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984B1 - Multi-functional floodgat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floodg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8984B1 KR101238984B1 KR1020120062792A KR20120062792A KR101238984B1 KR 101238984 B1 KR101238984 B1 KR 101238984B1 KR 1020120062792 A KR1020120062792 A KR 1020120062792A KR 20120062792 A KR20120062792 A KR 20120062792A KR 101238984 B1 KR101238984 B1 KR 101238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water level
- water
- opening
- hinge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의 외부를 향한 개방을 위해 문틀(14)에 대해 힌지부재(12)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비(10)를 갖춘 수문으로서,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내수위와 외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위측 유수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문비(10)에 설치된 배관부재(16)와, 상기 배관부재(16)의 외수위측 입구를 개폐하는 부유체(18)를 갖춘 자연 배수부; 상기 힌지부재(12)에 설치되어 상기 문비(10)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틀(14)의 하단부로 펼쳐지는 거치대(22)를 갖춘 개방 유지부; 및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비(10)에 대한 부력을 조절하는 밀폐 구조물(24)을 갖춘 부력 조절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gate having a door (10) is pivotally installed through the hinge member 12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14 for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waterway, the inner water level and the outside around the door (10) Floating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piping member 16 installed in the doorway 10 and the external water level side inlet of the piping member 16 to induce the discharge of the internal water level side water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water level Natural drainage with 18; A rotation limiter installed at the hinge member 12 to limi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lock 10 to a predetermined angle; An open holding part having a cradle 22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door 10 and spreads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14; And a buoyancy control unit having a sealing structure 24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door 10 to adjust the buoyancy on the door door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형 자동 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수위와 외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자연 배수기능, 수로 바닥에 퇴적된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기능, 수문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기능, 수문을 폐쇄상태에서도 수로박스의 내부로 취수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 수문의 개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기능, 및 현장의 여건이나 수문의 크기 등에 맞춰 수문의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갖춘 다기능형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utomatic hydrologic, more specifically, the natural drainage function ma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ater level, easy removal function of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channel, the opening angle of the water gate The ability to limit the water to a certain level, to enable the water intake into the waterway box even in the closed state, to keep the water open continuously, and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or the size of the water It's about a multifunctional automatic sluice with all the features you can adjust.
일반적으로 수문은 댐이나 하천의 제방이나,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에 설치되어 배수량을 조절하고 하천의 물이 수로의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설비이다. In general, hydrologic gates are installed in dams, river banks, freshwater installations such as embankments, reservoirs, or reservoirs to control drainage and prevent back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waterways. It is a facility to adjust by.
이와 같은 수문은 크게 수로의 문틀에 대해 개폐 방식으로 설치되는 문비와, 상기 문비의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를 유도하는 권양기 등의 설비를 함께 구비한다. Such a sluice is provided with a door, which is largely installed in an opening and clos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of the waterway, and facilities such as a winch for induc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method of the door.
이에 반해, 선회방식의 수동식 수문은 문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비만을 갖춘 구조로서, 문비에 대한 개폐의 조절은 사람에 의한 외력이나 문비를 중심으로 내수위와 외수위 사이에서 수반되는 수압차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In contrast, the swing-type manual sluice is structured only with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Is determined only by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력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수문에서는 수로의 바닥에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들이 퇴적될 경우, 비교적 중량물에 해당하는 문비를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제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로 내부의 유수를 하천으로 방류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수문의 개방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when various types of foreign matters ar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way, the doors of the waterway controlled by manpower must be kept relatively open, so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moving the water. When trying to discharge the running water into the river,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the water gate can be realized only by manual operation.
또한, 이러한 문제는 수문의 크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수동 조작방식의 수문에서는 모두 존재하는 것이므로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특히, 수동식 수문에서는 문비가 가지고 있는 중량이나 크기적 특성에 따라 수문의 개폐를 결정하는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상황 등에 따라 수문의 부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se problems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ydrological gates, but basically all of them are present in the manual hydrological gates, so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In particular, in the manual hydrological gat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perly adjusting the buoyancy for determ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ydrologic gate according to the weight and size characteristics of the door gate. Hav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문을 중심으로 내/외측 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의 자연스러운 배수를 구현하고, 문틀의 하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로 바닥에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며, 수문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여 그 이상의 각도로 수문이 개방되지 않게 하고,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하천의 물을 수로박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끌어올 수 있게 하며, 수문의 개방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로박스의 점검과 준설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현장여건이나 수문의 크기에 맞춰 수문의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natural drainage of the domestic water by using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ter level centering on the water gate, and to form a slope at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way It restricts the opening angle of the water gate to a certain level so that the water gate cannot be opened at an angle higher than that, and the water of the river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waterway box without opening the water gate,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water gate i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automatic sluice that maintains constant to facilitate inspection, dredging and cleaning of waterway boxes, and can properly adjust the buoyancy of the sluic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or the size of the slu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의 외부를 향한 개방을 위해 문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비를 갖춘 수문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gate with a door lock that is pivo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for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waterway,
상기 문비를 중심으로 내수위와 외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위측 유수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문비에 설치된 배관부재와, 상기 배관부재의 외수위측 입구를 개폐하는 부유체를 갖춘 자연 배수부; A piping member installed in the doorway and a floating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water level side inlet of the pipe member to induce discharge of the water level side water by using a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water level and the external water level around the doorway; Equipped with natural drainage;
상기 문틀의 하단부에 퇴적물의 제거를 위해 상기 문비를 향해 하향 구배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consisting of a slop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oor to remove deposits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상기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문비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 A rotation limiter installed at the hinge member to limi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o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문비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마개를 갖춘 취수 기능부; A water intake function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door and a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상기 문비의 내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틀의 하단부로 펼쳐지는 거치대를 갖춘 개방 유지부; 및 An open holding part having a cradl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which extends to a lower end of the door frame; And
상기 문비의 내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비에 대한 부력을 조절하는 밀폐 구조물을 갖춘 부력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ov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oyancy control unit having a closed structure for adjusting the buoyancy to the door.
본 발명은 자연 배수기능을 이용하여 내수위와 외수위 사이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의 자연스러운 배수를 도모할 수 있고, 문틀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이용하여 수로 바닥에 퇴적된 이물질의 보다 용이한 제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수문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함으로써 특정각도 이상으로 수문이 개방되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natural drainage of the domestic water by using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water level using the natural drainage function, and usi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more of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channel Easy removal can be realized, and by limi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gate to a certain lev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te from opening beyond a certain angle.
또한, 본 발명은 수문에 구비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폐쇄상태에서도 수로박스의 내부로 하천의 물을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게 하고, 수문의 개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수로박스의 점검과 준설 및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며, 수문에 부착되는 착탈식 부력장치를 매개로 현장의 여건이나 수문의 크기 등에 따라 수문의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ake in the water of the river into the waterway box even in the closed state by using the through-hole provided in the waterway,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waterway box inspection and dredging And the cleaning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and through the removable buoyancy device attached to the gate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the buoyancy of the gat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or the size of the g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외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종단면으로 자연 배수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종단면으로 이물질 제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종단면으로 회동 제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종단면으로 취수 기능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종단면으로 개방 유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부력 조절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atural drainage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ulti-function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limiting sectio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ulti-function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 intake functio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ulti-function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n hold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multi-function automatic waterma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수로의 외부를 향한 개방을 위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비(10)와, 상기 문비(10)의 개폐를 위해 힌지부재(12)를 설치하도록 수로박스에 형성되는 문틀(1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문비(10)는 수로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로서 외수위가 내수위 보다 높을 경우 하천의 물이 수로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way to be pivotally installed for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waterway and the waterway to install the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형 자동 수문은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내수위와 외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위측 유수의 배출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문비의 크기가 커지고 자중이 무거워 일정수위까지 내수가 담수되는 현상을 완화하는 자연 배수부, 상기 문틀(14)의 하단부에 퇴적된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 상기 문비(10)의 힌지부위에 설치되어 문비(10)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 상기 문비(10)의 폐쇄상태에서도 하천의 물을 수로박스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하는 취수 기능부, 상기 문비(10)의 내측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비(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개방 유지부, 및 상기 문비(1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현장상황이나 문비(10)의 크기에 맞춰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구비한다. Multifunctional type automatic flood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water level and the external water level around the
상기 자연 배수부는 상기 문비(10)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수로의 내수위측과 외수위측을 상호 교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배관부재(16),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에 대한 개폐를 내수위와 외수위 사이의 수압차를 이용하여 조절하기 위해 외수위측 자유단부에 위치한 입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球) 형상의 부유체(18), 및 상기 배관부재(16)의 외수위측 자유단부에 위치한 입구에 대해 상기 부유체(18)의 이탈을 억제한 상태에서 내부 통로의 개폐를 위한 상기 부유체(18)의 이동만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망(20)을 구비한다. The natural drainage par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배관부재(16)는 외수위측 자유단부에 상기 부유체(18)에 의한 내부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안착단(16a)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부유체(18)가 상기 안착단(16a)에 위치할 때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는 폐쇄되고, 상기 안착단(16a)으로부터 상기 부유체(18)가 이격될 때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는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다. The
상기 부유체(18)는 수로의 내수위와 외수위의 정도로부터 기인하는 수압차에 의해 상기 가이드 망(2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여 상기 배관부재(16)의 외수위측 자유단부에 위치한 내부 통로를 개폐시키는 일종의 체크 볼에 해당한다. 상기 가이드 망(20)은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를 통한 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는 반면에 상기 부유체(18)의 이탈을 제한하는 메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자연 배수부는 현장의 여건이나 상기 문비(10)의 크기 또는 중량에 맞춰 적정의 수량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수로의 내수위가 외수위 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배관부재(16)의 내수위측 내부에 작용하는 수압이 외수위측 내부에 작용하는 수압 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부유체(18)는 상기 가이드 망(20)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는 개방되어 내수위측 유수가 자연스럽게 외수위측으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inner water level of the water channel is higher than the outer water level around the
이에 반해,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수로의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부유체(18)는 상기 가이드 망(20)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어 안착단(16a)에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는 폐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부재(16)의 내부 통로는 폐쇄되어 외수위측 유수가 내수위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way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around the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문틀(14)의 하단부에서 상기 문비(10)를 향해 하향 구배진 형태의 경사면(14a)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경사면(14a)은 상기 문비(10)의 개방시 수로의 바닥에 퇴적된 각종 이물질을 유수와 함께 외수위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14a)은 현장의 여건이나 상기 문비(10)의 구조적 특징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is formed of an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회동 제한부는 상기 힌지부재(12)에 설치되어 상기 문비(10)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부재(12)는 상기 문틀(14)에 대해 설치되는 고정측 힌지브라켓(12a), 상기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축(12b)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문비(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선회측 힌지브라켓(12c), 및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12b)에 대해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선회할 때 상기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의 선회각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제한하는 돌출 브라켓(12d)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은 상기 문틀(14)에 대해 앵커핀(12e)을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돌출 브라켓(12d)은 상기 힌지축(12b)에 대해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과 일체로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따라서 상기 회동 제한부는 상기 문비(10)가 상기 문틀(14)에 대해 개방될 때 일정각도 이상으로 선회되지 않게 해 준다. 즉,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내수위가 외수위 보다 높을 경우, 부력에 의해 상기 문비(10)가 힌지부재(12)를 매개로 선회되어 개방될 때, 일정각도 이상으로 떠오르지 않게 된다. Therefore,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prevents the door turn 10 from turning over a certain angle when the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취수 기능부는 상기 문비(10)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수로의 내수위측과 외수위측을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구멍(10a), 상기 관통구멍(10a)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마개(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10b)는 상기 문비(10)에 대해 와이어(10c)를 매개로 매달리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10a)과 상기 마개(10b)는 각각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대해 나사산을 가공하여 나사체결의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water intake function unit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이에 따라, 농번기에 상기 문비(1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구멍(10a)으로부터 상기 마개(10b)를 빼낸 다음 양수용 호스를 설치하고, 설치된 양수용 호스를 이용하여 하천의 물을 수로박스의 내부로 끌어올 수 있게 된다. 즉,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문비(1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취수 기능부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수로의 내부로 취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용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경우, 상기 취수 기능부에 있어 상기 관통구멍(10a)의 크기나 수량 등은 현장의 여건에 맞춰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though the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개방 유지부는 상기 문비(10)의 내수위측 내면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22)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상기 거치대(22)는 상기 문비(10)의 개방시 상기 문틀(14)의 하단부로 펼쳐져 문비(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수문의 특성상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음으로 인해 각종 이물질 등이 퇴적하게 되고, 이러한 퇴적물에 의해 물의 흐름을 방해함에 따른 문비(10)의 개폐를 곤란하게 할 때 상기 문비(10)의 주기적인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상기 거치대(22)를 이용하면 상기 문비(10)는 일정각도로 개방상태를 지속할 수 있으므로 수로박스의 점검이나 준설 및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방 유지부의 거치대(22)는 현장의 여건이나 상기 문비(10)의 크기 또는 중량에 맞춰 적정의 수량으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open holding part may be implemented as a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문비(10)의 내수위측 내면에 대해 착탈 방식으로 설치되는 밀폐 구조물(24)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밀폐 구조물(24)은 내수위측 수로에 저수된 물에 의해 상기 문비(10)가 개방될 때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문비(10)의 개방을 좀 더 용이하게 해 준다. 즉, 상기 밀폐 구조물(24)은 상기 문비(10)의 내측면에 대해 착탈 방식으로 설치되어 현장의 상황이나 여건, 문비(10)의 크기나 중량 등에 따라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상기 문비(10)의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밀폐 구조물(24)은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나사체결에 의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방식의 조립구조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력 조절부는 현장의 여건이나 상기 문비(10)의 크기 또는 중량에 맞춰 적정의 크기 또는 수량으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formed of a seal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비(10)를 기준으로 수로의 내수위측과 외수위측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위측의 물을 상기 배관부재(16)를 통해 자연스럽게 외수위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자연 배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discharges water from the inner water level side to the outer water level side through the pip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문틀(14)의 하단부위에 특정의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4a)을 이용하여 수로의 바닥부위로 퇴적되는 각종 이물질을 문비(10)의 개방시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의 제거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nclined surface (14a) formed to have a specific gradient on the lowe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비(10)의 개방시 상기 힌지부재(12)의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에 대해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과 일체로 선회하는 돌출 브라켓(12d)을 접촉시켜 선회각도를 설정된 정도만큼만 허용하게 되므로 상기 문비(10)의 개방시 부력에 의해 개방되는 정도를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act the protruding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문비(10)에 형성된 관통구멍(10a)을 이용하여 농번기에 상기 문비(10)를 직접적으로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구멍(10a)을 이용하여 양수용 호스를 설치한 다음 하천의 물을 수로박스의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hose for pumping using the through hole (10a) even though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힌지 결합된 거치대(22)를 이용하여 문비(10)의 개방시 상기 문틀(14)의 하단부에 대해 거치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에 해당하는 문비(10)를 지속적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수로박스의 점검과 준설 및 청소와 같은 주기적인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착탈 방식으로 결합되는 밀폐 구조물(24)을 이용하여 현장의 여건이나 문비(10)의 크기 등에 따라 문비(10)에 작용하는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문비 10a-관통구멍
10b-마개 10c-와이어
12-힌지부재 12a-고정측 힌지브라켓
12b-힌지축 12c-선회측 힌지브라켓
12d-돌출 브라켓 12e-앵커핀
14-문틀 14a-경사면
16-배관부재 16a-안착단
18-부유체 20-가이드 망
22-거치대 24-밀폐 구조물10-
10b-
12-
12b-
12d-
14-
16-piping
18-floating 20-guide net
22-stage 24-sealed structure
Claims (6)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틀(14)의 하단부로 펼쳐지는 거치대(22)를 갖춘 개방 유지부;
상기 힌지부재(12)에 설치되어 상기 문비(10)의 개방각도를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 및
상기 문비(10)를 중심으로 내수위와 외수위의 차이에 따른 수압차를 이용하여 내수위측 유수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문비(10)에 설치된 배관부재(16)와, 상기 배관부재(16)의 외수위측 입구를 개폐하는 부유체(18)를 갖춘 자연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제한부는 상기 문틀(14)에 설치되는 고정측 힌지브라켓(12a), 상기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축(12b)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문비(10)에 고정되는 선회측 힌지브라켓(12c), 및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에 고정되어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선회할 때 상기 고정측 힌지브라켓(12a)에 접촉하여 상기 선회측 힌지브라켓(12c)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돌출 브라켓(1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As a water gate with a door lock 10 which is installed to be pivotable through the hinge member 12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14 for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water channel,
An open holding part having a cradle 22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door 10 and spreads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14;
A rotation limiter installed at the hinge member 12 to limi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lock 10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Piping member 16 installed in the door (10) to induce the discharge of the water level on the water level by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water level and the external water level around the door 10, and the piping member 16 A natural drain having a float (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er water level side inlet;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is fixed to the hinge hinge bracket (12a), the fixed side hinge bracket (12a)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14, one end is pivotally installed through the hinge shaft (12b) and the other end is the door ratio Swivel side hinge bracket 12c fixed to 10, and Swivel side hinge bracket 12c and the fixed side hinge bracket 12a when the swivel hinge bracket 12c pivot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rotruding bracket (12d) for limiting the turning angle of the turning side hinge bracket (12c) in contact with.
상기 배관부재(16)는 외수위측 입구에 상기 부유체(18)의 이탈을 억제하고 내부 통로의 개폐만을 위한 가이드 망(20)을 설치하고, 내부에 상기 부유체(18)와의 접촉에 따라 내부 통로의 폐쇄를 위한 안착단(16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ping member 16 is provided with a guide net 20 for suppressing the detachment of the floating body 18 at the inlet of the outer water level and only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passage, and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body 18 therein. A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 gat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ating end (16a) for closing the inner passage.
상기 문비(10)의 내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비(10)에 대한 부력을 조절하는 밀폐 구조물(24)을 갖춘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ma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oyancy control unit having a sealing structure (24)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 to adjust the buoyancy for the door (10).
상기 문틀(14)의 하단부에 퇴적물의 제거를 위해 상기 문비(10)를 향해 하향 구배진 경사면(14a)으로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automatic waterma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removal portion consisting of a slope slope (14a) downwardly toward the door (10) to remove the deposits on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14).
상기 문비(10)를 관통하여 양수용 호스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10a)과, 상기 관통구멍(10a)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마개(10b)를 갖춘 취수 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형 자동 수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intake function having a through hole (10a)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umping hose through the door (10), and a stopper (1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10a) Automatic slu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792A KR101238984B1 (en) | 2012-06-12 | 2012-06-12 | Multi-functional floodg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792A KR101238984B1 (en) | 2012-06-12 | 2012-06-12 | Multi-functional floodg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8984B1 true KR101238984B1 (en) | 2013-03-04 |
Family
ID=4818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2792A KR101238984B1 (en) | 2012-06-12 | 2012-06-12 | Multi-functional floodg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89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2278B1 (en) * | 2016-07-06 | 2017-07-06 | 장영선 | Lift gate having sheave unit which have folding structure |
KR102072198B1 (en) | 2019-05-27 | 2020-01-31 | 주식회사 동인 | Power-free and multi-functional ga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85672A (en) * | 2003-03-20 | 2004-10-14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Flap gate |
KR101043916B1 (en) * | 2010-11-01 | 2011-06-29 | 주식회사 동인 | Curtain gate of river embankment drain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2792A patent/KR1012389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85672A (en) * | 2003-03-20 | 2004-10-14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Flap gate |
KR101043916B1 (en) * | 2010-11-01 | 2011-06-29 | 주식회사 동인 | Curtain gate of river embankment drai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2278B1 (en) * | 2016-07-06 | 2017-07-06 | 장영선 | Lift gate having sheave unit which have folding structure |
KR102072198B1 (en) | 2019-05-27 | 2020-01-31 | 주식회사 동인 | Power-free and multi-functional g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5335B1 (en) | Buoy automatic sluice | |
CN208363235U (en) | Overflow well with flow of intercepting pipeline controlled by floating barrel and pulley | |
KR101238984B1 (en) | Multi-functional floodgate | |
KR101976669B1 (en) | Open and shot device of agricultural water | |
CN105318046B (en) | A kind of check valve and with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oil disposal valve gear of valve port size | |
KR100801678B1 (en) | Sewer reservoir cleaning device | |
CN108505614A (en) | A kind of sewer pipe automatic flushing device | |
CN105178421B (en) | Intercepting well | |
CN215759479U (en) | Integrated automatic intercepting well | |
CN208363234U (en) | Overflow well with float flashboards for controlling flow of closure pipeline | |
KR200420165Y1 (en) | Usuto-gu automatic switchgear for sewer | |
CN205637028U (en) | Distribution of rain and sewage integrated device | |
KR20120046851A (en) | Non-electric automatic control water door | |
KR200294017Y1 (en) | Hydraulic auto watergate | |
KR100619459B1 (en) | River sluic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water level | |
KR100375550B1 (en) | Sluice for Pipe Line | |
CN205559890U (en) | Automatic door is clapped to flotation tank | |
CN104674750B (en) | Double-turnover gate structure | |
KR20120040301A (en) | Rotary-type floodgate | |
KR100938388B1 (en) | Prevention apparatus of earth and sand inflow of fish pool by using buoyancy | |
KR100778151B1 (en) | Buoyant fish | |
KR100919132B1 (en) | Water level keeping structure for floodgate and floodgate using the same | |
CN207582640U (en) | A kind of online processing storage pond with gravity feed structure | |
KR200263866Y1 (en) | Water reservoir regulating water level using water pressure and buoyancy | |
RU2636757C1 (en) | Drain collector mou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