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9423B1 -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423B1
KR101239423B1 KR1020050128372A KR20050128372A KR101239423B1 KR 101239423 B1 KR101239423 B1 KR 101239423B1 KR 1020050128372 A KR1020050128372 A KR 1020050128372A KR 20050128372 A KR20050128372 A KR 20050128372A KR 101239423 B1 KR101239423 B1 KR 10123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frame
bracket
excavator
main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267A (ko
Inventor
오진원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4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4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 및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내면(PIS) 및 하면(PLS)이 고정되고, 상면(PUS)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브라켓(22)이 고정되며, 외면(POS)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 안착부(26)가 마련된 보강파이프(20); 및 내면에 상기 제1브라켓(22)과 볼트(28)에 의해 결합되는 제2브라켓(32)이 고정되고, 하단부(LE)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 및 전면을 덮도록 상기 커버 안착부(26)에 지지되는 커버(3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은 상기 커버(30)의 외면(COS)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의 손상 및 실링부재의 손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프레임, 커버, 손상, 보강파이프, 실링부재

Description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MAIN FRAME ASSEMBLY OF EXCAVATOR}
도 1은 종래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와 보강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프레임 20; 보강파이프
22; 제1브라켓 26; 커버 안착부
30; 커버 32; 제2브라켓
36; 조립홀 40; 실링부재
PIS; 보강파이프 내면 PLS; 보강파이프 하면
PUS; 보강파이프 상면 POS; 보강파이프 외면
COS; 커버 외면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임과 커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굴삭기는, 주행장치가 마련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장치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는 선회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선회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에는 각종 유압기기 및 유압호스와 엔진 등이 탑재되며, 이러한 구성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 및 전면에는 커버가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의 양 측면 및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2)는 복수의 볼트(3)에 의해 메인프레임(1)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2)의 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1)의 사이에는 러버재질의 실링부재(4)가 개재된다.
상기 커버(2)는 그 두께가 1.6mm 정도로 매우 얇아서 장애물에 접촉시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메인프레임(1)이 선회시 커버(2)가 주변의 장애물에 접촉되는 경우가 많아 상기 커버(2)의 찌그러짐 등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재질의 실링부재(4)가 메인프레임(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실링부재(4)는 토사 등에 의해 손상을 받기가 쉽다. 러버재질의 실링부재(4)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의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어 유압기기 및 호스 등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물에 접촉되더라도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 및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내면 및 하면이 고정되고,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브라켓이 고정되며,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 안착부가 마련된 보강파이프; 및 내면에 상기 제1브라켓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2브라켓이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 및 전면을 덮도록 상기 커버 안착부에 지지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파이프의 외면은 상기 커버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파이프와 상기 커버의 하단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상기 제2브라켓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볼트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에 대하여 상 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파이프(20)와, 상기 보강파이프(20)에 고정되는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는 유압기기나 유압호스 등의 각종 유압관련 부품과 엔진 등이 탑재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면에는 붐 브라켓(1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0)는 상기 붐 브라켓(1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면 및 양 측면의 하부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이며, 그 내면(PIS)과 하면(PLS)은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면(PUS)에는 "ㄴ"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브라켓(22)이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브라켓(22)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면에 2개와 양 측면 각각에 2개씩 정도가 배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22)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볼트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22)의 높이는 상기 커버(30)의 높이의 절반 정도의 위치까지 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에는 상기 커버(30)의 하단부(LE)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안착부(26)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은 상기 커버 안착부(26)로부터 보강파이프(20)의 하면(PLS)까지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 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은 상기 커버(30)의 외면(COS)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보강파이프(20)가 커버(3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0)이 선회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 장애물과 접촉되더라도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보강파이프(20)가 접촉하게 되어 커버(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면 및 측면을 덮도록 상기 보강파이프(20)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보강파이프(2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커버(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붐 브라켓(1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면 및 양 측면 각각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30)의 하단부(LE)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커버 안착부(26)에 안착된다. 상기 커버(30)의 하단부(LE)와 상기 커버 안착부(26) 사이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실링부재(40)가 개재된다.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커버(30)의 하단부(LE)에 삽입된 채로 상기 커버 안착부(26)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파이프(20)와 상기 커버(30) 사이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40)가 메인프레임(10)의 하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토사 등과의 접촉 빈도가 줄어들게 되어, 실링부재(40)의 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내면에는 상기 제1브라켓(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브라켓(32)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2브라켓(32)에는 제2볼트공(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0)의 상기 제2브라켓(3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조립홀(3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작업자는 상기 조립홀(36)을 통해 볼트(28)를 상기 제2브라켓(32)의 제2볼트공(34)과 상기 제1브라켓(22)의 제1볼트공(24)을 통해 제1 및 제2브라켓(22)(32)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22)(32)이 볼트(28)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커버(30)가 보강파이프(20)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체인 보강파이프가 커버보다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커버가 장애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커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위치함으로써, 기존의 토사에 의해 실링부재의 조기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보강파이프의 커버 안착부에 탑재되는 형태로 상기 보강파이프에 조립되어 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 및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내면(PIS) 및 하면(PLS)이 고정되고, 상면(PUS)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브라켓(22)이 고정되며, 외면(POS)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 안착부(26)가 마련된 보강파이프(20); 및
    내면에 상기 제1브라켓(22)과 볼트(28)에 의해 결합되는 제2브라켓(32)이 고정되고, 하단부(LE)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 및 전면을 덮도록 상기 커버 안착부(26)에 지지되는 커버(3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면(POS)은 상기 커버(30)의 외면(COS)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20)와 상기 커버(30)의 하단부(LE) 사이에는 실링부재(4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상기 제2브라켓(3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볼트(28)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KR1020050128372A 2005-12-23 2005-12-23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23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2A KR101239423B1 (ko) 2005-12-23 2005-12-23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72A KR101239423B1 (ko) 2005-12-23 2005-12-23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267A KR20070067267A (ko) 2007-06-28
KR101239423B1 true KR101239423B1 (ko) 2013-03-06

Family

ID=3836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3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9423B1 (ko) 2005-12-23 2005-12-23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4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699A (ja) * 1994-06-03 1995-12-19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H09189050A (ja) * 1996-01-11 1997-07-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外装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H10219737A (ja) 1997-02-04 1998-08-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上部旋回体のカバーとフレームの当接部構造
JP2000212999A (ja) 1999-01-19 2000-08-02 Komatsu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1699A (ja) * 1994-06-03 1995-12-19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H09189050A (ja) * 1996-01-11 1997-07-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外装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H10219737A (ja) 1997-02-04 1998-08-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上部旋回体のカバーとフレームの当接部構造
JP2000212999A (ja) 1999-01-19 2000-08-02 Komatsu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267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0488B2 (ja) 作業機械
JP5834152B2 (ja) ガード付き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油圧ショベル
JP4555274B2 (ja) 建設機械
JP4847974B2 (ja) バックホー
US20220136207A1 (en) Rotary working vehicle
KR101239423B1 (ko) 굴삭기의 메인프레인 조립체
JP4543996B2 (ja) 作業機械
JP4882098B2 (ja) 掘削作業車
JP5789158B2 (ja) 建設機械のシリンダ装置
JP2004108055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3574355B2 (ja) 旋回作業機のスイベルジョイント
JP2008247100A (ja) エンジンフード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2003003511A (ja) 作業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6731383B2 (ja) 作業機械
JP4836849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JP5065968B2 (ja) 柱支持部材およ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0212993A (ja) 建設機械の配管接続構造
JP2005350948A (ja) 油圧ショベルの保護装置
JP459698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WO2014073342A1 (ja) 建設機械
JP4619170B2 (ja) 旋回作業機
KR101766333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JP4264495B2 (ja) 掘削作業車
JP2017203301A (ja) 建設機械
JP4101849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