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9738B1 -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738B1
KR101239738B1 KR1020100074913A KR20100074913A KR101239738B1 KR 101239738 B1 KR101239738 B1 KR 101239738B1 KR 1020100074913 A KR1020100074913 A KR 1020100074913A KR 20100074913 A KR20100074913 A KR 20100074913A KR 101239738 B1 KR101239738 B1 KR 101239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osite module
wood vinegar
solar
vapor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715A (ko
Inventor
허관
이상석
이기석
Original Assignee
허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관 filed Critical 허관
Priority to KR102010007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7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7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전력과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반응기 본체 내부의 기화패드 또는 멤브레인 패드의 목초액 조성물을 고효율로 기화시킴으로써, 전력의 공급이 어렵거나 사람에 의한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운 장소에 위치한 실내 공간의 먼지와 대기오염(악취) 물질, 부유세균 제거와 축사(동물)의 먼지와 냄새, 부유세균 제거, 소독, 피부 및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 온실(식물) 내부의 먼지와 부유세균 제거, 습도 조절, 식물영양제 기능, 실내 공기 냉각효과, 곡류, 엽채류 및 과실류의 보관 창고에 발생하는 곤충 방제와 신선도 유지,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쓰레기 매립장, 건조시설, 소각시설, 산업시설, 지하공간, 공공장소 등에서 발생 되는 악취 물질의 제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에너지 독립적인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이용한 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Vaporizer with hybrid solar energy collector}
본 발명은 실내 공간 먼지와 대기오염(악취) 물질, 부유세균 제거 및 소독, 축사(돼지, 오리, 닭 등) 내부 먼지와 악취 제거, 소독, 호흡기질환 및 피부질환 개선, 온실(식물) 내부 부유세균과 먼지 및 유해(악취) 가스 제거와 식물영양제 공급 및 곡물 창고 병해충 방지와 신선도 유지에 사용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과 축사(돼지, 오리, 닭 등)시설의 악취가스 제거와 소독 등의 환경개선을 위해서 탈취제, 소독제를 살포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고압분무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황화합물, 지방산류, 아민류, 포름알데히드, 탄화수소, VOCs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약액을 미세한 액체 상태로 대기오염물질과 접촉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고압분무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액상의 탈취제 또는 소독제를 물에 희석하여 살포하면 사람과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살포한 순간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지속시간이 짧아 주기적으로 살포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 소요와 약액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지하공간, 공공장소 등의 악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황화합물, 지방산류, 아민류, 포름알데히드, 탄화수소 등의 대기오염(악취)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흡착 탈취법과 약액 세정법이 주로 사용된다.
흡착 탈취법은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에 악취물질을 통과시켜서 미세 기공에 가스 상태의 대기오염(악취) 물질을 흡착시켜 제거시키고 대기오염(악취) 물질로 충진된 흡착제는 제거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재생시키거나 교환하여야 하고 처리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약액 세정법은 반응기 내에서 약품을 희석한 순환수를 미세 분사하여 대기오염(악취) 물질과 접촉하도록 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용수와 약품의 소요량이 많고 폐수처리에 따른 비용 증가와 넓은 시설부지 소요 및 전력비가 과다 지출되는 단점이 있다.
축사(돼지, 닭, 오리 등) 환경 관리와 냄새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생물제제(생균제)를 살포한 후에 화학소독제를 살포함에 따라 축사에 형성된 발효미생물이 사멸하여 축사환경이 악화되고 가축 폐사율의 증가와 항생제 투여량 증가 및 악취 민원 등의 축사환경에 문제가 있다.
한편, 목초액은 유기산과 알코올류, 중성 성분, 염기성 성분 등 100여 종의 미량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초산 등의 유기산과 알코올류, 폴리페놀류 등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가축사육장에 기화상태로 살포하면 대기오염(악취) 물질 제거와 세균발육억제, 피부 질환과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목초액은 흡수, 중화, 산화 등의 반응기작에 의하여 냄새제거제와 병원성세균억제제 기능을 하고 목초액 중에 다량 함유된 초산, 에탄올, 폴리페놀 등의 성분이 과체류의 당도를 높이고 엽채류 등에 대해서 식물 영양제와 병해충 방지제, 파리, 모기 등의 곤충기피제와 유충의 부하를 억제 기능을 하는 천연물질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목초액을 액체 상태로 이용할 경우 공급량 조절이 어렵고 지속성이 짧으며,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초액 조성물을 액체 상태로 피도체와 접촉시키면 목초액 조성물 소비량에 비해서 반응 효과가 낮으며, 목초액 타르 성분 등으로 인해서 분사기 노즐이 막혀서 자주 교체하거나 제거해 주어야 하고 반응기를 쉽게 산화시키거나 가습기의 진동판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목초액 중에 함유된 초산, 에탄올, 폴리페놀 등의 성분은 곡류, 엽채류, 과실류의 보관 창고에 장기 보관 시에 곤충 발생과 서식 방지에 목초액의 살포는 창고 실내의 습도의 증가 문제로 활용이 공란하다. 보관중인 양곡 창고에서 서식하는 바게미, 나방 등의 곤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맹독성의 훈증살충제 등을 활용함에 따라 왕겨 등의 재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내 공간과 축사(돼지, 오리, 닭 등)시설의 환경개선에 액체상태의 목초액 등의 약액 살포로 인한 사람 및 가축 스트레스 증가와 약액 소모량 과다, 지속시간이 짧아 주기적인 살포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을 개선하는 기화 상태의 약액 자동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한국특허 제0918565호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목초액이나 약액 분무장치에 비해 약액이나 전력의 소모량은 현저히 감소하지만 여전히 기화 패드에 목초액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무장치나 순환 펌프의 구동에 전력이 소모되고, 유입되는 공기량이 적거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기화 효율이 저하되므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거나 공기 또는 목초액 조성물을 가온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18672호는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멤브레인 패드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 내부의 공간부에 목초액 조성물을 충진한 후 이를 기화 장치에 장착하고 카트리지처럼 목초액 조성물이 소진된 경우에 이를 교체하는 것으로, 정기적으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를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 분무장치나 순환 펌프의 구동이 필요 없어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었지만, 유입되는 공기량이 적거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여전히 공기를 강제 송풍하거나 공기 또는 목초액 조성물을 가온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력의 공급이 어렵거나 사람에 의한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운 장소에 위치한 소규모의 축사, 온실,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폐기물 및 원료 운송 차량 벤트, 지하공간, 공공시설 등지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외부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에너지 독립적인 고효율 탈취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 먼지와 대기오염(악취) 물질, 부유세균 제거와 축사(동물)의 먼지와 냄새, 부유세균 제거, 소독, 피부 및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 온실(식물) 내부의 먼지와 부유세균 제거, 습도 조절, 식물영양제 기능, 실내 공기 냉각효과, 곡류, 엽채류 및 과실류의 보관 창고에 발생하는 곤충 방제와 신선도 유지,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쓰레기 매립장, 건조시설, 소각시설, 산업시설, 지하공간, 공공장소 등에서 발생 되는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화합물, 지방산류, 포름알데히드, 탄화수소 등의 대기오염(악취) 물질의 제거와 음식물, 분뇨, 축산폐수, 유독물질 등의 보관 및 처리와 운송 차량의 벤트에서 발생 되는 악취 물질의 제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에너지 독립적인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이용한 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 또는 목초액 조성물이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고 그 외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둘러싼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와, 상기 본체 외부로 공기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 및 태양광을 집광한 후 파장을 분리하여 장파장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공기 유출구로 유출하고, 상기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공기를 이송하며, 상기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서 분리된 단파장은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에 분기 연결되거나 또는 반응기 본체에 연결되고, 그 연결통로에 공기유입량 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경면 가공된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집광된 태양광에서 장파장은 흡수하고 단파장은 반사하는 파장분리렌즈가 일측에 설치된 함체로서, 상기 파장분리렌즈 하부에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단열층 아래에는 집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집열판 아래에는 공기 흐름통로가 형성된 공기 가열장치와; 상기 공기 흐름통로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과; 상기 반사된 단파장의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경면 가공된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집광된 태양광에서 장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태양전지판이 일측에 설치된 함체로서, 상기 태양전지판 하부에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단열층 아래에는 집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집열판 아래에는 공기 흐름통로가 형성된 공기 가열장치와; 상기 공기 흐름통로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집열판은 다수의 금속 핀이 공기 단열층의 반대 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공기 흐름통로는 집열판에 접하여 관형으로 설치되고 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금속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송풍팬을 구비하고, 상기 송풍팬은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의 상부로 목초액 조성물을 공급하는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 기화 패드의 하부에 기화되지 않고 흘러내린 목초액 조성물을 보관하는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 상기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의 목초액 조성물을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로 이송하는 순환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펌프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반응기 본체 내부의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 반응기 본체 내부, 및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기 가온 히터 또는 목초액 조성물 가온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가온 히터 또는 목초액 조성물 가온 히터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입구,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와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출구의 연결통로, 반응기 본체의 공기유입구, 반응기 본체 내부 및 반응기 본체의 유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제진필터, 탈취필터 및 제습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산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및 톨루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가스농도측정기, 온도계 또는 습도계가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본체 내부 및 공기 유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부재는 밸브 또는 댐퍼이고,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본체 내부 및 공기 유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의 정해진 가스 농도, 온도 또는 습도 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량 조절부재, 가온 히터, 송풍기 및 순환펌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태양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전력과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반응기 본체 내부의 기화패드 또는 멤브레인 패드의 목초액 조성물을 고효율로 기화시킴으로써, 전력의 공급이 어렵거나 사람에 의한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운 장소에 위치한 소규모의 축사, 온실, 곡물(양곡, 과일, 야채등) 창고,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폐기물 및 원료 운송 차량 벤트, 지하공간, 공공시설 등지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스 제거, 소독, 살균, 병해충 방지, 식물영양제 공급, 곡물 신선도 유지에 외부 전력 공급없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하고 기화 패드를 이용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중 태양광열 복합모듈 부분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중 기화 반응기 부분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하고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중 멤브레인 패드를 이용한 기화 반응기 부분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중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집열판과 관형 공기흐름통로 부분의 확대 사시도로서, 관형 공기흐름통로가 접한 면의 반대면에 공기단열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 또는 목초액 조성물이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고 그 외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둘러싼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와, 상기 본체 외부로 공기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 및 태양광의 파장을 분리하여 장파장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공기 유출구로 유출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공기를 이송하며, 상기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서 분리된 단파장은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에 분기 연결되거나 또는 반응기 본체에 연결되고, 그 연결통로에 공기유입량 조절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초액은 목초액 그 중에서도 대나무를 원료로 제조된 죽초액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목초액 조성물은 활엽수, 침엽수, 및 초목 녹색식물 중 하나 이상을 열분해, 중탕, 가온, 증류, 추출 또는 덖음하여 생성한 액체 또는 식물 정유 또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 응축, 숙성, 여과, 분리, 증발, 및 증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공 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초액 조성물은 침엽수, 활엽수, 교목, 관목, 상록수, 낙엽수, 상록침엽수, 낙엽침엽수, 상록활엽수, 낙엽활엽수, 및 초목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꽃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가마솥, 열분해로, 회화로, 중탕기, 추출기, 증류기, 및 가온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여 150℃ 내지 350℃에서 직접 또는 간접 열분해 하거나, 대기압 또는 감압 상태에서 80℃ 내지 150℃로 가온하거나, 열분해 또는 가온의 조작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중탕하거나, 용매 추출 또는 초임계유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데워 익히는 덖음을 하고, 상기 열분해, 가온, 중탕, 추출, 또는 덖음 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체 물질 또는 증기를 포집하여 이를 냉각 및 응축하고, 상기 냉각 또는 응축된 목초액 속에 함유된 식물 정유 성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유수 분리하고, 상기 목초액 속에 함유된 이물질 및 타르를 여과하고, 상기 목초액을 화학적 안정화를 위하여 상온 또는 가온하여 숙성하고, 상기 목초액 속에 함유된 이물질 및 타르를 분리하여 제조한다.
상기 목초액 조성물 또는 2종 이상의 목초액 조성물이 혼합된 목초액이 혼합된 조성물 또는 상기의 목초액 조성물에 식물열분해조성물, 금속촉매, 광촉매, 식물 정유, 식물추출물, 탈취제, 소취제, 소독제, 살균제, 산화제, 환원제, 식물영양제, 유기산, 발효제, 향료, 흡착제, 미생물, 미생물제제, 점토액, 황토액, 갯벌, 계면활성제 또는 방향제 중 하나 이상을 혼합(이하, 목초액 조성물)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비율은 목초액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90 중량%가 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화 패드에 담지된 목초액 조성물 또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 내부에 충진된 목초액 조성물을 유입된 공기와 접촉시켜 기화시키는데 있어서, 반응 속도와 접촉 효과, 기화 촉진, 기화량의 조절 등을 위해서 목초액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거나, 탄소수 1 ~ 4의 알코올 등의 용매를 혼합하거나 별도의 기화촉진제가 혼합된 목초액을 함유한 조성물(이하, 목초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는 내부 공간부에 금속촉매, 광촉매, 식물 정유, 식물추출물, 탈취제, 소취제, 소독제, 살균제, 산화제, 환원제, 식물영양제, 향료, 흡착제, 미생물, 점토액, 방향제 및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액이 담지된 기화 패드 또는 상기 약액이 충진된 멤브레인 패드가 상기 본체 내부에 추가로 구비되면 기능을 높이고 탈취, 소독, 살균, 병해충 방지, 식물영양제 공급, 및 곡물 신선도 유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하고 기화 패드를 이용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화 패드(13)는 공급되는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을 일정시간 함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공기가 관통하면서 목초액 조성물의 표면으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공기가 가진 열로 목초액 조성물을 증발시킬 수 있는 함수 통공성 패드이면 재질이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화 패드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어 함수율이 높을수록 공기와 접촉면적이 넓어 바람직하다. 기화 패드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우레탄,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 또는 석면, 유리섬유 등의 세라믹, 활성탄 또는 벤토나이트 또는 펄프 또는 섬유질 등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화패드의 형태는 경사진 주름을 형성한 시트를 적층된 블록의 형태로서, 기화 패드의 경사진 주름이 형성하는 공기 통로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기화 패드에 함수된 목초액 조성물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기화 패드를 이용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는 반응기 본체(10)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1)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13)와; 상기 본체 외부로 공기를 유출하는 유출구(12);를 포함한다.
기화 패드(13)은 목초액 조성물의 기화량을 증가시켜 처리대상 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반응기 본체(10)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기 본체(10) 내부에 유입된 처리대상 물질과 접촉시키기 위해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목초액 조성물을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에 처리대상 물질의 고효율 처리와 향을 개선하기 위해 기타 약액을 이용한 기화패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직렬로 목초액 조성물을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약액을 이용한 기화패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금속(광)촉매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식물 정유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식물추출물을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탈취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소취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소독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살균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환원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식물영양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향료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점토액을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방향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또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수하고 있는 기화 패드 등이 있다.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10)에는 상기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의 상부로 목초액 조성물을 공급하는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131), 기화 패드의 하부에 기화되지 않고 흘러내린 목초액 조성물을 보관하는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132), 상기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의 목초액 조성물을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로 이송하는 순환펌프(133)를 구비할 수 있다.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131)는 기화 패드에 균일하게 목초액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다수개의 살수공이 천공된 관을 이용하거나, 분사노즐을 이용하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공급된 목초액 조성물이 상부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 패드가 이용되거나, 또는 중력이나 사이폰 현상을 이용하여 자동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131)를 통해 기화 패드의 상부로 공급된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이 기화 패드, 즉 주름(또는 골) 형상의 시트가 다수 적층된 시트 내부에서 수막을 형성하면서 통과하여 흘러내리면서 일정 시간동안 담지된 후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132)에 보관된다.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132)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기화장치의 외부에 별도의 저장탱크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기화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동시에 설치되어 이송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목초액 조성물이 기화 패드에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기화 패드 내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공기가 관통하면서 공기의 열과 흐름에 의해 목초액 조성물이 기화되고, 동시에 기화열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냉각된다.
본 발명의 반응기 본체는 상기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 또는 기화패드를 통과하면서 기화되지 않고 흘러내린 목초액 조성물 또는 기타 약액 조성물 중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또는 여과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반응기 본체는 상기 기화 패드 상부에 공급하는 목초액 조성물(희석액) 또는 기타 약액(희석액)을 조액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용수 저장부 및 조액된 목초액 조성물 및 기타 약액 조성물을 보관하는 약액 저장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는 상기 목초액 조성물(희석액) 및 기타 약액(희석액)의 조액을 위한 용수를 상수도 및 지하수 라인에서 직접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용수 공급펌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는 상기 기화 패드 상부에 공급하는 목초액 조성물(희석액) 또는 기타 약액(희석액)을 조액하기 위해서 상기 용수 공급라인에 목초액 조성물 또는 기타 약액을 분사밸브 등을 통해 공급하여 공급라인 상에서 혼합되어 조액되도록 할 수 있다.
반응기 본체는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132), 용수 저장부 및 기타 약액 보관부 및 상기 기화 패드 상부로 공급되는 목초액 조성물 또는 약액 공급 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저장된 목초액 조성물, 용수 및 기타 약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온하기 위한 히터(1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목초액 조성물(1)이 가온되는 경우에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한 경우에도 목초액 조성물이 기화되는 속도 및 양을 증대시킨다.
도 4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하고 멤브레인 패드를 이용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중 목초액 반응기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14)는 패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목초액 조성물(1)이 충진되고, 상기 목초액 조성물이 충진된 공간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둘러쌓여 있는 것으로,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의 표면의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을 관통하여 내부의 목초액 조성물을 기체화시키거나,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해 표면으로 배출된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과 접하여 이를 기체화시킨다. 상기 기액 또는 액액 분리막 역할을 하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 표면의 다공성 멤브레인은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역삼투막, 나노여과막, 전기투석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이며, 공극의 크기가 0.1 ~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의 크기가 상기 상한치보다 크면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을 통한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의 배출 속도가 본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기화시킬 수 있는 기화량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목초액 조성물에 포함된 타르 성분이 함께 투과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한치보다 작으며 액상의 목초액 조성물이 표면으로 배출되는 양이 적어 기화량이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의 형태는 판형 또는 시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우레탄,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섬유로 제조된 유기 멤브레인, 또는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무기 멤브레인 어느 것이나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 제조에 원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페라진, 이소프탈로일 클로리드, 테트라프탈로일 클로리드 또는 트리메조일 클로리드를 함유하는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을 단량체로 사용하여 계면중합법으로 다공성 멤브레인의 활성층이 코팅된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초액 조성물을 충진시킨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는 파우치형, 판형, 블록형, 원통, 또는 이를 변형한 등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본체 내에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가 설치될 때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면적으로 넓게 할 수 있도록 정육면체 또는 구형보다는 파우치형 또는 판형과 같은 납작한 형태 또는 이들을 둥글게 만든 속이 빈 원통 형태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는 본체 내에서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흐름에 저항을 최소로 하면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본체의 공기 흐름에 접선방향으로 접하도록 설치하고, 본체 내에 2 이상의 패드를 설치할 경우에도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가 본체 내에 놓여질 수 있는 격자형 트레이를 설치하거나 본체 내벽과 패드의 모서리를 집게, 끈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파우치형의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는 두장의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을 겹쳐놓고 한쪽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를 접합한 후 주머니 형태를 먼저 만들고 그 내부에 액상 또는 겔상 또는 고상의 목초액 조성물을 충진하고 나머지 모서리를 접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블록형 또는 원통형 등 특정의 형상을 지니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는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만으로 형상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정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먼저 원하는 형상의 틀을 제조한 후 한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시트형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막고 목초액 조성물을 충진한 후 마지막 면을 접합하여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초액 조성물을 함수시킨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14)는 반응기 본체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본체의 높이 또는 직경을 1로 할 때 0.3 이상의 높이나 직경,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배의 높이나 직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하다. 또한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본체의 양 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공기의 원할한 흐름에 유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입구보다 유출구가 약간 낮게 설치하는 것이 목초액 조성물과 반응으로 공기 온도가 1~3℃ 저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위해 바람직하다. 설치 장소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많거나 송풍팬(15)를 구비하여 강제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를 공기의 흐름 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14)는 목초액 수용액 기화량을 증가시켜 처리대상 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반응기 본체(10)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기 본체(10) 내부에 유입된 처리대상 물질과 접촉시키기 위해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목초액 조성물을 함수하고 있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에 처리대상 물질의 고효율 처리와 특정물질의 고효율 처리 및 향을 개선하기 위해 기타 약액을 이용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직렬로 목초액 조성물을 함수하고 있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약액을 이용한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는 기화 패드에 이용되는 기타 약액이 이용될 수 있다.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는 전력의 공급이 어렵거나 사람에 의한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운 장소에 위치한 소규모의 축사, 온실, 곡물(양곡, 과일, 야채 등) 창고,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하수맨홀, 폐기물 및 원료 운송 차량 벤트, 지하공간, 공공시설 등지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스 제거, 소독, 살균, 병해충 방지, 식물영양제 공급, 곡물 신선도 유지를 위해 자연 순환되는 대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기화 반응기 내의 목초액 조성물이 기화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가 실내에 설치되거나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저하되는 경우 공기 유입량 부족 및 공기 온도 저하로 인하여 기화 효율이 급속히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원하는 수준의 유해물질 및 악취가스 제거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설치 장소나 계절에 관계없이 목초액 조성물의 기화 효율을 일정 수준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기 본체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의 증대 및 공기의 가온을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고, 또한 기화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목초액 조성물의 지속적인 공급 및 순환을 위한 구동력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기 본체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공기의 가온 및 각종 장치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에너지로부터 회수하기 위하여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이용하고, 태양광의 파장을 장파장과 단파장으로 분리하여 각각 공기 가열과 전력 생산에 활용하여 태양열을 함께 회수하는 것으로, 먼저 태양광을 집광한 후 파장을 분리하여 장파장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공기 유출구로 유출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공기를 이송하며, 상기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서 분리된 단파장은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을 구동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은 태양광의 집광판, 태양광의 파장 분리수단을 일 측에 구비하고 태양광의 장파장을 이용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장치, 공기 가열장치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강제로 형성하기 위한 송풍팬, 및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서 분리된 단파장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파장 분리수단 및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은 태양광의 장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태양전지판을 사용함으로써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은,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경면 가공된 집광판(201)과; 상기 집광판(201)에 집광된 태양광에서 장파장은 흡수하고 단파장은 반사하는 파장분리렌즈(202)가 일측에 설치된 함체로서, 상기 파장분리렌즈 하부에는 공기 단열층(20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단열층 아래에는 집열판(204)이 설치되며, 상기 집열판 아래에는 공기 흐름통로(205)가 형성된 공기 가열장치와; 상기 공기 흐름통로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공기 유입구(21) 및 공기 유출구(22)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25)과; 상기 반사된 단파장의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태양전지판(2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광열 복합모듈은 파장분리수단과 태양전지판이 결합된 태양광의 장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것으로,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경면 가공된 집광판(201)과; 상기 집광판(201)에 집광된 태양광에서 장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태양전지판(208)이 일 측에 설치된 함체로서, 상기 태양전지판(208) 하부에는 공기 단열층(20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단열층 아래에는 집열판(204)이 설치되며, 상기 집열판 아래에는 공기 흐름통로(205)가 형성된 공기 가열장치와; 상기 공기 흐름통로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공기 유입구(21) 및 공기 유출구(22)와; 상기 공기 유입구(21) 및 유출구(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광판(204)는 곡률을 갖는 접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광판의 곡률 중심부 방향으로 집광된다. 상기 집광은 반드시 곡률 중심부의 한 점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집광판의 집광면에서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의 태양전지판(208)까지의 거리는 곡률 반경의 0.5 ~ 0.95, 바람직하게는 0.7 ~ 0.9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미만이면 집광 효율이 너무 낮고, 상한치를 초과하면 집열판(204)의 표면적이 좁아 공기 가열 효율 증대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은 700 ~ 850 nm, 바람직하게는 750 ~ 800 nm에서 선택된 하나의 파장을 기준으로 장파장과 그 나머지 파장으로 분리한다. 상기 장파장과 분리되는 그 나머지 파장은 가시광선과 단파장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파장과 분리되는 파장을 단파장으로 부른다. 예를 들어 780 nm 이상의 장파장과780 nm 미만의 단파장으로 태양광을 분리할 수 있다.
먼저 파장분리렌즈(202)는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태양광 중 단파장은 반사시키고, 장파장은 통과시킨다. 파장분리렌즈(202)에서 반사된 단파장은 별도로 구비된 태양전지판(206)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도 1에서는 파장분리렌즈에서 분리된 단파장은 집광판(201)의 중심부의 경통(2011)을 관통하고, 경통 뒤에 설치된 태양전지판(206)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파장분리렌즈를 관통한 장파장은 공기단열층(203)을 거쳐 집열판(204)를 가열한다. 파장분리렌즈(202)는 평볼록렌즈 또는 메니스커스 볼록렌즈를 하나 또는 그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파장분리렌즈(202)를 이용하는 경우 태양전지판에 단파장만이 조사되므로 태양전지판의 가열로 인한 태양전지의 내구성이나 전력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와 같이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을 사용하는 경우는 집광된 태양광이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에 조사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에서 장파장만이 선택적으로 투과되어 공기단열층(203)을 거쳐 집열판(204)를 가열한다.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파장분리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장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일반 태양전지판(206)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의 전방부에 평형광 조절렌즈, 예를 들면 양볼록렌즈를 더 설치할 경우 태양전지판의 모든 면에 동일량으로 집속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태양전지판(206)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 위에 접하도록 강화유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태양전지판을 물리적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가열장치는 상기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이 일측에 설치된 함체이다. 함체의 내측 면에는 고무발포재 등의 단열재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과 집열판(204)의 사이는 밀폐된 공기 단열층(203)이 형성된다. 공기 단열층(208)은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과 집열판(204) 사이를 분리시켜 집열판(204)의 열에 의하여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의 전력 생산 효율이 저하되거나 파장분리렌즈(202) 또는 선택 투과성 태양전지판(208)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집열판(204)에 집열된 열의 손실을 방지하는 보온 효과를 가져온다.
집열판(204)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집열판의 상부는 장파장 흡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열판은 평판 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기 흐름통로 방향으로 돌출된 금속 핀이 구비된다.
공기 흐름통로(205)는 집열판(204)와 함체의 내벽 사이의 공간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공기 흐름통로 내에서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격벽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도 5와 같이 공기 흐름통로로서 집열판(204)와 접하도록 관형의 공기 흐름관을 설치할 수 있고, 공기 흐름관의 형태는 U자 형태, 스파이럴 형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흐름관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금속 핀(205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이나 공기 흐름관의 재질은 집열판과 동일하게 열전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한다.
공기 가열장치의 공기 흐름통로(205)는 양 말단이 공기 유입구(21) 및 유출구(22)로 연결되어 있고, 공기 유입구(21) 및 유출구(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송풍팬(25)가 형성되어 공기 가열장치 내에서 공기가 강제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는 반응기 본체(10)의 공기 유입구에 분기 연결되거나 또는 반응기 본체(10)에 직접 연결되고, 그 연결통로에 공기유입량 조절부재(31)가 구비된다. 공기유입량 조절부재로는 통상의 배관이나 덕트에 사용되는 밸브나 댐퍼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축사, 온실, 가축분뇨처리장, 음식물 보관 및 처리장, 하폐수처리장, 부산물비료 제조장, 폐기물 저장 및 처리장, 하수중계펌프장, 원료저장 및 취급장, 작업장, 공공시설 등의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또는 햇빛이 잘 비치는 외벽 면에 레일이나 브라켓을 이용하여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을 설치하고, 그 건물 내부에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를 설치한 후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 또는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의 유입구(11)를 배관 또는 덕트로 연결한다.
도 3와 같이, 반응기 본체 내부(10)에 공기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16)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11)에 공기 가온 히터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공기 가온 히터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 가온 히터 또는 목초액 조성물 가온 히터는 다음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입구,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와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출구의 연결통로, 반응기 본체의 공기유입구, 반응기 본체 내부 및 반응기 본체의 유출 중 어느 하나 이상 제진필터, 탈취필터, 제습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진필터는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및 Polyethylene 및 Polyester 및 Polypropylene 및 Acrylic 및 Cellulose 및 Aluminium 및 Synthetic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재료로 이용한 프리필터 및 전처리필터 및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필터 및 ULPA(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필터 및 항균필터(이하 제진필터) 또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청정한 공기와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탈취필터는 공기 중의 대기오염물질, 악취물질, VOCs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흡착제 및 활성탄 및 펄프 및 Glass fiber 및 Cotton 및 Kraft paper 및 Cartridges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재료로 이용해서 제조한 필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습필터는 공기 중의 가스, 미세수분, 증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및 펄프 및 Glass fiber 및 Cotton 및 Kraft paper 및 Cartridges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재료로 이용해서 제조한 필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태양광열 복합모듈 및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구비되는 제진필터, 탈취필터 또는 제습필터에는 부착된 먼지, 세균 등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필터청소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청소장치로는 예를 들어, 먼지 흡입장치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브러쉬로 필터 표면을 닦아낼 수 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고압의 공기, 물, 소독액 또는 세정액으로 필터 표면에 분사하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반응기 본체(10) 내부,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에는 온도계(18) 또는 습도계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낮아 실내 온도가 낮아지거나 목초액 조성물의 기화 속도가 느려지거나 기화량이 적을 경우 조절장치(41)에 의해 공기유입량 조절부재(31)을 통해 가온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공기 가온 히터 또는 목초액 조성물 가온 히터가 작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의 유입구(11)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산소, 이산화탄소, 공기온도,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톨루엔 등의 가스 농도 및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와의 연결통로, 또는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의 유입구(11)에 분기 연결되는 연결통로에 공기유입량 조절부재(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20)에 연결된 공기유입량 조절부재(31)와 별도로 반응기 본체의 유입구(11)에 외부 공기를 직접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량 조절부재를 분기 연결하는 경우 외부의 반응기 내부의 공기 온도 및 가스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본체 내부 및 공기 유출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장소에 산소, 이산화탄소, 공기온도,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톨루엔 등의 가스 농도측정기(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낮거나, 또는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소정의 농도보다 낮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또는 스타이렌 또는 톨루엔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보다 높을 경우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와의 연결통로, 또는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출구(22)와 반응기 본체(10)의 유입구(11)에 분기 연결되는 연결통로에 구비된 공기유입량 조절부재(31)를 조절하여 가온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거나, 또는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소정의 농도보다 낮거나,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또는 스타이렌 또는 톨루엔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보다 높을 경우 외부와 직접 연결된 공기유입량 조절부재를 작동시켜 축사 또는 온실 또는 작업장 등의 전부 또는 일부 폐쇄된 공간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태양광열 복합모듈(20)의 공기 유입구(21), 공기 유출구(22), 반응기 본체의 유입구(11) 및 유출구(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할 경우, 강제로 공기 유입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입 송풍팬(15)(25)이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별도로 또는 이와 동시에 본체(10) 내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기화된 목초액 조성물의 반응물을 강제로 유출시키기 위한 배출 송풍팬(15)이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은 운전/정지 작동 또는 회전수가 조절장치(4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반응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 또는 가스농도에 따라 기화 패드(13) 상부로 공급되는 목초액 조성물(13)의 양을 순환펌프(133)의 작동을 조절하는 순환펌프 조절장치(41)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공기유입량 조절부재, 가온 히터, 송풍기 및 순환펌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가스농도와 연계되는 타이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에서 송풍팬, 공기유입량 조절부재, 순환펌프, 히터, 필터청소장치 등 은 별도로 태양광열 복합모듈(20)에서 생산된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의 본체(10)와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 사이에 처리대상 물질의 고효율 처리를 위해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화패드를 이용한 기화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멤브레인 패드를 이용한 기화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약액 세정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오존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필터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촉매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흡착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라즈마 탈취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소각 탈취장치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직렬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결하여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는 기화 패드 또는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에서 기화 상태로 활성화된 목초액 조성물을 육상과 토양, 식물체, 동물체 및 대기 중의 처리대상 물질과 접촉시켜 먼지와 대기오염(악취) 물질의 제거, 소독, 피부 질환 및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 탈취제, 소독제, 병해충방지제, 곤충기피제, 식물영양제의 공급 및 분산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1: 목초액 조성물
10: 반응기 본체 11: 반응기 공기 유입구
12: 반응기 공기 유출구 13: 기화 패드
14: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 15: 송풍팬
16: 가온 히터 17: 가스농도측정기
18: 온도계 19: 필터
131: 목초액 조성물 공급부 132: 목초액 조성물 저장부
133: 순환펌프
20: 태양광열 복합모듈 21: 태양광열 복합모듈 공기 유입구
22: 태양광열 복합모듈 공기 유출구 25: 송풍팬
201: 집광판 202: 파장분리렌즈
203: 공기단열층 204: 집열판
205: 공기 흐름통로 207: 태양전지판
208: 선택투과성 태양전지판
2041: 금속 핀 2051: 금속 핀

Claims (8)

  1. 반응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기화 패드 또는 목초액 조성물이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고 그 외부는 다공성 멤브레인으로 둘러싼 다공성 멤브레인 패드와, 상기 본체 외부로 공기를 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목초액 조성물 기화 반응기; 및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경면 가공된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집광된 태양광에서 장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태양전지판이 일측에 설치된 함체로서 상기 태양전지판 하부에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단열층 아래에는 집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집열판에 접하여 집열판의 하부에는 내부에 금속 핀이 형성된 관 형의 공기 흐름통로가 형성된 공기 가열장치와, 상기 공기 흐름통로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된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송풍팬을 포함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입구 및 반응기 본체의 유입구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가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에 분기 연결되거나 또는 반응기 본체에 연결되며, 그 연결통로에 공기유입량 조절부재가 구비되어, 그 조절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가열된 공기가 반응기 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본체의 공기 유입구, 반응기 본체 내부, 및 태양광열 복합모듈의 공기 유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기 가온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가온 히터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
KR1020100074913A 2010-08-03 2010-08-03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3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13A KR101239738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13A KR101239738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15A KR20120012715A (ko) 2012-02-10
KR101239738B1 true KR101239738B1 (ko) 2013-03-18

Family

ID=4583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9738B1 (ko) 2010-08-03 2010-08-03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683A (zh) * 2015-05-25 2015-11-11 武汉理工大学 室内太阳能光触媒自清洁智能无线控制空气净化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24B1 (ko) * 2017-09-22 2019-11-06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태양열 및 풍력을 이용한 융·복합발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687B1 (ko) * 1994-10-05 2000-04-15 히사오 이즈미 태양광을 장파장과 단파장으로 분리함에 의해서 발전 및 가열을 하기 위한 혼성 태양광 집광기
KR20080020047A (ko) * 2006-08-30 2008-03-05 한국전기연구원 태양열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용 입체모듈 및 이를이용한 복합발전방법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687B1 (ko) * 1994-10-05 2000-04-15 히사오 이즈미 태양광을 장파장과 단파장으로 분리함에 의해서 발전 및 가열을 하기 위한 혼성 태양광 집광기
KR20080020047A (ko) * 2006-08-30 2008-03-05 한국전기연구원 태양열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용 입체모듈 및 이를이용한 복합발전방법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683A (zh) * 2015-05-25 2015-11-11 武汉理工大学 室内太阳能光触媒自清洁智能无线控制空气净化器
CN105042683B (zh) * 2015-05-25 2018-01-23 武汉理工大学 室内太阳能光触媒自清洁智能无线控制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15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565B1 (ko)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US11771101B2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atmosphere of a storage space for vegetable products
US8454729B2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US5433923A (en) Indoor humidifier and air purifier
KR101212713B1 (ko) 목초액 조성물이 담지된 멤브레인 패드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1042489B1 (ko) 친환경적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화장치
CN201410131Y (zh) 一种纳米光催化等离子生物法除臭系统
KR20160148170A (ko) 공기정화식물과 광물필터를 이용한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WO2011115806A2 (en)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NO323326B1 (no) Biologisk filtersystem, hus for filtersystemet, fremgangsmate for luftrensing og kondisjonering, samt anvendelse av systemet og fremgangsmaten.
CN101810877A (zh) 一种纳米光催化等离子生物法除臭方法及全自动异味控制除臭系统
JP4418886B2 (ja) 吸引通気式堆肥製造施設の排気処理装置及び排気処理方法
KR101239738B1 (ko) 태양광열 복합모듈을 구비한 기화장치
CN206803336U (zh) 循环生态空气净化系统
CN103801191A (zh) 生物过滤处理臭气及有机污染物的设备
JP3530516B2 (ja) 空気浄化用吸着材及び空気浄化装置
KR20140015378A (ko) 오염된 대기를 처리하기 위한 기체상 혼합물의 제조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용도
CN102688670B (zh) 臭气处理方法和系统
JP7299649B2 (ja) 空気浄化装置
KR100437534B1 (ko) 탈취기내에 균일한 가스를 공급하는 다공성에어팩을이용한 생물학적 악취제거장치
CN209840300U (zh) 一种设置有人工雨林微生态系统的观赏型空气净化装置
LT5862B (lt) Plokštelinis biofiltras su kapiliarine įkrovos drėkinimo sistema
KR200477051Y1 (ko) 자연통풍형 공기정화기
CN209840308U (zh) 一种设置有植物培养区域的生态型室内空气净化器
JP3043873U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