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4186B1 -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186B1
KR101244186B1 KR1020110001603A KR20110001603A KR101244186B1 KR 101244186 B1 KR101244186 B1 KR 101244186B1 KR 1020110001603 A KR1020110001603 A KR 1020110001603A KR 20110001603 A KR20110001603 A KR 20110001603A KR 101244186 B1 KR101244186 B1 KR 10124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anifold block
runners
nozzle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268A (ko
Inventor
유영목
Original Assignee
유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목 filed Critical 유영목
Priority to KR102011000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25Manifolds
    • B29C45/2727Modular manifolds; Connections between spaced manifol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2Multiple nozz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jection moulding of small-sized articles, e.g. microarticles, ultra thi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72Means for fixing the nozzle to th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91Alignment means between nozzle and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hot runner system)에 있어서, 노즐(nozzle)들과 매니폴드 블록(manifold block)이 조립체를 이루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runner)들이 형성되어 있고,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노즐들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 및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들이 안착되는 노즐시트(nozzle seat)들이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core plate);를 포함하며, 매니폴드 블럭, 노즐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노즐 플레이트 내부 및 노즐들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된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되고, 수지주입통로들은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런너들 및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cavity)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노즐들 내부의 수지주입통로들과 노즐시트들의 수지주입구멍들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 및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들이 형성되어 있고,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된 노즐코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매니폴드 블럭 및 노즐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노즐코어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수지주입통로들은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런너들 및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AN ASSEMBLY OF NOZZLE AND MANIFOLD BLOCK OF HOT RUNNER SYSTEM}
본 발명은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들과 매니폴드 블록이 조립체를 이루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있어서 콜드 런너 시스템(cold runner system)의 경우에는 금형 내 용융 수지의 유로인 런너 부위의 용융 수지가, 금형 내 제품을 성형하는 캐비티 내의 용융 수지와 함께 냉각 고화되고 성형된 제품과 함께 취출되어서, 취출된 성형제품으로부터 런너 부분을 제거하고, 제거된 런너 부분은 다시 재활용하게 된다. 이리하여 수지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고, 생산 공정 수 및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들이 있다. 이에 비해 핫 런너 시스템은 런너 부위의 용융 수지를 전기나 스팀 등을 이용하여 약 200℃~400℃로 가열하여, 항상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성형된 제품이 취출될 때 성형제품만 취출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 자동화가 용이하며,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들이 있어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핫 런너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제일 상부에는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1)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스페이서 플레이트(spacer plate)(2), 홀딩 플레이트(holding plate)(3) 및 캐비티 플레이트(cavity plate)(4)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클램핑 플레이트(1)와 홀딩 플레이트(3) 사이의 공간에는 매니폴드 블럭(5)이 설치되는데, 이들 모두는 체결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체결되어 고정측 금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매니폴드 블럭(5)의 하부에는 노즐(6)들이 장착되며, 매니폴드 블럭(5) 내부 및 노즐(6)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히터(7) 및 온도센서(8)가 설치된다.
가동측 금형(11)(도면상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이 고정측 금형에 밀착 접촉하면, 제품을 성형하는 캐비티(12)가 형성되고, 용융 수지가 노즐(6) 하단부의 밸브핀 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12) 내에 주입되게 된다.
한편, 노즐(6)의 몸체 중앙부에는 노즐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 안에는 밸브핀(9)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끔 삽입된다. 노즐(6)의 상부에는 밸브핀(9)을 작동하는 밸브핀 구동유닛(10)이 설치된다.
한편, 클램핑 플레이트(1)의 상부측에는 사출성형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용융 수지가 공급되는 로케이팅 링(14)이 장착되고, 로케이팅 링(14)을 통해 공급된 용융 수지는 매니폴드 블럭(5) 내의 런너부(13) 및 노즐(6) 내의 용융 수지 통로를 거쳐 캐비티(12) 내로 주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즐(6)에서는 노즐 내에 밸브핀(9)을 설치하고, 노즐 내의 용융 수지 통로 주위에 전기 히터(7) 및 온도센서(8)를 설치하기 때문에 노즐의 직경이 최소 10 mm 이상이 되어, 노즐(6)로부터 직접적으로 초소형 제품을 성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초소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하나의 노즐로부터 여러 개의 런너들을 분기하여 성형하는 경우에는, 성형 후 런너 부위의 수지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코어의 노즐 안착부에 대한 가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동시에 다량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다수 개의 노즐(6)들을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노즐 간의 거리, 즉 노즐의 피치를 극소화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주 작은 초소형의 제품을 사출성형할 수 있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비티 간의 피치, 즉 캐비티 간의 거리를 극소화하여 한번에 다량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hot runner system)에 사용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manifold block);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runner)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노즐(nozzle)들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 및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들이 안착되는 노즐시트(nozzle seat)들이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core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블럭, 상기 노즐 플레이트 및 상기 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상기 노즐 플레이트 내부 및 상기 노즐들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된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은 상기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상기 런너들 및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cavity)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들 및 상기 코어 플레이트의 노즐시트들 사이에는 갭(gap)이 있어서, 상기 노즐들 및 상기 노즐시트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들 내부의 수지주입통로들과 상기 노즐시트들의 수지주입구멍들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즐들과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서로 일체형로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노즐들이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조립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 및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된 노즐코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블럭 및 상기 노즐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상기 노즐코어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은 상기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상기 런너들 및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형성된 소형의 노즐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2 mm x 2 mm 크기의 아주 작은 소형의 제품을 사출성형할 수 있다.
- 노즐의 직경을 소형화함으로써, 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 간의 거리, 즉 캐비티 간의 피치를 극소화 시켜, 한번에 다량의 제품들 예컨대 350개 이상의 제품을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노즐 내에 종래의 밸브핀이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밸브핀 및 이를 구동하는 장치 및 여타의 가공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된다.
- 노즐과 매니폴드 블록이 조립체를 이룸으로써, 고정측 금형의 높이가 줄어들어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또한, 소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종래의 노즐 하나로부터 다수의 런너들을 분기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다수의 런너들을 생략할 수 있어서,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사출성형의 핫 런너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코어 플레이트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가 조립되기 전의 분해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는 매니폴드 블록(30), 노즐 플레이트(40) 및 코어 플레이트(50)를 포함하며, 이들은 체결볼트들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21) 및 스페이서/홀딩 플레이트(22) 내에 장착되어 고정측 금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 블록(30) 내에는 수지통로(33)가 형성되어 있고, 히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 플레이트(40)의 상면에는 용융 수지가 흘러갈 수 있는 런너들(42)이 형성되고, 런너들(42)의 하부에는, 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들(도 3의 100) 내로 용융 수지가 주입될 수 있게끔, 상기 런너들(42)과 연통하는 수지주입통로들(4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주입통로들(43) 단부에는 노즐들(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코어 플레이트(50)에는 상기 노즐들(41)이 안착될 수 있는 노즐시트들(nozzle seats)(51)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들(41)이 이들 노즐시트들(51) 내에 삽입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노즐 플레이트(40)는 체결볼트(44)에 의해 매니폴드 블럭(30)에 고정체결될 수 있고, 코어 플레이트(50)는 체결볼트(52)에 의해 노즐 플레이트(40) 및 매니폴드 블럭(30)에 고정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매니폴드 블럭 조립체는 체결볼트(32)에 의해 스페이서/홀딩 플레이트(22)에 고정체결될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하는 고정측 금형에 가동측 금형(80)이 밀착, 즉 형폐되면,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 사이에는 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들(100)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사출기(도시되지 않음)에서 클램핑 플레이트(21)에 장착된 로케이팅 링(23)을 통해 사출되는 용융 수지는 스프루(24), 매니폴드 블럭(30) 내의 수지통로(33), 런너들(42), 및 노즐 플레이트(60) 내에 형성된 수지주입통로들(43)을 통해 상기 캐비티들(100) 각각의 내부로 충진된다. 캐비티들(100) 내에 충진된 용융 수지가 고화되면, 가동측 금형(80)을 고정측 금형으로부터 이격시켜, 즉 형개하여,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한편, 매니폴드 블럭(30)에는 히터(31)가 설치되어 성형작업시 히터(31)를 항상 작동시킴으로써, 스프루(24), 매니폴드 블럭(30) 내의 수지통로(33), 런너들(42), 및 노즐 플레이트(60) 내에 형성된 수지주입통로들(43) 내의 수지를 항상 용융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캐비티(100) 내의 성형된 제품이 고화된 후 형개 시에는, 사출기(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수지공급 노즐을 차단함으로써, 용융 수지가 노즐들(41)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면상 원으로 표시한 부분은 노즐(41) 부위를 확대한 도면인데, 이를 참조하면, 노즐들(41) 내부에 형성된 수지주입통로들(43)과 코어 플레이트(50)의 노즐시트들(51)이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즉 노즐들(41)이 노즐시트들(51) 내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런너(42)를 통해 들어온 용융 수지가 노즐 플레이트(40) 내부에 형성된 수지주입통로들(43)을 통해 각각의 캐비티들(100) 내로 충진되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할 점은, 노즐 플레이트(40)의 노즐들(41) 외면과 코어 플레이트(50)의 노즐시트들(51) 내면 사이에는 약간의 갭을 주어, 노즐들(41)과 노즐시트들(5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쉽게 고화되는 수지의 경우, 수지주입통로들(43) 내의 용융 수지가 노즐시트들(51)을 통해 가동측 금형(80) 쪽으로 열을 빼앗겨 쉽게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도면상에는 예시적으로 2개의 런너들(42) 및 8개의 노즐들(41)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한 단면만을 나타낸 것으로, 금형의 길이방향으로, 즉 지면상 수직의 방향으로 여러 개의 런너들(42) 및 노즐들(41)의 열들이 배치될 수 있어서, 소형의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실제로 약 350개 이상의 제품을 동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가 조립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사출성형의 핫 런너 시스템에 비해 고정측 금형의 높이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바로 금형의 제작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들(41)과 노즐 플레이트(4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가공되어, 노즐들(41)과 노즐 플레이트(40)가 일체형으로 될 수 있으며, 또는 노즐들(41)만 별도로 가공하여, 예컨대 스크류 방식 등을 이용해서 노즐 플레이트(40)에 끼워 맞출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플레이트(60) 및 코어 플레이트(70)에 대한 도면인데,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런너(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노즐들(61) 내의 수지주입통로들(63)이 코어 플레이트(70)의 노즐시트들(71)의 중심과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여타의 내용들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렇게 편심되게 함으로써, 물성이 연한 수지의 경우 실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코어 플레이트(90)에 대한 도면인데, 도 3의 실시예에서의 노즐 플레이트(40) 및 코어 플레이트(50)가 하나의 노즐코어 플레이트(90)로 되고, 별도의 노즐들(41)이 없이 노즐코어 플레이트(90) 상면에 런너들(92)이 형성되고, 노즐코어 플레이트(90) 내에 여러 개의 수지주입통로들(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 노즐코어 플레이트(90)는 체결볼트(93)에 의해 매니폴드 블럭(30)에 고정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들(41) 및 노즐시트들(51)에 대한 가공비를 줄일 수 있으며, 노즐코어 플레이트(9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면, 예컨대 2 mm x 2 mmm 정도의 초소형 제품들을 성형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금형에 다량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한번에 다량의 제품을, 예컨대 350개 이상의 제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노즐 내에 설치되는 밸브핀 및 밸브핀 구동유닛이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금형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 내용은 본 발명의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클램핑 플레이트 2 : 스페이서 플레이트
3 : 홀딩 플레이트 4 : 캐비티 플레이트
5 : 매니폴드 블럭 6 : 노즐
7 : 히터 8 : 온도센서
9 : 밸브핀 10 : 밸브핀 구동유닛
11 : 가동측 금형 12 : 캐비티
13 : 런너부 14 : 로케이팅 링
21 : 클램핑 플레이트 22 : 스페이서/홀딩 플레이트
23 : 로케이팅 링 24 : 스프루
30 : 매니폴드 블럭 31 : 히터
32 : 체결볼트 33 : 수지통로
40 : 노즐 플레이트 41 : 노즐
42 : 런너 43 : 수지주입통로
44 : 체결볼트 50 : 코어 플레이트
51 : 노즐시트 52 : 체결볼트
60 : 노즐 플레이트 61 : 노즐
62 : 런너 63 : 수지주입통로
70 : 코어 플레이트 71 : 노즐시트
80 : 가동측 금형 90 : 노즐코어 플레이트
91 : 수지주입통로 92 : 런너
93 : 체결볼트 100 : 캐비티

Claims (7)

  1.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hot runner system)에 사용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manifold block);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runner)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노즐(nozzle)들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 및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들이 안착되는 노즐시트(nozzle seat)들이 형성된 코어 플레이트(core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블럭, 상기 노즐 플레이트 및 상기 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상기 노즐 플레이트 내부 및 상기 노즐들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된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은 상기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상기 런너들 및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cavity)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들 및 상기 코어 플레이트의 노즐시트들 사이에는 갭(gap)이 있어서, 상기 노즐들 및 상기 노즐시트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 내부의 수지주입통로들과 상기 노즐시트들의 수지주입구멍들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 내부의 수지주입통로들과 상기 노즐시트들의 수지주입구멍들은 서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과 상기 노즐 플레이트는 서로 일체형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은 상기 노즐 플레이트에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7.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히터 및 수지통로들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럭; 및
    상부에는 다수의 런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들 각각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수지주입통로들이 형성된 노즐코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블럭 및 상기 노즐코어 플레이트는 체결볼트들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상기 노즐코어 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은 상기 런너들과 연통되어, 용융 수지가 상기 런너들 및 상기 수지주입통로들을 통해, 제품이 성형되는 각각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며, 초소형의 제품들을 한번에 다량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KR1020110001603A 2011-01-07 2011-01-07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KR10124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603A KR101244186B1 (ko) 2011-01-07 2011-01-07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603A KR101244186B1 (ko) 2011-01-07 2011-01-07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268A KR20120080268A (ko) 2012-07-17
KR101244186B1 true KR101244186B1 (ko) 2013-03-25

Family

ID=4671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603A KR101244186B1 (ko) 2011-01-07 2011-01-07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736A (ja) * 1995-12-06 1997-08-26 Jobst Ulrich Gellert 射出成形装置
KR19990078677A (ko) * 1999-07-26 1999-11-05 유영희 하나의 히팅수단으로 다수의 주입노즐을 가열하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주입노즐
KR20020025172A (ko) * 2002-03-18 2002-04-03 허남욱 다수개의 노즐이 연결된 핫런너 시스템용 노즐
JP2002154137A (ja) 2000-11-20 2002-05-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736A (ja) * 1995-12-06 1997-08-26 Jobst Ulrich Gellert 射出成形装置
KR19990078677A (ko) * 1999-07-26 1999-11-05 유영희 하나의 히팅수단으로 다수의 주입노즐을 가열하도록 한 사출성형기용 주입노즐
JP2002154137A (ja) 2000-11-20 2002-05-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機
KR20020025172A (ko) * 2002-03-18 2002-04-03 허남욱 다수개의 노즐이 연결된 핫런너 시스템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268A (ko)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564B2 (en) Hot runner valve apparatus for an injection-molding machine
KR101154464B1 (ko) 밸브게이트식 3구형 핫런너노즐이 구비된 사출금형용 핫런너시스템
CN202137913U (zh) 一模多穴注塑模具
KR101824486B1 (ko) 금형의 3차원 급속 가열 냉각구조 및 그 방법
CN105799124A (zh) 一种液态硅胶注射模具冷流道装置
US20050233028A1 (en) Injection molding valve gate system and activating mechanism
CN208118343U (zh) 一种热流道注塑模具
KR101244186B1 (ko) 핫 런너 시스템의 노즐 및 매니폴드 블록 조립체
CN108883560B (zh) 注塑模具
KR20120083617A (ko) 게이트 절단 방식의 핫 런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101252574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JP5496649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装置
KR20120095162A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복수 개의 수지통로들을 지닌 복수 유로 조립형 노즐
KR101639501B1 (ko) 사출 성형용 금형
JP5374569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11136515A5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装置
KR20150006611A (ko) 이중 탠덤 금형장치
KR101229828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조립형 노즐
CN108372633A (zh) 一种热流道注塑模具
CN213382741U (zh) 一种半导体封装注塑模具
CN217495099U (zh) 一种滑梭片注塑成型模具
EP3037240A1 (en) Injection mold for the production of a family of products
CN220548611U (zh) 双倾斜式主流道注塑模具
KR102579799B1 (ko) 핫 러너 금형 시스템
JP7547591B2 (ja) 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