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7570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570B1
KR101237570B1 KR1020060015875A KR20060015875A KR101237570B1 KR 101237570 B1 KR101237570 B1 KR 101237570B1 KR 1020060015875 A KR1020060015875 A KR 1020060015875A KR 20060015875 A KR20060015875 A KR 20060015875A KR 101237570 B1 KR101237570 B1 KR 10123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inge
slide housing
link
st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792A (ko
Inventor
이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570B1/ko
Priority to US11/486,032 priority patent/US7694919B2/en
Priority to EP06254028.1A priority patent/EP1821024B1/en
Priority to CNA2006101257615A priority patent/CN101026017A/zh
Publication of KR2007008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8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undercarr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전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 힌지연결부는 슬라이드 하우징의 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슬라이드 하우징에서 힌지연결부가 빠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다각적으로 조작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더욱 다양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스탠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of 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로서 힌지연결부가 슬라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로서 힌지연결부가 슬라이드 하우징의 안으로 인입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슬라이드 하우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판스프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연결부 및 배면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의 주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스토퍼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세워진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쇠 및 회전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폴딩된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쇠 및 회전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기 힌지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측면도로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자체적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상기 힌지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도로서, 도 13은 사절링크의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체적인 경사각만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힌지 연결부에 채용되는 보조링크를 이용하여 사절링크의 구조를 이용하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플레이 기기 2: 베이스부
10: 슬라이드 하우징 20: 가이드부재
30: 힌지연결부 40: 배면 고정부
100: 몸체 110: 판스프링
310: 주링크 320: 보조링크부
328: 주스프링 330: 제2 가이드 힌지부
340: 스토퍼 341: 걸쇠
345: 회전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낮이의 조절이 편리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 조절도 편리하게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작 더욱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낮이와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안착된다.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를 상하로 움직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높낮이로 화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는 슬라이드 조립체의 상하방향 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기기까지의 거리와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 및 높이를 모두 한꺼번에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사절링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도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제안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사각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는 편리하게 조절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의해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와, 경사각과, 거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특별히 높은 위치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놓이는 것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과 거리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절링크가 적용되는 듀얼힌지를 적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스탠드를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상의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유도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낮이와 경사각과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되는 디스프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베 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전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양단부에 힌지부가 제공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밀려서 신축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힌지 연결부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과의 사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양단부에 힌지부가 제공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밀려서 신축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힌지 연결부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과의 사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직선운동하는 힌지 연결부; 상기 힌지 연결부의 상단부에 힌지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및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과 거리가 동시에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기기 사용 방식에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조절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모드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이고 차별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한층 더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로서 힌지연결부가 슬라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로서 힌지연결부가 슬라이드 하우징의 안으로 인입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바닥면에 안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2)와, 일단부가 상 기 베이스부(2)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안내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드 하우징(10)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힌지연결부(30)가 포함된다.
상기 힌지연결부(30)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20)와 결합되고, 상단부측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배면 고정부(40)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 힌지연결부(30)는 슬라이드 하우징(10) 내부의 안내부를 따라 회동가능한 가이드부재(20)와 체결되어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 힌지연결부(30)는 일단부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 고정부(4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슬라이드 하우징의 안내부를 따라 회동가능한 가이드부재(20)와 힌지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의 각도 및 사용자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힌지 연결부(3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에는 힌지 연결부(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힌지에 의해서 회전에 대한 2 자유도를 가지고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3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에는 힌지 연결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하나의 힌지에 의해서 1 자유도를 가지고 움직이 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베이스부(2)는, 디스플레이 기기(1)가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넓은 지지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는 사각형 평판 부재, 원형 평판 부재로 구성되거나, 중앙부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고, 디자인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 또는 다각형 기둥 형태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는 내부에 안내부가 구비되어 힌지연결부(30)의 하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를 수직방향이동을 안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30)는 그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20)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 면에 형성된 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재(20)와 함께 상기 슬라이드 하 우징(10)의 내부를 따라서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연결부(30)가 상기 가이드부재(20)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30)의 상단부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 고정부(40)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결합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게 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의 각도 및 사용자와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면 고정부(40)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과, 상기 힌지연결부(30)가 일정간격이 개입된 상태로 놓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 연결부(3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슬라이드 하우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하우징 (10)은 내부가 비어있는 다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가이드부재(2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0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측 상면에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안내부(101)를 따라 회동하는 가이드부재(2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103a)(103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면 소정 부위에는 판 스프링(11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 지지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판 스프링(110)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20)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고 가이드부재(20)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102)에 고정되는 상기 판 스프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판스프링(111)(112)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판 스프링의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가이드 부재(20)에 탄성력 및 마찰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탄성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판스프링(111)(112)은 탄성부재 지지부(102)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부(111a)(112a)와, 상기 고정부(111a)(112a)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고 슬라이드 하우징(10) 내측의 안내부(101)를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재(20)의 움직임에 따라서 태엽모양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탄성부(111b)(112b)로 형성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명확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판 스프링(111)(112)은 상기 가이드부재(20)에 의해서 밀리는 때에는 탄성부(111b)(112b)가 풀리게 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의 고정부(111a)(112a)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탄성부재 지지부(102)에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부(111b)(112b)는 상기 안내부(101)를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재(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신축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인 판스프링(111)(112)은 태옆과 같이 감기워져 있는 스프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 인장 스프링과 달리 항상 동일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판스프링(111)(112)의 고정부(111a)(112a)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부(102)에 고정되고, 판스프링(111)(112)의 탄성부(111b)(112b)는 슬라이드 하우징 내측 양 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01)를 따라 연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장된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중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판스프링의 연장 길이와 상관없이 판스프링이 동일한 탄성력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정하여진 높이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일 실시 예로써, 직사각 기둥의 몸체로 형성되고, 그 하면(210)은 원통형으로 감기는 판스프링(111)(112)의 탄성부(111b, 112b) 외주면과 접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상면(220)에는 힌지연결부(30)의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이 체결되어 고정되어, 가이드 부재(20)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슬라이드 하우징(100) 내측의 안내부(101)에 의해서 안내되면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20)의 하측에 놓이는 판스프 링(110)을 밀어서 연장시키는 푸셔(pusher)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하우징(10)와 가이드부재(2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1)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아래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아래로 미는 힘은 디스플레이 기기(1)에 연결되는 힌지연결부(3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로 전달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0)로 전달된 힘이 탄성부(111b)(112b)의 탄성력보다 더 큰 경우, 태엽모양으로 감긴 탄성부(111b)(112b)가 풀리면서 가이드부재(20)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부(101)를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위 방향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 본체를 위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재(20)로 전달된 힘이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안내부(101)의 마찰력-이외에도 각 부품들간의 마찰력도 동일하게 작용할 것이다-보다 더 큰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부(101)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태엽모양으로 감겨있는 탄성부(111b)(112b)는 탄성력에 의해 감아 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0)가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0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1)에 가하여지던 힘을 멈추면 가이드부재(20)가 멈추어 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신축되던 판스프링(110)도 멈추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110)이 멈춘 위치에서 판스프링(110)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을 지지하는 탄성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30)이 정지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0)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이탈 방지턱(103a)(103b)에 이르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이탈 방지턱(103a)(103b)에 의해 더 이상 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하우징(10)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방향 위치조절은 이탈 방지턱(103a)(103b)에 의해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는 슬라이드 하우징(10)의 안내부와 판스프링(110)의 길이 및 이탈 방지턱(103a)(103b)의 위치에 의해 조절 가능한 높이까지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되는 설명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해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고, 이하에서는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연결부(30) 및 배면 고정부(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연결부(30)는, 하단부는 슬라이드 하우징(1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가이드부재(20)와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모니터 배면 소정부위에 부착되어 디 스플레이 기기의 모니터를 지지하는 배면 고정부(40)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배면 고정부(40)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연결부(30)의 하단부는 가이드부재(20)와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배면 고정부(40)와 체결된다.
상기 힌지연결부(30)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고정부(40)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부(310)(320)와, 상기 배면 고정부(40)와 상기 링크부(310)(320)를 힌지 결합시키는 링크 힌지부(350)(370)와, 상기 링크부(310)(320)와 가이드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가이드 힌지부(330)(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부(310)(320)는, 일측이 상기 배면 고정부(4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을 통하여 가이드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주링크(310)와, 상기 주링크(3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주링크(3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주링크(310)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배면 고정부(40)와 상기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을 통하여 가이드부재(20)에 연결된 보조링크(320)와, 상기 주링크(3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링크(320)의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28)가 주된 구성요소로서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힌지부(330)(360)에는, 상기 링크부(310)(320)와 가이드부재(20)에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에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힌지부(360)(330)와, 상기 주링크가 직립될 때 상기 주링크(310)의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340)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배면 고정부(40)는 제 1 링크 힌지부(370) 및 제 2 링크 힌지부(350)를 포함하는 링크 힌지부에 의해서 주링크(3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링크(310)는 제 1 가이드 힌지부(360) 및 제 2 가이드 힌지부(330)를 포함하는 가이드 힌지부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0)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조링크부(32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 2 링크 힌지부(350) 및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부(330)에 위치한 제 1 보조링크 힌지부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링크부(320)의 내측에는 일단이 주링크(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보조 링크(320)의 측면에 연결된 스프링(328)이 위치한다.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부(330)에는 상기 주링크(310)가 펼쳐질 때 상기 주링크(31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34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4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은 후술한다.
상기되는 설명에 의해서 상기 힌지연결부(30)의 대략적인 구성은 충분히 이해될 것이고,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연결부(30)의 상세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 고정부(40)의 모니터 지지대(412)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모니터 지지대(412)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4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18)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12)의 하측에는 주링크(310)와 함께 제 1 링크 힌지부(370)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힌지축(414) 및 제 2 링크 힌지축(372)이 삽입되는 제 2 힌지공(41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힌지축(414)은 주링크(310)의 제 1 힌지 수용부(382)의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힌지 수용부(382)에는 제 1 힌지 결합 부재(38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대(412)가 상기 주링크(3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힌지공(416)의 내측에는 제 2 힌지 스프링 부재(370)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힌지 스프링 부재(370)에는 상기 배면 고정부(40)가 틸딩(tilting)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힌지 스프링(371) 및 제 2 링크 힌지부(350)의 힌지축을 이루는 제 2 힌지축(372)이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힌지축(372)의 일단은 상기 주링크(310)의 상측 일단에 형성된 제 2 힌지축 수용부(312)를 통과하여 제 2 보조링크 지지부(351)의 내측면에서 연장한 제 2 링크 지지축(352)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 링크 지지부(351)에는 주링크(310) 측면에 설치되는 두개의 보조링크(321)(324)의 일 단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보조링크 수용부(357)(358)가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보조 링크(321)(324)는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보조링크(321)(324)의 양단부의 지지점은 상기 주링크(3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편심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보조링크(321)(324)의 일단은 제 2 보조 링크 고정축(354)(355)에 의해 상기 제 2 보조 링크 지지부(35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보조링크(321)(324)의 타단부들에는 관통공(323)(32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23)(326)을 통해 상기 두 개의 보조링크(321)(324)가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보조 링크 지지부(331)에는 상기 두개의 보조링크(321) (324)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보조링크 수용부(337)(3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보조링크 수용부(337)(338)에는 상기 두개의 보조링크(321)(324)의 타단부들이 제 1 보조 링크 고정축(335)(3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링크 수용부(337)(338)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0)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에 상기 주링크(310)를 힌지고정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힌지부(330)가 위치한다.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부(330) 측면에는 상기 주링크(310)의 직립시에 상기 주링크(310)의 회동을 멈추기 위한 스토퍼(340)가 형성된다. 스토퍼(3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보조링크(321)(324)는 상기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 및 제 2 보조링크 지지부(351)에 서로 다른 위치에 편심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보조링크(331)(324)와 보조링크 지지부(331)(351)는 전체적으로 모여서 사절링크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사절링크에 의해서 달성되는 일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보조링크 지지부(351)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링크(321)(324)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 2 보조링크(351)의 각도는 상기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게된다. 이를 가시적으로 해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일정 이하의 힘으로 움직이면,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적인 경사각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공전운동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일정한 경사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를 보고자 할 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힘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를 움직이게 되면 상기 힌지연결부(30)의 상단의 자체적인 힌지가 회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가 자전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개의 보조링크(321)(324) 중 주링크(300)에 인접한 제 1 보조링크(324)의 내측에는 주스프링(328)이 설치된다. 상기 주스프링(328)의 일단은 상기 제 1 보조링크(324)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제 2 주스프링 지지돌기(327)에 고정되고, 상기 주스프링(328)의 타단은 주링크(31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 1 주스프링 지지돌기(317)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주스프링(328)은 상기 보조링크(321)(324)가 일정한 상호간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링크가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작은 힘으로도 충분히 디스플레이 기기(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링크(310)의 하단에는 상기 주링크를 가이드부재(20)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힌지 수용부(315) 및 제 2 가이드 힌지 수용부(31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힌지부(360)는, 상기 주링크(310)의 제 1 가이드 힌지 수용부(315)에 수용되는 제 1 베이스 힌지축(339)과 코일 스프링(349)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베이스 힌지 축(362)은 상기 제 1 가이드 힌지 수용부(315), 코일 스프링(349)을 차례로 관통하여 끼워져서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의 주스프링의 작동을 나타낸 가상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서 있는 동안에는 주스프링(328)이 원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주스프링(328)은 최소 길이(ℓ1)을 가지며, 상기 최소 길이에서 주스프링이 가진 탄성력은 최소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하는 높이와 각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아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에 대하여 힘을 가하면, 상기 링크 힌지부(350)(370)는 회전을 함과 동시에 주링크(310)는 화살표 방향(A)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링크(310)의 회전에 따라 두 개의 보조링크(321)(324)도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주링크(310)의 회전시 주링크(310)의 일측에 고정된 주스프링(328)의 일단은, 회전 중심(B)으로부터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상기 두 보조링크는 주링크(310)에 대하여 회전중심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보조링크(324)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은 주링크(310)의 회전 중심(B)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주스프링(328)이 늘어나고, 이와 같이 늘어난 주스프링(328)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주스프링(328)의 탄성력은 주링크(310)의 회동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일정한 위치로 이르러서 사용자가 힘을 더 이상 가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과 상기 주스프링(328)의 탄성력이 평 형을 이루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나아가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폴딩시키기 위하여 더욱 힘을 가하여 주링크(300)가 완전히 폴딩되는 위치, 즉 주링크(310)가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주스프링(328)의 길이는 최대(ℓ2)가 되고, 이 때 주스프링의 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한편, 상기 주링크(310)가 완전하게 직립되었을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40)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주링크(310)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힌지연결부(30)를 보다 편리하게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주링크(310)가 스토퍼(340)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주링크(310)의 폴딩이 해제되면, 상기 주스프링(32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주링크(310)는 세워진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스프링(328)의 늘어난 일단은 주링크(310)의 회전 중심(B)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주스프링(328)의 일단이 주링크(3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주스프링(328)은 단지 특정한 일측, 즉 보조링크 측에서만 연장하고 줄어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스프링은, 종래에 링크와 링크 사이에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연장되었던 스프링과 비교할 때,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그 연장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스토퍼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40)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스탠드가 직립될 때 상기 주링크(310)의 위치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40)는 걸쇠(341) 및 회전체(345)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341) 및 회전체(345)는 제 1 보조링크 지지부(331)의 측방에 위치하고, 제 2 가이드 힌지 수용부(3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 수용부(316) 타측방으로부터 제 2 베이스 힌지축(339)이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 수용부(316), 코일 스프링(349), 회전체(345) 및 걸쇠(34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에 끼워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보조 링크 고정축의 측면에는 상기 걸쇠(341)가 고정되는 걸쇠 고정부(333) 및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는 걸쇠(341)의 걸쇠축 수용부(343)에 삽입된다. 상기 걸쇠(341)의 일면에는 고정홈(3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42)은 상기 걸쇠 고정부(333)에 끼워지고, 상기 걸쇠(341)가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에 끼워지며, 제 2 가이드 고정 브래킷(332)을 통하여 가이드부재(20)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쇠(341)의 타면으로는, 즉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가 돌출된 방향으로는 돌출부(34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44)는 상기 걸쇠(341)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쇠(341)에 대응하는 부재로서, 상기 주링크(310)와 함께 회동가능한 회전체(34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체(345)의 중심에는 회전체축 수용부(3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축 수용부(348)는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축 수용부(334)에 회동가능하게 끼움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345)는 상기 걸쇠(341)와 적어도 일측에서 접한다. 상기 회전체(345)의 외주면에는 돌기(346)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46)는 상기 제 2 가이드 힌지 수용부 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345)는 주링크(31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된다.
상기 걸쇠(341)와 접한 상기 회전체(345)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체(345)가 회동할 때 상기 걸쇠(341)의 돌출부(344)가 내측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방사 절취부(347)가 형성된다. 상기 방사 절취부(347)는 상기 회전체(345)의 일면에서 상기 걸쇠(341)의 돌출부(344)가 돌출한 높이만큼 회전체(345)의 내측으로 파인 홈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홈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 절취부(347)의 일단은 상기 주링크(310)가 누은 상태에서 상기 걸쇠(341)의 돌출부(344)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사 절취부(347)의 하면 일측에는 걸림턱(30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09)은 상기 회전체(345)가 걸쇠(341)에 대하여 회전할 때 걸쇠(341)의 돌출부(344)에 대한 스토퍼(stopper)로서 작동한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누은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쇠 및 회전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직립된 상태에서 스토퍼의 걸쇠 및 회전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누은 상태에서 걸쇠(341)의 돌출부(344)는 회전체(345)의 방사 절취부(347)의 내측 일면에 접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주링크(310)가 회전하면 주링크(310)와 함께 화살표 방향(C)으로 회전체(345)가 회전한다.
상기 회전체(345)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345)의 방사절취부(347)는 걸쇠(341)의 돌출부(344)를 지나 이동한다. 방사 절취부(347)가 돌출부(344)를 지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방사 절취부(347)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09)이 돌출부(344)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가 걸림턱(309)을 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44)가 걸림턱(309)을 지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주링크(310)는 완전히 직립된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쇠(341)에 형성된 돌출부(344)가 상기 회전체(345)의 걸림턱(309)을 지나면, 상기 회전체(345)의 방사절취부(347) 일단에 형성된 안착홈(D)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309)이 상기 걸쇠(341)의 돌출부(344)를 지지하는 힘은 보조 링크에 설치된 주스프링(328)이 폴딩을 저지하고자 하는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작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주링크(310)는 직립된 위치에서 주링크(310) 하단에 위치한 스토퍼(340)에 의해 고정되어 주링크의 회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서 주링크(310)는 직립시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힌지 연결부(30)를 완전하게 직립시킨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후에는 힌지 연결부(30)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편리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되는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는 힌지연결부(30)를 직립시키는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직립되는 상태로 힌지연결부(30)를 직립시킨 다음에는 힌지 연결부(30)를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20)의 안으로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연결부(30)가 과도하게 후방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조절모드를 각 경우의 수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상기 힌지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연결부(30)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연결부(30)의 하단부는 힌지 운동이 불가능하고 힌지 연결부(30)의 상단부만이 힌지 운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배면고정부(40)와 상기 힌지 연결부(30)의 연결부에서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가상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회전운동상태를 도시하고 있 다. 이 모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는 조정하고 싶지 않고, 디스플레이 기기(1)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만으로 조정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힌지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도로서, 도 13은 사절링크의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체적인 경사각만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힌지 연결부에 채용되는 보조링크를 이용하여 사절링크의 구조를 이용하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이상의 힘-엄밀하게 힌지연결부와 배면고정부의 연결부의 힌지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적인 경사각이 조절된다. 이 모드는 디스플레이 기기(1)를 높게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적인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이하의 힘-엄밀하게 사절링크를 이용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적인 경사각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사절링크의 작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거리만이 조정된다. 이 모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와 사용자와의 거리와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도 14에 제시되는 모드가 동시에 적용되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위치를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이 모드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되는 것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힌지연결부의 하단부의 힌지 운동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서 힌지연결부는 슬라이드 하우징의 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슬라이드 하우징에서 힌지연결부가 빠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다각적으로 조작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더욱 다양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과 거리가 동시에 조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기구적인 변경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서 제작비가 저렴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Claims (20)

  1. 바닥면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전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드 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연결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연결부에 의해 밀려서 신축가능한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밀리는 신축동작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내측면 소정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태엽모양으로 감기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두개가 분리되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한 쌍의 상기 힌지부를 연결하여 사절링크로 동작하는 한 쌍의 보조링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1. 바닥면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안내되어 움직이고 양단부에 힌지부가 제공되는 힌지연결부;
    상기 힌지연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밀려서 신축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힌지 연결부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과의 사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링크부와;
    상기 배면 고정부와 상기 링크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링크 힌지부와;
    상기 링크부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가이드 힌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배면 고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주링크;
    상기 주링크의 일측에서 상기 주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주링크와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배면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연결된 보조링크; 및
    상기 주링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링크에 고정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힌지부는,
    상기 링크부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및 제2 가이드 힌지부와;
    상기 링크부가 직립될 때 상기 링크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링크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과 정렬되었을 때, 동작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6. 삭제
  17. 바닥면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직선운동하는 힌지 연결부;
    상기 힌지 연결부의 상단부에 힌지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및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가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제한되도록 하는 힌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신축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사절링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60015875A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Active KR10123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75A KR101237570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11/486,032 US7694919B2 (en) 2006-02-17 2006-07-14 Stand for display device
EP06254028.1A EP1821024B1 (en) 2006-02-17 2006-08-01 Stand for display device
CNA2006101257615A CN101026017A (zh) 2006-02-17 2006-08-28 显示设备的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75A KR101237570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92A KR20070082792A (ko) 2007-08-22
KR101237570B1 true KR101237570B1 (ko) 2013-02-26

Family

ID=3805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75A Active KR101237570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94919B2 (ko)
EP (1) EP1821024B1 (ko)
KR (1) KR101237570B1 (ko)
CN (1) CN101026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8316A (ko) 2023-06-22 2024-12-31 동오정밀 주식회사 모니터용 듀얼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3270T3 (es) * 2003-01-09 2012-12-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lgado y método para separar la parte de visualización
TWI289633B (en) * 2005-05-23 2007-11-11 Avision Inc Self locking hinge
TWI323806B (en) * 2005-12-23 2010-04-21 Innolux Display Corp Monitor with stand
KR101300990B1 (ko) * 2007-01-02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US20080164398A1 (en) * 2007-01-08 2008-07-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isplay support apparatus
KR101372268B1 (ko) * 2007-02-13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JP4582132B2 (ja) * 2007-08-2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L字スタンド
KR101414618B1 (ko) * 2007-10-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
KR100922872B1 (ko) * 2008-01-07 2009-10-20 곽수만 디스플레이장치용 암 스탠드
US8274615B2 (en) * 2008-03-07 2012-09-25 Audiovox Corporation Mobile video system
CN101713487B (zh) * 2008-10-08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升降机构
CN101725804B (zh) * 2008-10-17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737602B (zh) * 2008-11-17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及采用该支撑机构的升降机构
CN101749525B (zh) * 2008-12-15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机构
CN101922598B (zh) * 2009-06-17 2012-07-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座
KR20110026655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승강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CN102859252B (zh) * 2009-12-07 2014-10-22 爱格升公司 制动支架系统
JP4923121B2 (ja) * 2010-02-25 2012-04-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システム
KR101682723B1 (ko) * 2010-08-20 201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US8611076B2 (en) * 2011-01-13 2013-12-17 Autumn Horizons, Inc. Multi-positional stand and under cabinet mount for a tablet computer
US8576553B2 (en) * 2011-05-17 2013-11-05 Myerchin Enterprises, Inc. Base with counterweight for display screens
US8570723B2 (en) 2011-05-18 2013-10-29 Myerchin Enterprises, Inc. Actuated hinge and cable assembly for use with computer display monitors
US9291299B2 (en) * 2011-08-31 2016-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tand with latching mechanism
EP2915014B1 (en) 2012-10-30 2021-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ort assembly for a device
US9255661B2 (en) 2013-05-31 2016-0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ers to control lower joints and upper joints
US9618976B2 (en) * 2013-12-10 2017-04-11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d computer stand that slides up and down on a video display
CN204127585U (zh) * 2014-09-29 2015-01-2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可定位的升降支架结构
TWM513310U (zh) * 2015-08-21 2015-12-01 Syncmold Entpr Corp 用以支撐顯示裝置的支撐座
US10345851B2 (en) 2016-04-14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159158B2 (en) 2016-04-14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9936593B2 (en) 2016-04-14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172248B1 (en) * 2016-04-14 2019-0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6710B2 (en) 2016-04-14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9944B2 (en) 2016-04-26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device cover
US9946309B2 (en) 2016-06-10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ring
US10221898B2 (en) 2016-07-01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clutch
CN106354210A (zh) * 2016-08-31 2017-01-25 同方计算机有限公司 一种带有升降结构的显示器
CA3004672A1 (en) 2017-06-09 2018-12-09 Teknion Limited Adjustable counterbalancing display support
CN110764571B (zh) * 2018-07-27 2024-12-31 中国长城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体式计算机
WO2020091167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010912B (zh) * 2019-12-20 2022-03-29 洛阳福格森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微耕机的犁耙农具调深连接装置
CN113790372B (zh) * 2021-07-19 2022-09-02 荣耀终端有限公司 屏幕壁挂装置
KR102797491B1 (ko) * 2023-08-31 202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886A (ko)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JP2004333744A (ja) * 2003-05-06 2004-11-25 Nanao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スタンド
US20060000956A1 (en) * 2004-06-14 2006-01-05 Sava Cvek Extens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s with control systems
KR20070016641A (ko) * 2005-08-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556A (ja) 1998-05-01 1999-11-16 Sony Corp 収納式表示装置
KR100443979B1 (ko) * 2001-10-2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JPWO2003050786A1 (ja) * 2001-12-13 2005-04-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ディスプレイの方向調整装置
KR100520060B1 (ko) * 2002-05-28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TW543017B (en) * 2002-09-20 2003-07-21 Benq Corp Monitor with changeable stand
KR100482007B1 (ko)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6712321B1 (en) * 2003-05-21 2004-03-30 Compal Electronics, Inc.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KR100534120B1 (ko) * 2003-08-21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4402448B2 (ja) * 2003-12-24 2010-01-20 株式会社新鋭産業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用スタンド
KR100662367B1 (ko) 2004-05-06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US7036787B1 (en) * 2005-02-04 2006-05-02 Taiwan Thick-Film Ind. Corp. Display strut adjusting structure
TWM281256U (en) * 2005-02-24 2005-11-21 Compal Electronics Inc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nitor
US7193843B2 (en) * 2005-04-19 2007-03-20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bracket covering
KR100846898B1 (ko) * 2005-12-30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TWM300950U (en) * 2006-05-11 2006-11-11 Jarllytec Co Ltd Vertically adjustable rotary axle mechanism
US7413150B1 (en) * 2007-06-19 2008-08-19 Shin Zu Shing Co., Ltd. Flat panel display st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886A (ko)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JP2004333744A (ja) * 2003-05-06 2004-11-25 Nanao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スタンド
US20060000956A1 (en) * 2004-06-14 2006-01-05 Sava Cvek Extension and retraction arrangements with control systems
KR20070016641A (ko) * 2005-08-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8316A (ko) 2023-06-22 2024-12-31 동오정밀 주식회사 모니터용 듀얼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1024A3 (en) 2008-10-08
EP1821024B1 (en) 2019-01-02
KR20070082792A (ko) 2007-08-22
CN101026017A (zh) 2007-08-29
EP1821024A2 (en) 2007-08-22
US20070194182A1 (en) 2007-08-23
US7694919B2 (en) 201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7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84689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100628119B1 (ko) 평판형 모니터
US9307658B2 (en) Display apparatus
KR100684998B1 (ko) 모니터장치
US7717384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KR10137226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EP1750050B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KR10123900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110199082A (zh) 用于在家具壁上引导移门或折叠移门的组件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KR101321016B1 (ko)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101321014B1 (ko) 휴대용 태블릿 pc 거치대
JP3406630B2 (ja) アームレストと兼用しうるテーブルの取付装置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JP2002291577A (ja) 座席用テーブル収納装置
KR20060018584A (ko) 영상표시장치용 힌지어셈블리
KR20060014782A (ko)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140001400U (ko) 책상용 모니터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