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646B1 -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 Google Patents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2646B1 KR101242646B1 KR1020110010068A KR20110010068A KR101242646B1 KR 101242646 B1 KR101242646 B1 KR 101242646B1 KR 1020110010068 A KR1020110010068 A KR 1020110010068A KR 20110010068 A KR20110010068 A KR 20110010068A KR 101242646 B1 KR101242646 B1 KR 101242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tube
- cap
- brake booster
- booster
- vacu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관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와 부스터 내부를 통기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정압실과 연통하도록 케이싱에 설치된 진공관에 결합되는 진공관용 캡으로서, 캡은 진공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내부면에 진공관의 개방된 선단면 및 외주면과 일부분이 밀착되도록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캡의 내부와 진공관 사이를 통하여 정압실과 외부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for a vacuum tube of a brake booster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terior of the vacuum tube and allow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booster to be vented.
The cap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for a vacuum tube which is coupled to a vacuum tube installed in the cas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of the brake booster, the cap is coupled to surround an open end of the vacuum tube, I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jecting toward the insi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front end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made in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and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ior and the vacuum tube of the cap is not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관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와 부스터 내부를 통기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for a vacuum tube of a brake boo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for a vacuum tube of a brake booster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a vacuum tube and allow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booster to be vented.
일반적으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는 진공과 대기와의 기압차이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이 제동력을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하여 제동유압을 형성한다.In general, a vehicle brake booster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large braking force with a small force by us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vacuum and the atmosphere, and transmits this braking force to the master cylinder to form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이러한 종래의 브레이크 부스터는 전방셀과 후방셀로 이루어진 케이싱과,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연동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작동에 따라 변위의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 등으로 크게 이루어지고, 케이싱 내부는 다이아프램과 동력피스톤에 의해서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된다.The conventional brake booster is composed of a casing composed of a front cell and a rear cell, an input shaft interlocked by a brake pedal, an output shaft receiving displacement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shaft, and the inside of the casing has a diaphragm and a power. The piston is divided into a constant pressure chamber and a transformer chamber.
정압실은 항상 진공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부스터가 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정압실 공기가 차량 엔진의 에어 흡입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빠져나가도록 진공호스와 연결되는 진공관이 케이싱에 마련된다.The constant pressure chamber must be constantly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so that the booster can perform this function smoothly. A vacuum tube connected to the vacuum hose is provided in the casing so that the constant pressure chamber air is releas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intake device of the vehicle engine. .
즉, 진공관은 정압실 내부와 진공호스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일단부는 부스터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진공호스 단부와 연결되어 차량 엔진이 구동하면 진공호스와 진공관을 통해 정압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압실은 항상 진공상태로 유지된다.That is, the vacuum tube is connected to the casing of the booster so that the inside of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ho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acuum hose so that when the vehicle engine is driven, air in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vacuum hose and the vacuum tube. By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constant pressure chamber is always kept in vacuum.
이와 같이 진공관이 설치된 브레이크 부스터를 차량에 장착하는 조립공정 이전에 진공관을 통해 이물질이 부스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관을 밀봉시키는 캡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 cap is installed to seal the vacuum tube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booster through the vacuum tube before the assembly process of mounting the brake booster having the vacuum tube installed on the vehicle. The description is as follow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C)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내주면이 진공관(3)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 또는 그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C)은 탄성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져 진공관(3)을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and 2, the cap (C)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is made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vacuum tube (3) or smaller than that. This cap (C) is made to have an elastic material serves to seal the vacuum tube (3).
이때, 진공관(3)은 정압실(2)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그 일단부(3a)가 실링부재(5)와 함께 긴밀하게 케이싱(1)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3b)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이에 캡(C)이 진공관(3)의 타단부(3b)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진공관(3)을 밀폐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one
그러나, 이러한 캡(C)이 설치된 브레이크 부스터를 차량에 조립시, 조립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스터의 강제 작동이 발생할 경우 부스터 내부의 정압실(2)의 공기가 진공관(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힘이 가해진 역방향으로 즉, 부스터 내부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부스터 내부의 단품, 예컨대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when assembling the brake booster having the cap C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forced operation of the booster that may occur in the assembly process occurs, the air i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진공관을 밀봉하는 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스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와 부스터 내부를 통기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ap sealing the vacuum tub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booster of the brake booster that can vent the outside and the booster insid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ap for a vacuum tu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정압실과 연통하도록 케이싱에 설치된 진공관에 결합되는 진공관용 캡으로서, 캡은 진공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내부면에 진공관의 개방된 선단면 및 외주면과 일부분이 밀착되도록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캡의 내부와 진공관 사이를 통하여 정압실과 외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cap of the brake boo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for the vacuum tube is coupled to the vacuum tube installed in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of the brake booster, the cap is coupl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vacuum tube, Its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in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end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and the outside communicates between the interior of the cap and the tube is not formed projections; .
바람직하게, 캡은, 그 내부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1커버; 및 제1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진공관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확장 형성된 제2커버;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cap comprises: a first cover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ver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and exten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바람직하게, 돌기부는 진공관의 개방된 선단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평돌기와, 진공관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직돌기를 구비하고, 각각의 수평돌기와 수직돌기는 서로 한 쌍으로 짝지어져 일체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proj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open front end surface of the vacuum tub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and each horizontal projection and the vertical projections are paired with each other to be integrally formed.
바람직하게, 복수의 돌기들은 상호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to b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은 진공관을 보호하며 부스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캡 내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부 사이에서 외부와 연통하는 통기성을 갖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이 조립된 상태에서 부스터가 작동하더라도 부스터 내부의 역방향으로 힘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부스터 내부 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cap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vacuum tube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booster, and also has a projection inside the cap to provide ventilation between the projection and the outside. Accordingly, even if the booster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cap is assembled, no force is gen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booster,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booster, thereby ensuring assembly.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진공관용 캡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진공관용 캡과 진공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이 마련된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과 진공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을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p for a vacuum tub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nventional vacuum tube cap and a vacuum tube.
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ake booster provided with a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vacuum tube cap and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cap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ap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이 마련된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p for a vacuum tube of a brake boo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ake booster provided with a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100)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스터의 내부와 외부가 통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캡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을 설명하기 앞서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전방셀(11)과 후방셀(12)이 밀폐 결합된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 내부를 정압실(20)과 변압실(30)로 구획하는 동력피스톤(41) 및 다이아프램(40)과, 변압실(30) 및 정압실(20)로의 공기 유로를 제어하는 밸브본체(50)와, 이 밸브본체(50)를 작동시키는 입력축(51)과, 배가된 힘을 전달받는 출력축(54)을 갖추고 있다.The brake booster includes a
밸브본체(50)에는 정압실(20)과 변압실(30)을 연통시키는 정압통로(52)와, 외기와 변압실(30)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전방셀(11)의 일측 외벽에는 정압실(20)과 차량 엔진의 에어 흡입장치(미도시)를 연통시키기 위한 진공관(60)이 설치되며, 정압실(20) 내에는 다이아프램(40)과 동력피스톤(41) 및 밸브본체(5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1)이 설치된다.In addition, one outer wall of the
진공관(60)은 90도 절곡된 엘보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의 일단(61)은 정압실(20)과 연통되도록 케이싱(10) 즉, 전방셀(11)에 설치되며, 이의 타단(62)은 엔진의 에어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진공호스(미도시)와 결합된다.The
또한, 진공관(60)의 일단(61)과 전방셀(11) 사이에는 실링부재(70)가 마련되어 진공관(60)과 전방셀(11)의 결합된 부분을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sealing
이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부스터는 차량 엔진의 에어 흡입장치에 의해 정압실(20)과 변압실(30)이 진공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밟으면 입력축(51)이 전진하여 밸브본체(50)를 통해 외부공기가 변압실(30)로 유입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차압에 의해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작동 가능한 다이아프램(40)과 동력피스톤(41)이 정압실(20) 측으로 밀리며, 이것에 의해 입력보다 증폭된 출력이 출력축(51)을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 어셈블리(미도시)로 전달되어 제동유압이 발생된다.In the brake boo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복원스프링(21)과 동력피스톤(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입력축(51)이 복원된다. 아울러, 변압실(30) 공기는 정압통로(52)를 통해 빠져나가 브레이크 부스터가 초기상태로 된다.When the foot is released from the brake pedal,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부스터를 차량에 조립시, 진공관(60)이 진공호스(미도시)와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외부의 이물질이 진공관(60)을 통해 부스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을 설치하였다. 이때, 캡은 외부의 이물질이 진공관(6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스터의 강제 작동에 의해 부스터 내부의 공기가 진공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야 한다.When assembling the brake boos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다단으로 단차진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관용 캡(100)은 진공관(60)의 개방된 단부인 타단(62)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커버(110)와, 상기 제1커버(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커버(120) 및, 상기 제1커버(110) 내부면에 형성된 돌기부(130)를 구비한다.Thus, the
제1커버(110)는 진공관(60)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며 내부면에 형성된 돌기부(130)에 의하여 진공관(60)과 일정간격 이격된다.The
제2커버(120)는 제1커버(110)의 끝단부로부터 진공관(6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부스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진공관용 캡(100)을 설치시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The
돌기부(130)는 진공관(60)의 개방된 선단면 및 외주면과 일부분이 밀착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돌기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캡(100)의 내부와 진공관(60) 사이를 통하여 정압실(20)과 외부가 연통되게 된다. 즉, 돌기부(130)는 진공관(60)의 개방된 선단면과 외주면 전체에 밀착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정압실(20)의 공기가 돌기부(130)와 진공관(60) 사이에 마련된 틈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가 돌기부(13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낸다.As the
또한, 캡(100)은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진공관(60)의 타단(62)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은 부스터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돌기부(130)의 일 예로서, 돌기부(130)는 진공관(60)의 개방된 선단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평돌기(131)와, 진공관(60)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직돌기(132)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수평돌기(131)와 수직돌기(132)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각각의 수평돌기(131)와 수직돌기(132)는 서로 한 쌍으로 짝지어져 일체로 이루어진다. 즉, 수평돌기(131)는 제1커버(110)의 진공관(60)의 개방된 선단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수직돌기(132)는 제1커버(1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As an example of the
한편, 도시된 바에 의하면, 3개의 수평돌기(131)와 3개의 수직돌기(132)가 서로 짝지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들(131)(132)은 상호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즉, 수평돌기(131)는 제1커버(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며, 이 수평돌기(131)에 각각의 수직돌기(132)가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three
이와 같은 돌기부(130)는 진공관(60)과 밀착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제1커버(110)의 내부와 진공관(60)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이 틈을 통해 부스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부스터를 차량에 조립시 강제 작동에 의하여 부스터 내부의 공기가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캡(100)과 진공관(60) 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어 부스터의 작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힘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부스터 내의 부품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에서 돌기부(130)가 3개의 수평 및 수직돌기(131)(132)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요구 또는 원하는 통기성에 따라 돌기들(131)(132)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 돌기들(131)(132)의 배치 위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컨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진공관용 캡(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For example, Fig. 6 shows the structure of a cap 100 'for a vacuum tub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은 제1커버(110) 및 제1커버(110)로부터 확장 형성된 제2커버(120)를 구비한다. 이때, 제1커버(110) 내부면에 돌기부(130')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부(130')는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4개의 수평돌기(131') 및 수직돌기(132')를 갖도록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러한 각 수평돌기(131') 및 수직돌기(132')는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서로 한 쌍으로 짝지어져 형성된다. 또한, 이 돌기들(131')(132') 사에는 부스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공관용 캡(100")의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The structure of the cap for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은 제1커버(110) 및 제1커버(110)로부터 확장 형성된 제2커버(120)를 구비한다. 이때, 제1커버(110) 내부면에 돌기부(130")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부(130")는 2개의 수평돌기(131") 및 수직돌기(132")를 갖도록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러한 각 수평돌기(131") 및 수직돌기(132")는 서로 짝지어져 형성되는데, 이때 짝지어진 한 쌍의 수평돌기(131")와 수직돌기(132")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돌기(131")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형상이 대략 반원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돌기(132")는 호형상을 가지며 제1커버(1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 및 수직돌기 (131")(132")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배출된다.Each of the
여기서, 화살표는 공기가 돌기부(13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낸다.Here, the arrow indicates a flow in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a gap formed between th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관용 캡(100)(100')(100")은 부스터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그 내부면에 돌기부(130)(130')(130")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스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100', 100" : 진공관용 캡
110 : 제1커버
120 : 제2커버
130, 130', 130" : 돌기부
131, 131', 131" : 수평돌기
132, 132', 132" : 수직돌기100, 100 ', 100 ": Cap for Vacuum Tube
110: first cover
120: second cover
130, 130 ', 130 ": protrusion
131, 131 ', 131 ": horizontal protrusion
132, 132 ', 132 ": vertical protrusion
Claims (4)
캡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진공관의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그 내부면에 진공관의 개방된 선단면 및 외주면과 일부분이 밀착되도록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돌기부는 진공관의 개방된 선단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평돌기와, 진공관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수직돌기를 구비하며,
각각의 수평돌기와 수직돌기는 서로 한 쌍으로 짝지어져 일체로 이루어져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캡의 내부와 진공관 사이를 통하여 정압실과 외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In the cap for the vacuum tube coupled to the vacuum tube installed in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pressure chamber of the brake booster,
The cap is coupl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vacuum tub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end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on its inner surface,
The projection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open end surface of the vacuum tube, a plurality of vertical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ojections are paired with each other to form a pair of vacuum caps of the brake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itive pressure chamber and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ior and the vacuum tube of the cap is not formed.
캡은,
그 내부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제1커버; 및
제1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진공관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확장 형성된 제2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is
A first cov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nd a second cover extending from the first cover and exten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cuum tub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복수의 돌기들은 상호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관용 캡.The method of claim 1,
Caps for the vacuum tube of the brake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n equal interv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068A KR101242646B1 (en) | 2011-02-01 | 2011-02-01 |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068A KR101242646B1 (en) | 2011-02-01 | 2011-02-01 |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9008A KR20120089008A (en) | 2012-08-09 |
KR101242646B1 true KR101242646B1 (en) | 2013-03-19 |
Family
ID=4687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068A Active KR101242646B1 (en) | 2011-02-01 | 2011-02-01 |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264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069B1 (en) * | 2003-02-11 | 2004-04-29 | 권만현 | Vacc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
-
2011
- 2011-02-01 KR KR1020110010068A patent/KR1012426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069B1 (en) * | 2003-02-11 | 2004-04-29 | 권만현 | Vacc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9008A (en) | 201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54938A (en) | Suction pressure responsive valve device | |
KR20110109520A (en) | Power cylinder of brake booster | |
KR101242646B1 (en) | Cap for vacuum pipe of brake booster | |
KR100957507B1 (en) | Pneumatic Valves for Braking Systems | |
KR920006887Y1 (en) | Sealing device of brake booster | |
CN102029993B (en) | Brake for vehicle | |
JP5617815B2 (en) | Negative pressure booster | |
JP6330730B2 (en) | Negative pressure booster | |
KR100931086B1 (en) | Car brake booster | |
KR100383580B1 (en) | Center plate sealing device of tandem booster for car | |
KR100358737B1 (en) | Vacuum connection pipe for vehicle brake booster | |
US9944264B2 (en) | Balance valve and vacuum booster | |
JP6387564B2 (en) | Pneumatic booster | |
US4147091A (en) | Fluid pressure servomotor | |
JP6387975B2 (en) | Negative pressure booster | |
KR100594613B1 (en) | Automotive brake booster with vacuum connection pipe | |
KR100771014B1 (en) | Vehicle booster with return spring | |
KR100358736B1 (en) | Vacuum connection pipe for vehicle brake booster | |
KR20110125141A (en) | Tandem type brake booster | |
KR100774131B1 (en) | Car brake booster | |
KR20050105303A (en) | Brake booster for vehicle | |
KR20100078076A (en) | Brake booster with vacuum coupling pipe | |
KR20110134020A (en) | Tandem Brake Booster | |
JP5446583B2 (en) | Negative pressure booster | |
KR20000002271U (en) | Vacuum connection pipe for vehicle brake boo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