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0407B1 -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07B1
KR101240407B1 KR20100128223A KR20100128223A KR101240407B1 KR 101240407 B1 KR101240407 B1 KR 101240407B1 KR 20100128223 A KR20100128223 A KR 20100128223A KR 20100128223 A KR20100128223 A KR 20100128223A KR 101240407 B1 KR101240407 B1 KR 10124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isposable
gripper
disposable cup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00128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6885A (en
Inventor
황달연
김선혜
문대환
박송훈
유미나
김봉은
윤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12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07B1/en
Publication of KR2012006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0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거함을 포함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기구부;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부는 컵 본체를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 및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며, 상기 컵홀더부에 고정된 컵 본체로부터 부속물을 분리시켜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그립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립배출장치는 완전자동화된 기계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리 배출 주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자동공급부를 통해 여러 개의 일회용 컵을 투입하여도 순차적으로 처리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up separate discharge devic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charg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ection boxes for col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respectively; And a mechanism unit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unit to automatical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into the plurality of collectors, respectively, wherein the mechanism unit comprises one or more cup holder portions and the cups to fix the cup body. Corresponding to the hold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per for separating the accessory from the cup body fixed to the cup holder to move and discharge the plurality of collection bins.
Disposable cup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ully automatic machine configuration, not only short separation discharge cycle, but also sequentially processed even if a plurality of disposable cups are put through the automatic supply,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Can be.

Description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본 발명은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컵의 잔류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포함한 구성물을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을 가진 구성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having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contents, such as the remaining beverage of the disposable cup, while effective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omponents having different materials It relates to a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 테이크 아웃점이 일회용품의 사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테이크 아웃(Take-out)은 음식을 주문, 포장해서 갖고 나간다는 뜻이다. 1999년 커피에서 시작된 테이크 아웃 붐은 퓨전요리를 넘어 설렁탕, 순대국, 비빔밥 등 포장이 힘든 음식물로도 확대되고 있다.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nd the national income rises,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creases rapidly.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akeout stores that have grown rapidly in the world unprecedentedly are increasing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Take-out means ordering, packing and taking food out. The take-out boom, which began in 1999 in coffee, is expanding beyond fusion dishes to foods that are difficult to pack such as Seolleongtang, Sundae Soup and Bibimbap.

테이크 아웃은 단시간에 다양한 메뉴를 간편하게 즐기고 싶어하는 젊은층에게 음식문화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커피의 경우, 커피숍과 같은 지정된 자리에 앉아서 마시는 것보다 이동 중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풍은 일회용품 사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Takeout has emerged as the mainstream of the food culture for young people who want to enjoy various menus in a short time. In particular, take-out coffee shops are growing rapidly because coffe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and easily drink coffee on the go rather than sitting at a designated place such as a coffee shop. However, this hot air causes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disposable products.

올 일회용컵 사용량만 해도 2억8600만개로 연간 생활폐기물 발생의 3분의 1일이 일회용품이다. 이를 수거, 처리하는 비용 또한 연간 수백억원에 달한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커피에 사용되는 일회용컵의 경우, 컵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빨대, 먹고 남은 잔유물 등 구성이 다양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쓰지 않는 이상 각각의 구성물이 정확하게 분리 배출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일회용 컵의 분리, 배출이 안될 경우 기존의 분리, 배출에 드는 비용과 시간, 노력이 배가 되며, 2차적인 환경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The amount of all disposable cups alone is 286 million, which is one-third of daily household waste. The cost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this amounted to several billion won per year.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posable cups used for take-out coffee, not only the cup but also a cover for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overflowing, straws for sucking the contents, residues left over, and so on. It is very difficult to discharge this correctly separated. As such, when the disposable cup is not separated or discharged, the cost, time, and effort of the existing separation and discharge are doubled, and a secondary environmental problem occurs.

한편, 테이크아웃용 일회용컵을 분리 배출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 내에 손님이 먹은 일회용 컵을 직접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곳도 있으나, 이는 손님이 분리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 직원들이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잔유물 미처리로 인한 미관상 및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직원이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take-out disposable cup is being performed by hand. Some take-out coffee shops have a place where guests can throw away their disposable cups directly, but this is not only a hassle that employees have to separate again if they throw it away, but also aesthetic and hygiene problems caused by untreated residue. This will occu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effort is required even if the staff separate and discharg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having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disposable cups that can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while effective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ompon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It is to provide a separate discharge devic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거함을 포함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기구부;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부는 컵 본체를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 및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며, 상기 컵홀더부에 고정된 컵 본체로부터 부속물을 분리시켜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그립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posable cup dispensing apparatus, the discharg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ection boxes for collect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mechanism unit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unit to automatical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into the plurality of collectors, respectively, wherein the mechanism unit comprises one or more cup holder portions and the cups to fix the cup body. Corresponding to the hold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per for separating the accessory from the cup body fixed to the cup holder to move and discharge the plurality of collection bins.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상기 기구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일회용 컵이 놓여지면 자동으로 상기 컵홀더부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이 이동하는 동안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가이드; 및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된 일회용 컵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컵을 밀어주는 전송암;을 구비하는 자동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echanism portion, the conveyor belt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cup holder when the disposable cup is placed; A guid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belt to help keep the path away while the disposable cup is moving; And a transfer arm which is movabl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cup holders, and pushes the disposable cup so that the disposable cup moved to the conveyor belt can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art from the conveyor bel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supply unit provided.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암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전송암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부분이 전송암을 가릴 수 있는 덮개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 the transfer arm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guide, the guide is a cover plate that can cover the transfer arm portion exte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rm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s.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놓여진 일회용 컵이 인식되면 상기 컵홀더부의 위치로 상기 일회용 컵을 이송하고, 상기 전송암을 이용하여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automatic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belt, the recognition of the disposable cup placed on the conveyor belt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Preferably, the disposable cup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cup holder and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by using the transmission arm.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은 반사형 포토센서 및 투과형 포토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preferably one of a reflective type photoelectric sensor and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의 그립퍼부는 한 쌍의 그립퍼암;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그립퍼암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그립퍼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의 덮개를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는 한 쌍의 덮개그립퍼;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리니어 모션 모터(linear motion motor);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그립퍼암이 각각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연결되는 제1 양방향 볼스크류;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의 각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퍼암이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 쌍의 제1 LM가이드(linear motor guide); 및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을 X축 또는 Z축으로 이동시키는 XZ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1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gripper portion of the mechanism portion a pair of gripper arms; A pair of cover grippers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gripper arms such that the concave surfaces face each other, and separately discharging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from the disposable cup by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rm; A first fixing plate; A first linear motion motor dispo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A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having a symmetrical thread groove form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and having a pair of gripper arms respectively disposed at positions of the opposite thread grooves,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A pair of first linear motor guides dispo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pair of gripper arms to help the gripper arms move st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XZ stage disposed at a rear surface of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to move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to an X-axis or a Z-axis, wherein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to drive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pair of gripper arms by rotating.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그립퍼암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한쌍의 덮개그립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의 빨대를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는 한 쌍의 빨대그립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gripper por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gripper arms, disposed on the pair of cover grippers, the straw of the disposable cup from the disposable cup by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rm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pair of straw grippers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빨대그립퍼는 마주보는 일면 각각을 강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the pair of straw grippers a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is formed of a rigid body.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빨대그립퍼는 마주보는 일면 각각을 금속, 세라믹, 목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pair of straw grippers a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opposite surfaces formed of any one of metal, ceramic, wood.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그립퍼부를 구비하되, 상기 그립퍼부의 제1 고정판, XZ 스테이지 및 제1 양방향 볼스크류는 일체로 형성되고, 하나의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includes one or two or more grippers disposed in a line, wherein the first fixing plate, the XZ stage, and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of the gripper are integrated. It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driven by one of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덮개그립퍼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유연성을 갖는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 the pair of cover grippers are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ach of the concave surfaces facing each other.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덮개그립퍼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고무판,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pair of cover grippers are preferably formed with one of rubber plates and styrofoam each of the concave surfaces facing each other.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는 한 쌍의 컵홀더암; 일회용 컵을 감쌀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컵홀더암 각각의 일단면에 장착되고, 상기 컵홀더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한 쌍의 컵홀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리니어 모션 모터(linear motion motor);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컵홀더암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에 연결되는 제2 양방향 볼스크류; 상기 제2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컵홀더암의 각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컵홀더암이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 쌍의 제2 LM가이드(linear motor guide); 및 상기 제2 고정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2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cup holder portion a pair of cup holder arm; A pair of cup holders mounted on one end surface of each of the cup holder arms such that one surface formed concave so as to surround the disposable cup, and fixed or detachable by the movement of the cup holder arm; Second fixing plate; A second linear motion motor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A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formed with symmetrical thread grooves in a symmetrical direction to place a pair of cup holder arms at positions of the thread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A pair of second linear motor guide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pair of cup holder arms to stably move the cup holder arm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otation part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fixing plate to rotate the second fixing plate, wherein the second linear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to rotate the pair of cup holder arm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is adjusted.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컵홀더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유연성을 갖는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pair of cup holders a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oncav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of a complianc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컵홀더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고무판,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pair of cup holders a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oncav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s formed of any one of rubber plates and styrofoam.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cup holders arranged in a line.

전술한 특징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다수 개의 수거함은 빨대배출함; 덮개배출함; 컵배출함; 및 잔여물배출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isposable cup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the plurality of bins of the discharge portion is discharged straw; Cover discharge box; Cup discharged; And residue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립배출장치는 완전자동화된 기계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분리 배출 주기가 짧을 뿐만 아니라, 자동공급부를 통해 여러 개의 일회용 컵을 투입하여도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사용 대기 시간이 짧아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Disposable cup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ully automatic machine configuration, not only short separation discharge cycle, but also sequentially processed even if a plurality of disposable cups are put through the automatic supply, the user's standby time is short The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각기 다른 재질의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각각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그 중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컵은 정렬 배출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차적인 인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s of different materials, respectively, the cup that occupies a lot of volume by aligning and discharging to minimize the volume, the user is secondary It has the advantage of not was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리니어모션모터 및 양방향 볼 스크류를 이용함으로써, 다수 개의 그립퍼를 간단한 기계 구조에 의해 동작시킬 수 있고, 간단한 기계 구조 사용으로 장치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linear motion motor and a bidirectional ball screw,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 plurality of grippers by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by using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배출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가 다수 개 형성되었을 때 하나의 리니어모션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자동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ure 1 shows a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perspective view.
2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par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perspective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chanism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a single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when a plurality of grippers are formed 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par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supply uni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기구부(10) 및 배출부(20)를 구비하고, 자동공급부(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Figure 1 shows a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perspective view. Referring to FIG. 1,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chanism part 10 and a discharge part 20, and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supply part 30.

상기 배출부(20)는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거함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배출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에 사용되는 일회용 컵의 경우, 컵 본체, 내용물이 바깥으로 넘치지 않도록 컵 입구에 배치되는 덮개, 빨대 및 먹고 남은 잔여물이 일회용 컵의 구성물이 된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은 덮개배출함(200), 컵배출함(230) 및 잔여물배출함(250) 등을 구비한다. 또한, 분리수거를 해야할 구성물이 늘어나면, 상기 배출부의 다수 개의 수거함의 갯수를 늘려 사용하게 된다.
The discharge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llection boxes for separately col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2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par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perspective view. In general, in the case of a disposable cup used for take-out, the cup body, a cover disposed at the cup inlet so that the contents do not overflow outwards, a straw, and the leftovers of the edible remain a constituent of the disposable cup.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 the plurality of collection boxes includes a cover discharge bin 200, a cup discharge bin 230, and a residue discharge bin 250.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components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increas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bins of the discharge portion is increas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기구부(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구부(10)는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시킨다. 즉, 상기 기구부(10)는 컵 본체를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150) 및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며, 상기 컵홀더부에 고정된 컵 본체로부터 부속물을 분리시켜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그립퍼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분리배출하게 된다. Hereinafter, the mechanism part 10 is demonstrat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chanism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echanism part 10 is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art to automatical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into the plurality of collection bins, respectively. That is, the mechanism part 10 corresponds to one or more cup holder parts 150 and the cup holder part for fixing a cup body, and separates the accessories from the cup body fixed to the cup holder part. By having a gripper portion 100 to move to discharge to,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is automatically separated and discharged into the plurality of collectors.

상기 컵홀더부(150)는 상기 배출부의 컵배출함에 대응되는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퍼부(100)는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상부에 배치되되, X축 및 Z축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컵 본체로부터 부속물을 분리시켜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킨다.
The cup holder 150 is dispos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cup of the discharge portion, the gripper 10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portion,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X-axis and Z-axis To separate the appendages from the cup body to be moved out of the plurality of bins.

먼저, 그립퍼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the gripper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퍼부(100)는 한 쌍의 그립퍼암(101), 한 쌍의 덮개그립퍼(102), 제1 고정판(103), 제1 리니어모션모터(104), 제1 양방향 볼스크류(105), 한 쌍의 제1 LM 가이드(106) 및 XZ스테이지(107,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gripper unit 100 includes a pair of gripper arms 101, a pair of cover grippers 102, a first fixing plate 103, a first linear motion motor 104, and a first bidirectional direction. A ball screw 105, a pair of first LM guides 106 and an XZ stage 107 (see FIG. 3) are provided.

상기 덮개그립퍼(1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한 쌍의 그립퍼 암 일측에 각각 장착되되,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장착된다.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은 대부분 원형으로 형성되는 일회용 컵의 덮개를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덮개그립퍼의 일면을 유연성을 갖는 고무판, 스티로폼과 같은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덮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일회용 컵의 본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The cover gripper 102 is made up of a pair,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gripper arms, respectively, so that one surface of the cover gripper 102 faces each other. One side of the concave is formed so as to effectively hold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which is most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by forming one surface of the cover gripp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lexible rubber plate, styrofoa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cure the cover without slipping from the main body of the disposable cup by fixing the cover.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linear motion motor, 104)는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리니어모션모터(linear motion motor)는 선형운동을 직접 구현하는 리니어모터나 볼 또는 리드스크류에의해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는 모듈을 포함한 스텝모터/DC모터/AC모터등의 회전구동모터를 의미한다.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104 is disposed above the first fixing plate. Here, the linear motion motor is a linear drive motor such as a stepper motor / DC motor / AC motor including a linear motor that directly implements linear motion or a module that converts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by a ball or lead screw. Means.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104)에 연결되는 제1 양방향 볼스크류(105)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그립퍼 암이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볼스크류는 리드스크류로 대체가능하며, 이하 볼스크류로 명칭을 통일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양방향 볼스크류(105)는 서로 반대방향을 갖는 나사홈이 대칭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양방향 볼스크류가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1 양방향 볼스크류에 배치된 한 쌍의 그립퍼암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그립퍼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그립퍼나 대상물체의 컴플라이언스를 이용하여 힘/토크 센서와 같이 복잡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그립핑(gripping)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105 connected to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104, screw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are formed symmetrically, and a pair of gripper arms are disposed at positions of the screw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 Here, the ball screw can be replaced by a lead screw,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to the ball screw. Since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105 is symmetrically designed with screw grooves having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105 is disposed on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when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is rotated by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A pair of gripper arms are moved horizontally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pair of gripper arms can move away from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can be adjusted, and with such complex equipment as a force / torque sensor using the gripper or the compliance of the target object. Gripping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이때, 상기 그립퍼암(101)이 안정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의 각 타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LM가이드(linear motor guide)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LM가이드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또는 흔들림을 극복하고, 상기 그립퍼암(101)이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gripper arm 101 is dispo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so as to stabl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ir of first linear motor guides connected to each other side of the pair of gripper arms Equipped. In other words, the first LM guide serves to overcome the vibration or shaking that may occur due to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and to help the gripper arm 101 to stably move horizontally.

상기 XZ 스테이지(107)는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을 X축 또는 Z축으로 이동시킨다.
The XZ stage 107 is disposed behind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to move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in the X-axis or Z-axis.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립퍼부(100)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면, 연결된 제1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하고, 상기 제1 양방향 볼스크류에 배치된 그립퍼암이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덮개를 잡거나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XZ 스테이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을 포함하는 그립퍼부는 상기 덮개를 일회용 컵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부의 덮개배출함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덮개배출함으로 상기 덮개를 분리배출하게 된다. In the gripper par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the connected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rotates, and the gripper arm disposed on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By horizontall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ver can be held or placed. In addition, the gripper part including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by the XZ stage, separates the cover from the disposable cup body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cover discharge box of the discharge part, and separates the cover by discharging the cover. do.

상기 그립퍼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퍼부의 제1 고정판, XZ 스테이지 및 제1 양방향 볼스크류는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그립퍼부 갯수는 다음에 설명할 컵홀더부의 갯수에 대응되어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가 다수 개 형성되었을 때 하나의 리니어모션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그립퍼부(100)에 구비된 각각의 제1 양방향 볼스크류(105)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마지막 양방향 볼 스크류의 일측에 제1 리니어모션모터가 연결되어 구동함으로써, 다수 개의 제1 양방향 볼스크류를 한번에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그립퍼부를 동작시켜, 한번에 여러 개의 일회용 컵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The gripper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arranged in a line.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late, the XZ stage, and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of the gripper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to be driven by one first linear motion motor. The number of gripper portions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up holder portions to be described later. 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a single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when a plurality of grippers are formed 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each of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s 105 provided in one or more gripper parts 1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tegrally formed, and a first linear motion moto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ast bidirectional ball screw. By being connected and driven, the plurality of first bidirectional ballscrews are rotated at once.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grippers are operated by using one first linear motion motor, so that several disposable cups can be separated at a time.

다음, 컵홀더부(1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cup hold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컵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부(150)는 한 쌍의 컵홀더암(151), 한 쌍의 컵홀더(152), 제2 고정판(153), 제2 리니어모션모터(154), 제2 양방향 볼스크류(155), 제2 LM가이드(156) 및 회전부(157)를 구비하고, 물막이(158) 및 지지대(159)를 더 구비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holder par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6, the cup holder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cup holder arms 151, a pair of cup holders 152, and a second fixing plate 153. And a second linear motion motor 154, a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155, a second LM guide 156, and a rotation part 157, and may further include a water barrier 158 and a support 159. .

상기 한 쌍의 컵홀더(152)는 일회용 컵을 감쌀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컵 홀더암(151) 각각의 일단면에 장착되고, 상기 컵홀더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컵홀더의 형상은 역원뿔대 모양을 갖는 일회용 컵 본체를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전술한 덮개그립퍼보다 넓은 면적의 오목한 일면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원의 반지름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홀더의 일면을 유연성을 갖는 고무판, 스티로폼과 같은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본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pair of cup holders 152 are mounted on one end surface of each of the cup holder arms 151 so that one surfac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surround the disposable cup faces each other, and the disposable cup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cup holder arms. Can be fixed or removed. The shape of the cup holder is formed so as to face the concave surface of a larger area than the cover gripper described above, so as to effectively catch the disposable cup body having an inverted truncated cone shape,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increase the radius of the circle toward the top. Do. In addition, by forming one surface of the cup holder in a compliance material such as a flexible rubber sheet, styrofoam,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fix the body of the disposable cup.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linear motor, 154)는 상기 제2 고정판 상부에 배치된다. The second linear motor 154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fixing plate.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154)에 연결되는 제2 양방향 볼스크류(155)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컵홀더 암이 각각 배치된다. 한편, 제2 리니어모션모터에 연결되는 제2 양방향스크류 및 제2 LM가이드를 이용한 컵홀더의 동작원리는 전술한 덮개그립퍼의 동작원리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155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154, screw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are formed symmetrically, and a pair of cup holder arms are disposed at positions of the screw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do. Meanwhile, sinc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up holder using the second bidirectional screw and the second LM guide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ver gripper,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컵홀더부(150)는 전술한 그립퍼부(100)과는 달리 회전부(157)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157)는 상기 제2 고정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고장판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컵홀더(152)에 의해 고정된 일회용 컵의 본체를 상기 회전부(157)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남아있던 잔여물을 상기 배출부의 잔여물배출함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된 상태에서 빈 일회용 컵의 본체를 컵홀더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배출부의 컵배출함에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일회용 컵의 본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에 의하여 잔여물이 잔여물배출함이 아닌 바깥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고정판이 회전부에 회전되는 방향의 위치에 물막이(15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157)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 기준수평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물막이의 반대측의 제2 고정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15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up holder part 150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art 157 unlike the gripper part 100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unit 157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fixing plate to rotate the second fault plate. That is, by rotating the main body of the disposable cup fixed by the cup holder 152 by the rotating unit 157, the remaining residue is discharged by discharging the residue of the discharge portion.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main body of the empty disposable cup from the cup holder in the rotated st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main body of the disposable cup while minimizing the volume in the cup discharge box of the discharge por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residue from being spilled out of the residue by the rotation, a water barrier 158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ixing plate is rotated to the rotating part, and the rotating part 157 )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159 disposed below the second fix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ter barrier to hold the reference horizontal when the) back into plac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부(150)는 제2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면, 연결된 제2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하고, 상기 제2 양방향 볼스크류에 배치된 컵홀더암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컵 본체를 잡거나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고정판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컵 본체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잔여물배출함으로 배출시킨 후 상기 컵홀더에서 일회용 컵 본체를 분리시켜 컵배출함으로 배출하게된다. 또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를 구비하여, 다수 개의 일회용 컵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배출할 수 있게 한다.
In the cup holder unit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the connected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rotates, and the cup is disposed on the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As the holder arms move horizontally in opposite directions, the cup body can be held or placed. In addition, by having a rotating unit, by rotating around the axis of the second fixing plate to discharge the residue remaining in the cup body to the residue discharge, and then to separate the disposable cup body from the cup holder to discharge to the cup discharge. In additio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up holders arranged in a lin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discharge a plurality of disposable cups quickly and effectively.

이상, 그립퍼부 및 컵홀더부를 구비하는 기구부(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 기구부(10)로 일회용 컵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부(30)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 the above, the mechanism part 10 provided with a gripper part and a cup holder part was demonstrated concretely.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automatic supply unit 30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disposable cup to the mechanism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자동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급부(30)는 컨베이어 벨트(300), 가이드(320) 및 전송암(340)을 포함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supply unit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automatic supply unit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belt 300, a guide 320, and a transmission arm 340.

상기 컨베이어 벨트(300)는 상기 기구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일회용 컵이 놓여지면 자동으로 상기 컵홀더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놓여지는 일회용 컵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놓여진 일회용 컵이 인식되면 상기 컵홀더부의 위치로 상기 일회용 컵을 이송하고, 상기 전송암을 이용하여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은 반사형 포토센서 및 투과형 포토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 일회용 컵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동작을 멈춤으로써 상기 일회용 컵이 정확하게 컵홀더부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The conveyor belt 3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echanism portion and automatically moves to the cup holder portion when the disposable cup is placed. In order to recognize the disposable cup placed on the conveyor belt, the automatic supply unit has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belt, and when the disposable cup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s recogniz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disposable cup is transferred to a position of the cup holder and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by using the transfer arm.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characterized by using any one of a reflective photo sensor and a transmission photo senso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portion on the conveyor belt, and when the disposable cup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disposable cup may be accurately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cup holder por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do.

상기 가이드(32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이 이동하는 동안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상기 일회용 컵이 이동중에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바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베어이 벨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음에 설명할 전송암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부분이 전송암을 가릴 수 있는 덮개판으로 형성되어, 전송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고려한 구조로 설계한다. The guide 320 is placed on top of the conveyor belt to help keep the path away while the disposable cup is moving. The guide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belt so that the disposable cup does not fall out due to vibration or shaking during movement. In addition, the portion exte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arm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f a cover plate that can cover the transmission arm, so that the transmission arm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 design th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상기 전송암(340)은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된 일회용 컵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컵을 밀어준다. 상기 전송암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컵홀더부가 하나일 때는 고정되어 상기 일회용 컵을 전송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컵홀더부가 다수일 때에는 각각의 컵홀더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transfer arm 340 may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cup holder portions, and the disposable cup may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ortion from the conveyor belt by a disposable cup moved to the conveyor belt. Push it up. The transfer arm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guide so as not to be exposed, and is fixed when one cup holder part is used to transmit the disposable cup,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up holder parts, the transfer arm can be moved to each cup holder part.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member.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기구부, 자동공급부 및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having a mechanism portion, automatic supply and discharge por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made of different materials.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상기 자동공급부에 놓여지는 일회용 컵을 감지한다(S100). 다음, 일회용 컵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가동시킨다(S110). 다음,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가동되는 동안, 상기 일회용 컵이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감지되면(S120),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동을 중지한다(S130). 다음, 전송암을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 컵을 컵홀더부로 삽입시킨다(S140). 이상, 자동공급부에서 진행되는 작업순서이다.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8,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isposable cup placed in the automatic supply (S100). Next, when the disposable cup is detected, the conveyor belt is operated (S110). Nex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if the disposable cup is detected by being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S120),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is stopped (S130). Next, the disposable cup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by using the transmission arm (S140). This is the sequence of operations in the automatic supply unit.

다음, 컵홀더부로 삽입된 일회용 컵을 제2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컵홀더에 고정시킨다(S200). 다음, 상기 컵홀더부의 상부에 위치한 그립퍼부를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일회용 컵의 덮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210). 상기 덮개의 위치로 이동한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덮개를 고정시킨다(S220). 다음, 그립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일회용 컵의 본체와 상기 덮개를 분리한다(S23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배출부의 덮개배출함의 상부로 이동한다(S24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덮개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덮개배출함으로 배출한다(S250). Next, the disposable cup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art is driven to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cup holder arms, thereby fixing the cup to the cup holder (S200). Next, the gripper part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part is lowered by using the XZ stage and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S210). The gripper part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over drives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to fix the cover (S220). Next, by lifting the gripper portio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are separated (S230). Next, the gripper unit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discharge box of the discharge unit using the XZ stage (S240). Next, the gripper part drives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and discharge the cover by removing the cover (S250).

다음, 컵홀더부를 회전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그립퍼부는 원점 위치로 이동한다(S260). 상기 컵홀더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컵홀더에 고정된 컵도 일체로 회전되어 남아있던 잔여물을 잔여물배출함으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 제2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일회용 컵 본체를 상기 컵홀더에서 분리시켜 컵배출함으로 배출한다(S270). 다음, 컵홀더부는 회전부를 이용하여 원점으로 회전하고(S280) 공정을 완료한다.
Next, the cup holder part is rotated using the rotating part, and the gripper part is moved to the origin position (S260). As the cup holder rotates, the cup fixed to the cup holder is also rotated integrally to discharge the remaining residue by discharging the residue. Nex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p holder arm by driving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the disposable cup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cup holder and discharged into a cup discharge (S270). Next, the cup holder rotates to the origin using the rotating unit (S280) to complete the process.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에 빨대그립퍼를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빨대그립퍼의 구조 및 빨대 그립퍼를 더 구비함으로써 변경되는 동작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a gripp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gri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Therefore, the operation principle changed by further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straw gripper and the straw gripp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그립퍼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도 4 참조), 그립퍼암의 일측, 즉 덮개그립퍼가 형성된 위치의 상부에 빨대 그립퍼(902)를 더 구비한다는 점이 다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4), except that a straw gripper 902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per arm,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 at which the cover gripper is formed.

상기 빨대 그립퍼(902)는 상기 그립퍼암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한쌍의 덮개그립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의 빨대를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aw gripper 902 is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gripper arms, and is disposed on the pair of cover grippers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straw of the disposable cup from the disposable cup by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r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pair.

일반적으로 빨대는 내부가 통공되어 있어 충분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시키지 못하고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빨대 그립퍼는 덮개그립퍼 또는 컵홀더와는 달리 마주보는 일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지 않고,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주보는 일면을 금속, 세라믹, 목재와 같은 강체로 형성하여 충분한 힘으로 빨대를 잡더라도, 상기 빨대그립퍼의 형태는 변하지 않도록 한다. In general, the straw is perforated inside, and if it does not apply enough force, it will not be able to fix and will exit. Accordingly, the pair of straw grippers are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out forming a concave surface facing each other, unlike the cover gripper or the cup holder. In addition, even if the opposite surface is formed of a rigid body such as metal, ceramic, wood to hold the straw with a sufficient force, the shape of the straw gripper does not chang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빨대그립퍼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부에 빨대수거함을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raw gripper, and further includes a straw collection bin on the discharge unit.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빨대그립퍼를 더 구비함으로써, 빨대가 더 포함되는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효과적으로 분리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the composition of the disposable cup further comprises a straw gripper.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상기 자동공급부에 놓여지는 일회용 컵을 감지한다(A100). 다음, 일회용 컵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가동시킨다(A110). 다음,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가동되는 동안, 상기 일회용 컵이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감지되면(A120),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가동을 중지한다(A130). 다음, 전송암을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 컵을 컵홀더부로 삽입시킨다(A140). 이상, 자동공급부에서 진행되는 작업순서이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disposable cup placed on the automatic feeding part (A100). Next, when the disposable cup is detected, the conveyor belt is operated (A110). Next, if the disposable cup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while being detected (A120) while the conveyor belt is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is stopped (A130). Next, the disposable cup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by using the transmission arm (A140). This is the sequence of operations in the automatic supply unit.

다음, 컵홀더부로 삽입된 일회용 컵을 제2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컵홀더에 고정시킨다(A200). 다음, 상기 컵홀더부의 상부에 위치한 그립퍼부를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일회용 컵의 빨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A300). 다음, 상기 빨대의 위치로 이동한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 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빨대를 고정시킨다(A310). 다음, 그립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일회용 컵의 본체와 상기 빨대를 분리한다(A32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배출부의 빨대배출함의 상부로 이동한다(A33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빨대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빨대배출함으로 배출한다(A34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원점 위치로 이동한다(A350).Next, the disposable cup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art is fixed to the cup holder by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the cup holder arms by driving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A200). Next, the gripper part located above the cup holder part is lowered using the XZ stage to move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w of the disposable cup (A300). Next, the gripper unit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traw drives the first linear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to fix the straw (A310). Next, by lifting the gripper portion, the main body of the disposable cup and the straw are separated (A320). Next, the gripper unit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raw discharge box using the XZ stage (A330). Next, the gripper part drives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gripper arm, and discharges the straw by discharging the straw (A340). Next, the gripper moves to the origin position (A350).

다음, 원점위치인 상기 컵홀더부의 상부에 위치한 그립퍼부를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일회용 컵의 덮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A210). 상기 덮개의 위치로 이동한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덮개를 고정시킨다(A220). 다음, 그립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일회용 컵의 본체와 상기 덮개를 분리한다(A23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XZ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배출부의 덮개배출함의 상부로 이동한다(A240). 다음, 상기 그립퍼부는 제1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덮개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덮개배출함으로 배출한다(A250). Next, the gripper portion located above the cup holder portion, which is the origin position, is lowered using the XZ stage to move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A210). The gripper unit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over drives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to fix the cover (A220). Next, by lifting the gripper portion, the main body of the disposable cup and the cover are separated (A230). Next, the gripper portion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discharge box using the XZ stage (A240). Next, the gripper part drives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rms and discharge the cover by removing the cover (A250).

다음, 컵홀더부를 회전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그립퍼부는 원점 위치로 이동한다(A260). 상기 컵홀더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컵홀더에 고정된 컵도 일체로 회전되어 남아있던 잔여물을 잔여물배출함으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 제2 리니어모션모터를 구동하여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일회용 컵 본체를 상기 컵홀더에서 분리시켜 컵배출함으로 배출한다(A270). 다음, 컵홀더부는 회전부를 이용하여 원점으로 회전하고(A280) 공정을 완료한다.
Next, the cup holder part is rotated using the rotating part, and the gripper part moves to the origin position (A260). As the cup holder rotates, the cup fixed to the cup holder is also rotated integrally to discharge the remaining residue by discharging the residue. Nex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p holder arm by driving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the disposable cup body is separated from the cup holder and discharged into a cup discharge (A270). Next, the cup holder rotates to the origin using the rotating unit (A280) and completes the proces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in the scope.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테이크아웃용 일회용컵과 같이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어떤 분야든 적용이 가능하다.Disposable cup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ll fields using a disposable produc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pply to any field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disposable products including the compon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take-out disposable cups.

10 : 기구부
100 : 그립퍼부
101 : 그립퍼암
102 : 덮개그립퍼
103 : 제1 고정판
104 : 제1 리니어모션모터
105 : 제1 양방향 볼 스크류
106 : 제1 LM 가이드
107 : XZ 스테이지
150 : 컵홀더부
151 : 컵홀더암
152 : 컵홀더
153 : 제2 고정판
154 : 제2 리니어모션모터
155 : 제2 양방향볼스크류
156 : 제2 LM 가이드
157 : 회전부
158 : 물막이
159 : 지지대
20 : 배출부
200 : 덮개배출함
220 : 빨대배출함
230 : 컵 배출함
250 : 잔여물배출함
30 : 자동공급부
300 : 컨베이어벨트
320 : 가이드
340 : 전송암
10: mechanism part
100: gripper part
101: gripper arm
102: cover gripper
103: first fixing plate
104: first linear motion motor
105: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106: the first LM guide
107: XZ stage
150: cup holder
151: Cup Holder Arm
152: Cup Holder
153: second fixing plate
154: second linear motion motor
155: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156: second LM guide
157: rotating part
158: water barrier
159: support
20: discharge part
200: cover discharge box
220: straw discharge box
230: cup discharge bin
250: discharge residue
30: automatic supply unit
300: conveyor belt
320: guide
340: transmission arm

Claims (17)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거함을 포함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의 구성물을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자동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기구부;
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부는 컵 본체를 고정시키는 컵홀더부 및 상기 컵홀더부에 고정된 컵 본체로부터 부속물을 분리시켜 상기 다수 개의 수거함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그립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A discharge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ection boxes for separately collecting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s each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mechanism unit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unit to automatically separate and discharge the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cup into the plurality of collection units, respectively;
And,
And the mechanism part comprises a cup holder part for fixing a cup body and a gripper part for separating an accessory from the cup body fixed to the cup holder part and moving and discharging the plurality of bi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상기 기구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일회용 컵이 놓여지면 자동으로 상기 기구부로 이동시키는 자동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동공급부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회용 컵이 이동하는 동안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가이드 및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된 일회용 컵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일회용 컵을 밀어주는 전송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tomatic supply unit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echanism unit and automatically moves to the mechanism unit when the disposable cup is placed,
The automatic supply unit may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cup holders and a conveyor belt, a guide disposed on the conveyor belt to assist the disposable cup not to deviate from the path during the movement. And a transfer arm for pushing the disposable cup so that the disposable cup moved to the conveyor belt can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portion from the conveyor bel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암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전송암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부분이 전송암을 가릴 수 있는 덮개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fer arm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guide,
The guide is a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exte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arm is formed of a cover plate that can cover the transmission ar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놓여진 일회용 컵이 인식되면 상기 컵홀더부의 위치로 상기 일회용 컵을 이송하고, 상기 전송암을 이용하여 상기 컵홀더부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utomatic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along an upper side of the conveyor belt, and when the disposable cup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s recogniz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transfers the disposable cup to the position of the cup holder.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using the transmission ar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은
반사형 포토센서 및 투과형 포토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s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reflective photosensor and a transmission photo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의 그립퍼부는
한 쌍의 그립퍼암;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그립퍼암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그립퍼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의 덮개를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는 한 쌍의 덮개그립퍼;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리니어모션 모터(linearmotion motor);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그립퍼암이 각각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연결되는 제1 양방향 볼스크류;
상기 제1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의 각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퍼암이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 쌍의 제1 LM가이드(linear motor guide); 및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 및 제1 고정판을 X축 또는 Z축으로 이동시키는 XZ 스테이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1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그립퍼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gripper of claim 1, wherein the gripper portion of the mechanism portion
A pair of gripper arms;
A pair of cover grippers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gripper arms such that the concave surfaces face each other, and separately discharging the cover of the disposable cup from the disposable cup by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rm;
A first fixing plate;
A first linear motion motor dispo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A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having a symmetrical thread groove form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and having a pair of gripper arms respectively disposed at positions of the opposite thread grooves,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A pair of first linear motor guides dispo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pair of gripper arms to help the gripper arms move stab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XZ stag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to move the gripper arm and the first fixing plate to an X axis or a Z axis;
And,
And the first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per arm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그립퍼암 각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한쌍의 덮개그립퍼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의 빨대를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는 한 쌍의 빨대그립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ripper portion
And a pair of straw grippers mount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gripper arms, the pair of straw grippers disposed on the pair of cover grippers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straws of the disposable cups from the disposable cups by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rms. Disposable Cup Dispens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빨대그립퍼는
마주보는 일면 각각을 강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8. The straw gripper of claim 7, wherein the pair of straw grippers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each of the facing one of the rigid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빨대그립퍼는
마주보는 일면 각각을 금속, 세라믹, 목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ir of straw grippers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each of the facing one of the metal, ceramic, wo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컵홀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컵홀더부에 대응되는 그립퍼부를 구비하되,
상기 그립퍼부의 제1 고정판, XZ 스테이지 및 제1 양방향 볼스크류는 일체로 형성되고, 하나의 제1 리니어모션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One or more cup holders arranged in a line,
The gri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holder portion is provided,
The first fixing plate, the XZ stage, and the first bidirectional ball screw of the gripper unit are integrally formed and driven by one first linear motion mot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덮개그립퍼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유연성을 갖는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ir of cover grippers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each of the concave facing each other made of a complianc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덮개그립퍼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고무판,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ir of cover grippers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each of the concave one facing the rubber plate, styrofo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는
한 쌍의 컵홀더암;
일회용 컵을 감쌀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컵홀더암 각각의 일단면에 장착되고, 상기 컵홀더암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컵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한 쌍의 컵홀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리니어모션모터(linear motion motor);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홈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대 방향의 나사홈의 위치에 한 쌍의 컵홀더암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에 연결되는 제2 양방향 볼스크류;
상기 제2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컵홀더암의 각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컵홀더암이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 쌍의 제2 LM가이드(linear motor guide); 및
상기 제2 고정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니어모션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2 양방향 볼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컵홀더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holder portion
A pair of cup holder arms;
A pair of cup holders mounted on one end surface of each of the cup holder arms such that one surface formed concave so as to surround the disposable cup, and fixed or detachable by the movement of the cup holder arm;
Second fixing plate;
A second linear motion motor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A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formed with symmetrical thread grooves in a symmetrical direction to place a pair of cup holder arms at positions of the thread grooves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A pair of second linear motor guide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s of the pair of cup holder arms to stably move the cup holder arm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fixing plate to rotate the second fixing plate;
And,
And the second linear motion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second bidirectional ball screw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cup holder arm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의 측면에 위치하여, 잔여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물막이; 및
상기 회전부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 기준수평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물막이의 반대측의 제2 고정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up holder portion
Located in the side of the direction rotated by the rotating portion, the water barrier to prevent the residue from splashing outside; And
A support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ter barrier to hold the reference horizontal when the rotating par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isposable cup separating dischar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컵홀더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유연성을 갖는 컴플라이언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ir of cup holder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each of the concave facing each other made of a complianc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컵홀더는
마주보는 오목한 일면 각각을 고무판,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ir of cup holder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each of the concave one facing the rubber plate, styrofo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다수 개의 수거함은
빨대배출함; 덮개배출함; 컵배출함; 및 잔여물배출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ins of the discharge portion
Straw draining; Cover discharge box; Cup discharged; And discharging the residue; Disposable cup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comprising a.

KR20100128223A 2010-12-15 2010-12-15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1240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8223A KR101240407B1 (en) 2010-12-15 2010-12-15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8223A KR101240407B1 (en) 2010-12-15 2010-12-15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885A KR20120066885A (en) 2012-06-25
KR101240407B1 true KR101240407B1 (en) 2013-03-11

Family

ID=4668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82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0407B1 (en) 2010-12-15 2010-12-15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07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965A (en) * 2014-05-29 2014-09-10 湖州吉和包装制品有限公司 Trash can
KR101521425B1 (en)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and Trash Automatic Recyc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6241122A (en) * 2016-08-31 2016-12-21 苏州德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dical garbage sorting equipment of automatically packing garbage bag
CN106395186A (en) * 2016-12-05 2017-02-15 上海商溱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urban waste bin
KR101820342B1 (en)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Separation and emission apparatus for disposable cups
KR101968147B1 (en) * 2018-08-30 2019-04-11 김보광 Apparatus for seperating disposable cup
KR20190095830A (en)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KR101983064B1 (en)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separator
KR102121835B1 (en) 2019-01-22 2020-06-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separator
KR20200130026A (en) 2019-05-10 2020-11-18 (주)컵프리랩 The separation and 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KR102289680B1 (en) * 2020-02-26 2021-08-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Garbage Separation Device
US12004534B2 (en) 2018-05-18 2024-06-11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Frozen dessert dispensing machine and cartridge
KR20240124127A (en) 2023-02-08 2024-08-16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Apparatus for sorting and collecting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183A (en) * 2018-03-26 2018-11-23 厦门快商通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CN111252407A (en) * 2020-01-17 2020-06-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Garbage disposal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061639A (en) * 2020-06-29 2020-12-11 辽宁鑫知界科技有限公司 Automatic garbage recycling device
CN112478538A (en) * 2020-12-22 2021-03-12 南京井余言贸易有限公司 Rubbish is from categorised robot based on rubbish classification database
KR102428315B1 (en) * 2022-05-03 2022-08-03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disposable cups based on images for diposable cups using a neural network
KR102421515B1 (en) * 2022-05-03 2022-07-20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disposable cups based on images for diposable cups using a neural network
CN116062336A (en) * 2023-03-17 2023-05-05 泰安市鑫孚精工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garbage disposal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01A (en) * 1992-10-14 1994-06-28 Fuji Electric Co Ltd Waste can recovering machine
KR19990037345U (en) * 1998-03-03 1999-10-05 박창홍 Recycle Bin
KR20020003087A (en) * 2001-06-25 2002-01-10 정용규 Automatic Recyc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01A (en) * 1992-10-14 1994-06-28 Fuji Electric Co Ltd Waste can recovering machine
KR19990037345U (en) * 1998-03-03 1999-10-05 박창홍 Recycle Bin
KR20020003087A (en) * 2001-06-25 2002-01-10 정용규 Automatic Recycle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965A (en) * 2014-05-29 2014-09-10 湖州吉和包装制品有限公司 Trash can
KR101521425B1 (en)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and Trash Automatic Recyc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20342B1 (en)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Separation and emission apparatus for disposable cups
CN106241122A (en) * 2016-08-31 2016-12-21 苏州德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dical garbage sorting equipment of automatically packing garbage bag
CN106395186A (en) * 2016-12-05 2017-02-15 上海商溱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urban waste bin
KR101983064B1 (en) * 2018-01-29 2019-09-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separator
KR102034256B1 (en) 2018-02-07 2019-10-18 김보광 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KR20190095830A (en) * 2018-02-07 2019-08-16 김보광 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US12004534B2 (en) 2018-05-18 2024-06-11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Frozen dessert dispensing machine and cartridge
US12342835B2 (en) 2018-05-18 2025-07-01 Polar Delight, Inc. Frozen dessert dispensing machine and cartridge
KR101968147B1 (en) * 2018-08-30 2019-04-11 김보광 Apparatus for seperating disposable cup
KR102121835B1 (en) 2019-01-22 2020-06-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osable cup separator
KR20200130026A (en) 2019-05-10 2020-11-18 (주)컵프리랩 The separation and 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WO2020231076A1 (en) * 2019-05-10 2020-11-19 (주)컵프리랩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KR102186250B1 (en) * 2019-05-10 2020-12-03 (주)컵프리랩 The separation and 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KR102289680B1 (en) * 2020-02-26 2021-08-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Garbage Separation Device
KR20240124127A (en) 2023-02-08 2024-08-16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Apparatus for sorting and collect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885A (en)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407B1 (en) Disposable cup separation and discharge apparatus
EP27205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of crockery, using electronic vision system and manipulator
KR20190017637A (en) Dishwashing system
CN205050246U (en) Set meal automatic packing equipment
KR101963657B1 (en) Supply and packaging equipment for containers for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CN211454712U (en) Automatic vending equipment
US20230089808A1 (en) Handling module for loading a transport device of a conveyor dishwasher
CN108974457A (en) Transfer material stacker tool hand in container and lid
WO2020037740A1 (en) New automatic plastic tray separating system
CN210884280U (en) Collection device is used in produc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lastics paper cup
CN111096389A (en) Milk tea and ice cream integrated machine and milk tea ice cream manufacturing method
CN211520940U (en) Feeding device
EP2937041B1 (en) Container collecting device and urinalysis apparatus using container collecting device
CN209008978U (en) Transfer material stacker tool hand in container and lid
KR102030524B1 (en) Dishwashing system
CN115998153A (en) Multi-station double-rotation module and full-automatic beverage making method
CN113995303A (en) Full-automatic intelligent catering equipment
WO2024153221A1 (en) Integrated intelligent beverage robot
CN212630580U (en) An automatic meal delivery device
CN211985037U (en) Protein powder brewing and drinking machine
CN211940960U (en) Unmanned intelligent restaurant system
CN209835051U (en) Automatic cup separator for paper cups
CN211242909U (en) Cup falling device for automatic catering equipment
CN220236640U (en) Material storage and supply module and intelligent drink robot
CN212048741U (en) Refrigerating mechanism and food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