전달한다. 배리어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액정층(3b)은 복수개의 배리어 요소들 Xn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도 3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2)에 의해 방출된 빛을 부분적으로 가리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배리어 요소 Xn은 각각 선형으로 배열된 투명전극들(33a)과 상응하게 되고, 그리고 배리어 제어 장치(3)를 위한 디스플레이 픽셀들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리어 요소 Xn을 이용하고 있는, 배리어 제어 장치(3)는 패럴랙스 배리어 X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 X는 배리어 부분들 Xb로 구성되고, 빛을 가리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된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슬릿 부분 Xb는 배리어 부분들 Xa 사이에서 형성되고, 빛 전달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배리어 제어장치(3)는 또한 배리어 부분들 Xa의 폭 B가 슬릿 부분들 Xb의 폭 W와는 다른 다양한 배리어 패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2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도 4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리어 제어 장치(3)는 액정층(3b)이 빛 전달 모드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고, 2D 이미지는 도 5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리어 제어 장치(3)를 통하여 관찰자 M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게다가,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배리어 제어 장치(3)는 도 4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패럴랙스 배리어 X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찰자 M의 눈들과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예정되어진 거리와 일치할 때,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가 도 5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패럴랙스 배리어 X의 슬릿 부분들 Xb를 통하여 관찰자 M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우안 이미지 R의 픽셀들은 단지 관찰자 M의 우안으로 볼 수 있고, 그리고 좌안 이미지 L의 픽셀들은 단지 관찰자 M의 좌안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3D 이미지는 관찰자 M이 쌍안경 패럴랙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3차원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디스플레이 모듈(2), 배리어 제어 장치(3), 그리고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을 작동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의 세부적인 것들은 이후에 설명한다.
이미지 메모리(5)는 디스플레이 모듈(2)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D와 3D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이미지 메모리(5)는, 예를 들어,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하드 ㄷ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다양한 메모리 카드들, 및/또는 다양한 제거될 수 있는 디스크들로 구성된다.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은 피사체로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1의 사용자(관찰자)를 목표로 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수평방향의 패럴랙스를 갖는 두 개의 이미지들(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을 동시에 찍는다. 도 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은 두개의 이미징 렌즈(61, 61)를 갖는다.
이미징 렌즈(61, 61) 각각은 같은 촛점거리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은 아래에 기술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2)에 상대적으로 배열된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이 그렇게 배열됨으로써 두개의 이미징 렌즈(61, 61)는 디스플레이 모듈(2)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면과 같은 평면에 배열되고 그리고, 또한 이미징 렌즈(61, 61) 각각의 광축은 디스플레이 모듈 표면에 수직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은 두개의 이미징 장치들(62, 62)과 신호프로세스 유닛(63)을 포함한다. 두개의 이미징 장치들(62, 62)은,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 Device)타입의 이미징 장치들 또는 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타입의 이미징 장치들이다. 이미징 장치들(62, 62)은 이미징 렌즈들(61, 61)에 의해 이미징 표면(빛 감응 표면)상에 형성된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들, 즉, 이미징 신호들을 신호프로세스 유닛(63)에 제공한다.
신호프로세스 유닛(63)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 End; AFE)를 포함한다. 그것은 상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프로그래밍 가능한 이득 증폭기(Programmable Gain Amp; PGA), 그리고 두 개의 이미징 장치들(62, 62)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신호들을 프로세스하고 그와 같은 이미지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그리고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되었던 이미지 신호들에 대해 지정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포함하고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은 신호 프로세스 유닛(63)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를 수행했던 이미징 신호들 즉,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를 포함하는 두개의 이미지들을 개별적으로 구축한 이미지 데이터를 본 실시예의 이미징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도 6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작동 유닛(41), 제어 유닛(42),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 안면 감지 유닛(45), 거리 계산 유닛(46),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을 포함한다.
작동 유닛(41)은 복수 개의 스위치들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 메모리 (5)에 저장된 이미지들(2D 또는 3D 이미지들)의 집합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2)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선택 절차,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도 1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사용자 등록 정보(403)안에 등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들과 관계된 하기의 정보를 사용자가 저장하는 등록 절차와 같은 다양한 절차들을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42)은 중앙프로세스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과 그것의 주변 회로들, CPU에 대한 작동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42)은 작동 유닛 (41)의 스위치들의 작동을 통하여 주어진 사용자의 지시들에 근거한 지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4)에 포함된 유닛들 각각의 작동뿐만 아니라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의 작동을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 유닛(42)은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읽는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은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제어 유닛(42)에 의해 읽혀진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를 드라이브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발생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에 제공한다.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은 제어 유닛(42)에 의해 제공된 패턴 정보에 따라 지정된 배리어 패턴을 갖는 지정된 패럴랙스 배리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필요한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생성된 배리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안면 감지 유닛(45)은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에 의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에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 속에서 임의의 사람의 안면이 감지되는, 즉, 찍혀진 이미지의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감지되는 안면 감지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안면 감지 프로세스는 인간 얼굴들의 윤곽과 색상들의 준비된(저장된) 모델 패턴들 중 어떠한 것과 근접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특별한 부분을 감지한다. 안면 감지 프로세스는 이진화, 윤곽 추출, 패턴 매칭 등과 같은 다양한 단계의 이미지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안면 감지 유닛(45)은 안면 감지 프로세스릉 통해 감지되고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있는 특별한 부분을 가리키는 동등한 정보를 제어 유닛(42)에 인간 얼굴의 부분 정보로서 제공한다. 안면 감지 유닛(45)은 안면 감지 프로세스를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는 이미지 프로세스 회로들, 안면 감지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 작동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유념한다.
거리 계산 유닛(46)은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양쪽 모두에 관하여 안면 감지 유닛(45)에 의해 제어 유닛(42)으로 제공된 앞서 언급한 부분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인 가시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를 제어 유닛(42)에 제공한다. 다시 말해, 거리정보는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양쪽에 대한 앞서 언급한 부분정보들로부터 도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1에서,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과 안면 감지 유닛(45)은 함께 본 실시예의 거리정보 획득 유닛을 구성한다. 거리 계산 유닛에 의해 가시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은 이후에 기술한다.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은 예를 들어, 데이터가 다시 쓰여질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활성의 메모리이다. 도 7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은 앞서 언급된 제어 프로그램(401)을 저장한다. 제어 프로그램(401)을 가지고 제어 유닛(42)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의 작동;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 그리고 사용자 등록 정보(403)를 제어한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은 또한 후에 기술되는 테스트 패턴 이미지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은 다양한 가시 거리들에 대해 디스플레이 모듈(2)에 디스플레이되는 3D 이미지의 3차원적인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배리어 패턴들을 포함하고 있는 테이블이다. 도 8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은 다양한 가시거리 레벨들을 포함하고 있다. 가시거리 레벨들 각각에 있어서, 테이블(402)은 각 가시거리 레벨에 대한 적절한 슬릿폭과 적절한 배리어 폭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가시거리 레벨"은 상응하는 슬릿폭과 배리어 폭이 3차원의 관찰을 위해 적절하거나 또는 최적화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포함된 슬릿폭과 배리어 폭은 배리어 패턴 정보로서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에 제공된다.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있는 배리어 폭은 도 4b에서 B로 보여지는 것처럼 패럴랙스 배리어 X의 각 배리어 부분 Xa의 폭이고, 그리고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있는 슬릿폭은 도 4b에서 W로 보여지는 것처럼 패럴랙스 배리어 X의 각 슬릿 부분 Xb의 폭이다.
이러한 예에서,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있는 가시거리 레벨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1의 사용시에 n-레벨들의 가시거리(관찰자 눈들의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 2의 표면까지)를 갖는다. 각 가시거리 레벨(L1에서 Ln까지)에 대한 가시거리 범위는 도 3b에 도시된 배리어 제어 장치(3)내에 있는 배리어 요소 Xn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즉,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패럴랙스 배리어 X의 분해능에 의해 결정된다. 가시거리 레벨들(L1에서 Ln까지) 중에서, 가장 큰 가시거리 레벨(Ln)에 상응하는 거리 범위는 상한이 정해진 설계 최적 거리 범위이고, 그리고 가장 작은 가시거리 레벨(L1)에 상응하는 거리 범위는 하한이 정해진 최소한의 거리 범위이다.
여기서, 최적 거리와 최소한의 거리는 동공간의 거리, 디스플레이 모듈(2)의 서브픽셀(2a)의 폭,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2)와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패럴랙스 배리어 X 사이의 거리에 근거해 계산되고, 관찰자의 동공간의 거리(좌안과 우안의 센터들 사이의 거리)는 전형적인 값(예를 들어, 성인들의 평균적인 동공간의 거리)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도 9에 있는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은 각각 다른 가시범위 레벨들에 대한 배리어 패턴들의 슬릿폭과 배리어 폭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9에 있는 조건Ⅰ은 최적의 가시거리를 포함하는 가장 큰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한 슬릿폭(Wn)과 배리어 폭(Bn)에 의해 특정된 배리어 패턴을 가지는 패럴랙스 배리어 XA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있는 조건 Ⅲ은 최소한의 가시거리를 포함하는 가장 낮은 가시거리 레벨(L1)에 대한 슬릿폭(W1)과 배리어 폭(B1)에 의해 특정된 배리어 패턴을 가지는 패럴랙스 배리어 XC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있는 조건 Ⅱ는 최대한 가시거리와 최소한의 가시거리 사이에 위치하는 어떤 점에서의 가시거리를 포함하는 중간의 가시거리에 대한 슬릿폭(Wm)과 배리어 폭(Bm)에 의해 특정된 배리어 패턴을 가지는 패럴랙스 배리어 XB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9의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포함된 슬릿폭들 중에서,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한 슬릿폭(Wn)이 가장 크고, 그리고 가장 낮은 가시거리 레벨(L1)에 대한 슬릿폭(W1)이 가장 작다. 한편,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에 포함된 배리어 폭들 중에서,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한 배리어 폭(Bn)이 가장 작고, 그리고 가장 낮은 가시거리 레벨(L1)에 대한 배리어 폭(B1)이 가장 크다. 또한, 다양한 가시거리 레벨들에 대한 배리어 패턴들 중에서, 슬릿 부분 Xb가 반복되는 간격은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해 가장 크게 되고 가장 낮은 가시거리 레벨(L1)에 대해 가장 작게 된다.
그러므로, 도 9의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패럴랙스 배리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슬릿 부분 Xb의 전체 면적의 비율-즉, 패럴랙스 배리어의 구경비-는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해 가장 높다. 게다가, 가시거리가 디스플레이 모듈(2)에 점점 가까워질수록 래럴랙스 배리어의 구경비는 점점 더 낮아진다.
여기서, 최적의 가시거리를 포함하는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대한 패럴랙스 배리어 XA의 슬릿폭(Wn)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서브픽셀(2a)의 폭과 거의 같다. 또한, 패럴랙스 배리어 XA의 배리어 폭(Bn)은 서브픽셀(2a)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각 가시거리 레벨에 대한 슬릿폭과 배리어 폭의 값들은 관찰자와 디스플레이 모듈(2) 사이의 거리가 같은 가시거리 레벨에 속할 때 3D 이미지가 관찰자에 의해 3차원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10의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가시거리 레벨에 대한 슬릿폭과 배리어 폭의 값들은, 관찰자가 그와 같은 가시거리 레벨에 속하는 거리로부터 3D 이미지를 보았을 때, 우안 이미지 R은 실질적으로 관찰자 M의 단지 우안을 통하여 볼 수 있고, 반면에 좌안 이미지 L은 실질적으로 관찰자 M의 단지 좌안을 통하여 볼 수 있게 하도록 결정된다.
도 10에서 보여지는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은 도 9의 Ⅰ에서 Ⅲ까지의 조건들과 각각 일치한다. 다시 말해, 도 10의 조건 Ⅰ은 가시거리 D1이 최적의 가시거리일 때, 패럴랙스 배리어 XA와 관찰자 M의 시선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이다. 도 10의 조건 Ⅲ은 가시거리 D3이 최소한의 가시거리일 때, 패럴랙스 배리어 XC와 관찰자 M의 시선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이다. 도 10의 조건 Ⅱ는 가시거리 D2가 최적의 거리와 최소한의 거리 사이에 위치하는 어딘가의 중간적인 거리일 때, 패럴랙스 배리어 XB와 관찰자 M의 시선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서, 도 10의 조건 Ⅰ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설계 최적 가시 거리(D1)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는 우안 이미지의 픽셀들을 구성하는 각 서브픽셀들의 전체 면적, 그리고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는 좌안 이미지의 픽셀들을 구성하는 각 서브픽셀들의 전체 면적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에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 (403)는, 디스플레이 장치 1에 등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와 관계된 데이터이고 도 11에서 보여지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등록 정보(403)는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등록 넘버, 사용자 안면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인 안면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오프셋 거리(offset distance)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안면 이미지 데이터는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우측 이미지 또는 좌측 이미지 데이터)에 의해 얻어지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오프셋 거리는 등록 넘버에 의해 특정된 사용자가 관찰자일 때 거리 계산 유닛(46)에 의해 계산된 가시거리를 정정(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정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이미지와 안면 이미지 데이터는 일치한다는 것을 유념한다. 오프셋 거리는 본 실시예의 정정 정보와 일치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 유닛은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에 의해 실현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에서, 제어 유닛(42)는 위에서 언급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도 12, 15 및 16에서 보여지는 프로세스, 디스플레이 모듈(2), 배리어 제어 장치(3), 그리고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의 작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 유닛(4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내용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있다.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
도 12는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 유닛(4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1에 그녀/그 자신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즉, 사용자 등록을 수행할 때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제어 유닛(42)은 본 실시예의 거리 획득 제어 유닛, 이미징 제어 유닛, 정정 정보 획득 유닛, 그리고 메모리 제어 유닛의 일부 또는 전체로서 기능한다.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에서, 제어 유닛(42)은 우선, 사전에 프로그램된 3D 이미지인 테스트 패턴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으로부터 읽는다. 그 다음에 읽혀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테이터 생성 유닛(43)이 테스트 패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A1 단계).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2)을 드라이브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이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A2 단계). 좀더 구체적으로, 도 3a에서 R1, G1, B1로 나타내어진 디스플레이 모듈(2)에 있는 한세트인 세개의 다른 색을 가진 서브픽셀들(2a)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어 유닛 (42)은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구성하는 우안 이미지(또는 좌안 이미지)의 픽셀들의 색에 따라 서브픽셀들(2a)의 각 세트들이 일치하도록 그라데이션 레벨을 제어한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2)에 있는 한세트의 세개의 다른 색을 가진 서브픽셀들 (2a)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어 유닛(42)은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구성하는 좌안 이미지(또는 우안 이미지)의 픽셀들의 색에 따라 서브픽셀들(2a)의 각 세트들이 일치하도록 그라데이션 레벨을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유닛(42)은 도 4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함께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구성한다)를 복수개의 수직 줄무늬로 분할하고, 그리고 서브픽셀(2a)의 간격으로 수평방향에서 우안 이미지의 줄무늬와 좌안 이미지의 줄무늬를 교대로 디스플레이한다.
게다가, 제어유닛(42)은 최적의 가시거리에 일치하도록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으로 하여금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한다(SA3 단계).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제어 유닛(42)은 최적의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패턴 정보 즉, 앞서 언급한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도 8에 도시)로부터 가장 높은 가시거리 레벨(Ln)에 일치하는 슬릿폭(Wn)과 배리어 폭(Bn)을 읽는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읽혀진 패턴 정보를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에 제공하여,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으로 하여금 최적의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에 의해 생성된 배리어 데이터를 앞서 기술된 드라이브 신호들(액정을 드라이브하기 위해 드라이버 요소에 대해 요구되는 드라이브 신호)로서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제공하여, 배리어 제어 장치(3)로 하여금 최적의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배리어 패턴을 갖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A4 단계). 다시 말해, 제어 유닛(42)은 배리어 제어 장치(3)로 하여금 도 9에서 조건 Ⅰ로 보여지는 최적의 가시거리에 대한 슬릿폭(Wn)과 배리어 폭(Bn)을 갖는 패럴랙스 배리어 XA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관찰자는 테스트 패턴의 3차원적인 관찰의 질이 최적인 디스플레이 모듈(2)로부터의 거리를 알아내기 위해 그의 관찰 위치를 이동시킨다(SA5 단계). 제어 유닛(42)은 지정된 작동 유닛(41)의 스위치(스위치들)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또는 몇몇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최적의 가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동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테스트 패턴 이미지가 최적의 조건에서 3차원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위치로 그/그녀의 안면(눈들)을 이동시키면, 사용자는 그/그녀가 찾은 최적의 거리를 디스플레이 장치 1에 알리기 위해 작동 유닛(41)을 작동(또는 몇몇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시킨다.
제어유닛(42)은 최적의 가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동이 정말로 실행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받을 때까지 그와 같은 작동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SA5 단계:아니오)을 반복적으로 시도한다. 그와 같은 작동이 정말로 실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SA5 단계:예), 제어 유닛(42)은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으로 하여금 피사체로서의 사용자의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찍게 한다(SA6 단계).
도 13a는 SA6 단계를 통하여 제어 유닛(42)에 의해 얻어진 좌안 이미지 100L과 우안 이미지 100R의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도 13a에서 "O"로 나타내어진 위치는 수평방향으로 패럴랙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 각각의 센터이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얻어진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 데이터를 안면 감지 유닛(45)에 제공하여, 안면 감지 유닛(45)으로 하여금 안면 감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게 하고, 그리고 안면 감지 유닛(45)으로부터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각각에 있는 사용자의 안면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정보(대등한 정보)를 얻는다(SA7 단계). 도 13b는 SA7 단계의 프로세싱 동안에 안면 감지 유닛(45)에 의해 결정되는 좌측 이미지 100L에 있는 안면 범위 부분 200L과 우측 이미지 100R에 있는 안면 범위 부분 200R의 예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제어유닛(42)은 얻어진 좌측 이미지 100L과 우측 이미지 100R의 부분정보를 거리 계산 유닛(46)에 제공하고 거리 계산 유닛(46)으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모듈(2)과 사용자(관찰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조건에서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가시 거리를 얻도록 한다(SA8 단계).
여기서, 가시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 계산 유닛(46)에 의해 사용된 방법은 아래에 기술된다. 거리 계산 유닛(46)에 의해 사용된 방법은 삼각측량 원리에 바탕을 둔다. 도 14는 가시거리 획득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참조 "D"는 거리 계산 유닛(46)에 의해 계산될 가시거리를 나타내고 그것은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의 이미징 렌즈들(61, 61)과 사용자 M 사이의 거리와 일치한다. 참조 "d"는 좌측 이미지 100L과 우측 이미지 100R 사이에 존재하는 패럴랙스를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패럴랙스 d는 각각의 이미징 장치들 (62, 62)의 이미징 표면들 상의 각각의 좌측 이미지 100L과 우측 이미지 100R의 특정 포인트 P1, P2의 위치들(거리)에 있어서의 차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아래의 공식 (1)에 의해 표현된 관계는 가시거리 D와 패럴랙스 d 사이에서 참이다:
Figure 112010056566328-pat00001
여기서, A는 두개의 이미징 장치들(62, 62) 사이의 거리, F는 이미징 렌즈들 (61, 61)의 촛점거리이다. A와 F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가시거리 D는 좌측 이미지 100L과 우측 이미지 100R 사이에 있는 패럴랙스 d를 알 수 있다면 계산될 수 있다.
거리 계산 유닛(46)은 앞서 언급된 원리에 근거해 아래의 프로세스에 의해 가시거리 D를 계산한다. 우선, 도 13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거리 계산 유닛(46)은 좌측 이미지 100L에 있는 안면 범위 부분 200L의 센터의 동등한 위치(x1, y1)와 우측 이미지 100R에 있는 안면 범위 부분 200R의 센터의 동등한 위치(x2, y2)를 얻고, 그리고 이러한 동등한 위치들을 도 14에서 보여지는 각각의 특정 포인트 P1, P2의 동등한 위치들로 간주한다. 다음으로, 거리 계산 유닛(46)은 이렇게 획득된 동등한 위치들인 특정 포인트들 P1과 P2, 즉, (x1, y1)과 (x2, y2)를 바탕으로 좌측 이미지 100L과 우측 이미지 100R 사이의 패럴랙스 d를 계산한다. 이후, 거리 계산 유닛(46)은 위의 공식 (1)를 사용하여 가시거리 D를 계산한다.
한편, SA8 단계의 프로세싱을 통하여 가시거리 D를 얻은 후에, 계산의 결과로서 오프셋 거리를 도출하기 위해 제어 유닛(42)은 사용자가 최적의 조건에서 테스트 패턴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실제적인 거리인 가시거리 D와 미리 프로그램된 설계 최적 가시거리(또는 디폴트된 최적 가시거리) 사이에서의 차이를 계산한다(SA9 단계).
여기서, 오프셋 거리는 가시거리 D가 설계 최적거리보다 더 길 때는 양의 값이고 가시거리 D가 설계 최적거리보다 더 짧을 때는 음의 값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공간 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동공간 거리와 다를 때, 가시거리 D와 최적 거리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그러므로, 오프셋 거리는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개인적인 차이들을 반영한다.
다음으로, SA6 단계의 프로세싱을 통하여 얻어진 좌측 이미지 100L(또는 우측 이미지 100R)로부터, 제어 유닛(42)은 앞서 언급한 부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안면 부분 200L를 추출한다(SA10 단계). 그 후, 제어 유닛(42)은,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47)에, 추출된 안면 부분 200L의 이미지 데이터에 새로운 등록 넘버와 SA9 단계를 통해 얻어진 오프셋거리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등록 정보(403)로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A11 단계). 이것으로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도 15는 이미지 메모리(5)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어 유닛(42)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스의 내용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싱을 수행할 때, 제어 유닛(42)은 본 실시예의 슬릿폭 제어 유닛, 확인 유닛, 판독 유닛, 그리고 정정 유닛의 일부 또는 전체로서 기능하고, 본 실시예의 배리어 패턴 제어 유닛과 배리어 폭 제어 유닛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유념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예를 들어, 지정된 스위치들 또는 작동 유닛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이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스에서, 우선, 제어 유닛(42)은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한다(SB1 단계). 제어 유닛(42)은 그 때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정해진 유닛내에 있는 데이터를 판독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2D 이미지인지 또는 3D 이미지인지를 결정한다(SB2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2D 이미지일 때(SB2 단계:"2D"), 제어 유닛(42)은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으로 하여금 2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B3 단계).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의해 생성된 2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어 유닛(42)은 디스플레이 모듈(2)을 드라이브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로 하여금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B4 단계). 좀더 구체적으로, 한 세트로서 디스플레이 모듈(2)내에 있으며, 도 3a에서 R1, R2, G1, G2, B1, B2로 나타내어진 여섯 개의 서브픽셀들(2a)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어 유닛(42)은 2D 이미지 픽셀의 색에 따라 각 세트의 서브픽셀들(2a)이 일치하도록 각 서브픽셀(2a)의 그라데이션 레벨을 제어하고, 그리고 그러한 서브픽셀들의 각 세트에 있는 2개의 같은 색을 가진 인접한 서브픽셀들(2a, 2a)에 대해 같은 그라데이션 레벨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유닛(42)은 도 4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2)로 하여금 2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3D 이미지일 때(SB2 단계:"3D"), 제어 유닛(42)은 이미지 메모리(5)로부터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 즉, 우안 이미지 데이터와 좌안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제공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으로 하여금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B5 단계).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디스플레이 모듈(2)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에 의해 생성된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SB6 단계). 좀더 구체적으로, 도 4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제어 유닛(42)은 이미지들을 복수개의 수직 줄무늬로 분할하고 수평방향으로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수직 줄무늬들을 교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의해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도 16에서 보여지는 배리어 패턴 획득 단계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배리어 패턴 정보를 얻는다(SB7 단계). 이하는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이다.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싱에서, 우선, 제어 유닛(42)은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으로 하여금 피사체로서의 관찰자의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찍게 한다(SB101 단계).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얻어진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 데이터를 안면 감지 유닛(45)에 제공하고 안면 감지 유닛(45)으로 하여금 안면 감지 프로세싱을 실행하게 하여,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 각각에서 사용자의 안면 부분들을 지시하는 부분 정보(동등한 정보)를 얻게 한다(SB102 단계). 게다가, 제어 유닛(42)은 얻어진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의 부분 정보를 거리 계산 유닛(46)에 제공하고, 그리고 거리 계산 유닛(46)은 제공된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의 부분 정보를 바탕으로 패널 모듈(2)의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거리를 결정한다(SB103 단계). 이러한 예에서, SB103 단계를 통한 SB101 단계에서 실행된 프로세스들은 위에 기술된 사용자 등록 프로세스에서의 SA8 단계를 통한 SA6 단계를 위한 프로세스들과 같다.
다음으로, 단계 SB101의 프로세싱을 통해 얻어진 좌안 이미지(또는 우안 이미지)로부터, 제어 유닛(42)는 안면 감지 유닛(45)에 의해 얻어진 부분 정보에 의해 지시된 안면 부분을 추출한다(SB104 단계). 다음으로, 등록 정보(403)로서 저장된 전에 등록된 안면 데이터 중 이미지 데이터를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도 11에 도시), 제어 유닛(42)은 저장된 안면 이미지 데이터와 전에 등록된 안면 데이터에 대한 SB104 단계(SB105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의 유사한 정도를 계산한다. 유사성의 정도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제어 유닛(42)은 예을 들어, 두개의 목표로 삼은 안면 이미지 데이터의 눈, 코, 또는 입 사이에서 크기나 상대적인 위치와 같은 수많은 특정 포인트들에 대한 유사성의 정도를 계산하고, 그리고 예들 들어, 수많은 특정 포인트들에 대한 유사성의 정도를 평균하여 최종적인 유사성의 정도를 도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SB104 단계와 SB105 단계에서의 프로세스들은 안면 인식 프로세스와 상응한다는 점을 유념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임계값 이상의 유사성의 정도를 갖는 사용자 등록 정보(403)로서 저장된 어떤 안면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현재의 관찰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SB106 단계). 다시 말해, 제어 유닛(42)은 현재의 관찰자가 등록된 사용자 또는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지를 결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42)은 사용자 등록 정보(403)에 있는 어떤 안면 이미지 데이터도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의 유사성의 정도를 갖는 것이 없을 때 현재의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제어 유닛(42)은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와 임계값 이상의 유사성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자 등록 정보(403)에서 발견될 때, 현재의 사용자는 등록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 유닛(42)이 현재 관찰자가 사용자로서 등록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때(SB106 단계:아니오), 제어 유닛(42)은 즉시 SB109 단계의 프로세싱을 진행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에 기술한다. 제어 유닛(42)이 현재의 관찰자가 사용자로서 등록되었다고 결정했을 때(SB106 단계:예), 제어 유닛(42)은 다음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우선, 사용자 등록 정보(403)로부터, 제어 유닛(42)은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오프셋 거리, 즉, 현재의 임계값보다 더 높은 유사성의 정도와 가장 높은 앞서 언급한 유사성의 정도를 갖는 안면 이미지 데이터와 일치하는 오프셋 거리를 얻는다(SB107 단계).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거기에서 오프셋 거리를 빼는 것에 의해 SB103 단계를 통해 얻어진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정정한다(SB108 단계).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42)은 오프셋 거리가 양의 값일 때, 오프셋 거리의 양에 의해 SB103 단계를 통해 얻어진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감소시킨다(그것은 현재의 관찰자에 대한 최적의 가시거리-다시 말해, 사용자 등록때 이미 확인된 관찰자가 최적의 조건에서 3D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 유닛(42)은 오프셋 거리가 음의 값일 때, 오프셋 거리의 양에 의해 SB103 단계를 통해 얻어진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증가시킨다(그것은 현재의 관찰자에 대한 최적의 가시거리-다시 말해, 사용자 등록때 이미 확인된 관찰자가 최적의 조건에서 3D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42)은 SB109 단계의 프로세싱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SB109 단계의 프로세싱에서, 제어 유닛(42)은 SB103 단계의 프로세싱을 통하여 얻어진 가시거리, 또는 SB108 단계의 프로세싱을 통하여 정정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큰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B109 단계).
가시거리가 최적 가시거리(SB109 단계:아니오)보다 짧을 때, 제어 유닛(42)은 즉시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도 8에 도시)로부터 가시거리(SB111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거리 레벨에 상응하는 패턴 정보(슬릿폭과 배리어 폭)를 얻어,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가시거리가 최적 가시거리(SB109 단계:예)보다 길 때, 제어 유닛(42)은 최적의 거리가 되도록 가시거리를 정정하고(SB110 단계)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 (402)(도 8에 도시)로부터 최적의 거리를 포함하는 가시거리 레벨에 상응하는 패턴 정보(슬릿폭과 배리어 폭)를 얻어,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그런 후에, 제어 유닛(42)은 도 15에서 보여지는 프로세싱으로 되돌아오고,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를 통해 얻어진 패턴 정보(슬릿폭과 배리어 폭)를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에 제공하고, 그리고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으로 하여금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를 통해 얻어진 가시거리에 따라 배리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SB8 단계).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44)에 의해 생성된 배리어 데이터를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어 유닛(44)은 배리어 제어 장치(3)로 하여금 가시거리에 대한 배리어 패턴을 갖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SB9 단계),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제어 유닛(42)은 디스플레이 모듈(2)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에 의한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의한 배리어 패턴의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한다는 것을 유념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1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우선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면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 다시 말해,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얻는다,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필요하다면,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개인적인 정보에 따라 정정)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을 때,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적당한 슬릿폭과 배리어 폭을 갖는 배리어 제어 장치(3)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산출하여, 3D 이미지의 3차원적인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1에 따라, 비록 실제적인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우안 이미지 R의 픽셀들은 단지 관찰자 M의 우안에만 보일 수 있고 좌안 이미지 L의 픽셀들은 단지 관찰자의 좌안에만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10). 결과적으로, 관찰자가 3D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관찰자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디스플레이 모듈 2) 사이의 거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따라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아짐에 따라 패럴랙스 배리어의 슬릿폭은 더 좁아진다. 그러므로, 배럴랙스 배리어의 각 슬릿을 통해 보여지는 각 서브픽셀의 가시 범위는 더 좁아진다(도 10에 도시). 다시 말해, 실제적인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아질수록, 패럴랙스 배리어의 구경비는 점점 좁아진다. 이것은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자동적으로 더 낮게 만든다.
그러므로, 관찰자가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에 있는 위치로부터 3D 이미지를 보았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 1은 가시거리에 따라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관찰자가 좋은 조건에서 3D 이미지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관찰 지점이 디스플에이 모듈(2)에 더 가까울 때, 디스플레이 장치 1은 관찰자가 과도한 밝기를 경험하지 않고 3D 이미지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1에 따라, 관찰자가 사용자로서 등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실질적으로 측정된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배리어 패턴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은 우선, 사용자에게 특유한 미리 프로그램된 오프셋 거리에 따라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정정하고, 그리고 정정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배리어 패턴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관찰자가 등록된 사용자일 때, 특정 관찰자에 대한 최적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와 다르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 1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1을 사용할 때마다 전방/후방으로 그의/그녀의 안면(눈들)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없이 항상 좋은 조건에서 3D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위에 기술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1의 구조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의 제어 유닛(42)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면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 - 다시 말해, 실제적인 가시거리 - 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와 동등하거나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을 때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동안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제어 유닛(42)은 심지어 실제적인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클 때에도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따라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도록대안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정정 예와 비교했을 때, 위에 기술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의 제어 유닛(42)은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적용할 수 있다면, SB108 단계에 의해 정정)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와 동등하거나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짧을 때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제어하고, 제어 유닛(42)은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적용할 수 있다면, SB108 단계에 의해 정정)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를 초과할 때 설계 최적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배리어 패턴에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유지하여, 아래와 같은 유리한 점들을 발생시킨다.
위에 기술된 정정 예에서, 제어 유닛(42)이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미지 디스플레이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을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큰 가시거리에 대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들(다시 말해, 각 슬릿폭과 배리어 폭에 대한 데이터)을 포함하도록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리어 패턴들에 있어서, 상응하는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크기 때문에 슬릿폭은 더 좁아지도록 만들어져야 하고, 그리고 배리어 폭은 더 넓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커짐에 따라 패럴랙스 배리어의 개구율은 감소한다. 그러므로,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 이상으로 더 커짐에 따라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밝기는 감소할 것이다.
한편,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적용가능하다면, SB108 단계에 의해 정정)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클 때, 제어 유닛(42)은 설계 최적 가시거리에 상응하는 배리어 패턴에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라, 실제적인 가시거리가 설계 최적 가시거리보다 더 클 때, 3D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배리어 패턴 획득 프로세스에서, 제어 유닛(42)은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로부터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대한 배리어 패턴(슬릿폭과 배리어 폭)을 획득한다. 대안으로, 제어 유닛(42)은 테이블(402)을 사용하는 대신에 계산에 의해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대한 배리어 패턴을 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1에 대한 위의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은 한쌍의 수평으로 인접한 서브픽셀들(2a, 2a)이 여섯개의 색들, 즉 한세트인 R, R, G, G, B, B를 포함하는 색 패턴에 따라 지정된 같은 색으로 할당되도록 하는 색조합을 갖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2)은 다음의 색조합을 갖도록 정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0은 각 서브픽셀들이 3개의 수직으로 정렬된 색들, 즉 한세트인 R, G, B를 포함하는 색 패턴에 따라 지정된 색으로 할당된 색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즉, 세개의 수직으로 정렬된 서브픽셀들은 각각 R, G, B의 각 색 중의 하나로 할당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2)이 그와 같은 색조합을 가질 때,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은 아래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43)은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각 픽셀이 디스플레이 모듈(2)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3개의 색(R, G, B) 서브 픽셀들로 할당되는 것에 따라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모듈(2)이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를 복수개의 수직 줄무늬들로 분할하고 그들을 수평방향으로 교대로 정렬하도록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위에서 기술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면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 - 다시말해,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 - 가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6)에 의해 찍혀진 우측 이미지와 좌측 이미지를 사용하는 삼각측량의 원리를 바탕으로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측정된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대한 합리적인 정확성이 얻어질 수 있는 한 그리고 그와 같은 필요성이 발생한다면 가시거리를 계산하는 특수한 방법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가시거리를 도출하기 위한 구조는변형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 언급된 특정한 디스플레이 장치 1에 한정되지 않고, 패럴랙스 배리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3차원적인 이미지들(3D 이미지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어떤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모바일 폰과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과 배리어 제어 장치(3) 사이의 거리는 고정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2)과 배리어 제어 장치(3) 사이의 거리가 바뀔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관찰자로 하여금 넓은 가시거리 범위에서 이미지들을 3차원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부가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측정된 관찰자까지의 실제적인 가시거리에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과 배리어 제어 장치(3)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대신 또는 위에서 기술된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리어 패턴을 조절하는 것에 더불어 적절한 기계적인 구조와 제어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예를 들어, 위의 예들의 배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402)은 디스플레이 모듈(2)과 배리어 제어 장치(3) 사이에 있을 수 있는 다양한 거리들에 대한 복수의 테이블들을 포함하도록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적절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2)과 관찰자 사이의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제어 유닛(42)은 패럴랙스 배리어의 적절한 패턴과 디스플레이 모듈(2)과 배리어 제어 장치(3) 사이의 적절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는 계속적으로 모니터될 수 있고 패럴랙스 배리어에 있는 슬릿의 패턴은 계속적으로 모니터된 관찰자까지의 거리에 일치하도록 순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심지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주위로 이동하더라도, 그/그녀는 좋은 조건에서 이미지들을 3차원적으로 계속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2 : 디스플레이 모듈
3 : 배리어 제어 장치
4 :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5 : 이미지 메모리
6 : 스테레오 카메라 유닛
41 : 작동 유닛
42 : 제어 유닛
43 : 디스플레이 데이터 생성 유닛
44 : 배리어 데이터 생성 유닛
45 : 안면 감지 유닛
46 : 거리 계산 유닛
47 : 프로그램 메모리 유닛
61 : 이미징 렌즈
62 : 이미징 장치
63 : 신호 프로세싱 유닛
401 : 제어 프로그램
402 : 베리어 패턴 획득 테이블
403 : 사용자 등록 정보

Claims (17)

  1.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서브픽셀에 동일한 색이 할당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 중 하나의 서브픽셀은 우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은 좌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마련되고, 빛을 투과하는 슬릿과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를 갖고, 상기 슬릿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슬릿 폭과 상기 배리어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배리어 폭을 가변으로 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와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거리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에 따라,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 및 상기 배리어 폭을 제어하는 슬릿 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하나의 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늘어선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으로 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배치시키고,
    설계 최적 가시 거리가 상기 좌안 이미지의 전체 영역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에 보여질 수 있고 상기 우안 이미지의 전체 영역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에 보여질 수 있는 설계 가시거리로 정의될 때,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을,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가 상기 설계 최적 가시 거리인 때의 슬릿 폭을 상한으로 하여,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가 감소할 때마다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선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안면 부분을 포함하는 등록 이미지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에 고유한 정정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상기 관찰자를 피사체로 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찍는 이미징 유닛;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이미지와 상기 이미징 유닛에 의해 찍힌 상기 피사체 이미지 상의 상기 관찰자의 안면 부분 사이의 비교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확인 유닛;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라고 결정할 때, 상기 확인 유닛에 의해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된 상기 관찰자에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를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유닛; 및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를 바탕으로 정정하는 정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을 상기 정정 유닛에 의해 정정된 상기 거리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가 수직으로 연장된 선 이미지로 분할됨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3차원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소정의 슬릿 폭을 갖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가 형성된 준비 상태에서,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관찰자와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상기 거리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거리 획득 제어 유닛;
    상기 준비 상태에서, 상기 관찰자를 상기 피사체로 하여 상기 이미징 유닛에 상기 피사체 이미지를 찍게 하는 이미징 제어 유닛;
    상기 거리 획득 제어 유닛이 상기 거리정보 획득 유닛에 획득하게 한 상기 거리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상기 거리와 상기 소정 거리의 차를,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를 위한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로서 획득하는 정정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정정정보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정정정보를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하는 메모리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은 3차원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때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고 2차원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때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서브픽셀에 동일한 색이 할당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 중 하나의 서브픽셀은 우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고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은 좌안 이미지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를 행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앞에 마련되고, 빛을 투과하는 슬릿과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를 갖고, 상기 슬릿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슬릿 폭과 상기 배리어의 상기 하나의 방향의 배리어 폭을 가변으로 하는 패럴랙스 배리어를 형성하는 배리어 형성 유닛;
    선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안면 부분을 포함하는 등록 이미지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에 고유한 정정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관찰자를 피사체로 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찍는 이미징 유닛;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이미지와 상기 이미징 유닛에 의해 찍힌 상기 피사체 이미지 상의 상기 관찰자의 안면 부분 사이의 비교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확인 유닛;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관찰자가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라고 결정할 때, 상기 확인 유닛에 의해 상기 선등록된 사용자로 확인된 상기 관찰자에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를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 유닛; 및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 및 상기 배리어 폭을,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고유한 상기 정정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슬릿 폭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하나의 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늘어선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으로 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서브픽셀로부터의 빛이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으로 향하도록,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를 배치시키고,
    설계 최적 가시 거리가 상기 좌안 이미지의 전체 영역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왼쪽 눈에 보여질 수 있고 상기 우안 이미지의 전체 영역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오른쪽 눈에 보여질 수 있는 설계 가시거리로 정의될 때, 상기 슬릿 폭 제어 유닛은, 상기 배리어 형성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 폭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설계 최적 가시 거리인 때의 슬릿 폭을 상한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고 있는 관찰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마다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에 대해서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일한 색의 상기 2개의 서브픽셀에 대해서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의 상기 슬릿이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085004A 2009-08-31 2010-08-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4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9684 2009-08-31
JP2009199684A JP5356952B2 (ja) 2009-08-31 2009-08-31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842A KR20110023842A (ko) 2011-03-08
KR101244297B1 true KR101244297B1 (ko) 2013-03-18

Family

ID=4362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04A KR101244297B1 (ko) 2009-08-31 2010-08-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17369B2 (ko)
JP (1) JP5356952B2 (ko)
KR (1) KR101244297B1 (ko)
CN (1) CN102006491B (ko)
TW (1) TWI4433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1448B2 (en) 2010-03-29 2015-10-13 Semprius, Inc. Laser assisted transfer welding process
KR101685981B1 (ko) * 2010-07-29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29556B1 (ko) * 2010-08-09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
JP2012042720A (ja) * 2010-08-19 2012-03-0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42468B2 (en) 2010-08-26 2015-09-22 Semprius, Inc. Structures and methods for testing printable integrated circuits
JP5364666B2 (ja) * 2010-09-13 2013-12-11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99329B2 (en) 2010-11-23 2018-02-20 X-Celeprint Limited Interconn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ransfer-printed integrated circuit elements with improved interconnection alignment tolerance
US9167234B2 (en) 2011-02-14 2015-10-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O2012111427A1 (en) * 2011-02-16 2012-08-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035860B2 (en) 2011-02-16 2015-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443455B2 (en) 2011-02-25 2016-09-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JP2012182569A (ja) * 2011-02-28 2012-09-20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12185307A (ja) * 2011-03-04 2012-09-27 Nec Saitama Ltd 画像表示ユニット、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558687B2 (en) * 2011-03-11 2017-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2205267A (ja) * 2011-03-28 2012-10-22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検出装置、検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CN102158721B (zh) * 2011-04-06 2012-12-0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三维立体图像的方法、装置及电视机
JP5917017B2 (ja) * 2011-05-11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72991B2 (ja) * 2011-05-30 2013-03-27 株式会社東芝 三次元映像処理装置および鑑賞位置チェック方法
US8934259B2 (en) 2011-06-08 2015-01-13 Semprius, Inc. Substrates with transferable chiplets
US8988411B2 (en) 2011-07-08 2015-03-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CN102305970A (zh) * 2011-08-30 2012-01-04 福州瑞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自动跟踪人眼位置的裸眼三维显示方法及其结构
JP5050120B1 (ja) * 2011-08-31 2012-10-17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US9412727B2 (en) 2011-09-20 2016-08-09 Semprius, Inc. Printing transferable components using microstructured elastomeric surfaces with pressure modulated reversible adhesion
CN103024407B (zh) * 2011-09-22 2014-12-31 乐金显示有限公司 立体图像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JP5127972B1 (ja) * 2011-09-30 2013-01-2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130046018A (ko) 2011-10-27 2013-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S2620762T3 (es) 2011-10-27 2017-06-29 Tobii Ab Gestión de potencia en un sistema de rastreo ocular
JP5149435B1 (ja) * 2011-11-04 2013-02-20 株式会社東芝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US20130127861A1 (en) * 2011-11-18 2013-05-23 Jacques Gollier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2572483B (zh) * 2011-12-02 2014-08-13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跟踪式裸眼立体显示控制方法、装置及显示设备、系统
KR101911776B1 (ko) * 2011-12-05 2018-10-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2654665B (zh) * 2011-12-14 2014-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透镜型调光装置及显示器
JP5818674B2 (ja) * 2011-12-21 2015-11-18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3140277A (ja) * 2012-01-05 2013-07-18 Sony Corp 表示装置
EP2805517A1 (en) * 2012-01-17 2014-11-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GB2499426A (en) * 2012-02-16 2013-08-21 Dimenco B 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viewer tracking system
CN104160699B (zh) * 2012-03-07 2016-12-21 富士通株式会社 立体图像显示装置以及立体图像显示方法
JP5762998B2 (ja) * 2012-03-07 2015-08-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280042B2 (en) * 2012-03-16 2016-03-0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utomatic switching of a multi-mode projector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images
KR101899134B1 (ko) 2012-04-02 2018-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액정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408591B1 (ko) * 2012-04-27 2014-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안경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53249B1 (ko) 2012-05-09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및 입체 영상 표시 겸용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34816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2736255A (zh) * 2012-06-05 2012-10-17 深圳市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及应用于立体显示装置的光栅系统
KR101956134B1 (ko) * 2012-06-15 2019-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90490B1 (ko) 2012-06-18 2019-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11574A (ko) 2012-07-17 2014-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22711B2 (ja) * 2012-08-10 2017-11-01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ー フェーデルング デア アンゲバンテン フォルシュング エー ファー 3以上の異なる映像の同時再生のための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スクリーンおよび方法、並びにその使用
CN103575507A (zh) * 2012-08-10 2014-02-1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显示产品的光学检测方法及系统
KR20140028780A (ko) * 2012-08-30 2014-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2006875B1 (ko) * 2012-10-05 2019-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시인성 평가 방법
CN103716616A (zh) 2012-10-09 2014-04-09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可切换二维与裸眼立体显示模式的显示装置的显示方法
KR20140067575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삼차원 이미지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612656B2 (en) 2012-11-27 2017-04-04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of eye tracking control on mobile device
US20140192033A1 (en) * 2013-01-07 2014-07-10 Htc Corporation 3d imag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CN103234514B (zh) * 2013-04-03 2015-05-13 广州市佳思信息科技有限公司 单摄像头测距和测偏移以及实现裸眼3d光栅调节的方法
CN103278969B (zh) * 2013-05-31 2016-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三维液晶显示装置和显示系统及三维图像显示的驱动方法
TWI477817B (zh) * 2013-07-18 2015-03-21 Au Optronics Corp 顯示器以及顯示具有不同視差的三維影像的方法
US9900588B2 (en) 2013-08-28 2018-0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e method therefor
CN103439815A (zh) * 2013-08-30 2013-12-11 天利半导体(深圳)有限公司 显示驱动芯片控制三维显示屏的视距优化结构及方法
KR20150057064A (ko) * 2013-11-18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다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95502A1 (en) * 2014-01-06 2015-07-09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59151B1 (ko) * 2014-02-28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표시 방법
CN103995374B (zh) * 2014-05-22 2016-08-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5193436A1 (en) 2014-06-18 2015-12-23 X-Celeprint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gan and related materials for micro assembly
US9929053B2 (en) 2014-06-18 2018-03-27 X-Celeprint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lease of transferable semiconductor structures
TWI651784B (zh) 2014-06-18 2019-02-21 愛爾蘭商艾克斯瑟樂普林特有限公司 用於控制可轉印半導體結構之釋放之系統及方法
US9865600B2 (en) 2014-06-18 2018-01-09 X-Celeprint Limited Printed capacitors
CN107078088B (zh) 2014-06-18 2021-04-09 艾克斯展示公司技术有限公司 微组装的高频装置及阵列
CN113437206B (zh) 2014-06-18 2024-03-08 艾克斯展示公司技术有限公司 微组装led显示器
JP2016021013A (ja) * 2014-07-15 2016-0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CN104252058B (zh) * 2014-07-18 2017-06-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栅控制方法和装置、光栅、显示面板及3d显示装置
MY182253A (en) 2014-07-20 2021-01-18 X Celeprint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micro-transfer-printing
TWI647833B (zh) 2014-08-26 2019-01-11 愛爾蘭商艾克斯瑟樂普林特有限公司 微組合複合式顯示裝置及發光元件
CN105469773B (zh) * 2014-09-03 2018-03-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屏亮度调节方法及系统
US9468050B1 (en) 2014-09-25 2016-10-11 X-Celeprint Limited Self-compensating circuit for faulty display pixels
US9799719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Active-matrix touchscreen
US9799261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Self-compensating circuit for faulty display pixels
US9991163B2 (en) 2014-09-25 2018-06-05 X-Celeprint Limited Small-aperture-ratio display with electrical component
US9537069B1 (en) 2014-09-25 2017-01-03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encapsulating reflector
US9818725B2 (en) 2015-06-01 2017-11-14 X-Celeprint Limited Inorganic-light-emitter display with integrated black matrix
CN104298019B (zh) * 2014-09-30 2017-10-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面板及其制备方法、3d显示装置
JP6411257B2 (ja) 2015-03-19 2018-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640715B2 (en) 2015-05-15 2017-05-02 X-Celeprint Limited Printable inorganic semiconductor structures
US10102794B2 (en) 2015-06-09 2018-10-16 X-Celeprint Limited Distributed charge-pump power-supply system
US9871345B2 (en) 2015-06-09 2018-01-16 X-Celeprint Limited Crystalline color-conversion device
US10133426B2 (en) 2015-06-18 2018-11-20 X-Celeprint Limited Display with micro-LED front light
US11061276B2 (en) 2015-06-18 2021-07-13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aser array display
US9704821B2 (en) 2015-08-11 2017-07-11 X-Celeprint Limited Stamp with structured posts
US10255834B2 (en) 2015-07-23 2019-04-09 X-Celeprint Limited Parallel redundant chiplet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ixels
US9640108B2 (en) 2015-08-25 2017-05-02 X-Celeprint Limited Bit-plane pulse width modulated digital display system
US10468363B2 (en) 2015-08-10 2019-11-05 X-Celeprint Limited Chiplets with connection posts
CN105093544B (zh) * 2015-08-12 2017-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380930B2 (en) 2015-08-24 2019-08-13 X-Celeprint Limited Heterogeneous light emitter display system
US10230048B2 (en) 2015-09-29 2019-03-12 X-Celeprint Limited OLEDs for micro transfer printing
US10066819B2 (en) 2015-12-09 2018-09-04 X-Celeprint Limited Micro-light-emitting diode backlight system
US20170171535A1 (en) * 2015-12-09 2017-06-15 Hyundai Motor Company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86646B2 (en) 2015-12-23 2017-10-10 X-Celeprint Limited Matrix addressed device repair
US9930277B2 (en) 2015-12-23 2018-03-27 X-Celeprint Limited Serial row-select matrix-addressed system
US10091446B2 (en) 2015-12-23 2018-10-02 X-Celeprint Limited Active-matrix displays with common pixel control
US9928771B2 (en) 2015-12-24 2018-03-27 X-Celeprint Limited Distributed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JP2017129749A (ja) 2016-01-20 2017-07-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588840B2 (ja) 2016-02-04 2019-10-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0200013B2 (en) 2016-02-18 2019-02-05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acoustic wave filter device
US10361677B2 (en) 2016-02-18 2019-07-23 X-Celeprint Limited Transverse bulk acoustic wave filter
US10109753B2 (en) 2016-02-19 2018-10-23 X-Celeprint Limited Compound micro-transfer-printed optical filter device
TWI681508B (zh) 2016-02-25 2020-01-01 愛爾蘭商艾克斯瑟樂普林特有限公司 有效率地微轉印微型裝置於大尺寸基板上
US10150325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10193025B2 (en) 2016-02-29 2019-01-29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ED pixel structure
US10150326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document with variable state
US10534208B2 (en) 2016-02-29 2020-01-1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parato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forming first and second unit separators at different pitches from each other
US10153256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able electronic component
US10153257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printed display
CN107229884B (zh) * 2016-03-25 2024-09-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7077218A (zh) * 2016-03-25 2017-08-18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内容的观看提示方法和装置
US10103069B2 (en) 2016-04-01 2018-10-16 X-Celeprint Limited Pressure-activated electrical interconnection by micro-transfer printing
US10008483B2 (en) 2016-04-05 2018-06-26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ed LED and color filter structure
US10199546B2 (en) 2016-04-05 2019-02-05 X-Celeprint Limited Color-filter device
US9997102B2 (en) 2016-04-19 2018-06-12 X-Celeprint Limited Wirelessly powered display and system
US10198890B2 (en) 2016-04-19 2019-02-05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ing near-field-communications
US10360846B2 (en) 2016-05-10 2019-07-23 X-Celeprint Limited Distributed pulse-width modulation system with multi-bit digital storage and output device
US10622700B2 (en) 2016-05-18 2020-04-14 X-Celeprint Limited Antenna with micro-transfer-printed circuit element
US9997501B2 (en) 2016-06-01 2018-06-12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light-emitting diode device
US10453826B2 (en) 2016-06-03 2019-10-22 X-Celeprint Limited Voltage-balanced serial iLED pixel and display
US11137641B2 (en) 2016-06-10 2021-10-05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structure with polarized light emission
CN105892076A (zh) * 2016-06-14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差光栅面板、显示基板、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显示方法
KR101818479B1 (ko) * 2016-06-30 2018-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배리어
KR101916426B1 (ko) * 2016-07-22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10222698B2 (en) 2016-07-28 2019-03-05 X-Celeprint Limited Chiplets with wicking posts
US11064609B2 (en) 2016-08-04 2021-07-13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intable 3D electronic structure
US9980341B2 (en) 2016-09-22 2018-05-22 X-Celeprint Limited Multi-LED components
US10157880B2 (en) 2016-10-03 2018-12-18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ing with volatile adhesive layer
US10782002B2 (en) 2016-10-28 2020-09-22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optical components
US10347168B2 (en) 2016-11-10 2019-07-09 X-Celeprint Limited Spatially dithered high-resolution
EP3542394A1 (en) 2016-11-15 2019-09-25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600671B2 (en) 2016-11-15 2020-03-24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395966B2 (en) 2016-11-15 2019-08-27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CN106526876A (zh) * 2016-11-25 2017-03-22 南京大学 一种采用空间光调制器的无辅助立体显示装置
CN106526878B (zh) * 2016-12-08 2019-04-05 南京大学 多维度自由立体显示装置
US10438859B2 (en) 2016-12-19 2019-10-08 X-Celeprint Limited Transfer printed device repair
US10297502B2 (en) 2016-12-19 2019-05-21 X-Celeprint Limited Isolation structure for micro-transfer-printable devices
US10832609B2 (en) 2017-01-10 2020-11-10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Digital-drive pulse-width-modulated output system
US10396137B2 (en) 2017-03-10 2019-08-27 X-Celeprint Limited Testing transfer-print micro-devices on wafer
US11024608B2 (en) 2017-03-28 2021-06-01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Structur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micro-devices and substrates
KR101888449B1 (ko) * 2017-04-18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10832935B2 (en) 2017-08-14 2020-11-10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Multi-level micro-device tethers
CN108152982A (zh) * 2018-01-31 2018-06-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装置
CN108469682A (zh) * 2018-03-30 2018-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装置及其三维显示方法
CN108572489B (zh) * 2018-04-28 2021-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光栅和液晶光栅驱动方法及3d显示器
US10832934B2 (en) 2018-06-14 2020-11-10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Multi-layer tethers for micro-transfer printing
US10748793B1 (en) 2019-02-13 2020-08-18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inting component array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JP7475191B2 (ja) * 2020-04-28 2024-04-26 京セラ株式会社 眼間距離測定方法および較正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095A (ja) 1997-09-05 1999-03-30 Fujitsu Ltd 画像表示装置
JP2008294530A (ja) 2007-05-22 2008-12-04 Fujifilm Corp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撮像方法、画像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010B2 (ja) * 1993-08-09 2006-01-25 レガッタ リミテッド 解像度を向上した立体光学映像表示装置
JP3229824B2 (ja) 1995-11-15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H10174127A (ja) * 1996-12-13 1998-06-26 Sanyo Electric Co Ltd 立体表示方法および立体表示装置
US6762794B1 (en) * 1997-12-03 2004-07-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for stereoscope
JP3668116B2 (ja) 1999-09-24 2005-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眼鏡無し立体映像表示装置
US20080024598A1 (en) * 2000-07-21 2008-01-31 New York University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1113235B1 (ko) * 2004-11-29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9011B1 (ko) * 2006-09-15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EP2117117B1 (en) 2006-12-27 2016-08-10 Sharp Kabushiki Kaisha Modulation digital-analog converter,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v device
JP4946430B2 (ja) * 2006-12-28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80086110A (ko) * 2007-03-21 2008-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2차원/3차원 겸용 영상 표시장치
US8331023B2 (en) * 2008-09-07 2012-12-11 Mediatek Inc. Adjustable parallax barrier 3D display
KR101296900B1 (ko) * 2009-01-07 2013-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의 뷰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표시장치
CN101493595B (zh) * 2009-02-26 2011-01-05 福州华映视讯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095A (ja) 1997-09-05 1999-03-30 Fujitsu Ltd 画像表示装置
JP2008294530A (ja) 2007-05-22 2008-12-04 Fujifilm Corp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撮像方法、画像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1239A1 (en) 2011-03-03
JP2011053277A (ja) 2011-03-17
CN102006491A (zh) 2011-04-06
US8817369B2 (en) 2014-08-26
KR20110023842A (ko) 2011-03-08
JP5356952B2 (ja) 2013-12-04
CN102006491B (zh) 2014-07-09
TW201120479A (en) 2011-06-16
TWI443379B (zh)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2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109015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instrument
US1056774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thereof
TWI489147B (zh) 三維影像顯示裝置及三維影像處理方法
CN102098524B (zh) 跟踪式立体显示设备及跟踪式立体显示方法
TWI523493B (zh) 三維影像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5881732B2 (ja) 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852209B1 (ko) 자동입체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WO2010140332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H113429A (ja) 観察者トラッキング自動立体表示装置、画像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画像トラッキング方法
CN104054335A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自动立体显示器的方法
KR20150077973A (ko) 표시장치
JP4193342B2 (ja) 3次元データ生成装置
TWI524736B (zh) 三維影像顯示系統及其校正方法
TWI500314B (zh) A portrait processing device, a three-dimensional portrait display device, and a portrait processing method
US20140139427A1 (en) Display device
JP5143291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403010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45280B2 (ja) 撮像装置
KR20160081715A (ko) 2d 및 3d 겸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11016B1 (ko) 이미지 내에서 절대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8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8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8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2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