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6937B1 -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937B1
KR101236937B1 KR1020100092051A KR20100092051A KR101236937B1 KR 101236937 B1 KR101236937 B1 KR 101236937B1 KR 1020100092051 A KR1020100092051 A KR 1020100092051A KR 20100092051 A KR20100092051 A KR 20100092051A KR 101236937 B1 KR101236937 B1 KR 10123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gear
coupled
shaft
propelle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14A (ko
Inventor
이성욱
지용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9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9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8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with provision for reversing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63H2023/325Thrust bearings, i.e. axial bearings for propelle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선체와, 일단부가 선체의 프로펠러 샤프트 홀을 통하여 돌출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여 지지하며 선체의 선미부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혼과, 지지혼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반전기어세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에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와, 전방 프로펠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반전기어세트에 연결되어 전방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와, 지지혼의 양측에 설치되며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한 쌍의 러더를 포함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Ship having contra rotating propeller}
본 발명은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와, 이 추진기로부터 발생된 추진력을 이용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러더를 포함한다.
추진기는 선체에 설치된 엔진(engine)과, 이 엔진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프로펠러(propeller)를 포함하며, 이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선체의 선미부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선체에는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러더가 설치된다.
러더는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펠러로부터 발생된 추진력의 작용방향을 변경하여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펠러는 나선형 유선을 발생시켜, 프로펠러 후류가 축소되는 형상을 갖고, 이로 인한 프로펠러 효율 저하가 결국 선박의 추진 효율 저하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종래의 프로펠러는 추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용돌이성 와류와 같은 스월 유동(swirl flow)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가져와, 추진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호 반전 프로펠러(Contra Rotating Propeller)가 개발되고 있는데, 상호 반전 프로펠러는 동일 축 상에 회전방향이 상호반대인 2개의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형태로서, 중공 축부재와 그 내부에 삽입된 실축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의 프로펠러 샤프트에 의한 복잡한 구조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는 이중 구조의 프로펠러 샤프트 및 제반 동력 전달 시스템이 요구되고, 일반 상선에 경제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울 만큼 매우 고가의 특수 역회전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시스템 복잡성 및 초기 과도한 투자비 이유로 인해 활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2008-0051021호를 통하여 러더 혼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러더 혼에 반전기어세트를 두어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를 상호 동시에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는 심플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이중반전추진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러더 혼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러더 혼의 길이를 연장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러더 블레이드의 조타면적이 축소되어 양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운항 안전성과 관련된 선박의 조종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러더의 양력의 감소로 인한 선박의 조종 성능 저하없이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설치할 수 있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와, 일단부가 선체의 프로펠러 샤프트 홀을 통하여 돌출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선체의 선미부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혼과, 지지혼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반전기어세트와, 프로펠러 샤프트에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와, 전방 프로펠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반전기어세트에 연결되어 전방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와, 지지혼의 양측에 설치되며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한 쌍의 러더를 포함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반전기어세트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며, 이 경우, 프로펠러 샤프트는 유성기어의 중심기어에 결합되며, 후방 프로펠러의 허브는 중심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성기어의 링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혼은, 반전기어세트를 커버하는 기어 벌브를 포함하며, 기어 벌브와, 후방프로펠러 허브 및 전방 프로펠러 허브는 하나의 타원체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샤프트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혼의 횡단면은 유선형일 수 있다.
한 쌍의 러더는, 지지혼의 양측에서 선체의 선미부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혼과, 한 쌍의 러더혼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프로펠러와 후방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가 지지혼에 지지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지지혼에 반전기어세트를 장착함으로써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러더의 양력의 감소로 인한 선박의 조종 성능 저하 없이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설치할 수 있고, 복수의 러더로 인해 개개의 타 면적을 감소시켜 선박의 선형 설계시 여유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운항 안전성 및 조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성기어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러더 회전각도에 따른 토크(torque)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성기어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선체(12), 프로펠러 샤프트 홀(14), 프로펠러 샤프트(16), 지지혼(18), 반전기어세트(20), 전방 프로펠러(22), 전방 프로펠러 허브(24), 전방 프로펠러 날개(26), 후방 프로펠러(28), 후방 프로펠러 허브(30), 후방 프로펠러 날개(32), 러더(36), 러더 혼(38), 러더 블레이드(40), 기어 벌브(34), 샤프트 베어링(50), 유성기어(110), 기어 하우징(111), 중심기어(112), 제1 위성기어(113), 유성기어 캐리어(114), 피니언 샤프트(115), 제2 위성기어(116), 링기어(117), 제1 실링부(120), 허브베어링(121), 제2 실링부(12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12)와; 일단부가 상기 선체(12)의 프로펠러 샤프트 홀(14)을 통하여 연장되는 프로펠러 샤프트(16)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선체(12)의 선미부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혼(18)과; 상기 지지혼(18)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6)에 연결되는 반전기어세트(20)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6)에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22)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22)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반전기어세트(2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프로펠러(2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28)와; 상기 지지혼(18)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한 쌍의 러더(36)를 포함하여, 안정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지지혼(18)에 반전기어세트(20)를 장착함으로써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러더(36)의 양력의 감소로 인한 선박의 조종 성능 저하없이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설치할 수 있다.
선체(12)의 내부에는 화물창, 엔진 룸 등이 배치되며, 이 엔진 룸에 설치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박을 추진시키게 된다. 선박을 추진 시키기 위한 추진기는 선체(12)에 설치된 엔진(engine)과,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프로펠러 샤프트(16)를 포함한다.
프로펠러 샤프트(16)는 일단부가 선체(12)의 프로펠러 샤프트 홀(14)을 통하여 선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는 후술할 지지혼(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혼(18)은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선체(12)의 선미부 하단에 결합된다.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는 지지혼(18)의 내부로 삽입되고 지지혼(18)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에는 샤프트 베어링(50)이 설치되어 지지혼(18)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샤프트 베어링(50)은 프로펠러 샤프트(16)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한다.
지지혼(18)의 횡단면은 전방 프로펠러(22) 및 후방 프로펠러(28)의 회전에 따른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프로펠러 방향의 앞부분은 곡선으로 형성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뾰쪽하게 형성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전기어세트(20)는 지지혼(18)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프로펠러 샤프트(16)에 연결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6)를 통해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반전기어세트(20)는 엔진의 구동력을 반전시켜 프로펠러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 프로펠러(22)는 지지혼(18)과 프로펠러 샤프트 홀(14) 사이에 위치하며 프로펠러 샤프트(16)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방 프로펠러(22)는 프로펠러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 프로펠러(22)는 프로펠러 샤프트(16)가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 허브(24)와 전방 프로펠러 허브(24)의 외주면에 복수로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 날개(26)를 포함한다.
후방 프로펠러(28)는 전방 프로펠러(22)와 지지혼(18) 사이에 전방 프로펠러(22)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반전기어세트(20)에 연결되어 전방 프로펠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전기어세트(20)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이 반전되고 이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1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후방 프로펠러(28)에 제공하여 전방 프로펠러(22)와 후방 프로펠러(28)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후방 프로펠러(28)는 반전기어세트(20)와 결합되는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와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의 외주면에 복수로 결합되는 후방 프로펠러 날개(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러더(36)는 지지혼(18)의 양측에 설치되어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종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러더 혼에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러더 혼의 길이를 연장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러더 혼의 길이 연장에 따른 러더 블레이드의 조타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박의 조정을 위한 러더 블레이드의 양력이 감소되어 선박의 조종 성능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러더 혼에 역 토크와 최대 토크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혼(18)의 양측에 한 쌍의 러더(36)를 배치하여 종래에 비해 러더(36)의 양력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러더(36)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선박의 선형설계 시 여유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다.
한 쌍의 러더(36)는, 지지혼(18)의 양측에서 선체(12)의 선미부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혼(38)과, 한 쌍의 러더혼(38)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블레이드(40)를 포함한다.
반전기어세트(20)는 유성기어(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펠러 샤프트(16)는 유성기어(110)의 중심기어(112)에 결합되며, 후방 프로펠러 허브(30)는 중심기어(11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성기어(110)의 링기어(117)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로펠러 샤프트(16)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프로펠러 샤프트 홀(14)을 통하여 돌출되어 일단부가 유성기어(110)에 연결되고, 이후 샤프트 베어링(50)까지 연장된다.
전방 프로펠러 허브(24)는 프로펠러 샤프트 홀(14)의 출구 바깥에서 배치된 프로펠러 샤프트(16)에 고정되어, 프로펠러 샤프트(16)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후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는 전방 프로펠러 허브(24)로부터 돌출 연장되면서,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의 축심을 관통한 후, 유성기어(110)의 중심기어(112)(sun gear)에 축결합된다.
중심기어(112)를 통과한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는 지지혼(18)의 기어하우징(111)의 외측을 관통한 후, 지지혼(18)의 내부에 배열된 샤프트 베어링(5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성기어(110)는 지지혼(18)에 탑재된 기어 하우징(111)과, 기어 하우징(111) 내부의 중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입력측의 중심기어(112)와, 중심기어(112)의 주위에서 복수 개로 배열되어 기어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위성기어(113)와, 제1 위성기어(113)를 기어 하우징(111) 내부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속시키는 유성기어 캐리어(114)와, 제1 위성기어(113)로부터 유성기어 캐리어(114)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각각의 피니언 샤프트(115)의 끝단에 고정된 복수개의 제2 위성기어(116)와, 이런 제2 위성기어(116)에 기어결합되는 출력측의 링기어(117)를 포함한다. 링기어(117)는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와 결합된다.
또한, 유성기어 캐리어(114)는 제1 위성기어(113)와 제2 위성기어(116) 사이의 피니언 샤프트(115)를 복수 개의 피니언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속하고 있고, 고정핀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기어 하우징(11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의 타측 내주면에는 실링(sealing)을 수행하는 축부재용 제1 실링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링기어(117)를 기준으로 후방 프로펠러 허브(30)의 일측 외주면과 기어 하우징(111)의 개구된 부위의 내주면 사이에는 복수 열의 허브베어링(121) 및 제2 실링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와 유성기어(110)의 중심기어(112)는 스플라인(43)(spline) 체결방식으로 상호 결속될 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16)에 의해 중심기어(112)가 정회전할 경우, 역회전을 위한 유성기어(110)의 작동방식과 같이 모든 제1, 제2위성기어(113, 116)들은 역회전 한다. 즉, 유성기어 캐리어(114)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이므로, 제1, 제2위성기어(113, 116)는 공전하지 않고 역회전 방향으로 각각 그 자리에서 자전하게 되고, 역회전 방향으로 자전하는 제1, 제2위성기어(113, 116)는 역회전력을 링기어(117)에게 기어 전달하게 되고 링기어(117)에 결합되는 후방 프로펠러(28)는 전방 프로펠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 프로펠러(22)와 후방 프로펠러(28)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박에서 발생하는 추진기 회전손실을 회복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혼(18)은 반전기어세트(20)를 커버하는 기어 벌브(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어 벌브(34)와, 후방프로펠러 허브(30) 및 전방 프로펠러 허브(24)는 하나의 타원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3가지를 합쳐놓은 형상이 타원체라는 의미인 것 같은데요? 각각의 형상이 타원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타원체의 형상에 따라 전방 프로펠러(22)와 후방 프로펠러(28)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유체의 흐름이 분산되어 프로펠러 후류의 수축을 방지하여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러더 회전각도에 따른 토크(torque)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X1 및 X2선도 각각 종래와 같이 러더 혼(38)에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경우의 타축에 발생하는 역방향 토크 및 최대 토크를 나타낸 것이다. X3 선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지지혼(18)에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의 타축에 발생하는 최대 토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러더 혼(38)의 길이가 연장되어 타축에 작용하는 역방향 토크(torque) 및 최대 토크가 증가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지지혼(18)에 프로펠러 샤프트(16)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혼(18)의 양측에 러더(36)를 배치함으로써 타축에 발생하는 최대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러더(36)에 의해 선박의 방향이 제어되므로, 하나의 러더(36)를 갖는 종래의 선박에 비해 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선박은 러더(36)에 의해 형성되는 양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경우, 하나의 러더(36)를 갖는 종래의 선박(1)에 비해 러더(36) 각각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의 선형 설계시 자유도가 증가되어 러더(36)의 설치 위치 등에 대한 여유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 선체 14 : 프로펠러 샤프트 홀
16 : 프로펠러 샤프트 18 : 지지혼
20 : 반전기어세트 22 : 전방 프로펠러
24 : 전방 프로펠러 허브 26 : 전방 프로펠러 날개
28 : 후방 프로펠러 30 : 후방 프로펠러 허브
32 : 후방 프로펠러 날개 34 : 기어 벌브
36 : 러더 38 : 러더 혼
40 : 러더 블레이드 50 : 샤프트 베어링
110 : 유성기어 111 : 기어 하우징
112 : 중심기어 113 : 제1 위성기어
114 : 유성기어 캐리어 115 : 피니언 샤프트
116 : 제2 위성기어 117 : 링기어
120 : 제1 실링부 121 : 허브베어링
122 : 제2 실링부

Claims (6)

  1. 선체와;
    일단부가 상기 선체의 프로펠러 샤프트 홀을 통하여 돌출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선체의 선미부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혼과;
    상기 지지혼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반전기어세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결합되는 전방 프로펠러와;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반전기어세트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프로펠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와;
    상기 지지혼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한 쌍의 러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러더는,
    상기 지지혼의 양측에서 상기 선체의 선미부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혼과;
    상기 한 쌍의 러더혼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어세트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는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 프로펠러의 허브는 상기 중심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유성기어의 링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혼은,
    상기 반전기어세트를 커버하는 기어벌브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벌브와,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허브 및 상기 전방 프로펠러의 허브는 하나의 타원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샤프트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혼의 횡단면은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6. 삭제
KR1020100092051A 2010-09-17 2010-09-17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Expired - Fee Related KR10123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51A KR101236937B1 (ko) 2010-09-17 2010-09-17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51A KR101236937B1 (ko) 2010-09-17 2010-09-17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14A KR20120029914A (ko) 2012-03-27
KR101236937B1 true KR101236937B1 (ko) 2013-02-25

Family

ID=4613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6937B1 (ko) 2010-09-17 2010-09-17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49A1 (ko) * 2015-01-23 2016-07-28 정창록 반전회전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029B1 (ko) 2013-01-28 2018-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용 동력 전달 장치
KR102034163B1 (ko) 2013-01-28 2019-10-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동력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CN104443333A (zh) * 2014-11-28 2015-03-2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舵球式对转螺旋桨
CN108622357A (zh) * 2018-05-11 2018-10-09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挂桨臂式对转装置、对转系统及船舶
SE544385C2 (en) * 2019-09-23 2022-05-03 Volvo Penta Corp Propeller combination for a marine vessel
CN119348800B (zh) * 2024-12-26 2025-04-22 天津水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海底作业用水下推进器密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863A (ko) * 2002-07-05 200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이중반전 프로펠러 동력전달장치
KR20040087874A (ko) * 2003-04-07 2004-10-15 바칠라 핀랜드 오이 선박의 추진 유니트
JP2007230510A (ja) 2006-03-03 2007-09-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JP2010528918A (ja) * 2007-06-01 2010-08-26 三星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ラダーホーン支持型二重反転推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863A (ko) * 2002-07-05 200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이중반전 프로펠러 동력전달장치
KR20040087874A (ko) * 2003-04-07 2004-10-15 바칠라 핀랜드 오이 선박의 추진 유니트
JP2007230510A (ja) 2006-03-03 2007-09-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JP2010528918A (ja) * 2007-06-01 2010-08-26 三星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ラダーホーン支持型二重反転推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49A1 (ko) * 2015-01-23 2016-07-28 정창록 반전회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14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0382B2 (ja) 船舶のラダーホーン支持型二重反転推進装置
KR101236937B1 (ko) 상호 반전 프로펠러를 구비한 선박
US8435089B2 (en) Marine engine assembly including a pod mountable under a ship's hull
JP4425042B2 (ja) 船体推進ユニット
ES2516648T3 (es) Un arreglo de propulsión y gobierno para un buque
CN105644749A (zh) 一种船舶推进机构
FI112058B (fi) Laivankäyttökoneisto ruoripotkurein
JP2020525356A (ja) プロペラポンプ式油圧推進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船舶
CN110316345A (zh) 一种新型对转桨船舶侧向推进系统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903078B1 (ko) 덕트 형상이 변형되는 추진기
JP2008149746A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装置
JP2766707B2 (ja) 遊転プロペラ付き舶用プロペラ装置
JP2012096767A (ja) 舶用推進装置
KR101236944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523913B1 (ko) 선박 추진장치
WO2016101954A1 (en) A collapsible, shielded propelling unit through a medium, such as water, and a vessel with such unit
GB2419861A (en) Shrouded vane marine propeller
CN110562422A (zh) 舰船超强螺旋推进器
KR101215610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334333B1 (ko) 선박
CN216468396U (zh) 推进器
KR101323797B1 (ko) 선박
NL2018880B1 (en) Improved thruster for propelling a watercraft
JPH05136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2