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896B1 -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Google Patents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896B1 KR101239896B1 KR1020110106039A KR20110106039A KR101239896B1 KR 101239896 B1 KR101239896 B1 KR 101239896B1 KR 1020110106039 A KR1020110106039 A KR 1020110106039A KR 20110106039 A KR20110106039 A KR 20110106039A KR 101239896 B1 KR101239896 B1 KR 101239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optical cable
- hinge
- insertion groove
- locking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5—Cassette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extraction or insertion of the cassette in the distribution frame, e.g. pivoting, sliding, rotating or glid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접속시키고 연결된 광케이블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접속함체내에 설치되는 트레이를 접속함체에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양측면판에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저면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형 힌지삽입공과 상기 장공형 힌지삽입공의 축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걸림돌기 삽입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에는 힌지와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트레이가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ble junction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coupling a tray installed in the junction box to the junction box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n optical cable and fixing the connected optical c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long hinge inserting holes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of the tray support and a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axes of the long hinge inserting holes on both side plates of the tray support. And a tray and a hinge structure formed on the tray so that the tray can be fixed at an inclined angle as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접속시키고 연결된 광케이블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접속함체내에 설치되는 트레이를 접속함체에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ble junction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coupling a tray installed in the junction box to the junction box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n optical cable and fixing the connected optical c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다수의 광케이블 클러스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케이블 클러스터는 다수의 광섬유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optical cable is a cab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and unlike a cabl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quickly transmitted without loss. Such an optical cabl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optical cable clusters, each optical cable clust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ts of optical fibers.
또한 광케이블은 제조업체에서 무한정 긴 길이로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2Km 정도의 길이로 제조되어 드럼에 감겨진다. 따라서 광케이블을 장거리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로 제조된 광케이블을 중간 중간에서 연결하여야 하며, 이렇게 광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기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사용된다.In addition, since optical cables cannot be produced indefinitely long lengths by manufacturers, they are usually manufactured in lengths of about 2 km and wound on drums. 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the optical cable over a long distance, the optical cable manufactured to a certain length should be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middle, and thus an optical cable connection box is used to connect the optical cable in the middle.
또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상기와 같이 장거리로 설치되는 광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됨은 물론 광케이블의 설치 경로상에서 광케이블을 구성하고 있는 광케이블 클러스터 또는 광섬유를 나누어 분기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In addition,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is used not only for connecting the optical cables installed in the long distance as described above, but also for dividing and splitting an optical cable cluster or an optical fiber constituting the optical cable on the installation path of the optical cable.
상기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의 설치경로에 따라 광케이블이 지하로 매설되는 경우에는 지하 통신구나 맨홀 등에 설치되고 지상으로 가설되는 경우에는 전주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구조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communication or a manhole when the optical cable is buried undergroun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ath of the optical cable, and is installed close to the electric pole when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e optical cable junction box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withstand external forces and impact, and it is essential to have a sealing structure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foreign matter.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that serves as described above.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고정된 트레이 써포트(20)와, 상기 트레이 써포트(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트레이(30)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트레이(30)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여 주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를 베이스(10)의 일측에 연결 고정시키고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클램핑 밴드(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includes a
상기 각각의 트레이(30)에는 힌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힌지(31)는 트레이 써포트(20)에 형성된 힌지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트레이(30)는 힌지(31)를 축으로 하여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트레이(30)가 회전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각 트레이(30)가 적층된 형태를 이룬다. Hinge 31 is integrally formed in each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광케이블을 트레이(30) 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 인입관(1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 인입관(11)은 평상시 폐쇄되어 있다가 필요시 끝단부를 절단하면 개방되어 광케이블을 베이스(10) 내로 인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따라서 광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베이스(10)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관(11)의 끝단부를 절단하여 케이블 인입관(11)이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의 광케이블을 케이블 인입관(11)을 통해 트레이(30) 측으로 인입시킨 후 인입된 광케이블을 연결 접속하여 트레이(30)의 슬롯에 고정하게 되며, 광케이블이 연결된 후에는 클램핑 밴드(50)를 이용하여 베이스(10)의 일측에 커버(40)를 결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tical cable is to be connected, first, the optical cable of both sides to be conn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에서 트레이(30)를 복수로 설치하는 이유는 많은 용량의 광케이블이 접속함체에서 연결 또는 분기됨은 물론 앞으로의 증설에 미리 대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트레이 써포트(20)에 결합된 복수의 트레이(30)가 힌지(31)를 축으로 회전만 가능할 뿐 트레이(30)를 회전된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연결작업 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즉, 적층된 형태로 있는 복수의 트레이(30) 중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에서 광케이블의 연결이나 분기 또는 보수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해당 트레이의 상부에 있는 트레이를 회전시켜 해당 트레이의 상방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부에 있는 트레이를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작업 도중 작업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개방되어 있던 트레이가 원위치로 닫히면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닫혀지는 트레이에 의해 연결이나 분기 또는 보수작업중인 광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손상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That is, when the optical cable is connected, branched, or repaired at the tray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또한 작업자는 개방된 트레이가 닫히지 않도록 개방된 트레이를 한손으로 잡거나 또는 별도의 구조물로 개방된 트레이를 받쳐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has to hold the open tray with one hand or support the open tray in a separate structure so that the open tray does not clos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work is inconvenient and work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트레이 써포트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함은 물론 각각의 트레이를 회전된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coupling structure of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that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trays installed in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tray support, and each tray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otated. It is f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와, 트레이 써포트와, 상기 트레이 써포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양측면판에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저면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형 힌지삽입공과 상기 장공형 힌지삽입공의 축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걸림돌기 삽입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에는 힌지와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트레이가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가 제공된다.In the optical cable connecting enclosure having a base, a tray support, and a plurality of trays rotatably coupled to the tray sup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oth sides of the tray support Forming a plurality of long hinge hinge insertion holes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of the tray support and a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an axis of the long hinge insertion hole, and forming a hinge and a locking protrusion on the tray; Provided is a tray coupling structure of 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which enables the tray to be fixed at an inclined angle as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의 연결이나 분기 또는 보수작업을 할 때 작업 대상이 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된 상부 트레이를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도중 개방된 트레이가 작업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자중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닫혀질 우려가 없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connection or branching or maintenance work of the optical cable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to be worked, as well as the open upper tray can be fixed in the rotated position during the operation There is no risk that the open tray may be closed due to its own weight or external factors, regardless of the operator's intention.
따라서 작업 도중 트레이가 닫힘에 따라 야기되는 광케이블의 절단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트레이의 닫힘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작업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이 가능해진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tting or damage of the optical cable caused by the closing of the tray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operator can work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closing of the tra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the optical cable.
도 1은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트레이 써포트와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트레이가 트레이 써포트에서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최상부에 위치된 트레이를 회전시켜 개방한 상태도
도 5는 회전시켜 개방한 최상부의 트레이를 트레이 써포트에 고정한 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support and the tra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tray coupled state in the tray support
4 is a state in which the tray is opened by rotating the uppermost position
5 is a state in which the upper tray opened by rotating is fixed to the tray suppo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트레이 써포트와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트레이가 트레이 써포트에서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최상부에 위치된 트레이를 회전시켜 개방한 상태도이고 도 5는 회전시켜 개방한 최상부의 트레이를 트레이 써포트에 고정한 상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support and the tra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tray coupled state in the tray support,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pened by rotating the tray located at the top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uppermost tray opened by rotating is fixed to the tray support.
베이스(10)에는 트레이 써포트(20)가 고정되어 있고 트레이(30)는 상기 트레이 써포트(20)에 결합된다.The
상기 트레이 써포트(20)는 트레이(30)가 얹혀지는 부분인 저면판(21)과 트레이(30)가 연결되는 부분인 양측 측면판(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측면판(22)에는 트레이(30)의 갯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장공형 힌지삽입공(23)과 걸림돌기 삽입홈(24)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측면판(22)에 형성된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은 힌지가 일정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의 길이방향 축선(C)은 저면판(2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ng hinge-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 삽입홈(24)은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의 길이방향 축선(C)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 삽입홈(24)은 바깥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The engaging
상기 트레이(30)에는 트레이 써포트(20)의 양측 측면판(22)에 형성된 장공형 힌지삽입공(23)으로 삽입되는 힌지(31)와 상기 힌지(31)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 삽입홈(24)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32)는 장공형 힌지삽입공(23)으로 삽입된 힌지(31)가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의 길이방향 축선(C)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돌기 삽입홈(24)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걸림돌기 삽입홈(24)으로 부터 빠져나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따라서 트레이(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가 트레이 써포트(20)에 형성된 걸림돌기 삽입홈(2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 즉 힌지(31)가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돌기 삽입홈(24) 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는 트레이(30)가 힌지(31)를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며, 트레이(30)를 회전시켜 걸림돌기(32) 부분이 걸림돌기 삽입홈(24)과 직선상으로 일치한 상태에서 트레이(30)를 밀면 힌지(31)가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걸립돌기(32)가 걸림돌가 삽입홈(24)으로 삽입되어 트레이(30)는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광케이블이 연결 접속되는 부분인 복수의 트레이(30) 중 최하단의 트레이가 트레이 써포트(20)의 저면판(21)에 접속 지지되고 그 상방에 복수의 트레이가 차례로 접속하면서 적층된 상태로 있게 된다.In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most tray of the plurality of
이때 장공형 힌지삽입공(23)으로 삽입된 각 트레이(3)의 힌지(31)는 걸림돌기 삽입홈(24)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위치에 있게 되고 걸림돌기(24)는 걸림돌기 삽입홈(2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태에서 광케이블을 증설하거나 분기할 때 또는 선로의 점검이나 고장수리를 할 때에는 클램핑 밴드(50)를 조작하여 커버(40)를 열고 베이스(10)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관(11)을 통해 새로운 광케이블을 인입하여 연결 접속한 후 트레이(30)의 슬롯 부분에 고정하거나 또는 트레이(30) 부분에 고정된 광케이블의 연결부분에서 광케이블을 분기하거나 점검하게 되는데, 이렇게 광케이블의 연결이나 분기 또는 점검작업을 할 때 복수의 트레이(30) 중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그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expanding or branching the optical cable, or when checking or troubleshooting the track, the
예를들어 첨부된 도면과 같이 트레이 써포트(20)에 4개의 트레이(30)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 중 하방으로 부터 3번째 트레이 부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와 같이 3번째 트레이의 상부에 있는 트레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four
즉, 작업을 하여야 할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트레이가 힌지(31)를 축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도 4와 같이 회전된 트레이(30)의 걸림돌기(32) 부분이 걸림돌기 삽입홈(24)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트레이(30)를 밀어주면 힌지(31)가 장공형 힌지삽입공(23)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걸림돌기 삽입홈(24)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걸림돌기(32)가 걸림돌기 삽입홈(24)으로 삽입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트레이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to be worked upwards, the tray rotates about the
상기와 같이 트레이(30)를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로 작업을 완료한 후 회전되어 있던 트레이를 바깥측으로 당겨주면 걸림돌기(32)가 걸림돌기 삽입홈(24)으로 부터 빠져나와 트레이(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트레이를 도 3과 같은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After completing the work in the fixed state by rotating the
상기에서는 최상단에 위치한 하나의 트레이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작동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동작으로 모든 트레이를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operation of rotating and fixing one tray located at the top is described,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all the trays can be rotated and fixed by the same operation.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In addition, whi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obvious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 11 : 케이블 인입관
20 : 트레이 써포트 21 : 저면판
22 : 측면판 23 : 장공형 힌지삽입공
24 : 걸림돌기 삽입홈 30 : 트레이
31 : 힌지 32 : 걸림돌기
40 : 커버 50 : 클램핑 밴드10: base 11: cable entry pipe
20: tray support 21: bottom plate
22: side plate 23: long hole hinge insertion hole
24: latching projection groove 30: tray
31: hinge 32: jamming projection
40: cover 50: clamping band
Claims (2)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양측면판에 상기 트레이 써포트의 저면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형 힌지삽입공과 상기 장공형 힌지삽입공의 축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걸림돌기 삽입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에는 힌지와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돌기 삽입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트레이가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트레이 결합구조.An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having a base, a tray support, and a plurality of trays rotatably coupled to the tray support,
On both side plates of the tray support, a plurality of long hinge inserting holes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of the tray support and a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axes of the long hinge inserting holes are formed. Forming a hinge and a locking projection tray coupling structure of the optical cable connection enclo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y can be fixed at an inclined angle as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039A KR101239896B1 (en) | 2011-10-17 | 2011-10-17 |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039A KR101239896B1 (en) | 2011-10-17 | 2011-10-17 |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9896B1 true KR101239896B1 (en) | 2013-03-11 |
Family
ID=4818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039A Active KR101239896B1 (en) | 2011-10-17 | 2011-10-17 |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989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7715A (en) * | 2017-09-07 | 2019-03-15 | 임채현 | Optical fiber box |
KR102211791B1 (en) | 2020-06-10 | 2021-02-03 |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Tray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ors for underground communication spaces in buildings |
US11487071B2 (en) | 2018-05-14 | 2022-11-01 | Afl Telecommunications Llc | Butt closures and organizer assemblies theref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996Y1 (en) * | 2005-01-25 | 2005-04-08 | 주식회사 선일 | structure for coupling optical cable terminal box and tray |
JP2006330630A (en) * | 2005-05-30 | 2006-12-0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Optical fiber joint box |
KR20080046092A (en) * | 2007-11-07 | 2008-05-26 |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 Optical Splice Enclosure |
KR20080091648A (en) * | 2007-04-09 | 2008-10-14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Optical cable junction box |
-
2011
- 2011-10-17 KR KR1020110106039A patent/KR1012398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996Y1 (en) * | 2005-01-25 | 2005-04-08 | 주식회사 선일 | structure for coupling optical cable terminal box and tray |
JP2006330630A (en) * | 2005-05-30 | 2006-12-0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Optical fiber joint box |
KR20080091648A (en) * | 2007-04-09 | 2008-10-14 |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 Optical cable junction box |
KR20080046092A (en) * | 2007-11-07 | 2008-05-26 |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 Optical Splice Enclosur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7715A (en) * | 2017-09-07 | 2019-03-15 | 임채현 | Optical fiber box |
KR102208460B1 (en) * | 2017-09-07 | 2021-01-27 | 임채현 | Optical fiber box |
US11487071B2 (en) | 2018-05-14 | 2022-11-01 | Afl Telecommunications Llc | Butt closures and organizer assemblies therefor |
US12181725B2 (en) | 2018-05-14 | 2024-12-31 | Afl Telecommunications Llc | Butt closures and organizer assemblies therefor |
KR102211791B1 (en) | 2020-06-10 | 2021-02-03 |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Tray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ors for underground communication spaces in buildin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21859C1 (en) | Cable box and organiser for communication line and splices | |
CA2750171C (en) | A system for an internal rotating storage spool combined with top and bottom cable access in a fiber distribution terminal | |
RU2372699C1 (en) | Cable box and organiser for communication lines and splices | |
KR101239896B1 (en) | Tray jointing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
JP2010527463A (en) | Enclosure for optical fiber connection and wiring | |
MXPA05004161A (en) | High density panel with rotating tray. | |
KR101253889B1 (en) | Terminal box for optical cable | |
US20180120527A1 (en) |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 |
KR20080046092A (en) | Optical Splice Enclosure | |
KR200380996Y1 (en) | structure for coupling optical cable terminal box and tray | |
US20110249949A1 (en) | Assembly for installing an optical access network | |
KR102701127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with short-circuit prevention function | |
KR102211791B1 (en) | Tray structure of optical cable connectors for underground communication spaces in buildings | |
US20210165182A1 (en) | Optical fiber splice closure and method of installing fiber optic cables | |
KR20130041648A (en) | Cable inlet pipe of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
KR102549494B1 (en) | Optical distribution box with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thod | |
CN111796376A (en) | Electric power optical cable joint box | |
KR101471960B1 (en) | Optical cable clip for fiber distribution | |
KR200380998Y1 (en) | structure fixing optical cable adapter in trays of optical cable terminal | |
CN223155286U (en) | Optical fiber box | |
KR102494099B1 (en) | Enclosure for storing with fiber-optic cable using roof | |
CN221574775U (en) | Prefabricated assembled cable protection tube | |
CN218122317U (en) | Light splitting connector box | |
KR102673696B1 (en) | Distribution line connector with improved safely | |
KR101819113B1 (en) | Optical cable connection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