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7703B1 -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703B1
KR101237703B1 KR1020110064139A KR20110064139A KR101237703B1 KR 101237703 B1 KR101237703 B1 KR 101237703B1 KR 1020110064139 A KR1020110064139 A KR 1020110064139A KR 20110064139 A KR20110064139 A KR 20110064139A KR 101237703 B1 KR101237703 B1 KR 10123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orting
work object
convey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093A (ko
Inventor
김현
강명헌
오재준
Original Assignee
(주) 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더 filed Critical (주) 이더
Priority to KR102011006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7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8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선별하는 공정의 실습에 있어서,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지의 판단에 따라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송 도중에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유도 회수하게 하며, 이러한 선별 작동을 외부에서 바로 확인 및 분석해 볼 수 있어 선별 공정의 이해를 높이는 실습을 하게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판독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판독부의 판독 결과 소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송 경로 상으로부터 이탈시켜 작업 대상물을 유도 회수하게 작동하는 선별 작동부를,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작동단이 작동하게 설치되는 레버 작동용 푸셔; 및, 상기 받침대 상에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 형성된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경사지면서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 쪽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에서 타 측단 쪽으로 위치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타 측을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벨트 상에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게 하는 선별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벨트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수부가 위치하는 측이 더 진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를 상기 이송벨트 상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도중인 작업 대상물이 더 진행한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상기 회수부로 회수 선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Sorter of workpiece for training process control}
이 발명은 공정 제어 실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공정 제어 실습 중에서 하나의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을 다음의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 가공인지 또는 규격이 다른 제품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여 적합한 작업 대상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송을 계속하여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송 도중에 회수 선별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여가 활용이나 보다 향상된 생활을 위하여 3D 직종에 종사하지 않으려는 현상이 늘어나면서 사람이 직접 작업하기 어려워 회피하는 작업 공정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자동화가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로부터 각 산업체에서는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한다. 여기에 각 산업체의 공정 제어 개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도 공정 자동화에 관한 실습을 위한 공정 자동화 교육용 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습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육을 이수한 후 현장에 투입하면 실제 공정 자동화를 위해 가공품의 저장과, 저장된 가공품의 공급, 공급되는 가공할 가공품의 가공, 가공된 가공품의 이송, 이송되는 가공품의 검사, 검사 완료된 가공품의 분류 작업과 같이 복잡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자동화 라인의 이해뿐만 아니라 조작 또한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습은 학생이나 연구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실제와 같은 조건으로 해당 공정의 장치 작동 과정을 보고 분석하면서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automation training system)은 생산 자동화의 기본 공정인 작업 대상물의 투입, 가공, 이송, 검사, 분류 및 저장 공정에 사용되는 각종 산업용 장치를 복합적으로 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시스템 구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트레이닝 시스템은, 소정의 판재 형상을 갖는 작업대 상에 각각의 모듈, 예를 들어 컨베이어 모듈, 센서 모듈, 가공 모듈, 이송 모듈, 검사 모듈, 분류 모듈, 저장 모듈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고정 설치하여 소정의 공정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선,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 및 제어 방법을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공정 개발, 자동화 시스템 관련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와 연관된 분야의 자동화 실무 기술과 이론을 습득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제작, 운용, 유지, 관리에 필요한 자동화 기술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정 시스템 전체 중, 가공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의 저장 적재를 위한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검사 및 분류가 이루어지면서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을 이송 도중에 회수 선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선별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가 전체 시스템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 직접 눈으로 보면서 작동 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워 실습 효과를 높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로부터,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 대상물을 선별하는 공정의 실습에 있어서,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지의 판단에 따라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송 도중에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유도 회수하게 하며, 이러한 선별 작동을 외부에서 바로 확인 및 분석해 볼 수 있어 선별 공정의 이해를 높이는 실습을 하게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작업 대상물을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주변에 위치하여, 이송 도중의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상기 판독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판독부의 판독 결과 소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송 경로 상으로부터 이탈시켜 작업 대상물을 유도 회수하게 작동하는 선별 작동부;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별 작동부와 마주하게 위치하여, 상기 선별 작동부에서 선별되는 작업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작동부를,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작동단이 작동하게 설치되는 레버 작동용 푸셔; 및, 상기 받침대 상에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 형성된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경사지면서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 쪽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에서 타 측단 쪽으로 위치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타 측을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벨트 상에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게 하는 선별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벨트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수부가 위치하는 측이 더 진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를 상기 이송벨트 상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도중인 작업 대상물이 더 진행한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상기 회수부로 회수 선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를, 상기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 체결 축 이동 장공을 형성하고, 타 측으로 가면서 15~30°각도로 구부러지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다음 공정으로 이송 도중의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고, 만일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의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진행 흐름을 유지시키면서 이송 도중에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유도 회수하는 한편, 이와 같은 선별 작동 공정을 외부에서 바로 확인 및 분석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선별 공정의 이해를 높이는 실습을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선별장치에서 판독부의 판단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회수부로 선별 회수시키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선별장치에서 판독부의 판단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별도의 선별 없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의 평면도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10)와, 판독부(120)와, 선별 작동부(130) 그리고 회수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는, 선별 대상체인 작업 대상물(200)이 이송벨트(111) 상에 투입되면 상기 이송벨트(111) 상부에 얹혀진 상태로 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상기 판독부(12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작업 대상물(200) 투입 측 주변인 전방에 위치하면서 센서를 포함하고, 하나의 공정을 거쳐 상기 이송벨트(111) 상부에 얹혀 이송 도중의 작업 대상물(200)을 다음의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200)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 가공인지 또는 규격이 다른 제품인지 판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독부(120)에서 적합한 작업 대상물(200)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송을 계속하여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200)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송 도중에 회수 선별하도록 상기 선별 작동부(130)에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선별 작동부(13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상기 판독부(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판독부(120)의 판독 결과 소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송 경로 상으로부터 이탈시켜 작업 대상물(200)을 유도 회수하게 작동하며, 또한 상기 판독부(120)의 판독 결과 소정 기준에 적합한 경우에 상기 이송 경로 상으로 진행시켜 작업 대상물(200)을 다음 공정으로 투입하게 작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별 작동부(130)는, 받침대(131)와, 레버 작동용 푸셔(132) 및 선별 가이드 레버(13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31)는, 사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그 위에서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가 축 결합 설치되고, 또한 상기 이송벨트(111)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작동단이 작동하게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131)에 설치되는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는,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를 회동시켜 주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을 중심으로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일 측에 형성된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을 통과하면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의 작동단에 체결된다.
즉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를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와 체결하도록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일 측에 상기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의 작동단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을 관통하게 한다.
이로부터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는, 상기 받침대(131) 상에서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을 통해 일 측에 형성되는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이 관통되면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와 체결되므로,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의 양 측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을 중심으로 타 측을 상기 이송 벨트(111)의 진행 방향과 일치 또는 가로 막게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 내의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 일 측단 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경사지면서 작업 대상물(200)이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의 작동단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하게 작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 내의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 일 측단에서 타 측단 쪽으로 위치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을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일치하여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 작업 대상물(200)이 통과하게 한다.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는, 상기 받침대(131) 상에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의 작동에 의한 직각 방향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켜 회동하도록 상기 레버 회동 축(134)에 의해 축 결합 설치된다.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는, 일 측에 체결 축 이동 장공(135)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 축 이동 장공(135)에서 타 측 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이 설치되며, 타 측으로 가면서 예를 들어 15~30°와 같이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은,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을 중심으로 상기 일 측이 회동하면서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일치하여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 작업 대상물(200)이 통과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일 측이 회동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경사지면서 작업 대상물(200)이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수부(14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송벨트(1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별 작동부(130)와 마주하는 주변에 위치시키고, 상기 선별 작동부(130)의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를 따라가면서 선별되는 작업 대상물(200)을 회수 안내판(141)을 통해 회수함(142)으로 회수한다.
즉, 상기 이송벨트(111)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수 안내판(141)과 회수함(142)이 위치하는 좌측 또는 우측이 예를 들어 15~30°더 진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를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이송 도중인 작업 대상물(200)이 더 진행한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상기 회수부(140)로 회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선별장치에서 판독부의 판단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회수부로 선별 회수시키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선별장치에서 판독부의 판단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별도의 선별 없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100)는, 하나의 공정으로 예를 들어 가공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200)이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데,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를 통하여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200)은 부근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판독부(120)에 의해 미리 프로그래밍한 바에 따른 소정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를 감지 판단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선별 작동부(130)에 해당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선별 작동부(130)에서는 가공 처리된 또는 소정 규격의 작업 대상물(200)의 정상 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상기 이송벨트(111) 밖으로 배출시켜 분리 선별하거나 그대로 통과시켜 다음의 공정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로부터 공정 제어 실습에서 선별하는 공정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간단한 구성과 작동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1) 상부에서 이송 중인 작업 대상물(200)을 바로 선별해 내는 공정을 확인 및 분석할 수 있게 하여 교육 효과를 높이게 된다.
먼저 작업 대상물(200)을 분리 선별해 내는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정 제어 실습 공정에서 가공된 작업 대상물(200)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1) 상부에 투입되면, 상기 이송벨트(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판독부(120)에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판독부(120)에 의해 작업 대상물(200)의 관련 정보가 판독된다.
상기 판독부(120)에서는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200)이 소정 기준에 적합하게 가공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적합하지 않은 작업 대상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선별 작동부(130)에 전송하는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 상기 선별 작동부(130)의 선별 가이드 레버(133)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상기 이송벨트(111)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수 안내판(141)과 회수함(142)이 위치하는 일측이 더 진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 경사지게 위치하므로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이송 도중인 작업 대상물(200)이 이송 진행 방향으로 함께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를 따라 더 진행한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상기 회수부(140)로 회수되게 한다.
즉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가 작동되지 않아,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 내의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 일 측단 쪽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 통로를 경사지게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작업 대상물(200)을 유도하여 회수함(142)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송벨트(111) 상부에 놓여진 작업 대상물(200)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진행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동시에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경사면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이송벨트(111)로부터 이탈되어 회수 안내판(141)을 거쳐 별도의 회수함(1420) 안으로 낙하 회수된다.
다음으로 작업 대상물(200)을 통과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정 제어 실습 공정에서 가공된 작업 대상물(200)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벨트(111) 상부에 투입되면, 상기 이송벨트(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판독부(120)에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판독부(120)에 의해 작업 대상물(200)의 관련 정보가 판독된다.
상기 판독부(120)에서는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200)이 소정 기준에 적합하게 가공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적합한 작업 대상물(200)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선별 작동부(130)에 전송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선별 작동부(130)의 선별 가이드 레버(133)는 상기 레버 회동 축(13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 통로 측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가공 공정을 거친 작업 대상물이 운반 이송 진행을 계속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132)의 작동단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된 경우에는, 상기 레버 체결 축(136)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135) 내의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 일 측단에서 타 측단 쪽으로 위치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을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110)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일치하여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 작업 대상물(200)이 통과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 대상물(200)이 상기 이송벨트(111) 상에서 벗어나면,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시 작업 대상물(200)의 분리 선별 공정의 작업 진행을 위해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133)의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111)의 이송 통로를 경사지게 폐쇄시킨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110 : 이송 컨베이어 111 : 이송벨트
120 : 판독부 130 : 선별 작동부
131 : 받침대 132 : 레버 작동용 푸셔
133 : 선별 가이드 레버 134 : 레버 회동 축
135 : 체결 축 이동 장공 136 : 레버 체결 축
140 : 회수부 141 : 회수 안내판
142 : 회수함

Claims (3)

  1. 삭제
  2. 작업 대상물을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주변에 위치하여, 이송 도중의 작업 대상물이 소정 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상기 판독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판독부의 판독 결과 소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송 경로 상으로부터 이탈시켜 작업 대상물을 유도 회수하게 작동하는 선별 작동부;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에서 상기 이송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별 작동부와 마주하게 위치하여, 상기 선별 작동부에서 선별되는 작업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작동부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작동단이 작동하게 설치되는 레버 작동용 푸셔; 및, 상기 받침대 상에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 형성된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 측이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경로 진행 방향과 경사지면서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 쪽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레버 작동용 푸셔의 작동에 의해 상기 레버 체결 축이 상기 레버 체결 축 이동 장공 내의 일 측단에서 타 측단 쪽으로 위치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타 측을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벗어나게 위치시켜 상기 이송벨트 상에 작업 대상물이 통과하게 하는 선별 가이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벨트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수부가 위치하는 측이 더 진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를 상기 이송벨트 상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 도중인 작업 대상물이 더 진행한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상기 회수부로 회수 선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별 가이드 레버는, 상기 레버 회동 축을 중심으로 일 측에 체결 축 이동 장공을 형성하고, 타 측으로 가면서 15~30° 각도로 구부러지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KR1020110064139A 2011-06-30 2011-06-30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KR10123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39A KR101237703B1 (ko) 2011-06-30 2011-06-30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39A KR101237703B1 (ko) 2011-06-30 2011-06-30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93A KR20130003093A (ko) 2013-01-09
KR101237703B1 true KR101237703B1 (ko) 2013-03-04

Family

ID=4783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39A KR101237703B1 (ko) 2011-06-30 2011-06-30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4966B (zh) * 2023-05-22 2025-03-04 威海市凯晟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质量检测用分选系统
CN118808144A (zh) * 2024-09-19 2024-10-22 安徽博力顺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分选的薄层输送装置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A (ja) * 1995-06-22 1997-01-07 Yamato Scale Co Ltd 選別装置及び選別組合せ装置
JP2000238913A (ja) * 1999-02-18 2000-09-05 Anritsu Corp 選別機
JP2008285306A (ja) 2007-05-21 2008-11-27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選別装置
JP2010260704A (ja) 2009-05-11 2010-11-18 Yamato Scale Co Ltd 振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A (ja) * 1995-06-22 1997-01-07 Yamato Scale Co Ltd 選別装置及び選別組合せ装置
JP2000238913A (ja) * 1999-02-18 2000-09-05 Anritsu Corp 選別機
JP2008285306A (ja) 2007-05-21 2008-11-27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選別装置
JP2010260704A (ja) 2009-05-11 2010-11-18 Yamato Scale Co Ltd 振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93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421B2 (en) Transfer, link, bind, specimen tube barcode information to RFID specimen transport puck in a continuous moving binding process method
CN102411871B (zh) 模块化制造培训单元装置和模块化组合制造培训系统
CN103480585B (zh) 全自动跟线外观检测设备
KR101237703B1 (ko) 공정 제어 실습용 작업 대상물 선별장치
JP6641431B2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載せ体と、果菜自動選別装置
CN204564599U (zh) 一种玻璃管外观自动化检测设备
CN212301356U (zh) 一种轮毂焊缝视觉检测装置
CN103292993A (zh) 一种齿轮检测装置
CN106862110A (zh) 一种自动智能侦测微型产品的分光分色机及其工作方法
CN107671007A (zh) 基于机器视觉批量检测珍珠形状的智能分拣系统
CN105013719A (zh) 一种带识别码产品的自动识别分选装置
CN203803804U (zh) 快速身份证分拣仪
DE602006018603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lassifizieren und zusammenstellen von artikeln
FR2552243A1 (fr) Procede de commande d'installations integrees de fabrication,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ATE407751T1 (de) Verfahren zum sortieren von behältern
CN107030015A (zh) 一种扫描分拣系统
JP5801777B2 (ja) 農作物用の選別装置
CN108423214A (zh) 一种智能装箱机器人
CN110270510A (zh) 一种物流分拣安检一体化系统及方法
US20180045746A1 (en) Dish rotation directly driven from transport belt
CN110639823A (zh) 一种磁瓦检测装置
CN208082919U (zh) 一种弹簧自动分选设备
CN110732500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芒果分级装置
Poss et al. Perceptionbased intelligent materialhandling in industrial logistics environments
CN205628656U (zh) 多工位视觉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